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852B1 - 경사로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경사로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852B1
KR102082852B1 KR1020180110451A KR20180110451A KR102082852B1 KR 102082852 B1 KR102082852 B1 KR 102082852B1 KR 1020180110451 A KR1020180110451 A KR 1020180110451A KR 20180110451 A KR20180110451 A KR 20180110451A KR 102082852 B1 KR102082852 B1 KR 102082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p
base frame
jaw
forming plat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손현숙
김재원
왕기원
김규권
박홍길
홍성은
정준원
Original Assignee
김형식
주식회사성진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주식회사성진종합건설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102018011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로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에 사용시 경사면이 형성되게 회동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이 통행할 수 있는 경사로를 형성하는 경사로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사로형성장치는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에 사용시에만 경사로가 형성되게 경사로형성판이 회동되고 미사용시에는 계단 또는 턱 아래의 지면에 나란하게 매립되므로 공간활용효율이 높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경사로 형성 장치{ Device for forming ramp in front of raised spot}
본 발명은 경사로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에 사용시 경사면이 형성되게 회동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이 통행할 수 있는 경사로를 형성하는 경사로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데 비해 이러한 장애를 감안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계단이다.
즉, 계단은 일반적인 사람들이 오르내리기에는 편리한 것이지만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계단이 가장 걸림돌이 되는데, 휠체어를 타고 가다가 계단에 직면하면 주위사람의 도움없이는 오르내리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축물을 설계할 때 휠체어를 타고 오르내리기 용이하도록 지면과 계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로를 설계하고 있으나, 이러한 인식이 널리 퍼지기 전에 지어진 건축물에는 여전히 경사로가 미흡한 실정이다.
물론, 장애인 뿐만 아니라 노약자 또는 어린이, 무거운 짐을 핸드카트로 운반할 때, 자동차 등도 계단이 있으면 쉽게 오르내릴 수 없으므로 계단과 지면을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는 경사로를 형성하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422호에 게시된 계단용 경사구는 경사로를 형성하여 휠체어나 유모차 등 바퀴에 의해 이동되는 수단이 계단에 오르내릴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단용 경사구는 경사진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미사용 시에는 다른 장소로 운반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한 턱 부분 등과 같이 사용시에만 경사로가 필요한 장소에는 적합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114호에는 계단 경사로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계단경사로 장치는 부피가 축소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계단 일측에 설치되어 미사용시에도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422호 : 계단용 경사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114호 : 계단 경사로 장치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미사용시에는 지면 아래로 매립되고 사용시에만 경사지게 회동되어 공간활용효율 높은 경사로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사로 형성장치는 건물입구의 계단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 전방 측에 설치되어 사용시 경사로를 형성하여 구름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상기 계단이나 턱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의 지면에 상방이 개방되게 매립설치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계단 또는 턱에 이격된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을 위한 경사로가 형성되게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경사지게 회동되며 미사용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 또는 상기 지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경사로형성판과,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거나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로 형성판을 회동조작하는 경사로조작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로조작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의 일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길이 신장 및 축소되면서 상기 경사로형성판을 상기 계단 또는 턱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하거나 상기 지면 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에 나란하게 회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실린더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경사로형성판은 상기 계단 또는 턱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회동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경사로 형성판이 이격되어 개방되는 양측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로 형성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하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측부폐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측부폐쇄부는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로형성판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길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경사로형성판 회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계단 또는 턱과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회동궤도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사로형성장치는 상기 경사로 형성판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상기 경사로 형성판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상기 계단 또는 턱에 인접하게 상향경사지게 회동시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회동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타단과 상기 계단 또는 턱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연결판과, 상기 보조연결판과 상기 경사로형성판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회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상기 보조연결판이 회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연결판은 단부에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측면 또는 상면과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롤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로조작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 저면에 장착되며 제1베벨기어가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가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타측에 피니언기어가 장착되는 회전력전달축과, 상부가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저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회동궤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력전달축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상향경사지거나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되도록 승강하는 래크기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경사로 조작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상방으로 완전개방되게 상기 경사로형성판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완전개방조작바와,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완전개방조작바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수평방향에서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 경사지도록 회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 회동시 상기 회전축에 감기면서 상기 완전개방조작바를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당겨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회동을 보조하는 당김와이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사로형성장치는 상기 경사로조작유닛에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상향경사지게 회동 시 내부로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 유입된 물을 흡입하며,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상기 지면에 나란하게 상기 위치복원시 내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베이스프레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로조작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 저면에 장착되며 제1웜휠이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며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웜휠과 치합되는 웜이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단부에 피니언기어가 장착되는 회전력전달축과, 상부가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저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회동궤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력전달축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상향경사지거나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되도록 승강하는 래크기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경사로형성장치는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에 사용시에만 경사로가 형성되게 경사로형성판이 회동되고 미사용시에는 계단 또는 턱 아래의 지면에 나란하게 매립되므로 공간활용효율이 높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로형성장치는 경사로형성판이 상향경사지게 회동 후 위치복원되면서 내부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자동 배출되므로,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사로 형성 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 장치에 대한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 장치에 대한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경사형성판이 경사진 상태에서 회동조작실린더와 배수유닛 사이에서 배수유닛측을 바라본 경사로 형성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경사형성판이 수평한 상태에서 회동조작실린더와 배수유닛 사이에서 배수유닛측을 바라본 경사로 형성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에 대한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에 대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1)는 건물 입구의 계단이나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 전방 측에 매립설치되어 사용시 상부가 회동되어 휠체어나 유모차 등과 같이 구름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계단이나 턱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경사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1)는 베이스프레임(10)과, 경사로형성판(20)과, 힌지결합부(30)와, 경사로조작유닛(40)을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틀로서, 건물 입구의 계단이나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 전방측의 지면에 상방이 개방되게 매립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10)은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1)이 형성된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프레임(10)은 계단이나 턱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로형성판(20)은 지면(g)과 계단 또는 턱(a) 사이에 이동수단(미도시)의 이동을 위한 경사로가 형성되게 타단이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경사지게 회동되며, 미사용시에는 베이스프레임(10)의 상단 또는 지면(g)에 나란하게 회동되는 것으로서, 경사로형성본체(21)와, 제1 및 제2측부폐쇄부(22,24)를 구비한다.
경사로형성본체(21)는 베이스프레임(10)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판상으로, 계단 또는 턱에 멀어지는 방향의 일단이 베이스프레임(10)의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측부폐쇄부(22,24)는 경사로형성본체(21)의 타단이 계단 또는 턱 방향으로 인접하게 상향 경사지게 회동시, 베이스프레임(10)의 상단과 경사로형성본체(21)가 이격되어 개방되는 양측을 폐쇄하는 것으로서, 경사형성본체(21)의 회동방향에 교차되는 경사형성본체(21)의 양측부에 하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제1 및 제2측부폐쇄부(22,24)는 경사로형성본체(2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로형성본체(21)에서 베이스프레임(10)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길게 연장형성된다.
제1 및 제2측부폐쇄부(22,24)는 경사로형성본체(21) 회동시 지면 또는 계단,턱에 간섭되지 않도록, 계단 또는 턱과 마주하는 단부가 경사로형성본체(21)의 회동궤도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경사로형성본체(21)는 제1 및 제2측부폐쇄부(22,24)가 베이스프레임(1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10)보다 큰 폭을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힌지결합부(30)는 일반적인 경첩 형태로서 경사로형성본체(21)의 하면의 일단에 결합된 제1결합부(31)와,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 내주면에 상단에 결합되어 제2결합부(33)와, 제1결합부(31)가 제2결합부(33)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제1결합부(31)와 제2결합부(33)를 연결하는 힌지축(35)를 구비한다.
경사로조작유닛(40)은 경사로형성판(20)의 타단이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지거나 경사로형성판(20)이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 될 수 있도록 경사로형성판(20)을 회동조작한다.
경사로조작유닛(40)은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공간(11)의 일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실린더(42)과, 회동실린더(42)의 내부에 공급되는 유압유 또는 기체에 의해 회동실린더(42)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게 진퇴 가능하게 회동실린더(42)에 일측이 수용되며 타측이 베이스프레임(10)과 마주하는 경사로형성본체(21)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로드(44)를 구비하는 회동실린더유닛(41)과; 회동실린더(42)에 유압유 또는 기체를 공급하는 펌프(미도시)와, 유압유 또는 기제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미도시)와, 펌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를 구비한다.
전원공급부는 태양광 발전장치 또는 풍력발전장치와 같은 자가발전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교환가능한 베터리가 적용될 수도 있으나, 상시적 사용 안정성을 위해 건물이나 도로 인근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에 연결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는 지면상에 설치되는 제1버튼부(48)와, 계단이나 턱 상에 설치되는 제2버튼부(4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버튼부(48,49)는 상호 연결되어 둘 중 어느 하나 한번 누름 시, 회동실린더유닛(41)이 길이 신장되게 회동실린더(42)에 유체가 공급되게 접점이 닫히고, 둘 중 어느 하나 다시 한번 누름 시 경사로형성판(20)의 자중에 의해 회동실린더(42) 내의 유체가 배출되어 회동실린더유닛(41)이 길이 축소되게 접점이 열리는 푸시 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ch)가 각각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형성장치(1)는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에 사용시에만 경사로가 형성되게 경사로형성판(20)이 회동되고 미사용시에는 지면에 나란하게 매립되므로 공간활용효율이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2)는 경사로형성판(20)이 계단 또는 턱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회동시 경사로형성본체(21)의 타단과 계단 또는 턱 사이의 빈 공간을 없앨 수 있도록 경사로형성판(20)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경사로형성판(2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연결판(51)과, 보조연결판(51)과 경사로형성판(20) 사이에 장착된 제2힌지결합부(55) 장착되어 경사로형성판(20)의 회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보조연결판(51)이 회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보조연결판(51)은 경사로형성판(20)이 계단 또는 턱에 인접하게 상향경사지게 회동시 경사로형성판(20)의 회동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계단 또는 턱의 상면에 지지되어 경사로형성판(20)의 타단과 계단 또는 턱 사이를 연결한다.
탄성부재는 경사로형성판(20)이 지면에 나란하게 위치시 경사로형성판(20)으로 회동되지않고 보조연결판(51)이 계단 또는 턱의 측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경사로형성판(20)이 계단 또는 턱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회동시 보조연결판(51)이 계단 또는 턱에 지지되게 보조연결판(51)을 경사로형성판(20)의 회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탄성부재는 일반적인 토션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토션스프링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2)는 보조연결판(51)의 단부에 계단 또는 턱의 측면 또는 상면과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롤러(57)가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3)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3)는 경사로조작유닛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1)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조작유닛(140)은 회전축(141)과, 회전력전달축(145)과, 복수의 래크기어(155)와, 조작바(157)와, 고정핀(159)을 구비한다.
회전축(14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공간(11) 저면 일측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제1베벨기어(143)가 장착되며, 상단에 조작바(157)가 결합되는 결합홈(145)이 형성된다. 회전축(141)은 결합홈(145)에 삽입고정된 조작바(157)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한편, 경사로형성본체(21)는 회전축(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작바(157)가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조작바 진입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바 진입공(28)은 회동되는 경사로형성판(20)에 조작바(157)가 간섭되지 않도록 경사로(s) 방향에 나란하게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력전달축(145)은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공간(11)에서 회전축(141)에 직교하는 방향인 계단이나 턱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가능하게 브라켓(149)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에 제1베벨기어(143)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147)가 장착되어 회전축(141)의 회전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베벨기어에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복수의 피니언기어(148)가 각각 장착된다.
복수의 래크기어(155)는 상부가 경사로형성판(20)의 하면에 장착되며 베이스프레임(10)의 저면방향으로 연장되되 경사로형성판(20)의 회동궤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각각 연장형성된다. 복수의 래크기어(155)는 피니언기어(148)와 치합되어 회전력전달축(145) 회전방향에 따라 경사로형성판(20)이 상향경사지거나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되도록 승강한다.
한편, 경사로 조작유닛(140)은 베이스프레임(10)이 상방으로 완전개방되게 경사로형성판(2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41)에 대응되는 위치의 경사로형성판(20)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완전개방조작바(151)와, 일측이 회전축(141)에 연결되고 타측이 완전개방조작바(151)에 연결되어 경사로형성판(20)이 수평방향에서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 경사지도록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전축(141) 회동시 회전축(141)의 외주면에 감기면서 완전개방조작바(151)를 회전축 방향으로 당겨 경사로형성판(20)의 회동을 보조하는 당김와이어(153)를 구비한다.
고정핀(159)은 경사로형성판이 상향경사지게 상승된 후, 경사진상태가 유지되게 제1 및 제2측부폐쇄부(22,24)에 관통형성된 하강제한공(25)에 삽입되어 경사로 형성판의 하강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3)는 별도의 전원없이 수동으로 사용자가 조작바를 회전시켜 경사로형성판(20)을 회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4)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4)는 경사로조작유닛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1)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조작유닛(240)은 회전축(241)과, 회전력전달축(245)과, 복수의 래크기어(255)와, 조작바(157)와, 고정핀(159)을 구비한다.
회전축(24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공간(11) 저면에 중심측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웜(242)이 형성되며, 상단에 조작바(157)가 결합되는 결합홈(145)이 형성된다. 회전축(241)은 결합홈(145)에 삽입고정된 조작바(157)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한편, 경사로형성본체(21)는 회전축(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작바(157)가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조작바 진입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바 진입공(28)은 회동되는 경사로형성판(20)에 조작바(157)가 간섭되지 않도록 경사로(s) 방향에 나란하게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력전달축(245)은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공간(11)에서 회전축(241)에 직교하는 방향, 즉 계단이나 턱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가능하게 브라켓(149)에 장착되며 중심측에 웜(242)와 치합되는 제1웜휠(247)이 장착되어 회전축(141)의 회전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양측단부에 복수의 피니언기어(148)가 각각 장착된다.
복수의 래크기어(155)는 상부가 경사로형성판(20)의 하면의 폭 방향 양측에 장착되며 베이스프레임(10)의 저면방향으로 연장되되 경사로형성판(20)의 회동궤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각각 연장형성된다. 복수의 래크기어(155)는 피니언기어(148)와 치합되어 회전력전달축(245) 회전방향에 따라 경사로형성판(20)이 상향경사지거나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되도록 승강한다.
한편, 경사로 조작유닛(240)은 베이스프레임(10)이 상방으로 완전개방되게 경사로형성판(2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241)에 대응되는 위치의 경사로형성판(20)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완전개방조작바(151)와, 일측이 회전축(241)에 연결되고 타측이 완전개방조작바(151)에 연결되어 경사로형성판(20)이 수평방향에서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 경사지도록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전축(141) 회동시 회전축(241)의 외주면에 감기면서 완전개방조작바(151)를 회전축 방향으로 당겨 경사로형성판(20)의 회동을 보조하는 당김와이어(15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4)는 별도의 전원없이 수동으로 사용자가 조작부를 회전시켜 경사로형성판(20)을 회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호 치합된 웜과 제1웜휠에 의해 경사로형성판의 회동상태 유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5)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1)의 구조에 배수유닛(500)을 더 구비한다.
배수유닛(500)은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공간(11)에 회동실린더유닛(41)에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경사로형성판(20)이 상향경사지게 상기 회동실린더유닛 길이신장 시 내부로 베이스프레임(10)으로 유입된 물을 흡입하며, 경사로형성판(20)이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실린더유닛(41) 길이 축소시 내부로 유입되 물을 베이스프레임(10) 외부로 배출한다.
배수유닛(500)은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과, 펌핑로드(520)와, 흡입관(530)과, 배출관(540)과, 제1체크밸브(550), 제2체크밸브(560)를 구비한다.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은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공간(11)의 경사로조작유닛(40)에 이격되는 위치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회동결합되는 길이방향의 단부측에 흡입관(530)이 장착되고, 외주면 측에 배출관(540)이 장착된다.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은 길이방향의 타단측으로 개방형성된 내부공간(511)이 형성되며 흡입관(530)과 연통되는 물유입공(512)이 형성되고, 배출관(540)과 연통되는 물배출공(513)이 형성된다.
펌핑로드(520)는 경사로조작유닛(40)에 이격되는 위치에 일단이 경사로형성본체(21)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의 내부공간(511)에 진퇴가능하게 수용된다.
펌핑로드(520)는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의 내부공간(511)에서 진퇴시,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공간(11) 내의 물을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의 내부공간(511)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나,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의 내부공간(511)으로 유입된 물을 베이스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압 형성이 용이하도록, 타측에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의 내부공간(511)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외경이 확장된 외경확장부(521)가 형성된다.
제1체크밸브(550)는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의 물유입공(512)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얇은 박판 형상으로, 일측만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펌핑로드(520)가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연장되게 이동시 물유입공(512)이 열릴 수 있도록 휘어짐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다. 제1체크밸브(550)는 펌핑로드(520)가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축소되게 이동시 펌핑로드(520)의 압력에 의해 물유입공(512)을 폐쇄한다.
제2체크밸브(560)는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의 물배출공(513)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얇은 박판 형상으로, 일측만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의 물배출공(513)에 타측은 걸림턱(515)에 지지되거나 지지해제되게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펌핑로드(520)가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축소되게 이동시 물배출공(512)이 열릴 수 있도록 휘어짐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다. 제2체크밸브(560)는 펌핑로드(520)가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연장되게 이동시 걸림턱(515)에 지지되어 물배출공(513)을 폐쇄한다.
경사로형성판(20)이 상향경사지게 상기 회동실린더유닛 길이신장 시 펌핑로드(520)가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연장되게 이동되면서 제1체크밸브가 휘어지면서 물유입공이 열려 베이스프레임(10) 내의 물이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 내부로 유입된다.
경사로형성판(20)이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실린더유닛(41) 길이축소 시 펌핑로드(520)가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축소되게 이동되면서 제1체크밸브는 가압되어 물유입공(12)에 밀착되고 제2체크밸브가 휘어지면서 물배출공(513)이 열려 흡입 및 배출하우징(510) 내부의 물이 배출관(5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5)는 경사로형성판(20)이 상향 경사지게 회동 후 위치복원 시 베이스프레임(10) 내로 유입된 물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5)는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시된 배수유닛(50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경사로형성장치(1)의 구조에 부가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경사로형성장치(3)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의 경사로 형성장치(4)의 구조에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배수유닛(50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경사로형성장치(3)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의 경사로 형성장치(4)의 각 경사로형성판(20)이 상향 경사진 후 지면에 나란하게 위치복원시 베이스프레임(1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6)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6)는 경사로조작유닛(34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형성장치(1)의 구조와 동일하다.
경사로조작유닛(340)은 리프트유닛(341)과, 리프트유닛을 상하방향으로 길이 신장 또는 길이 축소시키기 위한 조작유닛(355)을 구비한다.
리프트유닛(341)은 베이스프레임(10)의 저면 중심측에서 장착된 제1브라켓(347)에 각 일측이 베이스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며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호 멀어지게 연장된 제1 및 제2연장바(343,344)와; 경사로형성본체(21)의 하면 중심측에서 장착된 제2브라켓(348)에 베이스프레임(10)의 폭 방향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브라켓(347)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브라켓(349)과; 제3브라켓(349)에 각 일측이 베이스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며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호 멀어지게 연장된 제3 및 제4연장바(345,346)와; 베이스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3연장바(343,345)의 타측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축(351)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에 제2연장바(344)와 제4연장바(34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축(352)이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회전부재(342);를 구비한다.
조작유닛(355)은 조인트부재(356)와, 조작바(157)를 구비한다. 조인트부재(356)는 일측이 회전부재(342)의 타단에 장착되며 일측에 대해 일정각도 회동가능한 일반적인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 형태로서 타측은 조작바(157)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경사로형성본체(21)는 경사로형성본체(21)를 관통하는 조작바(157)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조인트부재(356)에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로 형성 방향으로 조작바(157)보다 큰 폭을 가지며 베이스프레임 폭 방향, 즉 계단 또는 턱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조작바진입공(328)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조작바(157)를 회전시키면 조인트부재(356)가 회전되면서 회전부재(342)를 축 회전되면서, 회전부재(342)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축(352)이 고정축(351)에 멀어지거나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내지 제4연장바(343,344,345,346)가 기울기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각각 회동된다. 즉, 이동축(352)이 고정축(351)에 인접해지면 제1 내지 제4연장바(343,344,345,346)가 기울기가 높아지게 회동되면서 경사로형성판(20)이 상향경사지게 회동되고, 이동축이 고정축(351)에 멀어지면 제1 내지 제4연장바(343,344,345,346)가 기울기가 낮아지게 회동되면서 경사로형성판(20)이 지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7)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7)는 조작유닛(355)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형성장치(6)의 구조와 동일하다.
조작유닛(355)은 회전부재(342)의 단부에 장착된 제2베벨기어(147)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공간(11) 저면 일측에 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에 조작바(157)가 결합되는 결합홈(145)이 형성되는 회전축(141)과, 회전축(141)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제2베벨기어(147)와 치합되는 제1베벨기어(143)와, 조작바(157)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의 경사로 형성장치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 예의 경사로 형성장치(3,4)의 구조에 회전축(141,241)에 기어 연결되게 베이스프레임(10) 내에 장착되어 회전축(141,24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의 조작을 위해 지면 또는 계단의 상면에 고정장착되는 제1 및 제2버튼부(48,49)를 더 구비하여 경사로형성판(20)이 사용자의 수동조작 또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는 제1 또는 제2버튼부(48,49)의 일회 누름 시마다 회전축(141,241)의 회전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구동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의 경사로 형성장치는 본 발명의 제6 또는 제7실시 예의 경사로 형성장치(6,7)의 구조에 회전부재(342)에 축 연결되게 베이스프레임(10) 내에 장착되어 회전부재(34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의 조작을 위해 지면 또는 계단의 상면에 고정장착되는 제1 및 제2버튼부(48,49)를 더 구비하여, 경사로형성판(20)이 사용자의 수동조작 또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는 제1 또는 제2버튼부(48,49)의 일회 누름 시마다 회전ㅂ부재(342)의 회전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구동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구조에 조작부의 제1 및 제2버튼부(48,49) 없이, 감지센서(610)와 제어부(620)를 더 구비하여 자동으로 구동되게 적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610)는 경사로형성판(20)에 인접한 지면 및 계단 또는 턱의 상면 측에 매립설치되어 보행자나 휠체어나 유모차와 같은 이동수단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한다. 감지센서는 물체가 접근해 왔을 때 위치를 검출하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또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load cell), 또는 발광된 레이저가 물체에 맞고 돌아오는 것을 감지하는 일반적인 포토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다. 제어부(620)는 감지센서로부터 설정된 값 이상의 신호를 전달받으면 회동실린더유닛(41)이 신장되어 경사로형성판(20)이 경사지게 전원공급부(630)의 전원을 경사로조작유닛(40)의 펌프에 인가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1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는 수동뿐만 아니라 자동으로도 구동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6 또는 제7실시 예의 경사로 형성장치(6,7)의 구조에 회전부재(342)에 축 연결되게 베이스프레임(10) 내에 장착되는 경사로조작유닛의 구동모터(미도시)와, 감지센서(610)와, 제어부(620)와 및 전원공급부(6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 장치(3)의 구조에 제1베벨기어(143)와 치합되는 제3베벨기어(미도시)가 단부에 장착된 구동축(미도시)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감지센서(610)와, 구동모터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620)와 및 전원공급부(630)가 더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3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형성 장치(4)의 구조에 웜(242)을 사이에 두고 제1웜휠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웜(242)과 치합되는 제2웜휠(미도시)과, 제2웜휠을 관통하는 구동축(미도시)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감지센서(610)와, 구동모터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620)와 및 전원공급부(630)가 더 구비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형성장치는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에 사용시에만 경사로가 형성되게 경사로형성판(20)이 회동되고 미사용시에는 계단 또는 턱 아래의 지면에 나란하게 매립되므로 공간활용효율이 높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형성장치는 경사로형성판(20)이 상향경사지게 회동 후 위치복원되면서 내부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자동 배출되므로,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형성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3 : 경사로 형성장치 10 : 베이스프레임
20 : 경사로형성판 21 : 경사로형성본체
22 : 제1측부폐쇄부 24 : 제2측부폐쇄부
30 : 힌지결합부 40, 140 : 경사로조작유닛
41 : 회동실린더유닛 42 : 회동실린더
44 : 승강로드 141 : 회전축
145 : 회전력전달축 155 : 래크기어
157 : 조작바 159 : 고정핀

Claims (10)

  1. 건물입구의 계단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 전방 측에 설치되어 사용시 경사로를 형성하여 구름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상기 계단이나 턱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경사로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의 지면에 상방이 개방되게 매립설치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계단 또는 턱에 이격된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을 위한 경사로가 형성되게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경사지게 회동되며 미사용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 또는 상기 지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경사로형성판과,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거나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로 형성판을 회동조작하는 경사로조작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로조작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 저면에 장착되며 제1베벨기어가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가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타측에 피니언기어가 장착되는 회전력전달축과,
    상부가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저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회동궤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력전달축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상향경사지거나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되도록 승강하는 래크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로 조작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상방으로 완전개방되게 상기 경사로형성판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완전개방조작바와,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완전개방조작바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수평방향에서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 경사지도록 회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 회동시 상기 회전축에 감기면서 상기 완전개방조작바를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당겨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회동을 보조하는 당김와이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건물입구의 계단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 전방 측에 설치되어 사용시 경사로를 형성하여 구름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상기 계단이나 턱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경사로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의 지면에 상방이 개방되게 매립설치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계단 또는 턱에 이격된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을 위한 경사로가 형성되게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경사지게 회동되며 미사용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 또는 상기 지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경사로형성판과;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거나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로 형성판을 회동조작하는 경사로조작유닛과;
    상기 경사로조작유닛에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상향 경사지게 회동시 내부로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 유입된 물을 흡입하며,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상기 지면에 나란하게 위치복원시 내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베이스프레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배수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공간의 상기 경사로 조작유닛에 이격되는 위치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 측으로 개방형성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동결합되는 길이방향의 단부측에 장착되는 흡입관과 연통되는 물유입공과, 외주면 측에 장착되는 배출관과 연통되는 물배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흡입 및 배출하우징과;
    상기 경사로조작유닛에 이격되는 위치에 일단이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상기 흡입 및 배출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는 펌핑로드와;
    상기 물유입공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흡입 및 배출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펌핑로드가 상기 흡입 및 배출하우징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연장되게 이동시 상기 물유입공을 개방하고, 상기 펌핑로드가 상기 흡입 및 배출하우징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축소되게 이동시 상기 물유입공을 폐쇄하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물배출공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흡입 및 배출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펌핑로드가 상기 흡입 및 배출하우징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축소되게 이동시 상기 물배출공을 개방하고, 상기 펌핑로드가 상기 흡입 및 배출하우징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연장되게 이동시 상기 물배출공을 폐쇄하는 제2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형성장치.
  10. 건물입구의 계단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 전방 측에 설치되어 사용시 경사로를 형성하여 구름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상기 계단이나 턱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경사로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의 지면에 상방이 개방되게 매립설치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계단 또는 턱에 이격된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을 위한 경사로가 형성되게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경사지게 회동되며 미사용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 또는 상기 지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경사로형성판과,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거나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로 형성판을 회동조작하는 경사로조작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로조작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저면에서 장착된 제1브라켓에 각 일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며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호 멀어지게 연장된 제1 및 제2연장바와;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중심측에 장착된 제2브라켓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폭 방향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브라켓과; 상기 제3브라켓에 각 일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며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호 멀어지게 연장된 제3 및 제4연장바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3연장바의 타측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축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에 상기 제2연장바와 상기 제4연장바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축이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리프트유닛과;
    일측이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며 일측에 대해 일정각도 회동가능한 조인트부재와, 상기 경사로형성판을 관통하여 상기 조인트부재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조인트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조작바를 포함하는 조작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로형성판은
    관통하는 상기 조작바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인트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로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바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경사로에 교차하는 방향인 상기 베이스프레임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형태의 조작바진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형성장치.
KR1020180110451A 2018-09-14 2018-09-14 경사로 형성 장치 KR10208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451A KR102082852B1 (ko) 2018-09-14 2018-09-14 경사로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451A KR102082852B1 (ko) 2018-09-14 2018-09-14 경사로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852B1 true KR102082852B1 (ko) 2020-02-28

Family

ID=6963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451A KR102082852B1 (ko) 2018-09-14 2018-09-14 경사로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8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602B1 (ko) 2021-12-22 2023-03-10 길근영 경사로 형성 장치
KR20230053146A (ko) 2021-10-14 2023-04-21 김근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KR102651650B1 (ko) 2023-10-04 2024-03-26 김근수 선택적 경사면 조절 기능을 구비한 경사로 높이 조절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683A (ja) * 1992-01-23 1993-08-10 Toshiba Corp エスカレータの踏段装置
JPH09279795A (ja) * 1996-04-12 1997-10-28 Sekisui Chem Co Ltd 床段差解消装置
JPH10292600A (ja) * 1997-04-18 1998-11-04 Sumitomo Forestry Co Ltd 玄関スロープ
KR200232422Y1 (ko) 2001-02-19 2001-09-29 권중한 계단용 경사구
JP2002038677A (ja) * 2000-07-25 2002-02-06 Fukuda Teruko バリアフリー框
KR200472114Y1 (ko) 2013-03-14 2014-04-07 윤광주 계단 경사로 장치
KR20150035661A (ko) * 2013-09-28 2015-04-07 박인호 전자파 차폐룸 입구용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683A (ja) * 1992-01-23 1993-08-10 Toshiba Corp エスカレータの踏段装置
JPH09279795A (ja) * 1996-04-12 1997-10-28 Sekisui Chem Co Ltd 床段差解消装置
JPH10292600A (ja) * 1997-04-18 1998-11-04 Sumitomo Forestry Co Ltd 玄関スロープ
JP2002038677A (ja) * 2000-07-25 2002-02-06 Fukuda Teruko バリアフリー框
KR200232422Y1 (ko) 2001-02-19 2001-09-29 권중한 계단용 경사구
KR200472114Y1 (ko) 2013-03-14 2014-04-07 윤광주 계단 경사로 장치
KR20150035661A (ko) * 2013-09-28 2015-04-07 박인호 전자파 차폐룸 입구용 승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146A (ko) 2021-10-14 2023-04-21 김근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KR102508602B1 (ko) 2021-12-22 2023-03-10 길근영 경사로 형성 장치
KR102651650B1 (ko) 2023-10-04 2024-03-26 김근수 선택적 경사면 조절 기능을 구비한 경사로 높이 조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852B1 (ko) 경사로 형성 장치
US7316405B2 (en) Stair-climbing apparatus
GB2553639B (en) Motorized handling truck
US6857490B2 (en) Stair-climbing wheelchair
CN104970931B (zh) 一种多功能电动轮椅车
US4790548A (en) Climbing and descending vehicle
TWI468155B (zh) 電動輪椅
ES2713689T3 (es) Dispositivo de ayuda a la superación de un obstáculo por un vehículo
CN204016663U (zh) 自动轮椅
KR101238808B1 (ko)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KR101179804B1 (ko) 자동 핸드 카트
RU2660805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ца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физически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CN101085621A (zh) 一种便携式半自动爬楼梯小车
CA2757551A1 (en) Assembly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with a wheelchair
KR101694855B1 (ko) 경사로용 휠체어 보조장치
US7350254B2 (en) Bridging apparatus
KR20180112592A (ko) 계단 승강용 리프트
CN211844670U (zh) 履带爬楼车
ES2813443A1 (es) Carretilla de manejo de mercancias motorizada
CN205737633U (zh) 一种太阳能助力滑撬式爬楼车
DE19816879A1 (de) Treppensteigender Rollstuhl
CN105835922A (zh) 一种太阳能助力滑撬式爬楼车
CN112120855A (zh) 一种可折叠型电动爬楼椅
CN207374541U (zh) 楼梯攀爬小车
CN206814205U (zh) 翻转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