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765B1 - 라벨링 장치 - Google Patents

라벨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765B1
KR102083765B1 KR1020190120140A KR20190120140A KR102083765B1 KR 102083765 B1 KR102083765 B1 KR 102083765B1 KR 1020190120140 A KR1020190120140 A KR 1020190120140A KR 20190120140 A KR20190120140 A KR 20190120140A KR 102083765 B1 KR102083765 B1 KR 102083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sheet
attached
roll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춘
Original Assignee
유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춘 filed Critical 유재춘
Priority to KR102019012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65C9/1869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and being transferred directly from the backing strip onto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92Spools or cassettes f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65C9/30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H01M2/34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98Guarantee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5Labell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시트가 감겨있는 카트리지; 및 베이스에 설치되고, 베이스의 하측에서 시트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부착 대상물이 반송되고 있을 때, 시트에 부착되어 있던 라벨의 적어도 일부가 카트리지로부터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되면, 라벨을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고, 가압 롤러는 편심 회전하며 라벨을 가압함으로써 라벨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게 한다.

Description

라벨링 장치{LABELLING DEVICE}
본 발명은 라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극 집전체 상에 각각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양극과 음극을 구비하며, 각 전극은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가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한 후 건조하고 압연하여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전극을 제조할 때 집전체를 평면 형태로 반송하면서 그 상부에 슬러리를 도포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물질 또는 기포가 유입되면 활물질층이 오염되거나 핀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함을 사전에 검출하고 검출된 부분을 표시해두기 위해 라벨링 장치가 이용된다.
한편, 라벨링 장치는 상기한 용도 이외에도, 소비자에게 관련된 제품의 특성 및 사용법을 알려주기 위해 부착 대상물의 외벽면이나 부착 대상물의 상면에 제품의 명칭, 성분, 사용방법 등이 인쇄된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시트 형상의 라벨을 부착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며, 통상의 라벨은 제품 정보가 일측면에 연속적으로 인쇄된 후 일정 길이를 갖는 롤의 형태로 공급되고, 롤 형태로 감긴 라벨을 라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부착 대상물에 연속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라벨링 장치에 의하면 결함 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시트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기 어렵고, 라벨을 집전체와 같은 부착 대상물에 부착할 때 과도한 힘이 작용하여 라벨이나 부착 대상물이 휘어져 라벨이 깔끔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라벨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속도로 라벨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부착 대상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라벨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라벨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라벨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예에서, 라벨링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시트가 감겨있는 카트리지; 및 베이스에 설치되고, 베이스의 하측에서 시트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부착 대상물이 반송되고 있을 때, 시트에 부착되어 있던 라벨의 적어도 일부가 카트리지로부터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되면, 라벨을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고, 가압 롤러는 편심 회전하며 라벨을 가압함으로써 라벨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게 한다.
다른 예에서, 가압 롤러는, 편심 회전 중 라벨을 향해 편향되었을 때에는 라벨을 가압하고, 라벨의 반대 방향을 향해 편향되었을 때에는 라벨을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카트리지는, 개구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고, 부착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접하는 모서리를 갖는 경사 블록을 구비하고, 시트는 경사 블록의 모서리를 지나도록 감겨 돌아감으로써, 시트가 모서리를 지날 때 라벨이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되고, 가압 롤러는, 반송 롤러를 향해 편심 회전함으로써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된 라벨을 가압하여 라벨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베이스에서 설치되고, 라벨이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센서; 및 베이스에 설치되고, 부착 대상물에 라벨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검사 센서는, 색상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라벨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베이스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플레이트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척부재를 구비하고, 카트리지는, 척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척부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내주면 형상을 갖고 시트가 감겨있는 시트 롤러를 구비하며, 카트리지가 베이스에 결합될 때, 시트 롤러가 척부재에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시트 롤러는, 시트에서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권출되는 권출 롤러와, 시트에서 라벨이 제거된 부분이 권취되는 권취 롤러를 포함하고, 척부재는, 권출 롤러가 삽입되는 권출 척부재와, 권취 롤러가 삽입되는 권취 척부재를 포함하며, 권출 척부재와 권취 척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시트가 권출 롤러와 권취 롤러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척부재의 외주면은 정육각형에서 각 꼭지점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카트리지는 자력에 의해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라벨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라벨은 복수 개가 시트에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고, 제어부는, 가압 롤러를 복수 개의 라벨의 간격에 대응되는 일정 속도로 회전시켜 라벨이 일정 간격으로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장치는, 일정한 속도로 라벨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부착 대상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라벨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라벨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라벨링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는, 베이스(110), 카트리지(130) 및 가압 롤러(18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의 하측에는 부착 대상물(미도시)이 반송 롤러(10)에 의해 반송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10)는 플레이트(111)와 척부재(112, 113)를 구비한다. 플레이트(11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라벨링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그 형태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척부재(112, 113)는 플레이트(111)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플레이트(111)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척부재(112, 113)에는 후술하는 시트 롤러(132, 133)가 결합되어, 척부재(112, 113)가 회전함에 따라 시트가 시트 롤러(132, 133)로부터 권출되거나 권취되면서 감겨 돌아간다.
도 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130)는 본체(131), 시트(20)가 감겨있는 시트 롤러(132, 133), 가이드 부재(135) 및 경사 블록(137)을 구비한다. 카트리지(130)는 조립된 형태로 베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130)의 본체(131)는 베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본체(131)와 베이스(110)는 자성을 가지고 본체(131)는 자력에 의해 베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130)와 베이스(110) 사이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카트리지(130)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체(131)에는 척부재(112, 113)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31)가 베이스(110)에 결합될 때 척부재(112, 113)가 관통공을 관통한다. 또한, 본체(131)가 베이스(110)에 결합될 때 시트 롤러(132, 133)가 척부재(112, 113)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 롤러(132, 133)는 권출 롤러(132)와 권취 롤러(133)를 포함하고, 척부재(112, 113)는 권출 척부재(112)와 권취 척부재(113)를 포함한다. 권출 롤러(132)는 시트(20)에서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감겨 있다가 권출되는 롤러이고, 권취 롤러(133)는 시트(20)에서 라벨이 제거된 부분이 권취되는 롤러이다. 권출 척부재(112)는 권출 롤러(132)가 삽입되는 척부재이고, 권취 척부재(113)는 권취 롤러(133)가 삽입되는 척부재이다. 즉, 권출 척부재(112)와 권취 척부재(113)가 회전됨으로써, 권출 롤러(132)로부터 시트(20)의 라벨이 부착되어 있던 부분이 권출되고, 시트(20)가 감겨 돌아가면서 시트(20)의 라벨이 제거된 부분이 권취 롤러(133)에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시트 롤러(132, 133)는 척부재(112, 113)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내주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척부재(112, 113)의 외주면은, 정육각형 형상에서, 정육각형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시트 롤러(132, 133)의 내주면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시트 롤러(132, 133)가 척부재(112, 113)에 결합될 때 시트 롤러(132, 133)의 내주면과 척부재(112, 113)의 외주면이 맞물려 결합되며, 이에 따라 척부재(112, 113)의 회전 운동이 시트 롤러(132, 133)의 회전 운동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척부재(112, 113)의 회전 운동이 시트 롤러(132, 133)의 회전 운동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제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35)가 시트(20)에 장력을 제공하면서 시트(20)가 감겨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하고 있어, 시트(20)가 더욱 안정적으로 감겨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체(131)에는 감겨 돌아가는 시트(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개구(13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 블록(137)은 개구(131a)를 통과하여 본체(13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131)에 설치된다. 경사 블록(137)은 부착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롤러(10)와 접하는 모서리(137a)를 가진다(도 1 참조).
도 3을 참조하면, 권출 롤러(132)로부터 권출된 시트(20)가 가이드 부재(135)를 지나 경사 블록(137)의 모서리(137a)를 지나도록 감겨 돌아간다. 시트(20)가 경사 블록(137)의 상측을 지날 때에는, 시트(20)에서 경사 블록(137)의 반대측을 바라보는 면에 라벨(25)이 부착되어 있다가, 시트(20)가 모서리(137a)를 지날 때 라벨의 적어도 일부가 시트(2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즉, 시트(20)가 경사 블록(137)의 모서리(137a)를 지나가면, 시트(20)는 경사 블록(137)을 따라 경사 블록(137)의 하측으로 감겨 돌아가고, 이때 라벨(25)은 시트(20)에서 탈착되어 카트리지로부터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된다. 경사 블록(137)은 시트(20)가 안정적으로 감겨 돌아가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라벨이 시트(20)로부터 탈착되어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카트리지(130)의 내부에는 시트(20)가 감겨 돌아가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트(20)에는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기 위한 라벨(25)이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라벨(25)을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기 위해서 가압 롤러(180)가 베이스(110)에 설치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라벨(25)의 일부가 카트리지(130)로부터 반송 롤러(10)의 상측으로 토출 되었을 때, 가압 롤러(180)는 반송 롤러(10)를 가압함으로써 반송 롤러(10)와 가압 롤러(180) 사이로 토출된 라벨(25)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110)의 하측에서 시트(2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부착 대상물이 반송되고 있을 때, 가압 롤러(180)가 라벨(25)을 가압함으로써 라벨(25)이 시트(20)로부터 탈착되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원형의 가압 롤러(180)는 편심 회전하며 라벨(25)을 가압한다. 즉, 가압 롤러(180)가 편심 회전 중 반송 롤러(10)를 향해 편향되었을 때에는 라벨(25)을 가압하여 라벨(25)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게 하고, 가압 롤러(180)가 반송 롤러(10)의 반대 방향을 향해 편향되었을 때에는 라벨(25)을 가압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 롤러(180)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 가압 롤러(18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라벨(25)을 부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20)가 감겨 돌아가다가 라벨(25)의 적어도 일부가 경사 블록(137)의 모서리(137a)에서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되면, 가압 롤러(180)가 반송 롤러(10)를 가압함으로써 부착 대상물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라벨(25)을 부착 대상물을 향해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라벨(25)이 시트(20)부로부터 탈착되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될 수 있다.
가압 롤러(180)가 편심 회전하면서 라벨(25)을 부착하기 때문에, 가압 롤러(180)는 라벨(25)이 부착되는 순간에만 부착 대상물 및 라벨(25)에 힘을 인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도한 힘이 작용하여 부착 대상물이나 라벨(25)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25)이 부착 대상물로부터 이격되는 부분 없이 밀착하여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장치는 베이스(110)에 설치된 위치 센서(150)와 검사 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150)는 대략 경사 블록(137) 부근을 촬영하여 라벨(25)이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 즉, 라벨(25)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검사 센서(170)는 부착 대상물에 라벨(25)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검사 센서(170)는 색상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라벨(25)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사 센서(170)는 예를 들어 레이저를 통해 색상을 판독함으로써 라벨(25)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에 따라 종래의 라벨링 장치에 사용되던 센서에 비해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라벨링 장치의 작동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는, 척부재(112, 113) 및 가압 롤러(18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와, 모터를 서보 제어하는 등 라벨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카트리지(130)에 충분한 시트(20)가 남아있는지 확인한 후, 시트(20)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존의 카트리지(130)를 베이스(110)로부터 탈착하고, 새로운 카트리지(130)를 베이스(110)에 부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30)와 베이스(110)는 자력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130)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카트리지(130)가 결합되면, 제어부는 권출 척부재(112) 및 권취 척부재(11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제어하여 시트(20)가 권출 롤러(132)로부터 권취 롤러(133)를 향해 감겨 돌아가게 한다. 이때, 시트(20)에는 복수 개의 라벨(25)이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시트(20)가 등속도로 감겨 돌아가는 경우 라벨(25) 역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카트리지(130)로부터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20)가 감겨 돌아가다 보면 라벨(25)이 경사 블록(137)의 모서리(137a)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위치 센서(150)는 라벨(25)이 부착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 판단한다. 제어부는 위치 센서(150)가 라벨(25)의 위치에 대해 판단하고 있을 때, 시트(20)가 돌아가지 않도록 축부재(112, 113)를 제어할 수도 있다. 위치 센서(150)가 라벨(25)이 부착 가능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척부재(112, 113)를 회전시켜 라벨(25)이 시트(20)에서 탈착되어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압 롤러(180)가 편심 회전하도록 가압 롤러(18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벨(25)이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되었을 때 가압 롤러(180)가 라벨(25)을 반송 롤러(10)를 향해 가압하여 라벨(25)이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센서(150)가 라벨(25)이 부적절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척부재(112, 113) 및 가압 롤러(180)의 회전을 중지하고, 오류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오류의 발생을 안내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광원이나 소리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 센서(170)가 부착 대상물을 촬영하여 색상을 감지함으로써, 라벨(25)이 부착 대상물에 정확히 부착되었는지 판단한다. 검사 센서(170)가 라벨(25)이 부정확하게 부착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척부재(112, 113) 및 가압 롤러(180)의 회전을 중지하고, 사용자에게 오류가 발생했음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라벨(25)이 제거된 시트(20)는 권취 롤러(133)에 권취되고, 라벨(25)의 부착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척부재(112, 113) 및 가압 롤러(180)의 회전을 정지시켜 라벨링 장치의 라벨링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반송 롤러
20: 시트
25: 라벨
110: 베이스
111: 플레이트
112: 권출 척부재
113: 권취 척부재
130: 카트리지
131: 본체
132: 권출 롤러
133: 권취 롤러
135: 가이드 부재
137: 경사 블록
150: 위치 센서
170: 검사 센서
180: 가압 롤러

Claims (1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시트가 감겨있는 카트리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서 상기 시트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부착 대상물이 반송되고 있을 때, 상기 시트에 부착되어 있던 라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되면, 상기 라벨을 가압하는 원형의 가압 롤러;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라벨이 상기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센서; 및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 대상물에 상기 라벨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롤러는 모터에 의해 편심 회전하며 상기 라벨을 향해 편향되었을 때에는 상기 라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라벨이 상기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게 하고, 상기 라벨의 반대 방향을 향해 편향되었을 때에는 상기 라벨을 가압하지 않으며,
    상기 검사 센서는, 색상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라벨이 상기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라벨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접하는 모서리를 갖는 경사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경사 블록의 상기 모서리를 지나도록 감겨 돌아감으로써, 상기 시트가 상기 모서리를 지날 때 상기 라벨이 상기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되고,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반송 롤러를 향해 편심 회전함으로써 상기 부착 대상물의 상측으로 토출된 상기 라벨을 가압하여 상기 라벨이 상기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게 하는, 라벨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척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척부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내주면 형상을 갖고 상기 시트가 감겨있는 시트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시트 롤러가 상기 척부재에 삽입되는, 라벨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롤러는, 상기 시트에서 상기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권출되는 권출 롤러와, 상기 시트에서 상기 라벨이 제거된 부분이 권취되는 권취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척부재는, 상기 권출 롤러가 삽입되는 권출 척부재와, 상기 권취 롤러가 삽입되는 권취 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권출 척부재와 상기 권취 척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시트가 상기 권출 롤러와 상기 권취 롤러 사이에서 이동하는, 라벨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척부재의 외주면은 정육각형에서 각 꼭지점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 라벨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라벨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벨은 복수 개가 상기 시트에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 롤러를 복수 개의 상기 라벨의 간격에 대응되는 일정 속도로 회전시켜 상기 라벨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게 하는, 라벨링 장치.
KR1020190120140A 2019-09-27 2019-09-27 라벨링 장치 KR102083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140A KR102083765B1 (ko) 2019-09-27 2019-09-27 라벨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140A KR102083765B1 (ko) 2019-09-27 2019-09-27 라벨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765B1 true KR102083765B1 (ko) 2020-03-02

Family

ID=6980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140A KR102083765B1 (ko) 2019-09-27 2019-09-27 라벨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7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9930A (zh) * 2022-06-10 2022-08-12 广州弘五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防伪不干胶标签的贴合装置
DE102022125422A1 (de) 2022-09-30 2024-04-04 Tesa Se Applikationsvorrichtung mit Nachfüllkassett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376Y2 (ja) * 1990-02-13 1997-02-19 ニチバン株式会社 テープホルダー
JPH10101046A (ja) * 1996-09-26 1998-04-21 Osaka Sealing Insatsu Kk ラベル貼着装置
JP3076908U (ja) * 2000-10-11 2001-04-27 火▲と▼ 林 ラベル印刷機の貼合装置
JP2009179386A (ja) * 2008-01-31 2009-08-13 Sato Knowledge & Intellectual Property Institute ラベル貼付装置
JP2012136243A (ja) * 2010-12-27 2012-07-19 Nidec Sankyo Corp ラベル貼付装置
KR20180098029A (ko) * 2017-02-24 2018-09-03 (주)명성에이앤티(A&T) 보안 스티커 카트리지
KR20190088623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디월드 라벨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376Y2 (ja) * 1990-02-13 1997-02-19 ニチバン株式会社 テープホルダー
JPH10101046A (ja) * 1996-09-26 1998-04-21 Osaka Sealing Insatsu Kk ラベル貼着装置
JP3076908U (ja) * 2000-10-11 2001-04-27 火▲と▼ 林 ラベル印刷機の貼合装置
JP2009179386A (ja) * 2008-01-31 2009-08-13 Sato Knowledge & Intellectual Property Institute ラベル貼付装置
JP2012136243A (ja) * 2010-12-27 2012-07-19 Nidec Sankyo Corp ラベル貼付装置
KR20180098029A (ko) * 2017-02-24 2018-09-03 (주)명성에이앤티(A&T) 보안 스티커 카트리지
KR20190088623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디월드 라벨부착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76908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9930A (zh) * 2022-06-10 2022-08-12 广州弘五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防伪不干胶标签的贴合装置
CN114889930B (zh) * 2022-06-10 2024-02-13 广州美祺智能印刷有限公司 一种防伪不干胶标签的贴合装置
DE102022125422A1 (de) 2022-09-30 2024-04-04 Tesa Se Applikationsvorrichtung mit Nachfüllkasset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765B1 (ko) 라벨링 장치
KR101660097B1 (ko) 라벨부착장치
US5714028A (en) Labeling method and labeling apparatus
RU2664384C2 (ru) Ленточный картридж
EP1803575B1 (en) Print tape and print cassette
JP5672067B2 (ja) 可逆性感熱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可逆性感熱記録媒体
CN102190167B (zh) 分离装置、定影装置、介质运送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KR20160035018A (ko) 탄성체 롤러
KR20150046284A (ko) 탄성체 롤러
US9114949B2 (en) Monitoring a media roll mounted in a printing apparatus
WO1988006101A1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sheet and production thereof
US20010011397A1 (en) Apparatus for cleaning photo film
JP2015071476A (ja) プリンタ装置
JP2011173688A (ja) 搬送装置、記録装置及び搬送方法
JPH07172683A (ja) ロール巻き記録媒体残量検出装置
KR100318642B1 (ko) 인쇄용카트리지
JP2008194916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記録装置
KR101712404B1 (ko) 재접착식 메모지용 프린터
JP2016028902A (ja) 印刷媒体
CN210235575U (zh) 电子标签在线检测及标记系统
JP2848028B2 (ja) ウエブの補修方法及び補修装置
JP2837929B2 (ja) 原紙の補修装置
EP2771192B1 (en) Leader devices usable with roll media and image forming system having output member
US5735616A (en) Printing mechanism with means for preventing contact between ink ribbon and drive IC of thermal head
JP4924070B2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