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808B1 -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 Google Patents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808B1
KR101238808B1 KR1020120095536A KR20120095536A KR101238808B1 KR 101238808 B1 KR101238808 B1 KR 101238808B1 KR 1020120095536 A KR1020120095536 A KR 1020120095536A KR 20120095536 A KR20120095536 A KR 20120095536A KR 101238808 B1 KR101238808 B1 KR 10123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icycle
cylinder
plate
st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Priority to KR102012009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입출입하는 사람들이 자전거를 소지한 경우와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 상관없이 사용이 용이한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에 관한 것이며, 디딤판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의 단벽 내부에 설치되고 단벽 내부에서 디딤판의 전면 외부를 향해 확장 또는 수축되는 실린더 로드가 구비되는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고 측면에는 실린더 로드의 확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바퀴가 구비된 이동본체와, 이동본체의 전면 하부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실린더 로드의 확장 시 계단의 경사방향으로 회전되는 블록판과, 이동본체와 블록판 사이에서 블록판을 이동본체의 지지대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재를 포함하는 자전거블록과;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력탱크와; 실린더가 확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공급하는 각각의 제어밸브와; 작동스위치와; 제어부;를 이용해 실현 가능하고, 일반 보행자들이 계단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계단의 폭이 좁아지지 않는 것은 물론, 자전거를 소지한 보행자들이 이용하는데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용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입출입하는 사람들이 자전거를 소지한 경우와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 상관없이 사용이 용이한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환경문제와 개인의 건강문제가 큰 관심을 가지면서 친환경 교통수단이고 장거리 이동 시 운동도 겸해서 할 수 있는 자전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자전거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자전거 전용도로 확충과 공용자전거의 보급 등과 같은 사업을 통해 자전거의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건축물은 자전거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었기에 이들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자전거를 휴대한 경우에 여러 불편함이 있게 마련이며, 이중 계단을 이용하는 경우에 그 불편함이 더욱 가중된다.
이는 기존 건축물들의 계단들이 자전거의 이용을 감안하지 않은데 따른 것으로, 자전거를 가지고 계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전거를 들고 이동하던지, 아니면 자전거를 천천히 이동시키면서 계단을 이동해야만 했다.
따라서 근래 자전거의 생활화가 급속히 증가되면서 건축물의 계단에는 자전거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블록이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존의 계단에는 블록을 형성시킬 수 있는 블록을 시공하여 자전거의 통행이 자유로워지게 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기존 건축물의 경우에는 양측으로 두 명의 사람이 교차해서 지나갈 정도의 폭으로 제작된 경우가 많고, 이처럼 좁은 계단에 자전거블록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계단의 폭이 좁아져 사람의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계단에 설치되는 자전거용 블록은 최대한 계단의 양측 단부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처럼 자전거용 블록이 계단의 양측 단부에 밀착되는 경우 자전거 이용자는 계단을 이용할 때 자전거를 비스듬히 기울여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더러는 자전거를 잡는 힘과 자전거를 기울이는 힘이 부족하여 자전거 이용자가 계단에서 넘어지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5723호 공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9863호 공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8640호 공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6080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일반 보행자들도 이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자전거를 동반한 이용자들도 자전거를 이동시키는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계단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의 노후화된 건물에서도 일반이용자들과 자전거를 소지한 이용자들이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의 사이 또는 건축물과 외부 사이의 이격된 높이에 디딤판들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디딤판의 측면에는 디딤판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로 난간이 설치되며, 사용자들이 디딤판을 밟고 상하로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계단에 있어서, 디딤판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의 단벽 내부에 설치되고 단벽 내부에서 디딤판의 전면 외부를 향해 확장 또는 수축되는 실린더 로드가 구비되는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고 측면에는 실린더 로드의 확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바퀴가 구비된 이동본체와, 이동본체의 전면 하부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실린더 로드의 확장 시 계단의 경사방향으로 회전되는 블록판과, 이동본체와 블록판 사이에서 블록판을 이동본체의 지지대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재를 포함하는 자전거블록과; 자전거블록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력탱크와; 압력탱크 내부의 압축공기를 자전거블록의 실린더가 확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공급하는 각각의 제어밸브와; 계단난간의 손잡이 상부와 하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와; 작동스위치와 신호전달되어 작동스위치의 작동 여부가 전달되고,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로 작동스위치의 작동시간을 측정하며, 작동스위치가 작동되면 실린더가 확장되는 방향의 제어밸브를 작동시키고, 타이머에 의해 작동스위치가 작동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시간과 측정된 시간이 일치하면 실린더가 수축되는 방향의 제어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실린더가 완전히 확장되면 블록판의 상부면은 상부와 하부의 디딤판의 전면 모서리와 동일한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으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블록판은 이동본체와 힌지결합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블록본체와, 블록본체의 측면에 결합핀에 의해 회동되게 결합되는 가이드판으로 구성되고, 블록본체와 가이드판의 사이에는 가이드판을 블록본체와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이동본체 상부에 구비된 지지대는 블록본체가 계단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유지하도록 블록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대와, 중앙지지대의 측면에서 외부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판이 블록본체의 측면에서 측면 상부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가이드 지지대로 구성되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으로 실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일반 보행자들이 계단을 이용하는데 전혀 불편하지 않은 효과와, 자전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도 자전거를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폭이 좁은 계단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노후된 건축물에서도 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의 자전거블록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계단에 자전거블록이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자전거블록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자전거블록 중 블록판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자전거블록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자전거블록의 실린더가 수축된 상태에서 자전거블록이 계단의 단벽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자전거블록이 계단의 단벽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자전거블록의 실린더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확장된 자전거블록이 디딤판 외부로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1: 이하, 계단이라 함)은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 또는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이격된 높이의 평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계단(1)은 디딤판(10)들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디딤판(10)의 양 측면에는 계단(1)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로 설치되는 기둥(32)과 기둥(32)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손잡이(31)로 구성된 난간(30)이 설치되며, 디딤판(10)과 디딤판(10) 사이의 수직부인 단벽(20)에는 자전거블록(40)이 내부에 수납되게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자전거블록(40)은 실린더(100), 블록판(300), 이동본체(200) 및 탄성재(400)로 구성되고, 계단(1)을 구성하는 단벽(20) 내부에서 외부로 입출되게 설치된다.
자전거블록(40)을 구성하는 실린더(100)는 단벽(20)의 내부에 설치되되 디딤판(1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입출되어 확장 또는 수축되는 실린더 로드(110)가 구비된다. 이때 실린더 로드(110)는 전면이 디딤판(10)을 향해 입출되게 설치된다.
실린더 로드(110)의 전면에는 이동본체(200)가 설치되고, 이동본체(200)의 양측에는 실린더 로드(110)가 확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바퀴(210)가 구비되며, 이동본체(200)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대(220)가 구비된다.
이동본체(200)의 전면 하부에는 블록판(30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블록판(300)은 이동본체(200)와 체결되는 부분에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브라켓(301)이 구비되고, 브라켓(301)은 이동본체(200)의 전면 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축(30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축(302)을 중심으로 브라켓(301)이 회전되는 구조를 띠게 된다.
더불어 이동본체(200)와 블록판(300)의 사이에는 탄성재(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재(400)는 블록판(300)을 이동본체(200)의 후방으로 가압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탄성재(400)의 설치위치는 블록판(300)을 이동본체(200)의 후방으로 밀어낼 수 있는 위치이면 어떠한 위치에 설치되든지 무관하다.
이처럼 구성된 자전거블록(40)은 압축공기의 공급에 의해 실린더(100)가 확장 또는 수축되면서 작동되는 것으로서, 계단(1)의 하부나 계단(1)과 인접한 곳에는 실린더(10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력탱크(5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력탱크(50)는 일반적인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압력탱크(50)에는 압력탱크(5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 뒤 압력탱크(5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작동되어 압력탱크(5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펌프(P)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공압펌프(P)와 압력탱크(50)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압력탱크(50) 내부의 압축공기는 실린더(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제어밸브(60)에 의해 공급된다. 따라서 압력탱크(50)와 실린더(100) 사이에는 실린더 로드(110)를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배관(L1)과 실린더 로드(110)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관(L2)이 설치되고, 이들 배관(L1,L2)에는 각각 제어밸브(61,6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밸브(60)는 제어부(80)에서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80)는 제어밸브(60)를 조작하여 자전거가 이동되는 순간에만 자전거블록(40)이 펼쳐지게 하고, 자전거가 이동되지 않을 때에는 자전거블록(40)을 단벽(20) 하부로 수납시켜 일반인들이 계단(1)을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자전거 이용자가 계단(1)을 이용하고자 할 때 제어부(80)에 신호를 보내는 작동스위치(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동스위치(70)는 계단(1)의 난간(3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난간(30)의 손잡이(31) 상부와 하부의 단부에는 제어부(80)와 신호교환되는 작동스위치(7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스위치(70)에 의해 작동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80)는 자전거블록(40)이 펼쳐지도록 제어밸브(61)를 개방하여 압축공기가 실린더(100)의 확장되는 방향으로 공급되게 하고, 실린더(100)가 확장되면서 이동본체(200)와 블록판(300)이 돌출되며 펼쳐지게 한 뒤 제어밸브(61)를 폐쇄한다.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80)는 압축공기가 실린더(100)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제어밸브(62)를 개방해야 한다. 따라서 자전거가 계단(1)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시간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타이머(8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전거가 계단(1)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산출은 계단(1)의 높이와 길이를 감안하여 일반적인 사용자가 자전거를 끌고 이동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의미하며, 이 시간은 메모리(8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1)의 작동을 다시 살펴보면, 자전거 이용자가 자전거와 함께 계단(1)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계단(1)의 앞에서 작동스위치(70)를 누른다.
작동스위치(70)가 눌리면 작동스위치(70)에서는 제어부(80)에 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80)에서는 작동스위치(70)에서 제공된 신호를 기반으로 자전거가 계단(1)을 통과하려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후, 제어부(80)는 압력탱크(50)와 실린더(10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L1,L2) 중 실린더(100)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배관(L1)의 제어밸브(61)를 개방하여, 압력탱크(50) 내부의 압축공기가 실린더(100)를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공급되게 하고, 압축공기에 의해 실린더(100)가 완전히 확장되면 다시 제어밸브(61)를 폐쇄한다.
실린더(100)들이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확장되면 실린더 로드(110)의 단부에 구비된 이동본체(200)는 양측 바퀴(210)가 구르며 디딤판(10) 상부의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블록판(300)은 탄성재(400)에 의해 이동본체(200)의 상부로 회전되면 눕게 된다.
그러나 블록판(300)은 이동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대(220)에 의해 계단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 이상으로는 누울 수 없어, 최종적으로는 계단(1)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에서 정지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 로드(110)가 확장되는 거리 역시 블록판(300)의 상부면을 지나는 연장선과 디딤판(10)의 모서리(11)들을 연결하는 연장선인 계단(1)의 경사면이 일치되는 지점까지만 확장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 로드(110)의 확장으로 블록판(300)은 디딤판(10)의 모서리(11)들을 연결하는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에 회전되어 펼쳐지게 되고, 이 경사면은 자전거의 바퀴(210)가 지나가기에 충분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자전거블록(40)이 완성되고 자전거가 지나간 뒤 제어부(80)에서는 실린더(100)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작동되게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80)에서는 메모리(82)에 저장된 시간을 기준으로 작동스위치(70)가 눌린 시간으로부터 메모리(82)에 저장된 시간만큼 시간이 경과 하였는지를 타이머(81)를 통해 확인하고, 타이머(81)의 시간이 메모리(82)의 시간을 초과하는 순간 실린더(100)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배관(L2)의 제어밸브(62)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압축공기가 실린더(100)로 공급되어 실린더 로드(110)가 실린더(100) 내부로 삽입되고, 실린더 로드(1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어부(80)는 다시 제어밸브(62)를 폐쇄한다.
실린더(100)가 수축되면, 실린더 로드(1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동본체(200)가 단벽(2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블록판(300)은 이동본체(200)가 단벽(20)의 내부로 수납되는 것과 동시에 단벽(20)의 걸림턱(21)의 저면에 걸려 점차 상승하게 되고, 수직인 상태를 이루게 되어 자전거를 소지하지 않은 일반 보행자들이 계단(1)을 이용할 때 발에 걸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제어부(80)는 실린더(100)를 확장시키는 방향의 배관(L1)에 구비된 제어밸브(61)와 실린더(100)를 수축시키는 방향의 배관(L2)에 구비된 제어밸브(62)를 일정시간 개방한 뒤 다시 폐쇄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이때, 제어밸브(61,62)들을 개폐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제어부(80)에 포함된 메모리(82)와 타이머(81)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서, 메모리(82)에는 실린더 로드(110)가 확장되는데 걸리는 시간과 수축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부(80)는 이들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린더 로드(110)가 완전히 확장된 것 또는 완전히 수축된 것으로 간주하여 제어밸브(60)의 개폐를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1)의 블록판(300)은 측면에 가이드판(3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판(300)은 블록본체(310)와 가이드판(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블록본체(310)는 이동본체(200)와 회전축(302)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블록본체(310)의 하부에 브라켓(30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320)은 블록본체(31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블록본체(310)와 가이드판(320)은 서로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311,321)을 관통하여 결합된 뒤 나사(341)에 의해 고정되는 결합핀(34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블록본체(310)와 가이드판(320)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서로가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스프링(330)이 구비된다. 이때 사용되는 스프링(330)은 저탄성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당한 탄성력은 블록본체(310)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가이드판(320)이 블록본체(310)와 수직방향에서 평행을 이룰 수 있을 정도이면서 가이드판(320)의 무게를 지탱하지는 모할 정도의 탄성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또한, 이동본체(200)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대(220)도 블록본체(310)를 지지하는 중앙지지대(221)와 가이드판(320)을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대(222)로 구성된다.
이때 중앙지지대(221)는 블록본체(310)가 계단(1)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에서 정지되도록 이동본체(20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지지대(222)는 중앙지지대(221)의 측면에서 외부로 경사진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서, 가이드판(320)의 저면이 면접촉되면서 회전되어 결합핀(34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블록본체(31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상부를 향해 회전되게 한다.
이처럼 블록판(300)이 블록본체(310)와 가이드판(320)으로 구성되고, 블록본체(310)가 계단(1)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로 누울 때 가이드판(320)이 블록본체(310)의 측면으로 세워지는 자전거블록(40)은 자전거 이용자가 자전거를 가지고 계단(1)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자전거의 바퀴(210)가 자전거블록(40)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에서 블록판(300)이 단벽(20)에 접촉되어 수납될 때에는 블록본체(310)가 지지대(220)에서 들리는 것과 동시에 가이드판(320) 역시 가이드 지지대(222)에서 분리되게 되고, 블록본체(31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서 가이드판(320) 역시 블록본체(3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또한 블록본체(310)가 수직으로 세워진 뒤에는 블록본체(310) 양측의 가이드판(320)은 스프링(330)의 탄성에 의해 단벽(20)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블록본체(310)와 평행한 방향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만 한다.
10: 디딤판 11: 모서리
20: 단벽 21: 걸림턱
30: 난간 31: 손잡이
40: 자전거블록 50: 압력탱크
60: 제어밸브 70: 작동스위치
80: 제어부 81: 타이머
100: 실린더 110: 실린더 로드
200: 이동본체 210: 바퀴
220: 지지대 221: 중앙지지대
222: 가이드 지지대 300: 블록판
301: 브라켓 302: 회전축
310: 블록본체 320: 가이드판
330: 스프링 340: 결합핀
400: 탄성재

Claims (2)

  1.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의 사이 또는 건축물과 외부 사이의 이격된 높이에 디딤판들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디딤판의 측면에는 디딤판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로 난간이 설치되며, 사용자들이 디딤판을 밟고 상하로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계단에 있어서,
    디딤판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의 단벽 내부에 설치되고 단벽 내부에서 디딤판의 전면 외부를 향해 확장 또는 수축되는 실린더 로드가 구비되는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고 측면에는 실린더 로드의 확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바퀴가 구비된 이동본체와,
    이동본체의 전면 하부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실린더 로드의 확장 시 계단의 경사방향으로 회전되는 블록판과,
    이동본체와 블록판 사이에서 블록판을 이동본체의 지지대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재를 포함하는 자전거블록과;
    자전거블록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력탱크와;
    압력탱크 내부의 압축공기를 자전거블록의 실린더가 확장 또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공급하는 각각의 제어밸브와;
    계단난간의 손잡이 상부와 하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와;
    작동스위치와 신호전달되어 작동스위치의 작동 여부가 전달되고,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로 작동스위치의 작동시간을 측정하며, 작동스위치가 작동되면 실린더가 확장되는 방향의 제어밸브를 작동시키고, 타이머에 의해 작동스위치가 작동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시간과 측정된 시간이 일치하면 실린더가 수축되는 방향의 제어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실린더가 완전히 확장되면 블록판의 상부면은 상부와 하부의 디딤판의 전면 모서리와 동일한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블록판은 이동본체와 힌지결합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블록본체와, 블록본체의 측면에 결합핀에 의해 회동되게 결합되는 가이드판으로 구성되고, 블록본체와 가이드판의 사이에는 가이드판을 블록본체와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이동본체 상부에 구비된 지지대는 블록본체가 계단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유지하도록 블록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대와, 중앙지지대의 측면에서 외부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판이 블록본체의 측면에서 측면 상부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가이드 지지대로 구성되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KR1020120095536A 2012-08-30 2012-08-30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KR10123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36A KR101238808B1 (ko) 2012-08-30 2012-08-30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36A KR101238808B1 (ko) 2012-08-30 2012-08-30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808B1 true KR101238808B1 (ko) 2013-03-04

Family

ID=4818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536A KR101238808B1 (ko) 2012-08-30 2012-08-30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80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260B1 (ko) 2017-01-31 2017-06-14 주식회사 예인종합건축사사무소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KR102158222B1 (ko) 2020-03-12 2020-09-21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172668B1 (ko) 2020-07-09 2020-11-02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286126B1 (ko) 2021-03-12 2021-08-06 (주)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329451B1 (ko) 2021-06-08 2021-11-23 주식회사 성진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343195B1 (ko) 2020-12-23 2021-12-24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405196B1 (ko) 2021-07-26 2022-06-07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464551B1 (ko) 2022-06-28 2022-11-10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43B1 (ko) 2006-09-27 2006-12-15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JP3162555U (ja) * 2010-04-27 2010-09-09 エアーポート物流株式会社 段差のバリアフリー用歩み板
KR20110015281A (ko) * 2009-08-07 2011-02-15 김한솔 경사로 변환 가변 계단
KR101098915B1 (ko) 2011-04-28 2011-12-27 석송희 자전거레일을 포함하는 하천용 징검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43B1 (ko) 2006-09-27 2006-12-15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20110015281A (ko) * 2009-08-07 2011-02-15 김한솔 경사로 변환 가변 계단
JP3162555U (ja) * 2010-04-27 2010-09-09 エアーポート物流株式会社 段差のバリアフリー用歩み板
KR101098915B1 (ko) 2011-04-28 2011-12-27 석송희 자전거레일을 포함하는 하천용 징검다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260B1 (ko) 2017-01-31 2017-06-14 주식회사 예인종합건축사사무소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KR102158222B1 (ko) 2020-03-12 2020-09-21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172668B1 (ko) 2020-07-09 2020-11-02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343195B1 (ko) 2020-12-23 2021-12-24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286126B1 (ko) 2021-03-12 2021-08-06 (주)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329451B1 (ko) 2021-06-08 2021-11-23 주식회사 성진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405196B1 (ko) 2021-07-26 2022-06-07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2464551B1 (ko) 2022-06-28 2022-11-10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808B1 (ko)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CA2663378C (en) Adjustable toilet lift
US20120005972A1 (en) Folding loft stair assembly
JP2006042792A (ja) 愛玩動物侵入規制用柵
US4768239A (en) Bath lift device
KR102082852B1 (ko) 경사로 형성 장치
US10226156B2 (en) Toilet seat controller
KR101275761B1 (ko) 자전거레일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AU2021215192B2 (en) Temporary Stairway with Void Cover
CN205421757U (zh) 便捷式轮椅台阶梯
AU2021396573A1 (en) Device for helping a vehicle to negotiate an obstacle
KR101563622B1 (ko) 리프트발판이 설치된 강연대
KR200331743Y1 (ko) 이동식 화장실
KR100605563B1 (ko) 이동식 용적가변형 구조물
KR200368189Y1 (ko) 휠체어용 계단보조구
JP2006197948A (ja) 愛玩動物侵入規制用柵
KR101238816B1 (ko) 자전거레일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KR200311792Y1 (ko) 개폐가 용이한 매설형 소화전의 맨홀뚜껑
CN209815445U (zh) 爬楼装置、楼梯以及爬楼系统
JP2008237228A (ja) 愛玩動物侵入規制用柵
CN210947473U (zh) 一种方便搬运的楼梯
CA2583625C (en) Foldable habitation
KR20220161707A (ko) 광고기능을 가지는 경사로
CN205617922U (zh) 一种城市建设用的施工围挡
JP2006346236A (ja) 浴槽兼用シャワー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