KR102084834B1 - 전지 팩 및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전지 팩 및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834B1
KR102084834B1 KR1020177010271A KR20177010271A KR102084834B1 KR 102084834 B1 KR102084834 B1 KR 102084834B1 KR 1020177010271 A KR1020177010271 A KR 1020177010271A KR 20177010271 A KR20177010271 A KR 20177010271A KR 102084834 B1 KR102084834 B1 KR 10208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nector
battery pack
battery block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472A (ko
Inventor
히로시 유사
히데오 우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8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01M2/1016
    • H01M2/204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전지 팩은, 제1 커넥터가 일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2개의 제1 커넥터가 대향하도록 복수의 전지 블록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대향하는 2개의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한다. 전지 블록은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지 팩 및 전기 기기{BATTERY PACK AND ELECTRIC DEVICE}
본 기술은 전지 팩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지 블록을 구비하는 전지 팩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동 공구,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 전동 바이크 등의 파워툴용 전원으로서는, 복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접속된 전지 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전지 블록을 기기 본체에 접속하는 기술이나, 복수의 전지 블록끼리를 접속하는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전원 블록(전지 블록)이 걸림 수단을 통해서 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전기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기 기기에서는, 걸림 수단의 걸림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해서 조작부가 전원 블록에 설치됨과 함께, 이 조작부의 조작 방향이 전원 블록의 기기 본체로의 착탈 방향에 대한 축 둘레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4-152507호 공보
본 기술의 목적은, 복수의 전지 블록을 용이하게 연결 가능한 전지 팩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기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 기술은,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2개의 제1 커넥터가 대향하도록 복수의 전지 블록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대향하는 2개의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전지 블록은,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 고정되어 있는 전지 팩이다.
제2 기술은,
전지 팩과,
전지 팩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기 기기 본체
를 구비하고,
전지 팩은,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2개의 제1 커넥터가 대향하도록 복수의 전지 블록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대향하는 2개의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전지 블록은,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 고정되어 있는 전기 기기이다.
제1, 제2 기술에 있어서, 연결부는, 전지 블록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전지 블록과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3 기술은,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전지 블록의 단부간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전지 블록의 단부끼리는, 회전 고정되어 있는 전지 팩이다.
제4 기술은,
전지 팩과,
전지 팩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기 기기 본체
를 구비하고,
전지 팩은,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전지 블록의 단부간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전지 블록의 단부끼리는, 회전 고정되어 있는 전기 기기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전지 블록을 용이하게 연결 가능한 전지 팩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팩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전지 팩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의 B는 전지 블록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전지 블록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의 B는 전지 블록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전지 블록의 단부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의 B는 전지 블록의 단부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의 C는 갈고리부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지 블록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서브 블록의 제1 단부면측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의 B는 서브 블록의 제2 단부면측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커버를 벗긴 상태에 있어서의 전지 블록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의 B는 커버 및 프린트 배선 기판을 벗긴 상태에 있어서의 전지 블록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커버 이면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커버 이면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연결 스페이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의 B는 연결 스페이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의 C는 갈고리부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커넥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B는 중계 커넥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전지 블록의 단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의 B는 2개의 전지 블록간의 연결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의 A, 도 12의 B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팩의 연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도 13의 B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팩의 연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전지 팩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의 전체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1 제1 실시 형태(전지 팩의 예)
1.1 전지 팩의 구성
1.2 전지 팩의 연결 방법
1.3 효과
2 제2 실시 형태(전기 기기의 예)
<1 제1 실시 형태>
[1.1 전지 팩의 구성]
(개략 구성)
먼저, 도 1, 도 2의 A, 도 2의 B를 참조하여,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팩의 개략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지 팩은, 거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다. 전지 팩은 복수의 전지 블록(10B)과,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 스페이서(연결 부재)(20)와,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계 커넥터(제2 커넥터)(30)를 구비한다.
전지 블록(10B)은 커넥터(제1 커넥터)(11a, 11b)가 설치된 둘레면을 갖고 있다. 커넥터(11a)는 전지 블록(10B)의 둘레면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커넥터(11b)는 전지 블록(10B)의 둘레면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전지 블록(10B)은 인접하는 전지 블록(10B)의 단부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전지 블록(10B)의 단부면 사이에는 연결 스페이서(20)가 설치되고, 이 연결 스페이서(20)를 통해서 인접하는 2개의 전지 블록(10B)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 스페이서(20)는 연결부에 있어서 2개의 커넥터(11a, 11b)가 대향하도록 2개의 전지 블록(10B)간을 연결한다. 전지 블록(10B)은 연결 스페이서(20)에 대하여 회전 고정되어 있다.
중계 커넥터(30)는 2개의 전지 블록(10B)의 연결부를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중계 커넥터(30)는 복수의 전지 블록(10B) 사이가 연결 스페이서(2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커넥터(11a, 11b)에 대하여 감합된다. 중계 커넥터(30)의 일단부가 나사(51a)에 의해 커넥터(11a)에 고정되고, 중계 커넥터(30)의 타단부가 나사(51b)에 의해 커넥터(11b)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나사(51a, 51b)에 의해 중계 커넥터(30)를 고정함으로써, 전지 팩의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이어서, 전지 팩을 구성하는 전지 블록(10B), 연결 스페이서(20) 및 중계 커넥터(30)에 대해서 순차 설명한다.
(전지 블록)
전지 블록(10B)은 거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다. 도 3의 A,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블록(10B)은 그 양단부에 거의 원 형상의 단부면(10Sa, 10Sb)을 갖고 있다. 단부면(10Sb)은 단부면(10Sa)과 마찬가지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단부면(10Sb)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의 A,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면(10Sa)에는 볼록부(12) 및 복수의 갈고리부(제1 갈고리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A, 도 4의 B에서는, 5개의 갈고리부(13)가 설치된 예가 나타나 있다. 볼록부(12)는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에 대한 전지 블록(10B)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이다. 이 위치 결정에 의해, 연결 스페이서(20)와 전지 블록(10B)의 중심축이 일치된다. 볼록부(12)는, 예를 들어 원형 링 형상 또는 부분 원형 링 형상을 갖고 있다. 그 원형 링 형상 또는 부분 원형 링 형상의 중심은, 예를 들어 단부면(10Sa)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부분 원형 링 형상이란, 원형 링 형상이 부분적으로 결핍된 형상을 말한다.
복수의 갈고리부(13)는 연결 스페이서(20)에 대하여 전지 블록(10B)을 회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의 갈고리부(13)는 볼록부(12)의 외측에, 볼록부(12)와 중심을 동일하게 하는 가상적인 동심원 상에 띄엄띄엄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A, 도 4의 B에서는, 복수의 갈고리부(13)는 단부면(10Sa)의 주연에 배치된 예가 나타나 있지만, 복수의 갈고리부(13)의 배치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부면(10Sa)의 주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갈고리부(13)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면(10Sa)의 외측을 향해서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갈고리부(13)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거의 L자 형상이다.
도 3의 A, 도 3의 B,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블록(10B)은 전지 블록 본체(10MB)와, 전지 블록 본체(10MB)의 양 단부면간의 소정 영역에 배치된 프린트 배선 기판(40)과, 프린트 배선 기판(40)을 덮도록 전지 블록 본체(10MB) 위에 설치된 커버(10CR)를 구비한다. 프린트 배선 기판(40)은 복수의 나사(53)에 의해 전지 블록(10B)의 소정 영역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10CR)는 복수의 나사(52)에 의해 전지 블록 본체(10MB)에 고정되어 있다.
전지 블록(10B)은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이면과 전지 블록 본체(10MB) 사이에 설치된 트레이(41), 플렉시블 기판(42, 43) 및 접속 바(44, 45)를 더 구비한다. 또한, 전지 블록(10B)은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표면과 커버(10CR)의 이면 사이에 설치된 시일 부재(46)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전지 블록 본체(10MB)에 대향하는 면을 이면이라 하고, 그와는 반대측의 면을 표면이라 한다.
[전지 블록 본체]
전지 블록 본체(10MB)는 서브 블록(100, 200)과 스페이서(102)를 구비한다. 서브 블록(100, 200)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서브 블록(100)의 구성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블록(100)은, 복수의 전지(101)와, 홀더(110a, 110b)를 구비한다. 복수의 전지(101)의 일단부가 홀더(110a)에 의해 고정되고, 복수의 전지(101)의 타단부가 홀더(110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지(101)는, 예를 들어 정극 단자부 및 부극 단자부를 양단부에 갖는 원기둥 형상의 전지이다. 또한, 전지(101)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형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의 전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지(101)는, 예를 들어 반복 사용 가능한 이차 전지이다. 이러한 이차 전지로서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중합체 이차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전지 블록(10B)에 수용된 복수의 전지(101)는 직렬 및/또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전지 블록(10B)에 10개의 전지(101)가 수용되고, 그것들 전지(101)가 직렬로 접속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10a)는 원기둥 형상 등의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이들 구멍부 각각에 대하여 원기둥 형상 등의 복수의 전지(101)의 일단부를 감합함으로써, 복수의 전지(101)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각 구멍부의 저면 부분에는, 개구부(112a)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112a)를 통해서, 전지(101)의 정극 단자(101a) 또는 부극 단자(101b)와 복수의 접속판(120a, 130a)의 돌출부(122a, 132a)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접속판(120a, 130a) 위에 커버(140a)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101)의 정극 단자(101a)와 홀더(110a)의 구멍부의 저면 부분 사이에는, 스페이서(150a)가 배치된다. 이 스페이서(150a)는 개구부를 갖고, 이 개구부에 대하여 볼록 형상의 정극 단자(101a)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전지(101)의 정극 단자(101a)와 부극 단자(101b)가, 동일 높이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홀더(110a)는 복수의 전지(101)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에 수용부를 갖고, 이 수용부에 복수의 접속판(120a, 130a)과 커버(140a)가 수용되어 있다. 홀더(110a)는 수용부에 복수의 돌출부(111a)와 볼록부(12)를 갖고 있다. 접속판(120a, 130a)은 각각, 관통 구멍(121a, 131a)을 갖고, 커버(140a)는 복수의 관통 구멍(141a)과 관통 구멍(142a)을 갖고 있다. 복수의 접속판(120a, 130a) 및 커버(140a)를 홀더(110a)의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관통 구멍(121a, 131a)에 각각 돌출부(111a)가 감합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42a)을 통해서 볼록부(12)가 커버(140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10b)는, 원기둥 형상 등의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이들 구멍부 각각에 대하여 원기둥 형상 등의 복수의 전지(101)의 타단부를 감합함으로써, 복수의 전지(101)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각 구멍부의 저면 부분에는, 개구부(112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112b)를 통해서, 전지(101)의 정극 단자(101a) 또는 부극 단자(101b)와 복수의 접속판(120b, 130b)의 돌출부(122b, 132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접속판(120b, 130b) 위에 스페이서(102)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101)의 정극 단자(101a)와 홀더(110b)의 구멍부의 저면 부분 사이에는, 스페이서(150b)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150b)는 개구부를 갖고, 이 개구부에 대하여 볼록 형상의 정극 단자(101a)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전지(101)의 정극 단자(101a)와 부극 단자(101b)가, 동일 높이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홀더(110b)는 복수의 전지(101)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에 수용부를 갖고, 이 수용부에 복수의 접속판(120b, 130b)이 수용된다. 홀더(110b)는, 수용부에 복수의 돌출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접속판(120b)은 관통 구멍(121b)을 갖고 있다. 또한, 접속판(130b)도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접속판(120b)을 홀더(110b)의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접속판(120b)의 관통 구멍(121a)에 돌출부가 감합되어 있다. 또한, 접속판(130b)을 홀더(110b)의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접속판(130b)의 관통 구멍에 돌출부가 감합되어 있다.
홀더(110a, 110b)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의 절연 재료를 들 수 있다. 홀더(110a, 110b)의 재료가, 금속분 또는 탄소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홀더(110a, 110b)의 열전도성이 향상되고, 전지(101)의 발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홀더(110a, 110b)의 재료가,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홀더(110a, 110b)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서, 낙하 시에 있어서의 전지 팩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프린트 배선 기판]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40)은 거의 직사각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커넥터(11a)가 설치되고,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커넥터(11b)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표면에는, 커넥터(47, 4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47, 48)에는 각각, 플렉시블 기판(42, 4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 기판(40)에는, 서브 블록(100)의 정극 단자(133a), 부극 단자(133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배선 기판(40)에는, 서브 블록(200)의 정극 단자(233a), 부극 단자(233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이면측에는, 온도 검출 소자로서의 서미스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41)의 표면 주연에는, 둘레벽부(41a)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41)의 표면 상에 프린트 배선 기판(40)이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둘레벽부(41a)의 선단이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이면에 압박된다. 이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이면의 소정 영역이 트레이(41)의 표면 및 둘레벽부(41a)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표면의 소정 영역을 방수할 수 있다. 시일 부재(46)는 유연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시일 부재]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0CR)의 이면에는, 벽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벽부(16)는 커버(10CR)를 전지 블록 본체(10MB)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표면의 소정 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소정 영역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주요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주요 부품은, 예를 들어 방수가 필요해지는 부품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등의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는 충방전 제어부, 전압 측정부, 전류 측정부, 온도 검출 소자, 온도 측정부 등이다. 시일 부재(46)는 커버(10CR)의 이면에 설치된 벽부(16)와 마찬가지 형상을 가지며, 벽부(16)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부재(46)는 벽부(16)의 선단에 대향하는 부분에 홈(46a)을 갖고, 이 홈(46a)에 대하여 벽부(16)의 선단이 감합되어 있다. 홈(46a)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거의 U자 형상, 거의 V자 형상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일 부재(46)는 유연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의 관점에서 보면, 시일 부재(46)는 니트릴 고무, 스티롤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아크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등의 고무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0CR)를 전지 블록 본체(10MB)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벽부(16)가 시일 부재(46)를 통해서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표면에 압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표면의 소정 영역이 커버(10CR)의 이면 및 벽부(16)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프린트 배선 기판(40)의 표면의 소정 영역을 방수할 수 있다.
[커버]
도 3의 A,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0CR)는, 기둥면 형상을 갖고, 그 기둥면의 연장 설치 방향의 양단부 중 단부면(10Sa)측의 일단부에는 절결부(14a)가 설치되고, 단부면(10Sa)측의 타단부에는 절결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그 기둥면은, 예를 들어 거의 원호 형상 또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절결부(14a, 14b)로부터 각각, 커넥터(11a, 11b)가 노출된다.
연결 스페이서(20)에 의해 복수의 전지 블록(10B)을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절결부(14a, 14b)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대향 배치된 절결부(14a, 14b)에 의해, 2개의 전지 블록(10B)의 연결 부분에 개구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를 통해서, 중계 커넥터(30)가 커넥터(11a, 11b)에 감합되어 있다. 커버(10CR)의 주위에는, 복수의 구멍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부(15)는 각각, 서브 블록(100, 200)에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115)에 감합되어 있다.
(연결 스페이서)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스페이서(20)는, 주면(21Sa, 21Sb)을 갖는 기체(21), 주면(21Sa)에 설치된 볼록부(22) 및 복수의 갈고리부(제2 갈고리부)(23)와, 주면(21Sb)에 설치된 복수의 갈고리부(제2 갈고리부)(23) 및 볼록부(22)를 구비한다.
기체(21)는 원반 형상의 일부를 절결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절결부(24)를 통해서 중계 커넥터(30)가 전지 블록(10B)의 연결부를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면(21Sa)은 원형의 일부가 절결된 형상을 갖고 있다. 주면(21Sa)의 주연부 중 원호 형상의 부분에는 복수의 갈고리부(23)가 설치되고, 주면(21Sa)의 중앙부에는 볼록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A, 도 9의 B에서는 5개의 갈고리부(13)가 설치된 예가 나타나 있다.
볼록부(22)는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a)에 대한 전지 블록(10B)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이다. 이 위치 결정에 의해, 연결 스페이서(20)와 전지 블록(10B)의 중심축이 일치된다. 볼록부(22)는, 예를 들어 원형 링 형상 또는 부분 원형 링 형상을 갖고 있다. 그 원형 링 형상 또는 부분 원형 링 형상의 중심은, 예를 들어 주면(21Sa)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볼록부(22)의 직경은, 전지 블록(10B)의 볼록부(12)가 갖는 직경보다 약간 작게 또는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 스페이서(20)의 볼록부(22)는 전지 블록(10B)의 볼록부(12)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갈고리부(23)는, 연결 스페이서(20)에 대하여 전지 블록(10B)을 회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 스페이서(20)에 대한 전지 블록(10B)의 회전 고정은, 전지 블록(10B)의 복수의 갈고리부(13)와 연결 스페이서(20)의 복수의 갈고리부(23)의 회전 감합이다. 복수의 갈고리부(23)는, 볼록부(22)의 외측에, 볼록부(12)와 중심을 동일하게 하는 가상적인 동심원 상에 띄엄띄엄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갈고리부(23)는, 주면(21Sa)의 주연에 설치된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복수의 갈고리부(23)의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면(21Sa)의 주연보다 내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갈고리부(23)는,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면(21Sa)의 내측을 향해서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갈고리부(23)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거의 L자 형상이다.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a)에 대하여 전지 블록(10B)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각 갈고리부(23)의 내측에, 전지 블록(10B)의 각 갈고리부(13)가 감합되어 있다.
주면(21Sa)이 갖는 복수의 갈고리부(23) 중 적어도 1개가, 주면(21Sa)의 외주의 둘레 방향의 일단부에 벽부(23a)를 갖고 있다. 즉, 주면(21Sa)의 외주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벽부(23a)에 의해 폐쇄된 구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주면(21Sa)이 갖는 복수의 갈고리부(23) 모두가 벽부(23a)를 갖도록 해도 되고, 주면(21Sa)이 갖는 복수의 갈고리부(23) 중 특정한 갈고리부(23)만이, 벽부(23a)를 갖도록 해도 된다.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a)에 대하여 전지 블록(10B)을 회전 고정할 때에는, 벽부(23a)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다.
주면(21Sb)은 주면(21Sa)과 마찬가지 구성을 가지므로, 주면(21Sb)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커넥터)
커넥터(11a)는 전지 블록(10B)의 둘레면 중 단부면(10Sa)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11b)는 전지 블록(10B)의 둘레면 중 단부면(10Sb)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1a, 11b)는 전지 블록(10B)의 단부면(10Sa) 또는 단부면(10Sb)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1a)는 접속 단자로서의 소켓(411, 421, 431)을 구비한다. 소켓(431)은 소켓(411, 42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11a)에는 나사(51a)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441)이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1b)는 커넥터(11a)와 마찬가지 구성을 가지므로, 커넥터(11b)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소켓(411, 421)은 2개의 전지 블록(10B)을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하기 위한 전극 단자이다. 예를 들어, 소켓(411)이 정극 단자이며, 소켓(421)이 부극 단자이다. 소켓(431)은 프린트 배선 기판(40)에 설치된 충방전 제어 회로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전압, 전류 및 온도 등의 측정값에 관한 정보 신호 등을 전기 기기 본체와의 사이에서 교환하기 위한 신호 단자이다.
소켓(411)은 그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자(413)를 갖고 있다. 또한, 소켓(421)은 그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자(423)를 갖고 있다. 단자(413, 423)는 예를 들어 판 형상을 갖고 있다.
소켓(431)은 대향하는 벽면(432Sa, 432Sb)을 갖고 있다. 벽면(432Sa, 432Sb)에는 각각, 소켓(431)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홈(433)이 설치되어 있다. 각 홈(433)에는 접속 단자(434)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 커넥터)
중계 커넥터(30)는 연결된 2개의 전지 블록(10B)을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한다. 중계 커넥터(30)는 연결 스페이서(20)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전지 블록을 고정한다. 예를 들어, 연결된 2개의 전지 블록(10B)간의 회전에 의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커넥터(11a, 11b)에 대한 중계 커넥터(30)의 감합 방향은, 복수의 전지 블록(10B)의 연결 방향, 즉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또는 거의 수직인 방향이다. 이러한 감합 방향에 의해, 전지 팩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중계 커넥터(30)가 커넥터(11a, 11b)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지 팩의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 커넥터(30)는, 기체(31)와, 기체(31) 위에 설치된 중계 커넥터 요소(32a, 32b)를 갖는다. 중계 커넥터 요소(32a, 32b)는 각각, 2개의 전지 블록(10B)간의 연결부에 있어서 대향하는 커넥터(11a, 11b)에 감합된다. 중계 커넥터 요소(32a)는 중계 커넥터 요소(32b)와 마찬가지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중계 커넥터 요소(32b)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중계 커넥터 요소(32a)는, 접속 단자로서의 플러그(311, 321, 331)를 구비한다. 플러그(331)는 플러그(311, 32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계 커넥터 요소(32a)에는 나사(51a)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341)이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311, 321)는 2개의 전지 블록(10B)을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하기 위한 전극 단자이다. 예를 들어, 플러그(311)는 정극 단자이며, 플러그(321)는 부극 단자이다. 플러그(331)는 제어 신호나 정보 신호 등을 전기 기기 본체 사이에서 주고 받기 위한 신호 단자이다.
플러그(311)는 구멍부(312)와, 이 구멍부(312) 내에 설치된 단자(313)를 구비한다. 또한, 플러그(321)는 구멍부(322)와, 이 구멍부(322) 내에 설치된 단자(323)를 구비한다. 단자(313)는, 예를 들어 소켓(411)의 단자(413)를 협지하는 판스프링 형상의 단자이다. 단자(323)는, 예를 들어 소켓(421)의 단자(423)를 협지하는 판스프링 형상의 단자이다.
플러그(331)는 한 쌍의 벽면(332Sa, 332Sb)을 갖고 있다. 벽면(332Sa, 332Sb)에는 각각, 플러그(33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홈(333)이 설치되어 있다. 각 홈(333)에는, 당해 홈(33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접속 단자(334)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31)의 중앙에는 홈(31G)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커넥터(11a, 11b)에 대하여 중계 커넥터(30)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홈(31G)은 연결 스페이서(20)의 절결부(24)에 감합되어 있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커넥터(11a, 11b)에 대하여 중계 커넥터(30)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311, 321)가 각각 소켓(411, 421)에 감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311)의 단자(313)가 소켓(411)의 단자(413)를 협지하여, 플러그(321)의 단자(323)가 소켓(421)의 단자(423)를 협지한다.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커넥터(11a, 11b)에 대하여 중계 커넥터(30)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331)가 소켓(431)에 감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벽면(332Sa)의 복수의 단자(334)가, 소켓(431)의 벽면(432Sa)의 단자(434)와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벽면(332Sb)의 복수의 단자(334)가, 소켓(431)의 벽면(432Sb)의 단자(434)와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플러그(331)와 소켓(431)은, 벽면(332Sa, 432Sa)과 벽면(332Sb, 432Sb)의 양쪽에서 전기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벽면(332Sa)의 복수의 단자(334)는 각각, 벽면(332Sb)의 복수의 단자(3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벽면(432Sa)이 갖는 복수의 단자(434)는 각각, 벽면(432Sb)이 갖는 복수의 단자(4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벽면(332Sa, 432Sa) 사이와 벽면(332Sb, 432Sb)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서 전기적 접속이 되어 있으면, 전지 팩은 통상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우수한 내진성을 얻을 수 있다.
[1.2 전지 팩의 연결 방법]
이하, 도 12의 A 내지 도 13의 B를 참조하여,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팩의 연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연결하는 2개의 전지 블록(10B) 중 한쪽의 전지 블록(10B)의 단부면(10Sb)에 대하여, 미리 연결 스페이서(20)가 회전 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먼저,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b)과, 연결하는 전지 블록(10B)의 단부면(10Sa)을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b)에 대하여 전지 블록(10B)의 단부면(10Sa)을 접근시킨다. 이때, 연결하는 전지 블록(10B)의 최종적인 회전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약 25도)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접근 동작을 행하도록 한다.
이어서,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b)의 볼록부(22)에 대하여 전지 블록(10B)의 단부면(10Sa)의 볼록부(12)를 감합하면서,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b)의 주연 중 갈고리부(2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스 부분에, 전지 블록(10B)의 단부면(10Sa)의 갈고리부(13)를 밀어붙인다.
이어서,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b)의 주연에 전지 블록(10B)의 단부면(10Sa)의 갈고리부(13)를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결 스페이서(20)에 대하여 전지 블록(10B)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b)의 갈고리부(23)에 대하여 전지 블록(10B)의 단부면(10Sa)의 갈고리부(13)가 감합된다. 또한, 전지 블록(10B)간에 있어서 커넥터(11a, 11b)가 대향 배치된다.
이어서,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블록(10B)간에 있어서 대향하는 커넥터(11a, 11b)에 대하여 중계 커넥터(30)를 감합한다. 또한, 중계 커넥터(30)의 감합의 방향은, 전지 블록(10B, 10B)의 연결 방향에 수직인 방향 또는 거의 수직인 방향이다. 이어서, 중계 커넥터(30)의 일단부를 나사(51a)로 커넥터(11a)에 대하여 고정함과 함께, 중계 커넥터(30)의 타단부를 나사(51b)로 커넥터(11b)에 대하여 고정한다. 이상에 의해, 2개의 전지 블록(10B)이 연결된 전지 팩이 얻어진다.
[1.3 효과]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팩에서는, 전지 블록(10B)은, 복수의 갈고리부(13)가 가상적인 원주 상에 설치된 단부면(10Sa, 10Sb)을 갖고 있다. 또한, 연결 스페이서(20)는, 복수의 갈고리부(13)가 가상적인 원주 상에 설치된 주면(21Sa, 21Sb)을 갖고 있다.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a 또는 21Sb)에 대하여 전지 블록(10B)을 회전 고정할 때에는, 단부면(10Sa 또는 10Sb)의 각 갈고리부(13)의 내측에, 주면(21Sa, 21Sb)의 각 갈고리부(23)가 회전 감합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지 블록(10B)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스페이서(20)의 주면(21Sa, 21Sb) 각각에 대하여 전지 블록(10B, 10B)이 회전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전지 블록(10B, 10B)의 연결부에서 커넥터(11a, 11b)가 대향 배치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중계 커넥터(30)를 커넥터(11a, 11b)에 감합하기만 하면, 전지 블록(10B, 10B)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팩을 구비하는 전기 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500)의 일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기 기기(500)는 전기 기기 본체(501)와, 전지 팩(502)을 구비한다. 전지 팩(502)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전지 블록(10B)과, 충방전 회로(50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충방전 회로가 각 전지 블록(10B)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직렬 및/또는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전지 블록(10B)은 충방전 회로(5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충방전 회로(503)는 정극 단자(531a) 및 부극 단자(531b)를 통해서 전기 기기 본체(50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 기기(500)는,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전지 팩(502)을 착탈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전기 기기(50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저에 의해 전지 팩(502)을 전기 기기(500)로부터 떼어낼 수 없도록, 전지 팩(502)이 전기 기기(500) 내에 내장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전기 기기(500)로서는, 예를 들어 전동 바이크, 전동 자전거,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 하이브리드카, 전동 공구 등의 파워툴을 들 수 있다. 전기 기기(500)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외의 전기 기기(500)로서는, 예를 들어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형 컴퓨터, 휴대 전화(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촬상 장치(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 오디오 기기, 게임 기기, 내비게이션 시스템, 전기 면도기, 냉장고, 에어컨, 텔레비전, 스테레오, 온수기, 전자레인지, 식기 세척기, 세탁기, 건조기, 조명 기기, 완구, 의료 기기, 로봇, 로드 컨디셔너, 신호기 등을 들 수 있다.
(전기 기기 본체)
전기 기기 본체(501)는 정극 단자(531a), 부극 단자(531b)를 통해서 전지 팩(502)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다. 전기 기기 본체(501)는 주어진 회전 등의 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전하고, 이 전력을 정극 단자(531a), 부극 단자(531b)를 통해서 전지 팩(502)에 공급하는 발전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전지 팩)
전지 팩(502)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팩이다. 충전 시에는 충방전 회로(503)는 전지 블록(10B)에 대한 충전을 제어한다. 한편, 방전 시(즉 전기 기기(500)의 사용 시)에는, 충방전 회로(503)는 전기 기기 본체(501)에 대한 방전을 제어한다.
이상,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기술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는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로 든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은 어디까지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이것과 다른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은, 본 기술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블록의 복수의 갈고리부가 외측을 향해서 굴곡된 형상(이하 「외측 갈고리 형상」이라고 한다)을 갖고, 연결 스페이서의 복수의 갈고리부가 내측을 향해서 굴곡된 형상(이하 「내측 갈고리 형상」이라고 한다)을 갖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기술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지 블록의 복수의 갈고리부가 내측 갈고리 형상을 갖고, 연결 스페이서의 복수의 갈고리부가 외측 갈고리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전지 블록과 연결 스페이서가 각각, 내측 갈고리 형상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갈고리부와, 외측 갈고리 형상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갈고리부의 양쪽을 갖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블록간의 접속에 본 기술을 적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기술은 전기 기기와 전지 팩 또는 전지 블록의 접속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전기 기기가, 연결 스페이서를 회전 고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갈고리부 및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팩을 구성하는 모든 전지 블록이, 커넥터(제1 커넥터)가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전지 팩의 양단부 또는 일단부에 위치하는 전지 블록은, 커넥터(제1 커넥터)가 일단부에만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전지 블록의 단부면 사이에 연결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이 연결 스페이서를 통해서 인접하는 전지 블록이 연결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기술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전지 블록 중 한쪽 전지 블록의 단부면에 연결 스페이서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이 일체적으로 설치된 연결 스페이서를 통해서 인접하는 전지 블록이 연결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전지 블록간에 연결 스페이서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전지 블록간을 회전 고정에 의해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전지 팩의 구성을 더욱 간략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지 팩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전지 블록(10B)의 한쪽의 단부면(10Sa)에는, 볼록부(22) 및 복수의 갈고리부(2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다른 쪽의 단부면(10Sb)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지 블록(10B)과 마찬가지로 볼록부(12) 및 복수의 갈고리부(13)(도 3의 A, 도 3의 B, 도 4의 A 내지 도 4의 C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복수의 갈고리부(23)는, 단부면(10Sa)의 주연에 배치된 예가 나타나 있지만, 복수의 갈고리부(23)의 배치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부면(10Sa)의 주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연결하는 2개의 전지 블록(10B) 중 한쪽이, 단부면(10Sa, 10Sb)의 양쪽에 볼록부(22) 및 복수의 갈고리부(23)를 구비하고, 다른 쪽이 단부면(10Sa, 10Sb)의 양쪽에 볼록부(12) 및 복수의 갈고리부(13)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500)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팩 대신에, 도 15에 도시한 변형예에 따른 전지 팩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팩 및 전지 블록이, 거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전지 팩 및 전지 블록의 형상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거의 직육면체 형상 또는 거의 다각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1)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가 대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블록은,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 고정되어 있는 전지 팩.
(2)
상기 전지 블록은, 제1 갈고리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는, 제2 갈고리부를 갖고,
상기 회전 고정은, 상기 제1 갈고리부와 상기 제2 갈고리부의 회전 감합인 (1)에 기재된 전지 팩.
(3)
상기 제2 커넥터의 감합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의 연결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또는 거의 수직인 방향인 (1) 또는 (2)에 기재된 전지 팩.
(4)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상기 전지 블록을 고정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5)
상기 제2 커넥터는, 기체와, 상기 기체 위에 설치된 2개의 커넥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커넥터 요소는 각각,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감합되어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6)
상기 전지 블록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지 블록과 상기 연결부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7)
상기 위치 결정부는, 링 형상 또는 부분 링 형상의 돌출부이고,
상기 전지 블록 및 상기 연결부의 상기 돌출부는, 감합되어 있는 (6)에 기재된 전지 팩.
(8)
상기 전지 블록은, 전지 블록 본체와, 상기 전지 블록 본체 위에 설치된 배선 기판과, 상기 배선 기판을 덮도록 상기 전지 블록 본체 위에 설치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하여 압박됨과 함께, 상기 배선 기판의 소정 영역을 둘러싸는 벽부와, 상기 벽부의 선단에 설치된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9)
상기 전지 블록은, 전지 블록 본체와, 상기 전지 블록 본체 위에 설치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위에 설치된 배선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하여 압박되는 둘레벽부를 구비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10)
전지 팩과,
상기 전지 팩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기 기기 본체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팩은,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가 대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블록은,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 고정되어 있는 전기 기기.
(11)
상기 전기 기기 본체는, 주어진 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전하고, 해당 전력을 상기 전지 팩에 공급하는 발전부를 구비하는 (10)에 기재된 전기 기기.
(12)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상기 전지 블록의 단부간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블록의 단부끼리는, 회전 고정되어 있는 전지 팩.
(13)
상기 전지 블록은, 일단부에 설치된 제1 갈고리부와 타단부에 설치된 제2 갈고리부를 갖고,
상기 회전 고정은, 상기 제1 갈고리부와 상기 제2 갈고리부의 회전 감합인 (12)에 기재된 전지 팩.
(14)
상기 제2 커넥터의 감합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의 연결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또는 거의 수직인 방향인 (12) 또는 (13)에 기재된 전지 팩.
(15)
상기 제2 커넥터는, 연결된 2개의 상기 전지 블록을 고정하는 (12)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16)
상기 제2 커넥터는, 기체와, 상기 기체 위에 설치된 2개의 커넥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커넥터 요소는 각각,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감합되어 있는 (1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17)
상기 전지 블록은, 상기 전지 블록간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12)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18)
상기 위치 결정부는, 링 형상 또는 부분 링 형상의 돌출부이고,
상기 전지 블록의 상기 돌출부끼리는, 감합되어 있는 (17)에 기재된 전지 팩.
(19)
상기 전지 블록은, 전지 블록 본체와, 상기 전지 블록 본체 위에 설치된 배선 기판과, 상기 배선 기판을 덮도록 상기 전지 블록 본체 위에 설치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하여 압박됨과 함께, 상기 배선 기판의 소정 영역을 둘러싸는 벽부와, 상기 벽부의 선단에 설치된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12)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20)
상기 전지 블록은, 전지 블록 본체와, 상기 전지 블록 본체 위에 설치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위에 설치된 배선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하여 압박되는 둘레벽부를 구비하는 (12)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21)
상기 전지 블록의 단부간에 설치된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지 블록의 단부끼리는,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서 회전 고정되어 있는 (12)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지 팩.
(22)
전지 팩과,
상기 전지 팩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기 기기 본체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팩은,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상기 전지 블록의 단부간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블록의 단부끼리는, 회전 고정되어 있는 전기 기기.
(23)
상기 전기 기기 본체는, 주어진 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전하고, 해당 전력을 상기 전지 팩에 공급하는 발전부를 구비하는 (21)에 기재된 전기 기기.
10B : 전지 블록
10Sa, 10Sb : 단부면
10CR : 커버
10MB : 전지 블록 본체
11a, 11b : 커넥터
12, 22 : 갈고리부
13, 23 : 볼록부
16 : 벽부
20 : 연결 스페이서
21Sa, 21Sb : 주면
30 : 중계 커넥터
32a, 32b : 커넥터 요소
40 : 프린트 배선 기판
41 : 트레이
41a : 둘레벽부
46 : 시일 부재
500 : 전기 기기
501 : 전기 기기 본체
502 : 전지 팩

Claims (13)

  1.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가 대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블록은,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소켓, 제2 소켓, 및 제3 소켓을 포함하고, 전극 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 소켓 각각에 구비되며, 신호 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 소켓 사이의 상기 제3 소켓에 구비되는 전지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블록은, 제1 갈고리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는, 제2 갈고리부를 갖고,
    상기 회전 고정은, 상기 제1 갈고리부와 상기 제2 갈고리부의 회전 감합인 전지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의 감합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의 연결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또는 거의 수직인 방향인 전지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상기 전지 블록을 고정하는 전지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기체와, 상기 기체 위에 설치된 2개의 커넥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커넥터 요소는 각각,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감합되어 있는 전지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블록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지 블록과 상기 연결부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전지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링 형상 또는 부분 링 형상의 돌출부이고,
    상기 전지 블록 및 상기 연결부의 상기 돌출부는, 감합되어 있는 전지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블록은, 전지 블록 본체와, 상기 전지 블록 본체 위에 설치된 배선 기판과, 상기 배선 기판을 덮도록 상기 전지 블록 본체 위에 설치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하여 압박됨과 함께, 상기 배선 기판의 소정 영역을 둘러싸는 벽부와, 상기 벽부의 선단에 설치된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전지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블록은, 전지 블록 본체와, 상기 전지 블록 본체 위에 설치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위에 설치된 배선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하여 압박되는 둘레벽부를 구비하는 전지 팩.
  10. 전지 팩과,
    상기 전지 팩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기 기기 본체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팩은,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가 대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블록은,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소켓, 제2 소켓, 및 제3 소켓을 포함하고, 전극 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 소켓 각각에 구비되며, 신호 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 소켓 사이의 상기 제3 소켓에 구비되는 전기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본체는, 주어진 동력에 의해 전력을 발전하고, 해당 전력을 상기 전지 팩에 공급하는 발전부를 구비하는 전기 기기.
  12.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상기 전지 블록의 단부간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블록의 단부끼리는, 회전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소켓, 제2 소켓, 및 제3 소켓을 포함하고, 전극 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 소켓 각각에 구비되며, 신호 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 소켓 사이의 상기 제3 소켓에 구비되는 전지 팩.
  13. 전지 팩과,
    상기 전지 팩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기 기기 본체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팩은,
    제1 커넥터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둘레면을 갖는 복수의 전지 블록과,
    상기 전지 블록의 단부간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감합되는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블록의 단부끼리는, 회전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소켓, 제2 소켓, 및 제3 소켓을 포함하고, 전극 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 소켓 각각에 구비되며, 신호 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 소켓 사이의 상기 제3 소켓에 구비되는 전기 기기.
KR1020177010271A 2014-12-04 2015-11-13 전지 팩 및 전기 기기 KR102084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6133A JP6358065B2 (ja) 2014-12-04 2014-12-04 電池パックおよび電気機器
JPJP-P-2014-246133 2014-12-04
PCT/JP2015/005680 WO2016088305A1 (ja) 2014-12-04 2015-11-13 電池パックおよび電気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472A KR20170086472A (ko) 2017-07-26
KR102084834B1 true KR102084834B1 (ko) 2020-03-04

Family

ID=5609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271A KR102084834B1 (ko) 2014-12-04 2015-11-13 전지 팩 및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62388B2 (ko)
EP (1) EP3229291B1 (ko)
JP (1) JP6358065B2 (ko)
KR (1) KR102084834B1 (ko)
CN (1) CN107148687B (ko)
WO (1) WO2016088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4771B2 (ja) * 2016-10-24 2020-12-0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102110543B1 (ko) 2017-03-22 2020-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USD871339S1 (en) * 2017-04-21 2019-12-31 Jetmax Lighting Industrial Co., Limited Battery case
USD872022S1 (en) * 2017-04-21 2020-01-07 Jetmax Lighting Industrial Co., Limited Battery case
KR102319537B1 (ko) * 2017-12-20 2021-10-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434896B1 (ko) * 2017-12-21 2022-08-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들의 직렬 연결을 위한 전지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1742424B (zh) * 2018-02-27 2022-09-1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池块、电池组装置、电力系统及电动车辆
JP6845833B2 (ja) * 2018-08-30 2021-03-24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電池ホルダおよび電池パック
CN114080717B (zh) * 2019-07-29 2023-09-26 松下新能源株式会社 电池组
US20220384894A1 (en) * 2019-10-31 2022-12-01 Koki Holdings Co., Ltd. Battery pack and electrical instrument
CN112838324B (zh) * 2019-11-22 2022-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电池模组、电池包及汽车
JP7078075B2 (ja) * 2020-08-06 2022-05-3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US20230318105A1 (en) * 2022-03-31 2023-10-0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9964A (en) 1996-03-19 1998-01-20 The Laitram Corporation Modular battery pack
JP2004178585A (ja) * 2002-11-27 2004-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携帯用モジュール式電子システム及び制御器モジュール及び器具モジュール
EP2343752A2 (en) 2009-12-24 2011-07-13 Sanyo Electric Co., Ltd. Cylindrical battery pack
EP2469622A1 (de) 2010-12-23 2012-06-27 Outils Wolf Schwenkbare Verbindung von Batterie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20025A (fr) 1958-10-28 1960-05-20 Wonder Piles Dispositif pour assembler et connecter deux piles de 4 volts 5
US3864172A (en) * 1973-05-17 1975-02-04 Rca Corp Battery connecting assembly
DE29824609U1 (de) * 1997-08-19 2001-11-22 Mattel Inc Faltbares, vielfach anordenbares Batteriepaket
US5853915A (en) 1997-08-19 1998-12-29 Mattel, Inc. Foldable multi-configuration battery pack
JP4052091B2 (ja) 2002-10-28 2008-02-27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機器
JP4761726B2 (ja) * 2004-04-30 2011-08-3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CN101714647B (zh) * 2008-10-08 2012-11-28 株式会社牧田 电动工具用蓄电池匣以及电动工具
US8344543B2 (en) * 2009-09-02 2013-01-01 Mphase Technologies, Inc. Modular device
JP5496746B2 (ja) * 2010-03-31 2014-05-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5490516B2 (ja) * 2009-12-24 2014-05-1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8828586B2 (en) * 2010-05-03 2014-09-0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and connection tab used for the same
US8435662B2 (en) * 2010-11-12 2013-05-07 Lg Chem, Ltd. Coupling socket for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coupling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312429B1 (ko) 2010-11-12 2013-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 전지의 연결용 소켓 및 연결 조립체
JP5832819B2 (ja) * 2011-08-18 2015-12-16 大和製罐株式会社 組電池
KR101283831B1 (ko) * 2011-09-14 2013-07-08 세방전지(주) 일체형 커넥터 커버가 구비된 전지탭 연결장치
US20140357094A1 (en) 2013-06-04 2014-12-04 Justin Chiwon Kim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CN203589117U (zh) * 2013-11-27 2014-05-07 浙江正电新能源有限公司 卡销连接式单体电池组
CN103904263B (zh) * 2014-04-02 2015-12-0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微小型水下机器人电池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9964A (en) 1996-03-19 1998-01-20 The Laitram Corporation Modular battery pack
JP2004178585A (ja) * 2002-11-27 2004-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携帯用モジュール式電子システム及び制御器モジュール及び器具モジュール
EP2343752A2 (en) 2009-12-24 2011-07-13 Sanyo Electric Co., Ltd. Cylindrical battery pack
EP2469622A1 (de) 2010-12-23 2012-06-27 Outils Wolf Schwenkbare Verbindung von Batter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58065B2 (ja) 2018-07-18
EP3229291A1 (en) 2017-10-11
EP3229291B1 (en) 2021-06-09
JP2016110790A (ja) 2016-06-20
WO2016088305A1 (ja) 2016-06-09
EP3229291A4 (en) 2018-08-01
US20170244073A1 (en) 2017-08-24
US11362388B2 (en) 2022-06-14
CN107148687A (zh) 2017-09-08
CN107148687B (zh) 2019-12-06
KR20170086472A (ko)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834B1 (ko) 전지 팩 및 전기 기기
EP2207222B1 (en) Battery pack
CN108352474B (zh) 电池组、电气设备及充电设备
TWM560129U (zh) 具快速充電功能的電池
JP2013179082A (ja) 複数の電池の極性保護
WO2013171813A1 (ja) バッテリパック
KR102028172B1 (ko) 배터리 팩
KR20140100085A (ko) 배터리팩
US2011014170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ack-up power supply
WO2020077618A1 (en) Battery packs containing configurable terminal holder
KR20160051434A (ko) Usb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JP4562458B2 (ja) パック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TWI842745B (zh) 包含可配置端子座的電池組
JP5102545B2 (ja) 電子機器
JP6372673B2 (ja) 電気機器
JP7053866B2 (ja) バッテリパック、及びそれを具備する電子機器
TWM620760U (zh) 磁吸充電電池模組
JP6191448B2 (ja) 電気機器
KR200284091Y1 (ko) 충전기
JP3143535U (ja) 携帯式電子製品の二次電池
JP2005347129A (ja) 充電器
US20100304613A1 (en) Battery unit and electronic system thereof
JP2006179282A (ja) 携帯用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