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507B1 - 음식물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507B1
KR102083507B1 KR1020180061215A KR20180061215A KR102083507B1 KR 102083507 B1 KR102083507 B1 KR 102083507B1 KR 1020180061215 A KR1020180061215 A KR 1020180061215A KR 20180061215 A KR20180061215 A KR 20180061215A KR 102083507 B1 KR102083507 B1 KR 102083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thermal image
storage device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783A (ko
Inventor
박강훈
Original Assignee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훈 filed Critical 박강훈
Priority to KR1020180061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50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3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terilisation or pasteurisation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음식물 저장시 살균기능을 수행하여 보다 세균이나 곰팡이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는, 도어에 의해 일면이 개폐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음식물이 수용되며 상기 보관공간에 인입되는 트레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트레이의 음식물을 살균하는 LED 자외선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보관장치{APPARATUS FOR KEEPING FOOD}
개시된 내용은, 음식물 저장시 살균기능을 수행하여 보다 세균이나 곰팡이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은 유아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 세대에 걸쳐 생존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서 인간의 최대 관심사가 되어 왔다. 음식물의 올바른 섭취는 신체를 건강하게 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병이나 심각한 질병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음식물 보관방법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취급되어 왔고 냉장고를 비롯한 이와 관련된 제품들이 다수 등장하게 되었다.
종래 대부분의 음식물 보관장치는 상온에서의 세균번식 등의 이유로 냉장장치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 경우 음식물 본연의 맛이 사라지는 문제가 있어 상온에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10-0878558호의 질소가스를 이용한 음식물 신선 보관장치 등이 있다.
KR 10-0878558 B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음식물 보관장치에 냉각장치와 습도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보관된 음식물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는, 도어에 의해 일면이 개폐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음식물이 수용되며 상기 보관공간에 인입되는 트레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트레이의 음식물을 살균하는 LED 자외선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LED 자외선모듈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배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이격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열된 복수개의 LED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층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패널 사이에는 복수개의 열화상감지센서가 상기 트레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식물 보관장치는,상기 LED 자외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온의 온도범위에 따라 음식물의 종류별 상태값인 열화상 정보값들이 기록되는 메모리부와, 음식물의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는 상태표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상감지센서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열화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된 열화상 정보와 비교한 다음, 일치여부에 따라 음식물의 실시간 상태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간 상태값은 상기 상태표시바를 통해 1단계 내지 5단계로 나타내어지며, 2단계 내지 5단계인 경우 상기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고, 1단계인 경우 알람부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초기값 설정시 절전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LED 자외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되, 상기 실시간 상태값에 따라 상기 LED 자외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실시간 상태값은 상기 상태표시바를 통해 1단계 내지 5단계로 나타내어지며, 1단계인 경우에는 알람부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에 알리고, 2단계 내지 4단계인경우 상기 LED 자외선모듈을 동작시키며, 5단계인 경우에는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되 상기 LED 자외선모듈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LED 자외선모듈의 동작에 따른 출력값은 다시 1단계 내지 5단계의 실시간 상태값으로 나타내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각 단계에 따라 동일과정을 반복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상온에서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보관장치에 냉각장치와 습도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보관된 음식물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블록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동작과정으로서 일반모드일 때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동작과정으로서 절전모드일 때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10)는 도어(140)에 의해 일면이 개폐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이 마련된 본체(100)와, 음식물이 수용되며 보관공간에 인입되는 트레이(200)와, 본체(100) 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트레이(200)의 음식물을 살균하는 LED 자외선모듈(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원통형 구조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트레이(200)의 인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 양 측면부(110)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레일(130)이 설치되게 되게 되는데, 이 가이드 레일(130)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트레이(200)가 슬라이딩 결합되게 된다.
본체(100)의 전면에는 도어(140)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될 수 있도록 보관공간이 마련된다. 이 때 도어(140)에는 외부에서도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4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140)의 전면 상부에는 음식물 보관장치(10)의 전원을 ON/OFF 하는 전원버튼(320)과,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절전모드버튼(340)과, 보관할 음식물의 종류를 설정하는 음식물 설정버튼부(360)와, 음식물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00)와, 내부 음식물이 부패되었을 때 경보음이나 램프의 점멸을 통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알람부(48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400)가 전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일 실시예일뿐이고 전면의 좌측, 우측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전원버튼(320)은 LED 자외선모듈(500) 등의 내부 주요 구성의 동작을 ON/OFF 하는 버튼이고, 음식물 설정버튼부(360)는, 트레이(2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트레이(200)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설정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설정버튼에 의해 트레이(200)에 보관되어 있는 음식물의 종류가 입력되며, 제어부(800, 도 4참조)는 이 입력된 값을 토대로 각 트레이(200)마(400)다 개별적으로 음식물 상태를 분석하여 그 결과값을 표시부에 나타낸다.
절전모드버튼(340)은 음식물 보관장치(10)의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140)의 측면부에는 본체 내부가 외부의 상온과 일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150)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의 자외선 노출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평판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만, 트레이(200)의 안쪽에는 음식물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움푹파인 수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하나로 이루어져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레일(130)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복수개로 이루어져 층을 형성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트레이(200)의 양 사이드에는 본체의 레일(1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날개부(24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LED 자외선모듈(500)은 본체(100) 내부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배면부(120)에 설치되며, 배면부(120)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이격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패널(520)과, 베이스패널(520)에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540)를 포함할 수 있다.
LED 자외선모듈(500)은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제어부(800)에 의해 그 동작시간이 제어되며 전원부(84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 영역대의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자외선 파장대는 살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200nm 내지 400nm 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LED 발광다이오드(540)를 사용함으로써 살균력을 높이는 한편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경우 음식물의 자외선 살균처리를 위해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였으나 소비전력이 지나치게 높아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체(100)의 배면부(120)의 한 쌍의 베이스패널 사이에는 복수개의 열화상감지센서(600)가 구비될 수 있다.
열화상감지센서(600)는 음식물의 열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비접촉식으로 열화상을 감지하는 촬영장치로 구성되며, 트레이(20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층을 형성할 경우, 트레이(20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LED 자외선모듈(540)에 의한 간섭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0)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트레이(200)의 개수 등에 따라 본체(100)의 내부의 측면이나 윗면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식물 보관장치(10)의 일측에는 냉각장치와 습도조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냉각장치는 종래 일반적인 구성으로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순환팬으로 구성되며, 냉매의 순환싸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가 음식물 보관장치 내부를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이 최적의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도 2의 도면부호 112는 냉각장치의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유입슬릿을 나타낸다.
습도조절장치는 종래 일반적인 구성으로 증발판과, 분무장치와, 증발판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습도조절장치를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저온 상태의 상대습도는 평균 60%인데 이 경우 과일류를 신선하게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습도조절장치를 통해 과일류의 최적 상태인 상대습도 80%를 유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부패방지와 함께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의 도면부호 114는 습도조절장치의 급기슬릿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는 온도센서(700), 습도센서(720), 열화상감지센서(600), LED 자외선모듈(500), 메모리부(820), 제어부(800), 전원부(840) 및 기타 입력부(300)와 표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열화상감지센서(600) 등 상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온도센서(700)는 음식물 보관장치(10)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온도값들은 제어부(800)에 인가되며 제어부(800)에 의해 표시부(400)에 나타내어진다.
습도센서(720)은 온도센서의 일측에 설치되며 음식물 보관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습도값들은 온도값과 함께 제어부(800)에 의해 표시부(400)에 나타내어진다.
메모리부(820)에는 상온의 온도범위 및 습도범위에 따라 음식물의 종류별 상태값인 열화상정보값들이 기록된다. 여기서, 열화상정보값들은 상온의 10℃ ~ 30℃의 각각의 특정온도와, 대략 10%~90% 내의 각각의 특정습도에서 채소류, 고기류, 생선류 등의 음식물들을 노출시킨 다음 열화상감지센서(600)를 통해 촬영, 출력된 이미지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 LED 자외선모듈(500) 등의 내부 주요구성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열화상정보를 메모리부(820)에 기 설정된 열화상정보와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에 따라 실시간 상태값을 도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실시간 상태값은 후술할 상태표시바(420)를 통해 나타내어지게 된다.
입력부(300)는 표시부(4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술한 각 트레이(200)의 안치된 음식물의 종류를 설정하는 음식물 설정버튼(3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840)는 제어부(800)를 비롯한 보관장치의 주요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400)는 트레이(200)별 음식물의 상태를 나타낸 실시간 상태값을 표시하는 상태표시바(420)와, 설정버튼부(360)의 입력값, 현재 온도값, 습도값 등을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창(440)과,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알람부(480, 도 3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표시바(420)는 트레이(2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막대형상의 바로 구성되며 각각의 바는 음식물의 상태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계별로 나타나도록 제 1 내지 5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태표시바(420)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크린 상에 퍼센트 비율로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동작과정으로서 일반모드일 때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동작과정으로서 절전모드일 때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일반모드와 절전모드에서의 동작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일반모드일 경우, 초기값 설정단계(S21)에서 보관할 음식물들을 그 종류별로 복수개의 트레이(200)에 안치한 다음 전원버튼(320)을 누르고 음식물 설정버튼(360)을 통해 트레이(200)의 각 층에 해당되는 음식물의 종류를 입력한다.
전원버튼(320)이 ON 되면 LED 자외선모듈(500)이 동작되어 음식물 보관장치(10) 내부의 음식물들이 살균되고, 온도센서(700)와 습도센서(72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과 습도값은 자동적으로 제어부(800)에 인가되며, 제어부(800)는 인가된 온도값 및 습도값에 따라 후술할 메모리부(820)에 저장된 열화상정보값들을 인출하게 된다.
이때,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은 LED 자외선모듈(500)의 동작에 의해 느린 생화학적 변화를 거치게 되나 상당 시간이 경과하면, 음식물에 생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그 결과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감지된 열상촬영값들도 변화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S22 ~ S24 에서 제어부(800)는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열화상정보를 메모리부(820)에 기 설정된 열화상정보와 비교 분석한다. 이때 기 설정된 열화상정보는 표시부(400)의 상태표시바(420)의 단계와 동일하게 5단계로 구분된다. 여기서, 1단계는 음식물의 부패정도가 심하여 섭취할 수 없는 단계이고, 2단계부터 4단계는 음식물의 생화학적 변화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으로서 섭취 가능한 단계이며, 5단계는 초기상태로서 생화학적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단계이다.
실시간 열화상정보값들은 기 설정된 정보값들과 지속적으로 매칭되고, 일정 오차 범위를 기준으로 일치하게 되면 상태표시바(420)를 통해 나타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트레이(200)별로 음식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S24에서, 상태표시바(420)가 1단계를 나타낼 경우(S24) 그 트레이(200)의 음식물은 섭취가 불가능함을 의미하므로 제어부(800)는 알람부(480)를 통해 즉시 외부에 알린다. 그리고, 상태표시바(420)이 2단계 내지 5단계인 경우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동일과정을 반복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절전모드일 경우, 초기값 설정단계(S31)에서 보관할 음식물들을 그 종류별로 복수개의 트레이(200)에 안치한 다음 전원버튼(320)과 절전모드버튼(340)을 누르고 음식물 설정버튼(360)을 통해 트레이(200)의 각 층에 해당되는 음식물의 종류를 입력한다. 절전모드의 경우 도 5의 일반모드와 달리 LED 자외선모듈(500)이 동작하지 않고 음식물의 상태, 즉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한 실시간 상태값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S32에서 열화상감지센서(600)는 각 트레이(200)에 안치된 음식물을 실시간 촬영하여 열화상정보를 검출한다.
S33 ~ S34 에서 제어부(800)는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열화상정보를 메모리부(820)에 기 설정된 열화상정보와 비교 분석한다. 이때 기 설정된 열화상정보는 표시부(400)의 상태표시바(420)와 동일하게 1단계에서 5단계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각 단계의 상태는 도 5의 일반모드와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800)의 비교 연산결과, 실시간 열화상정보값들이 기 설정된 정보값들과 일정 오차 범위를 기준으로 일치하게 되면 상태표시바(420)를 통해 1 내지 5단계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그 출력값이 1단계(S35-1)를 나타내면 알람부(480)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즉시 외부에 알리고, 2 내지 4단계(S35-2)를 나타내면 음식물에 생화학적 변화가 어느 정도 일어났음을 의미하므로 음식물의 세균이 박멸되도록 LED 자외선모듈을 동작시킨다(S36).
그리고, 5단계(S35-3)인 경우에는 음식물에 세균이 번식되지 않은 신선한 상태를 의미하므로 LED 자외선모듈(500)을 동작을 차단시키고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도록 한다.
한편, 2 내지 4단계(S35-2)에 해당되어 LED 자외선모듈(500)이 동작되면 그 출력값은 다시 1단계 내지 5단계의 실시간 상태값으로 나타내어지고, 제어부(800)는 각 단계에 따라 동일과정을 반복수행한다. 즉 그 출력값이 1단계(S37-1)이면 알람부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에 알리고, 2 내지 4단계(S37-2)를 나타내면 LED 자외선모듈을 계속 동작시키며, 5단계인 경우에는 LED 자외선모듈(500)의 동작을 멈추고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한 열화상정보만을 검출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절전모드의 경우 일반모드에 비하여 음식물의 생화학적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나 일정 조건하에 LED 자외선모듈(500)이 동작되므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음식물 보관장치 100: 본체
110: 측면부 120: 배면부
130: 가이드레일 140: 도어
150: 통기공 200: 트레이
320: 전원버튼 340: 절전모드버튼
400: 표시부 420: 상태표시바
440: 표시창 500: LED 자외선모듈
520: 베이스패널 540: LED 발광다이오드
600: 열화상감지센서 700: 온도센서
720: 습도센서 800: 제어부
820: 메모리부 840: 전원부

Claims (8)

  1. 도어에 의해 일면이 개폐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이 마련된 본체;
    음식물이 수용되며 상기 보관공간에 인입되는 트레이;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트레이의 음식물을 살균하는 LED 자외선모듈;
    및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LED 자외선모듈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배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이격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열된 복수개의 LED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층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패널 사이에는 복수개의 열화상감지센서가 상기 트레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보관장치는,
    상기 LED 자외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온의 온도범위 및 습도범위에 따라 음식물의 종류별 상태값인 열화상 정보값들이 기록되는 메모리부와, 음식물의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는 상태표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상감지센서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열화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된 열화상 정보와 비교한 다음, 일치여부에 따라 음식물의 실시간 상태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상태값은 상기 상태표시바를 통해 1단계 내지 5단계로 나타내어지며,
    2단계 내지 5단계인 경우 상기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고, 1단계인 경우 알람부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값 설정시 절전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LED 자외선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되, 상기 실시간 상태값에 따라 상기 LED 자외선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상태값은 상기 상태표시바를 통해 1단계 내지 5단계로 나타내어지며,
    1단계인 경우에는 알람부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에 알리고, 2단계 내지 4단계인경우 상기 LED 자외선모듈을 동작시키며, 5단계인 경우에는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되 상기 LED 자외선모듈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ED 자외선모듈의 동작에 따른 출력값은 다시 1단계 내지 5단계의 실시간 상태값으로 나타내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각 단계에 따라 동일과정을 반복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KR1020180061215A 2018-05-29 2018-05-29 음식물 보관장치 KR102083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215A KR102083507B1 (ko) 2018-05-29 2018-05-29 음식물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215A KR102083507B1 (ko) 2018-05-29 2018-05-29 음식물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783A KR20190135783A (ko) 2019-12-09
KR102083507B1 true KR102083507B1 (ko) 2020-03-02

Family

ID=6883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215A KR102083507B1 (ko) 2018-05-29 2018-05-29 음식물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5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3829A (ja) 2009-02-26 2010-09-09 Mitsubishi Electric Air Conditioning & Refrigeration Plant Co Ltd 食品殺菌貯蔵方法および装置
JP2015515265A (ja) * 2012-03-16 2015-05-28 リ、ソンウォン 食品の貯蔵性向上のための保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493U (ko) * 1995-03-28 1996-10-22 김부남 자외선 살균기
KR100878558B1 (ko) 2007-06-27 2009-01-15 이준항 질소가스를 이용한 음식물 신선 보관장치
KR101041439B1 (ko) * 2008-08-08 2011-06-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곡물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3829A (ja) 2009-02-26 2010-09-09 Mitsubishi Electric Air Conditioning & Refrigeration Plant Co Ltd 食品殺菌貯蔵方法および装置
JP2015515265A (ja) * 2012-03-16 2015-05-28 リ、ソンウォン 食品の貯蔵性向上のための保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783A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3909B2 (en) Refrigerator
JP4433958B2 (ja) 冷蔵庫
KR100758208B1 (ko) 야채의 광합성이 가능한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11456A (ko) 냉장고
JP6762180B2 (ja) 冷蔵庫
KR20120011458A (ko) 냉장고
JP2018084358A (ja) 冷蔵庫
US20180187947A1 (en) Refrigerator
KR102083507B1 (ko) 음식물 보관장치
JP2007003062A (ja) 冷蔵庫
KR20120011454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JP2020169747A (ja) 冷蔵庫
TWI624638B (zh) refrigerator
TWI617780B (zh) 冰箱
KR20170142980A (ko) 냉장고
KR101700194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5164131A (ja) 冷蔵庫
KR101072755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6298982B2 (ja) 冷蔵庫
TW201803784A (zh) 冰箱
JP2018054281A (ja) 冷蔵庫、冷蔵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71558A1 (en) Refrigerator having sterilization function
WO2023204130A1 (ja) 冷蔵庫
JP2022137979A (ja) 冷蔵庫
JP7419782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