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384B1 -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3384B1 KR102083384B1 KR1020180040668A KR20180040668A KR102083384B1 KR 102083384 B1 KR102083384 B1 KR 102083384B1 KR 1020180040668 A KR1020180040668 A KR 1020180040668A KR 20180040668 A KR20180040668 A KR 20180040668A KR 102083384 B1 KR102083384 B1 KR 1020833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ling
- cup sleeve
- turret
- sleeve member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4—Rim 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4—Heating or 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하부 컬링을 위한 제1 터렛과, 상부 컬링을 위한 제2 터렛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2개의 터렛을 이용하여 하부 컬링과 상부 컬링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컵슬리브를 제작하고, 하부 컬링이 형성된 컵슬리브 부재를 제1 터렛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2 터렛으로 직접 이송함으로써 이송 효율을 극대화화여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기를 이용하여 하부 컬링 슬리브부재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줌으로써 찌그러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지면과 수평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메일타입 지지대를 이용하여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1 터렛과,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에 의해서 회전 이송되는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하부를 컬링시키기 위한 하부컬링 성형몰드와, 상기한 제1 터렛의 옆에 설치되어 지면과 수평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피메일타입 지지대를 이용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2 터렛과,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에 의해서 회전 이송되는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부를 컬링시키기 위한 상부컬링 성형몰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지면과 수평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메일타입 지지대를 이용하여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1 터렛과,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에 의해서 회전 이송되는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하부를 컬링시키기 위한 하부컬링 성형몰드와, 상기한 제1 터렛의 옆에 설치되어 지면과 수평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피메일타입 지지대를 이용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2 터렛과,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에 의해서 회전 이송되는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부를 컬링시키기 위한 상부컬링 성형몰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하부 컬링을 위한 제1 터렛과, 상부 컬링을 위한 제2 터렛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2개의 터렛을 이용하여 하부 컬링과 상부 컬링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컵슬리브를 제작하고, 하부 컬링이 형성된 컵슬리브 부재를 제1 터렛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2 터렛으로 직접 이송함으로써 이송 효율을 극대화화여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기를 이용하여 하부 컬링 슬리브부재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줌으로써 찌그러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슬리브는 종이컵 등에 끼워서 사용하는 기구로서, 종이컵에 담긴 뜨거운 음료로부터 사용자로 열기가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컵을 안전하게 잡도록 하거나, 종이컵에 담긴 차가운 음료로 사용자의 체온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줌으로써 차가운 음료가 식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컵슬리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6-0019239(공개일자 2016년 02월 19일)의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는 컵슬리브부재를 공급하기 위한 슬리브 부재 공급유닛, 슬리브부재를 원통형의 슬리브로 성형하기 위한 슬리브 성형유닛, 원통형으로 성형된 슬리브를 이송하기 위한 슬리브 이송유닛, 원통형 슬리브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컬링하기 위한 컬링부 성형유닛, 상단부 및 하단부가 컬링된 슬리브를 배출하기 위한 슬리브 배출유닛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컵슬리브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번호 10-2016-0019239에서 개시되어 있는 컵슬리브 제조장치를 포함한 종래의 컵슬리브 제조장치는, 로봇암이 원통형으로 접착된 컵슬리브 부재를 하나씩 회전원판의 구멍에 옮겨서 컬링을 하는 방식으로서 생산속도가 느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컬링을 위한 제1 터렛과, 상부 컬링을 위한 제2 터렛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2개의 터렛을 이용하여 하부 컬링과 상부 컬링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컵슬리브를 제작함으로써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컬링이 형성된 컵슬리브 부재를 제1 터렛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2 터렛으로 직접 이송함으로써 이송 효율을 극대화화여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공기를 이용하여 하부 컬링 슬리브부재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줌으로써 찌그러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지면과 수평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메일타입 지지대를 이용하여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1 터렛과,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에 의해서 회전 이송되는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하부를 컬링시키기 위한 하부컬링 성형몰드와, 상기한 제1 터렛의 옆에 설치되어 지면과 수평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피메일타입 지지대를 이용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2 터렛과,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에 의해서 회전 이송되는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부를 컬링시키기 위한 상부컬링 성형몰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1 터렛의 메일타입 지지대는 외주면이 터렛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형상의 테이퍼각을 가지며, 외주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지지대 외부를 향하여 압축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가 이송되거나 상부컬링 성형몰드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 공기를 진공 흡입하기 위한 공기유로가 피메일타입 지지대의 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의 외부측에 상부컬링 성형몰드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단부를 인컬링하기 위한 컬링홈이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컬링 작업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피메일타입 지지대의 내부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노즐이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기준으로 복수의 공기노즐이 형성되는 경우에 공기노즐의 분사압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공기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120~160℃로 가열되어 있는 공기를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의 공기유로는 메일타입 지지대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모두가 공기를 진공흡입하고, 상부컬링 성형몰드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는 모두가 공기를 분사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의 공기유로중 일부는 메일타입 지지대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공기를 진공흡입하고, 상부컬링 성형몰드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는 나머지로부터 공기를 분사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하부 컬링을 위한 제1 터렛과, 상부 컬링을 위한 제2 터렛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2개의 터렛을 이용하여 하부 컬링과 상부 컬링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컵슬리브를 제작하고, 하부 컬링이 형성된 컵슬리브 부재를 제1 터렛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2 터렛으로 직접 이송함으로써 이송 효율을 극대화화여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기를 이용하여 하부 컬링 슬리브부재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줌으로써 찌그러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표현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구성은, 지면과 수평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메일타입 지지대(11)를 이용하여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1)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1 터렛(1)과,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11)에 의해서 회전 이송되는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1)의 하부를 컬링시키기 위한 하부컬링 성형몰드(21, 22)와, 상기한 제1 터렛(1)의 옆에 설치되어 지면과 수평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피메일타입 지지대(31)를 이용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2 터렛(3)과,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31)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31)에 의해서 회전 이송되는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부를 컬링시키기 위한 상부컬링 성형몰드(41, 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 터렛(1)의 메일타입 지지대(11)는 외주면이 터렛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형상의 테이퍼각을 가지며, 외주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지지대 외부를 향하여 압축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유로(11a)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하부컬링 성형몰드(21, 22)는 1차 하부 컬링 성형을 위한 제1 하부컬링 성형몰드(21)와, 2차 하부 컬링 성형을 위한 제2 하부컬링 성형몰드(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 터렛(3)의 피메일타입 지지대(31)는 내주면이 터렛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커지는 형상의 테이퍼각을 가지며,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거나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 내주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공기를 진공 흡입하기 위한 제1 공기유로(31a)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 터렛(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한 제1 터렛(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제2 터렛(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한 제1 터렛(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제2 터렛(3)의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개수와 상기한 제1 터렛(1)의 메일타입 지지대(11)의 개수의 비율에 반비례하여 상기한 제2 터렛(3)과 제1 터렛(1)의 회전 속도가 각각 결정된다.
상기한 상부컬링 성형몰드(41, 42)는 1차 상부 컬링 성형을 위한 제1 상부컬링 성형몰드(41)와, 2차 상부 컬링 성형을 위한 제2 상부컬링 성형몰드(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은,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거나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 공기를 진공흡입하기 위한 제1 공기유로(31a)가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외부측에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인컬링하기 위한 컬링홈(41a)이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컬링 작업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를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내부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1 공기노즐(41b)이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제1 공기유로(31a)는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공기를 진공흡입하고,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제1 공기노즐(41b)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120~160℃로 가열되어 있는 공기를 사용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은,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거나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 공기를 진공흡입하기 위한 제1 공기유로(31a)가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외부측에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인컬링하기 위한 컬링홈(41a)이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컬링 작업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를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내부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1 공기노즐(41b)이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를 기준으로 상기한 제1 공기노즐(41b)의 분사위치보다 상부의 위치에 제1 공기노즐(41b)의 분사압력보다 약한 압력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2 공기노즐(41c)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제1 공기유로(31a)는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공기를 진공흡입하고,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제2 공기노즐(41c)은 하나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제1 공기노즐(41b) 및 제2 공기노즐(41c)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120~160℃로 가열되어 있는 공기를 사용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은,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거나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 공기를 진공흡입하기 위한 제1 공기유로(31a)가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를 기준으로 상기한 제1 공기유로(31a)의 위치보다 상부의 위치에서 공기를 진공흡입하기 위한 제2 공기유로(31b)가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외부측에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인컬링하기 위한 컬링홈(41a)이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컬링 작업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를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내부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1 공기노즐(41b)이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제1 공기유로(31a) 및 제2 공기유로(31b)는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공기를 진공흡입하고,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제1 공기유로(31a) 및 제2 공기유로(31b)는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거나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 둘중에서 하나는 공기를 진공흡입하고 나머지 하나는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제1 공기노즐(41b)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120~160℃로 가열되어 있는 공기를 사용한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피메일타입 지지대 및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구성은,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거나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 공기를 진공흡입하기 위한 제1 공기유로(31a)가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를 기준으로 상기한 제1 공기유로(31a)의 위치보다 상부의 위치에서 공기를 진공흡입하기 위한 제2 공기유로(31b)가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외부측에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인컬링하기 위한 컬링홈(41a)이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컬링 작업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를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내부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1 공기노즐(41b)이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를 기준으로 상기한 제1 공기노즐(41b)의 분사위치보다 상부의 위치에 제1 공기노즐(41b)의 분사압력보다 약한 압력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2 공기노즐(41c)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제1 공기유로(31a) 및 제2 공기유로(31b)는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공기를 진공흡입하고,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제1 공기유로(31a) 및 제2 공기유로(31b)는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이송되거나 상부컬링 성형몰드(41)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 둘중에서 하나는 공기를 진공흡입하고 나머지 하나는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제2 공기노즐(41c)은 하나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제1 공기노즐(41b) 및 제2 공기노즐(41c)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120~160℃로 가열되어 있는 공기를 사용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슬리브 부재 공급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제1 터렛(1)으로 슬리브부재가 공급되면, 제1 터렛(1)의 메일타입 지지대(11)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슬리브 성형유닛(도시되지 있지 않음)에 의해 슬리브 부재가 제1 터렛(1)의 메일타입 지지대(11)의 외주면에 감겨지게 되면서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1)로 성형된다.
제1 터렛(1)의 메일타입 지지대(11)에 감겨진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1)는 제1 터렛(1)이 회전하게 되면서 하부컬링 성형몰드(21, 22)가 설치되어 있는 곳으로 이송된 후, 제1 하부컬링 성형몰드(21) 및 제2 하부컬링 성형몰드(22)에 의하여 2회에 걸쳐서 하부가 인컬링된다.
하부가 인컬링된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는, 제1 터렛(1)의 메일타입 지지대(11)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배출유로(11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메일타입 지지대(11)로부터 제2 터렛(3)의 피메일타입 지지대(31)로 이송된다. 이때, 메일타입 지지대(11)의 공기배출유로(11a)는 메일타입 지지대(11)의 외주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압축 공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에 효율적으로 힘이 전달되도록 하며, 피메일타입 지지대(31)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공기유로(31a)로부터 발생되는 진공흡착력을 이용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가 내부면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터렛(3)의 피메일타입 지지대(31)에 안착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는 제2 터렛(3)이 회전하게 되면서 상부컬링 성형몰드(41, 42)가 설치되어 있는 곳으로 이송된 후, 제1 상부컬링 성형몰드(41) 및 제2 상부컬링 성형몰드(42)에 의하여 2회에 걸쳐서 상부가 인컬링된다.
이와 같이 상부컬링 성형몰드(41, 42)에 의해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상부가 인컬링되는 과정에서,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1)의 내주면을 지지해주는 메일타입 지지대(11)와는 달리 피메일타입 지지대(31)는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외주면을 지지해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약하므로,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제1 공기노즐(41b) 또는 제2 공기노즐(41c)로부터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지지력을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함께 피메일타입 지지대(31)의 제1 공기유로(31a) 또는 제2 공기유로(31b)로부터도 공기가 분사되거나 진공흡입력이 발생함으로써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지지력을 한층 더욱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부컬링 성형몰드(41)의 제1 공기노즐(41b) 또는 제2 공기노즐(41c)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120~160℃로 가열되어 있는 공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S2)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전분, 셀룰로오스, 키틴, 키토산,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유산(PLA), 폴리3-히드록시락산(PHB) 등과 같은 생분해성 수지가 0.02~0.07mm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어서, 120~130℃로 가열되어 있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서 수지 발포과정이 진행된다.
상기한 전분은 천연계 고분자로서 유럽과 미국에서는 옥수수나 감자 외에 고구마 등의 전분을 이용하여 호화 전분과 지방족 폴리에스터와 블랜드시켜서 생분해성 쓰레기 봉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전분은 물이 있으면 가열에 의해 호화되고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가소화할수 있지만 내수성이 없어 내가수 분해성에 뛰어난 폴리카프로락톤과 호화 전분의 블랜드물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폴리카프로락톤과 호화 전분의 블랜드물 생산에는 추출기 등의 고 첨단력하에서 전분의 호화기술과 함께 구조제어 기술이 필요하고, 호화전분의 점도를 PCL의 용융 점도보다 크게 유지하는 것으로 폴리카프로락톤을 연속상으로 하는 블랜드물의 조제가 가능하다. 또한, 전분의 재결정화에 따라 물성의 저하 방지나 물성개선 등을위해 가소제나 상용화제의 첨가도 검토되고 있으며, 여기에 고속 과류 혼합기를 이용해 옥수수 등의 입상전분을 지방족 폴리에스터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블랜드물이 개발되고 있고, 이 불랜드물은 생분해 속도가 크고 곡탄성률이 크며 내수성이 높은 이점이있다.
상기한 폴리카프로락톤(PCL)은 합성고분자로서, 석유화학 원료에서 합성된 지방족 폴리에스터중에서도 븐해 미생물이 호기 및 염기 조건 아래 여러가지 환경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므로 생분해성이 뛰어나며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표준물질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폴리카프로락톤(PCL)은 오래 전부터 공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 전분이나 셀룰로오스계 소재와의 블랜드물이 유산과의 공중합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융점은 낮지만 다른 지방족 폴리에스터에 비해 고온 고습하에서 안정적이며, ε-카프로락톤의 개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고분자량의 지방족 폴리에스터로서 많은 양이 생산되고 있다.
상기한 폴리유산(PLA)은 합성고분자로서, 전분 등의 재생 가능 자원으로부터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켜 만든 L-유산을 단량체에 이용해 화학 합성된 폴리유산(PLA)이 기존의 합성 폴리유산(PLA) 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많은 양이 사용되고 있으며, 필름이나 섬유에 2차 가공딘 폴리유산(PLA)은 내가수분해성도 뛰어나다. 폴리유산(PLA)은 물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저분자된 후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데, 일반적으로 수분이나 가스의 차단성이 낮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꺼꾸로 생각해보면 수분의 투과성이나 통기성이 뛰어난 것이므로 이러한 특성을 살려서 섬유 등 다방면에서의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상기한 폴리3-히드록시락산(PHB)은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에서도 생산성이 높고, 생물 유래의 열가소성 소재로 이전부터 기대되고 있지만, 결정성이 너무 높아서 기계 물성이 나쁘고 열분해하기 쉬워 가공이 나쁘다는 등의 결점이 있다. 그래서 폴리3-히드록시락산(PHB)과 폴리카프로락톤(PCL)으로 이루어지는 블랜드물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것은 폴리3-히드록시락산(PHB) 단독보다 가공물성이 좋고 미생물로 PHBV 공중합체를 만드는 것과 비교하여 간단하게 일정 조성의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얻어지며 코스트도 낮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폴리3-히드록시락산(PHB)은 융점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나, 열처리를 통해 필름으로 가공하면 미생물에 의한 분해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상부컬링 성형몰드(41, 42)에 의해서 상부가 인컬링됨으로써 성형이 완료된 컵슬리브는 제2 터렛(3)의 피메일타입 지지대(31)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1 : 제1 터렛 3 : 제2 터렛
11 : 메일타입 지지대 21, 22 : 하부컬링 성형몰드
31 : 피메일타입 지지대 41, 42 : 상부컬링 성형몰드
11 : 메일타입 지지대 21, 22 : 하부컬링 성형몰드
31 : 피메일타입 지지대 41, 42 : 상부컬링 성형몰드
Claims (7)
- 지면과 수평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메일타입 지지대를 이용하여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1 터렛과,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에 의해서 회전 이송되는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하부를 컬링시키기 위한 하부컬링 성형몰드와,
상기한 제1 터렛의 옆에 설치되어 지면과 수평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피메일타입 지지대를 이용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2 터렛과,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에 의해서 회전 이송되는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부를 컬링시키기 위한 상부컬링 성형몰드를 포함하며,
상기한 메일타입 지지대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가 이송되거나 상부컬링 성형몰드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 공기를 진공흡입하기 위한 공기유로가 피메일타입 지지대의 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의 외부측에 상부컬링 성형몰드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단부를 인컬링하기 위한 컬링홈이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컬링 작업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피메일타입 지지대의 내부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노즐이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터렛의 메일타입 지지대는,
외주면이 터렛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형상의 테이퍼각을 가지며,
외주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지지대 외부를 향하여 압축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를 기준으로 복수의 공기노즐이 형성되는 경우에, 공기노즐의 분사압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컬링 성형몰드의 공기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120~160℃로 가열되어 있는 공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의 공기유로는 메일타입 지지대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모두가 공기를 진공흡입하고, 상부컬링 성형몰드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는 모두가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피메일타입 지지대의 공기유로중 일부는 메일타입 지지대로부터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공기를 진공흡입하고, 상부컬링 성형몰드가 하부컬링 원통형 컵슬리브 부재의 상단부를 컬링하는 경우에는 나머지로부터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668A KR102083384B1 (ko) | 2018-04-06 | 2018-04-06 |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668A KR102083384B1 (ko) | 2018-04-06 | 2018-04-06 |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7325A KR20190117325A (ko) | 2019-10-16 |
KR102083384B1 true KR102083384B1 (ko) | 2020-03-02 |
Family
ID=6842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0668A KR102083384B1 (ko) | 2018-04-06 | 2018-04-06 |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338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91921A (ja) * | 2002-04-05 | 2003-10-15 | Aisan Seisakusho:Kk | カップ反転ターレット及び印字装置 |
JP2015136850A (ja) | 2014-01-22 | 2015-07-30 | 四国化工機株式会社 | カップ状紙容器成形機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879564A1 (en) * | 2012-08-07 | 2014-02-13 | Berry Plastics Corporation | Cup-forming process and machine |
KR101698199B1 (ko) | 2014-08-11 | 2017-01-19 | 주식회사최병철아이디어팩토리 |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2018
- 2018-04-06 KR KR1020180040668A patent/KR1020833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91921A (ja) * | 2002-04-05 | 2003-10-15 | Aisan Seisakusho:Kk | カップ反転ターレット及び印字装置 |
JP2015136850A (ja) | 2014-01-22 | 2015-07-30 | 四国化工機株式会社 | カップ状紙容器成形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7325A (ko) | 2019-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091564B (zh) | 一种全生物100%全降解复合膜及其加工工艺和应用 | |
US10435557B2 (en) | High heat deflection temperature polylactic acids with tunable flexibility and toughness | |
Rogovina |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es based on synthetic and natural polymers of various classes | |
US8524811B2 (en) | Algae-blended compositions for thermoplastic articles | |
TWI443140B (zh) | 聚丁二酸丁二酯(pbs)及改質聚丁二酸丁二酯(mpbs)製成之熱成形物件 | |
CN108822514B (zh) | 一种完全生物降解聚乳酸基吹塑薄膜及其制备方法 | |
TWI424023B (zh) | 聚乳酸系樹脂組成物及其成形體 | |
JPH09111107A (ja) | 生分解性フィルムあるいはシート、および、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 | |
CN1413226A (zh) | 可生物降解塑料的饮食用具 | |
JPH11241008A (ja) |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 |
CN113429764A (zh) | 一种淀粉/pla-pga-pbat生物降解&可堆肥专用料及其制备方法 | |
KR102083384B1 (ko) |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
CN109504042A (zh) | Pha改性的tps/pbat可生物降解树脂及其制备方法 | |
CN109486138A (zh) | Pha改性的pla/pbat可生物降解树脂及其制备方法 | |
KR102013067B1 (ko) |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
JP5445756B2 (ja) | 易分解性樹脂組成物の分解方法 | |
JP5230078B2 (ja) | 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 |
KR20070068331A (ko) | 생분해성 수지 발포층이 형성된 일회용 종이컵 | |
CN114479376A (zh) | 可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JPH07308961A (ja) | ポリ乳酸系重合体の熱成形加工品 | |
CN100494271C (zh) | 以聚对二氧环己酮为基体的可完全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 |
KR101938474B1 (ko) |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컬링부 성형유닛 및 컵슬리브 제조방법 | |
JP2010138390A (ja) | 易分解性樹脂組成物の分解液および分解方法 | |
CN112480533A (zh) | 淀粉基生物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CN112409644A (zh) | 一种耐高温pbat/pla全生物降解材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