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610B1 - 레일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610B1
KR102083610B1 KR1020180078860A KR20180078860A KR102083610B1 KR 102083610 B1 KR102083610 B1 KR 102083610B1 KR 1020180078860 A KR1020180078860 A KR 1020180078860A KR 20180078860 A KR20180078860 A KR 20180078860A KR 102083610 B1 KR102083610 B1 KR 10208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door part
cei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304A (ko
Inventor
이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6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2Devices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vel or for transferring from one runway to another; Crossings; Combinations of tracks of different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4Devices for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66C2700/015Arrangements which are easily displaceable or dismou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구획된 공간으로 인해 이격 배치된 레일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레일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레일 연결 장치는,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천장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를 향하여 회동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한 쌍이 천장에 일직선으로 이격 배치되어, 중량물을 이송하는 트롤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와, 상기 도어부가 회동하여 천장과 접하는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레일부와 일직선상에 배치 가능한 보조레일부와,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를 회동시켜 개폐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 연결 장치{Rail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레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획된 공간으로 인해 이격 배치된 레일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레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중량이 큰 각종 장비 등과 같은 중량물을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운반작업(Material handling)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량물을 운반시키기 위해서 천장에 레일 등을 설치하고, 레일에 중량물을 이송할 수 있는 트롤리 호이스트 등을 연결하여 각종 장비들을 운반하여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격실 구조로 이루어진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특성상 일정 공간(room)이 벽(wall) 또는 문(door)으로 구획됨에 따라, 구획된 공간으로부터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중량물을 바닥에 내려놓고 구획된 공간으로부터 이동시킨 후에 다시 레일에 연결하여 이동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해, 각종 장비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레일 장치는 구획된 공간에서 중량물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고, 이동이 중단되어야만 하였으며, 중량물을 바닥에 내려놓은 후 구획된 공간을 거쳐 레일에 다시 연결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운반작업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거나 불필요하게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벽 또는 문 등으로 구획된 공간으로 인해 중량물을 내려놓고 이동하는 등 구획된 공간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연속적으로 중량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1236호, (2016.04.1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획된 공간으로 인해 이격 배치된 레일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레일 연결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레일 연결 장치는,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천장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를 향하여 회동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한 쌍이 천장에 일직선으로 이격 배치되어, 중량물을 이송하는 트롤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와, 상기 도어부가 회동하여 천장과 접하는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레일부와 일직선상에 배치 가능한 보조레일부와,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를 회동시켜 개폐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의 일측면에 고정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가 회동 후 한 쌍의 상기 레일부와 일직선상에 일치하도록 회동하여 한 쌍의 상기 레일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권취릴과, 상기 권취릴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끝단부가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릴에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상기 도어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삽입 배치되거나 적어도 일측면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과 일직선을 이루는 천장 또는 바닥에 만입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도어부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의 회동반경 외측의 바닥 또는 천장에 고정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 연결 장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장비 등과 같은 중량물을 이동 시에, 벽 또는 문 등으로 구획된 공간에서 중량물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별도의 장치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레일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중량물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벽 또는 문 등의 구조를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변형한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이격된 레일 사이를 일직성 상으로 보다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매개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연결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운반작업 등을 매우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작업이 종료한 후에는 필요에 따라 공간을 원래대로 구획하여 의도된 대로 활용하도록 하는 등 여러 가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일 연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일 연결 장치의 도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레일 연결 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도어부'는 구획된 공간에서 벽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어 개방 가능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어부라 함은 일종의 문(門, door)를 지칭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측에 레일이 설치되고 벽의 일부가 개방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 상에서 도어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벽체 중 일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일종의 문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상에서 도어부의 '전면'은 레일이 설치되는 면을 의미하고, '후면'은 전면과 대향되는 면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면'과 '하면'은 도어부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이루는 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부'는 천장에, '하부'는 바닥면에 각각 접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은 구성요소의 배치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대적인 위치를 구분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구성이 이러한 지시어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 연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레일 연결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레일 연결 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레일 연결 장치(1)는 각종 장비나 중량물 등을 운반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해 천장(C)에 이격 배치된 레일부(20)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레일 연결 장치(1)는 특히 격실 구조로 이루어진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등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그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으며 구획된 구조로 레일간 연결 및 분리 등이 필요한 또 다른 여러 설비나 구조물, 건물 등에도 본 발명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등에 적용된 예를 위주로 설명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레일 연결 장치(1)는 일정 구역이 구획된 공간에서 도어부(10)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 레일부(20)를 손쉽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이격된 레일부(20) 사이에 배치된 도어부(10)에 보조레일부(30)가 설치되고, 도어부(10)가 상부를 향하여 개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구획된 공간으로 인해 분리된 레일부(20)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특히, 도어부(10)는 일측 면에 보조레일부(30)를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 도어부(10)의 개방 시 인접한 레일부(20)와 충돌하지 않으며, 개방 후에는 인접한 레일부(20)와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레일 연결 장치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일 연결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레일 연결 장치의 도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 연결 장치(1)는 바닥면(G)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천장(C)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를 향하여 회동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부(10)와, 상기 도어부(10)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한 쌍이 천장(C)에 일직선으로 이격 배치되어, 중량물(W)을 이송하는 트롤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20)와, 상기 도어부(10)가 회동하여 천장(C)과 접하는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10)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레일부(20)와 일직선상에 배치 가능한 보조레일부(30)와, 상기 도어부(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10)를 회동시켜 개폐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한다.
레일부(20)는 중량물(W)을 이동시키는 트롤리 호이스트(T)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레일부(20)는 가늘고 긴 강철재로 이루어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부(20)는 H빔, I빔 등의 빔(beam)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거나, 중량물(W)을 이동시키는 트롤리 호이스트(T)가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20)는 도어부(10)에 의해 설치 공간이 구획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된 공간으로 인해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레일부(20)는 도어부(10)에 의해 분리 형성되더라도 천장(C)에 서로 일직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레일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10)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더라도, 서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열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어부(10)는 이와 같이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레일부(20) 사이를 구획하는 벽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도어부(10)는 예를 들어, 한 쌍의 레일부(20) 사이에 배치되어 일정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도어부(10)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자체가 문으로 형성된 것이거나, 벽체의 일부를 개조하여 가동 가능하게 형성할 것일 수 있다. 도어부(10)는 한 쌍의 레일부(20) 사이에서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일정 공간을 구획하거나, 보조레일부(30)와 결합되어 이격된 레일부(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어부(10)는 서로 이격된 레일부(20)의 쌍 사이에서 배치를 바꿀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레일부(20)의 사이를 구획하거나, 보조레일부(30)와 함께 레일부(20)의 쌍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부(10)는 이격된 레일부(2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레일부(20)의 길이방향의 단부와 인접한 벽체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의 도어부(10)는 레일부(20)의 길이방향 단부에 인접한 벽체의 전체를 이루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레일부(20)의 단부와 인접한 벽체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부(10)는 바닥으로부터 천장(C)까지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부가 천장(C)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부(10)는 상부와 하부가 천장(C)과 바닥면(G)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형성된 힌지부(11)에 의해 천장(C)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를 향하여 회동할 수 있다. 도어부(10)는 상부가 힌지부(11)와 결합되어 천장(C)을 향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후면 측에 형성된 구동부(40)에 의해 회동하여 개폐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도어부(10)를 회동시켜 개폐하기 위한 구동장치로, 일종의 윈치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권취릴(41)과 권취릴(41)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와이어(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와이어(42)의 끝단부가 도어부(10)의 후면 하단에 형성된 결합부(12)에 고정되어, 와이어(42)과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도어부(10)를 개폐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도어부(10)의 개방 시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을 유지하여 수평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어부(10)는 전면에 회전판(50)과 보조레일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도어부(10)는 일측면에 고정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판(50)을 포함하며, 보조레일부(30)는 회전판(50)에 고정되어 회전판(5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판(50)이 배치되는 도어부(10)의 일측면은 상기한 도어부(10)의 전면일 수 있다. 보조레일부(3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레일부(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부(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레일부(30)는 도어부(10)가 회동하여 천장(C)과 접하는 면(후면)과 대향되는 면에 설치되며, 도어부(10)와 함께 상방으로 회동하여 레일부(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레일부(30)는 도어부(10) 내에 사선으로 배치되어 도어부(10)의 상하 회동 시 인접한 레일부(20)와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레일부(30)는 회전판(50)에 의해 도어부(10) 상에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여, 도어부(10)가 회동 후 도어부(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회전하여 인접한 레일부(20)와 이격된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어부(10)는 전면에 회전판(50)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판(50)은 도어부(10)의 전면에 고정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축(51)에 의해 회전 가능한 일종의 턴테이블(Turn table)을 의미한다. 회전판(50)은 원형판으로 형성되어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구조물로, 도어부(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배치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판(50)은 적어도 일부가 도어부(10)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거나, 도어부(1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등 회전축(51)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판(50)은 도어부(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회전축(51)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회전축(51)에는 한 쌍의 기어부(52)가 맞물리도록 결합되고, 기어부(52)는 모터(M)에 연결되어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기어부(52)는 도어부(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기어부(52)를 구동하는 모터(M)는 도어부(10)의 후면에 배치되어 회전판(50)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보조레일부(30)는 회전판(50)에 연결되어 회전판(50)의 회전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보조레일부(30)는 회전판(50)에 고정되어 회전판(50)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도어부(1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동(상하방향의 회동)한 후에 한 쌍의 레일부(20)와 일직선 상에 일치하도록 회동(도어부 상에서의 회동)하여 한 쌍의 레일부(30)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어부(10)의 하부에는 고정유닛(60)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유닛(60)은 도어부(10)의 하부에 삽입 배치되거나 적어도 일측면(예, 전면, 후면 등)에 고정 배치되어 도어부(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고정유닛(60)은 도어부(10)를 바닥면(G) 또는 천장(C)에 완전하게 고정시키기 고정장치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부(10)의 하부에 삽입 배치된 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고정유닛(60)은 도어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모터(M)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고정유닛(60)은 도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바닥면(G) 또는 천장(C)에 만입 형성된 삽입홈(61)에 삽입되어 도어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유닛(60)은 볼스크류 또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도어부(10)의 하부에 삽입 배치되고, 모터(M)의 구동에 의해 도어부(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홈(61)에 삽입 고정되어 도어부(10)를 특정 위치에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유닛(60)은 도 3에서와 같이, 도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바닥면(G) 또는 천장(C)에 삽입되어 도어부(10)의 위치를 완전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바닥면(G)과 천장(C)에는 완충부재(70)가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70)는 바닥면(G) 또는 천장(C)을 향하여 회동한 도어부(10)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부(10)의 회동반경 외측의 바닥면(G) 또는 천장(C)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완충부재(7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바닥면(G) 또는 천장(C)에 정지된 상태의 도어부(10)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도어부(10)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다. 완충부재(70)는 도어부(10)가 회동반경 내에서 정해진 각도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일정 각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레일부(20) 또는 구동부(40)에 충격을 가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 연결 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레일 연결 장치(1)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 각각의 (a)는 레일 연결 장치 전체의 정면도에 해당하며, 각각의 (b)는 이를 바닥에서 천청(C)을 향해 올려다 본 도면에 해당한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도어부(10)가 구동부(40)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구동부(40)는 와이어(42)가 도어부(10)의 하부에 연결되고, 권취릴(41)이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42)가 권취릴(41)에 감기면서 도어부(10)가 개방될 수 있다. 도어부(10)는 회동하기 전에 보조레일부(30)가 일측면에 사선으로 배치되어 레일부(20)와 일정 간격(l1)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레일부(20)와 보조레일부(30) 사이의 간격(l1)은 도어부(10)가 회동하더라도 인접한 레일부(20)와 간섭하지 않는 거리를 의미하며, 보조레일부(30)가 사선으로 배치되었을 때의 보조레일부(30)와 레일부(20)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레일부(30)는 도어부(10)가 회동하여 수평방향을 유지하기 까지 사선으로 배치되어 도어부(10)의 회동 시에 레일부(20)의 부딪히지 않을 수 있다. 도어부(10)는 회동하여 후면이 천장(C)과 인접하도록 배치된 후에, 구동부(40)가 일정 장력을 유지하여 수평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유닛(60)은 모터(M)에 나사부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홈(61)에 삽입되어 도어부(10)를 수평방향으로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어부(10)가 상부를 향하여 회동하고 천장(C)에 고정된 후에, 회전판(50)은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회전판(50)은 보조레일부(30)가 양 옆의 인접한 레일부(20)와 일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50)이 일정 각도 회전한 후 보조레일부(30)가 인접한 레일부(20)와 일직선을 이루었을 때, 보조레일부(30)와 레일부(2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한의 간격(l1)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최소한의 간격(l1)이라 함은, 보조레일부(30)가 레일부(20)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회전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을 최소한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간격은 트롤리 호이스트(T)가 레일부(20)에서 보조레일부(30)로 이동 가능한 정도의 간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은 트롤리 호이스트(T)의 길이보다 짧아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간격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도어부(10)가 상부를 향하여 개방 가능하고, 개방된 도어부(10)에 레일부(20)를 연결할 수 있는 보조레일부(30)를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 사이에 두고 레일이 배치되더라도, 중량물(W)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탈착하여 이동할 필요 없어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보조레일부(30)는 도어부(1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레일부(20)와의 간격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회동 시에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레일 연결 장치 10: 도어부
11: 힌지부 12: 결합부
20: 레일부 30: 보조레일부
40: 구동부 41: 권취릴
42: 와이어 50: 회전판
51: 회전축 52: 기어부
60: 고정유닛 61: 삽입홈
70: 완충부재 G: 바닥면
C: 천장 W: 중량물
T: 트롤리 호이스트 M: 모터

Claims (8)

  1.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천장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를 향하여 회동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부;
    상기 도어부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한 쌍이 천장에 일직선으로 이격 배치되어, 중량물을 이송하는 트롤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상기 도어부가 회동하여 천장과 접하는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레일부와 일직선상에 배치 가능한 보조레일부;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를 회동시켜 개폐하는 구동부, 및
    상기 도어부의 일측면에 고정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판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가 회동 후 한 쌍의 상기 레일부와 일직선상에 일치하도록 회동하여 한 쌍의 상기 레일부를 연결하는 레일 연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레일 연결 장치.
  4. 삭제
  5.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천장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를 향하여 회동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부;
    상기 도어부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한 쌍이 천장에 일직선으로 이격 배치되어, 중량물을 이송하는 트롤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상기 도어부가 회동하여 천장과 접하는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레일부와 일직선상에 배치 가능한 보조레일부;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를 회동시켜 개폐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권취릴과, 상기 권취릴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끝단부가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릴에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상기 도어부를 개폐하는 레일 연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삽입 배치되거나 적어도 일측면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레일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과 일직선을 이루는 천장 또는 바닥에 만입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도어부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레일 연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회동반경 외측의 바닥 또는 천장에 고정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레일 연결 장치.
KR1020180078860A 2018-07-06 2018-07-06 레일 연결 장치 KR10208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60A KR102083610B1 (ko) 2018-07-06 2018-07-06 레일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60A KR102083610B1 (ko) 2018-07-06 2018-07-06 레일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04A KR20200005304A (ko) 2020-01-15
KR102083610B1 true KR102083610B1 (ko) 2020-03-02

Family

ID=6915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860A KR102083610B1 (ko) 2018-07-06 2018-07-06 레일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6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388A (ja) * 2004-09-08 2006-03-23 Hino Motors Ltd 車両組立て工場、モジュール供給方法および架空レール網
JP2006184167A (ja) * 2004-12-28 2006-07-13 Toshiba Corp レール貫通隔離構造およびクレーン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830B1 (ko) * 2012-03-22 2013-1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데비트 장치
KR20160001236U (ko) 2014-10-06 2016-04-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걸이 형 모노레일 직렬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388A (ja) * 2004-09-08 2006-03-23 Hino Motors Ltd 車両組立て工場、モジュール供給方法および架空レール網
JP2006184167A (ja) * 2004-12-28 2006-07-13 Toshiba Corp レール貫通隔離構造およびクレーン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04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1539B2 (ja) トロリーならびに該トロリーが利用される駐車装置
KR102083610B1 (ko) 레일 연결 장치
JP6039989B2 (ja) 遮蔽蓋開閉装置及び船舶
KR20120003577U (ko) 선실 천장의 정비용 해치
KR20120055294A (ko) 가변형 컨테이너 조립체
JP2002128212A (ja) 立体自動冷凍倉庫
US11066272B2 (en) Cable storage and handling systems and methods
CN107934523B (zh) 棒状工件取放装置及存取箱
KR200487583Y1 (ko) 천문대
RU158279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груз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хопперов
KR102009691B1 (ko) 선박의 기관실 정비를 위한 이동식 운반장치와 그 운반방법
KR101206255B1 (ko) 양문형 케이블 가이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자율이동시스템
KR101625379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JP2846221B2 (ja) 錨鎖機力収納装置
KR101498209B1 (ko) 컨테이너 선박
US20230312307A1 (en) Construction arrangement of an elevator
KR102233475B1 (ko) 슬라이드 처짐 방지용 지그를 구비한 oht
KR102108636B1 (ko) 회전 힌지의 덮개 자동 고정 장치
JP4017997B2 (ja) 船体開口部遮蔽装置
KR0140196Y1 (ko) 철도차량의 도어운반장치
KR101358315B1 (ko) 자율 이동 시스템
JP6917699B2 (ja) ゲート装置
KR100347060B1 (ko) 폐쇄상자형 구조물의 내부작업장치
JPH062471A (ja) 雨 戸
CN116119194A (zh) 一种自动装卸储存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