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680B1 -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680B1
KR102082680B1 KR1020190090925A KR20190090925A KR102082680B1 KR 102082680 B1 KR102082680 B1 KR 102082680B1 KR 1020190090925 A KR1020190090925 A KR 1020190090925A KR 20190090925 A KR20190090925 A KR 20190090925A KR 102082680 B1 KR102082680 B1 KR 10208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information
driving
g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운모
홍성열
양그루
Original Assignee
캐롯손해보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롯손해보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캐롯손해보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02Rotary gyrosc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2Indicating direction only, e.g. by weather vane
    • G01P13/04Indicating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of a linear movement or clockwise or anti-clockwise direction of a rotational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03Kinematic accelerometers, i.e. measuring acceleration in relation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e.g. Ferratis accele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에 탈착 정보를 센싱하며, 상기 자동차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며, 운전자의 운전 패턴에 따른 동작 정보를 센싱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드라이빙 태그 유닛; 및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으로부터 상기 탈착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산출하여 보험료를 산출하는 IPMS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Automated system for estimating insurance premium based on trip information of vehicle}
본 발명은 보험료 자동 산출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자동차 운전자의 운전 패턴과 자동차의 트립 정보는 물론 자동차의 트립 정보에 치팅이 발생하는 것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 보험료의 자동 산출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금융감독원이 2018년 4월 18일에 발표한 '2017년 자동차보험 사업실적 및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보험 시장 규모(원수보험료 기준)는 16조8천165억원을 기록, 2016년(16조3천778억원) 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39.1%)이나 2015년(8.8%), 2016년(11.3%)에 비하면 자동차보험 증가율은 다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난해 자동차 등록 대수 증가율이 3.3%로 2016년 증가율(3.9%)보다 둔화했고, 손해율 개선으로 보험료 경쟁이 심화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자동차 보험 산업 및 시장의 추이는 기존의 보험설계사 등의 오프라인을 통해서 이루어지던 것이, 인터넷 등을 통한 이른바 온라인으로 보험신청인이 직접 신청하는 서비스인 이른바, 다이렉트 보험이 대중화에서 필수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 보험 상품과 IT, ICT, IoT 기술이 접목되어 다양한 보험 상품, 보험료 산정에 관한 기술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자동차 유지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등록번호 제10-0771645호)"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보험료 산출 및 차량 운행관리 시스템(등록번호 제10-0460319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대리 운전자 보험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공개번호 제10-2004-0027130호),"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에서 차량의 안전 운행 지수 산정 방법,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등록번호 제10-1497988호)," "운전자 통합 보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등록번호 제10-1502155호)," "차량 센싱 장치 기반 안전운전 성향정보를 반영한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공개번호 제10-2015-0084250호)," "운전습관 연계보험을 위한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등록번호 제10-1840446호),"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등록번호 제10-1769102호)," 또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운전자 기반 자동차 보험 요금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P2P 자동차 공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공개번호 제10-2019-0071065호)"들도 존재한다.
종래의 공개 기술들은 차량 내 단말기, 스마트폰 등의 자원을 활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분석하거나, 차량의 상태, 컨디션, 주행거리 등을 분석하여 보험료 산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점은 공통되나, 스마트폰의 활용을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배터리 낭비, 스마트폰의 수명 단축, 스마트폰의 기타 활용시에 데이터 전송의 끊김 문제 등의 문제가 많이 존재하였다.
차량 내 시스템의 활용을 수반하는 경우, 차량 시스템과의 연동 문제나, 차량 시스템의 정보 인소싱의 과정에서 차량 시스템 자체의 오동작 문제 등의 우려로 인하여 실제로 구현하기에는 많은 부분의 실무적 2차적 문제점들을 개선해야하는 부분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10-0771645호 등록번호 제10-0460319호 공개번호 제10-2004-0027130호 등록번호 제10-1497988호 등록번호 제10-1502155호 공개번호 제10-2015-0084250호 등록번호 제10-1840446호 등록번호 제10-1769102호 공개번호 제10-2019-0071065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운전자의 운전패턴에만 매몰되지 않고, 운전시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통해 보험료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운전자 및 자동차의 상황에 따라 보험료를 정기적으로 후불로 산출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주기적으로 운전에 대한 새로운 목표 의식을 가지도록 한다.
셋째, 운전자는 자신의 운전 습관의 교정을 통해 사고율을 낮춤과 동시에 자신의 보험료도 할인 받을 수 있도록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에 탈착 정보를 센싱하며, 상기 자동차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으며, 운전자의 운전 패턴에 따른 동작 정보를 센싱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드라이빙 태그 유닛; 및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으로부터 상기 탈착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산출하여 보험료를 산출하는 IPMS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경우,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정보를 인식하는 GPS 센싱부;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외부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자동차 내에 장착 혹은 탈거를 인식하게 되는 탈착 인식부; 상기 자동차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전자적인 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자동차의 가속 정보, 회전 정보를 센싱하는 동작 센싱부; 및 상기 GPS 센싱부, 상기 탈착 인식부, 상기 전원 제어부 또는 상기 동작 센싱부의 정보를 상기 IPMS 유닛으로 네트워킹하여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경우,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은, 상기 동작 센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속 정보가 가속 임계치 이상으로 인식되거나, 상기 동작 센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회전 정보가 회전 임계치 이상으로 인식되면 상기 자동차가 비상 상황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사고 인지부; 및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에 제공되는, 미리 설정된 버튼이 상기 운전자에 의해 소정의 시간 동안 눌러지면 비상 상황인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E-콜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경우, 상기 탈착 인식부는,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탄성력을 구비하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탈착시에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하 유동되는 걸림턱부;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걸림턱부의 하부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걸림턱부의 상하 유동에 따라 유동되는 하강 보디부; 상기 하강 보디부에 부착되어, 상기 하강 보디부의 상하 유동에 따라 하향 가압하는 하향 가압부; 상기 하향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이 제공됨에 따라 일정 회전각 만큼 회전하며, 하단에는 상부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 단자부; 및 상기 회전 단자부의 하단에 접촉하며, 상기 회전 단자부의 일정 회전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접속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 유무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탈착 인식부가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이 상기 자동차에 장착된 것으로 인식하는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로부터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시동 여부를 인식하는 시동 인식부; 및 상기 시동 인식부가 상기 자동차의 시동을 인식하면, 상기 자동차로부터 상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으로 인가하는 전원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경우, 상기 동작 센싱부는, 상기 자동차의 운행시 발생되는 상기 자동차의 상기 회전 정보 센싱하는 자이로 센싱부; 상기 자동차의 전방향, 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의 가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싱부; 및 상기 자동차의 전후 방향을 지자기에 상대적인 방향 정보를 센싱하는 지자기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경우, 상기 IPMS 유닛은,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상기 정보 전송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가 주행한 주행 거리를 소정의 기간별로 산출하는 주행거리 산출부; 상기 가속 정보, 상기 가속도 정보 또는 상기 방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차를 운전하는 상기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산출하는 운전 패턴 산출부;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의 정차 정보, 상기 자동차의 주차 정보, 상기 자동차가 GPS 신호 음영 지역에 속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내포하는 트립 정보를 인식하는 트립 인식부; 및 상기 주행거리 산출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기간별로 산출한 상기 주행 거리를 수신하며, 상기 운전 패턴 산출부로부터 상기 운전 패턴 또는 상기 트립 정보를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자동차의 보험료를 산출하는 보험료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경우, 상기 주행거리 산출부는,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상기 GPS 신호를 미리 결정된 수 초마다 규칙적으로 인식하며, 상기 GPS 신호가 일시 누락되면 상기 누락된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좌표 인식부; 상기 GPS 좌표 인식부로부터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신호가 지정된 지도 정보에 상기 GPS 신호를 매핑하여 상기 자동차의 주행 거리를 상기 지도 정보 상에 매핑시키는 지도 매핑부; 및 상기 지도 매핑부에 매핑된 상기 자동차의 주행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자동차의 실제 주행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경우, 상기 보험료 산출부는, 상기 거리 산출부로부터 상기 실제 주행 거리를 수신하여, 상기 실제 주행 거리에 따른 보험료를 산출하는 마일리지 산출부; 상기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도 정보 중, i) 사고 다발 지역, ii) 도심지, iii) 공사 지역, iv) 관광지, 또는 v) 일시 정체 지역을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따라 상기 보험료의 산출을 재조정하는 지역 가중치부; 상기 자동차가 운행한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자동차가 운행한 시간대 중, i) 출퇴근 시간, ii) 비오는 시간, iii) 눈오는 시간, 또는 iv) 눈 내린 후 결빙 시간을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보험료의 산출을 재조정하는 시간 가중치부; 및 상기 자동차에 부여된 i) 주정차위반, ii) 속도위반, iii) 차선 위반, iv) 신호위반을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보험료의 산출을 재조정하는 행정 가중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경우, 상기 IPMS 유닛은, 상기 탈착 인식부로부터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이 상기 자동차로부터 탈거된 것으로 인식되고 소정의 탈거 기간이 도래하면, 상기 운전자의 치팅 상황임을 인식하는 치팅 분석부; 및 상기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미리 저장된 운전 사고율에 매핑하여, 상기 운전 패턴에 따른 운전자 사고율을 재산출하고 상기 보험료를 재조정하는 상관관계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운전자의 운전 패턴에 따라 자동차의 동작 정보를 센싱하여 이를 통해 보험료를 산출하는바, 정량적이며 데이터화된 보험료 산출이 가능해진다.
둘째, 자동차에 탈착할 수 있는 드라이빙 태그 유닛을 통해, 자동차 시스템의 튜닝이나 변경이 필요 없으며, 스마트폰의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아닌바, 운전자의 불필요한 거부감을 해소하게 된다.
셋째, 자동차에 탈착하는 과정을 모두 인식하게 되는바, 운전자의 치팅을 예방하고 이에 따라 정확한 보험료 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각 구성들의 상호작용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IPMS 유닛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탈착 인식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탈착 인식부의 후면 사시도와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탈착 인식부의 내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전원 제어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동작 센싱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주행거리 측정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보험료 산출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상관관계 분석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각 구성들의 상호작용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IPMS 유닛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탈착 인식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탈착 인식부의 후면 사시도와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탈착 인식부의 내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전원 제어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동작 센싱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주행거리 측정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보험료 산출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상관관계 분석부와 그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에 장착되어 자동차(1)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 패턴은 물론, 자동차(1)가 실제로 움직이는 전후, 좌우, 회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동작 정보를 센싱하는 드라이빙 태그 유닛(driving tag unit, 100)과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의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후불로 보험료를 산출하는 구성인 IPMS(insurance premium measuring system) 유닛(200)을 포함하게 된다.
IPMS 유닛(200)이 입수한 자동차(1)의 동작 정보에 따라 산출된 보험료는 다양한 가중치의 적용을 통해 재조정될 수 있으며, 이렇게 조정된 보험료는 고객인 운전자에게 청구(billing)된다.
IPMS유닛(200)은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으로부터 다양한 정보의 입수를 통해 고객인 운전자의 다양한 상황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비상상황임을 인식하여, 고객에게 필요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은 자동차(1)에 장착되어 자동차(1)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통해 각종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으로 사용하게 된다.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은 자동차(1)의 내부에 구비된 자동차 전원 공급 단자 이른바 시거잭(cigar jack)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은 그 내부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차(1)의 탈착 정보는 물론 운전자의 운전 패턴에 따른 자동차(1)의 동작 정보까지 인식하게 된다.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은 GPS 위성(2)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좌표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외부에 전달하게 된다.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은 3GPP에서 규격화하는 다양한 표준 통신 규격을 준수하고, 제휴된 통신사의 통신망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입수한 IPMS 유닛(200)은 보험료를 산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통해 가공된 새로운 정보를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실시간 혹은 일정한 시간 후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비상상황에 대한 것으로 인식하는 기능까지 구비한 IPMS 유닛(200)의 경우, 고객센터(20)를 통해 사용자 즉, 운전자나 운전자와 관련된 사람들에게 정보가 제공된다.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센싱부(110), 탈착 인식부(120), 전원 제어부(130), 동작 센싱부(140) 및 정보 전송부(170)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먼저, GPS 센싱부(110)는 GPS 위성(2)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정보를 인식하는 구성이다.
GPS 센싱부(110)는 자동차(1)의 시동이 걸리거나 전원이 인가하게 되면, GPS위성(2)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는데 이는 평균 20초 이내에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GPS센싱부(110)는 가급적 매 1초 내외의 단위마다 GPS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자동차(1)가 이동하는 속도로 인하여 짧은 시간에도 자동차(1)의 위치가 크게 변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GPS 센싱부(110)가 인식한 GPS신호는 1분 단위로 1,560바이트일 수 있는데, 이는 1차 및 2차 압축을 통하여 200 바이트 정도로 압축하여 저장하고 외부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센싱부(110)가 인식한 GPS신호는 당연히 GPS 신호를 인식한 시각(time) 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되고 전송된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인식부(120)의 경우,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의 외부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외향 돌출되어, 자동차(1) 내에 장착 혹은 탈거를 인식하게 되는 구성이다.
탈착 인식부(120)의 자세한 하위 구성과 그 기작은 후술하도록 한다.
전원 제어부(130)는 자동차(1)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의 전자적인 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동작 센싱부(140)의 경우, 다양한 센서를 통해 자동차(1)의 동작 정보를 입수하게 되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자동차(1)의 가속 정보, 회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수하게 된다.
정보 전송부(170)는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정보, GPS 신호에 따른 위치 정보들을 외부의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하게 되는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전송부(170)는 IPMS 유닛(200)과 네트워킹하여 IPMS유닛(200)으로 다양한 정보 예컨대, 좌표 정보, 가속 정보, 회전 정보 등을 전달하게 된다.
나아가,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은 사고 인지부(150), 및 E-콜링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고 인지부(150)의 경우, 동작 센싱부(140)로부터 수신한 가속 정보가 가속 임계치 이상으로 인식되거나, 동작 센싱부(140)로부터 수신한 회전 정보가 회전 임계치 이상으로 인식되면, 자동차(1)가 비상 상황인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예컨대, 가속 정보의 임계치를 5 내지 6G(중력 가속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사고의 발생시 일반적으로 가속의 수치가 5내지 6G 이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동작 센싱부(140)가 인식한 가속 정보가 5 내지6G 이상이면 사고 인지부(150)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회전 정보 역시 5 내지 6G 이상의 가속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면, 차량의 전후 또는 전후 보다는 좌우 또는 상하로 자동차가 급회전을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사고 인지부(150)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E-콜링부(160)의 경우,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에 제공되는 미리 설정된 버튼이 운전자에 의해 소정의 시간 동안 눌러지면 비상 상황인 것으로 인지하게 되는 구성이다.
E-콜링부(160)는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의 외면에 제공된 버튼(미도시)을 사용자가 1.5초 이상 누르면 비상 상황인 것으로 인지하고 이를 정보 전송부(170)를 통하여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인 IPMS 유닛(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반대로, E-콜링부(160)는 3초 이상 누르게 되면, 비상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다시 IPMS 유닛(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사고 인지부(150) 또는 E-콜링부(160)가 비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이에 대한 정보만을 IPMS 유닛(200)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GPS센싱부(110)가 센싱한 좌표 정보와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IPMS 유닛(200)으로 하여금 현재 자동차(1)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지도상에서 표시할 수 있게 해준다.
보다 자세하게는, 탈착 인식부(120)는 걸림턱부(121), 하강 보디부(122), 하향 가압부(123), 회전 단자부(124) 및 접촉 단자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부(121)의 경우,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의 외주면으로부터 탄성력을 구비하며 돌출 형성되어,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의 탈착시에 탄성력에 의하여 상하 유동되는 구성이다.
하강 보디부(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걸림턱부(121)의 하부에 고정 부착되어 걸림턱부(121)의 상하 유동에 따라 유동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하강 보디부(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걸림턱부(121)에 고정 부착되며, 타단은 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링 형태의 하강 보디부(122)의 타단에는 하향 가압부(123)이 삽입 부착될 수 있는데, 하향 가압부(123)는 원통형의 형상으로서 하부의 외주면에서는 일정한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단자부(124)의 경우, 하향 가압부(123)에 의한 가압력이 제공됨에 따라, 일정한 돌기들이 하향 가압하면서 회전 단자부(124)는 일정 회전각만큼 회전하게 된다.
회전 단자부(124)의 하면에는 상부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후술하게 되는 접촉 단자부(125)와 접촉 혹은 비접촉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회전 단자부(124)의 일정 회전각 만큼의 회전에 따라 그 탈착 여부가 센싱되도록 하는 것이다.
접촉 단자부(125)는 회전 단자부(124)의 하단에 접촉하는 원형의 연속 및 불연속의 전도체로서 회전 단자부(124)의 일정 회전각의 회전에 따라 전기적 접속 단자와 전기적 접속 유무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접속 단자가 형성되는 것이다.
걸림턱부(121)의 한번 하강에 따라 하강 보디부(122)가 함께 하강하며, 하향 가압부(123)는 하향 가압하고, 이에 따라 회전 단자부(124)는 일정 회전각 만큼 회전하면서 회전 단자부(124)의 하단에 형성된 상부 접속 단자와 접촉 단자부(125)의 하부 접속 단자의 전기적 접속 혹은 비접속에 의하여 탈착 인식부(120)는 탈착 여부를 센싱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제어부(130)는 시동 인식부(131) 및 전원 인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시동 인식부(131)는 탈착 인식부(120)가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이 자동차(1)에 장착된 것으로 인식한 상태에서 자동차(1)로부터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자동차(1)의 시동 여부를 인식하게 된다.
전원 인가부(132)에 의하여 시동 인식부(131)가 자동차(1)의 시동을 인식하면, 자동차(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으로 인가하게 된다.
동작 센싱부(14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이로 센싱부(141), 가속도 센싱부(142), 및 지자기 센싱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부(141)의 경우, 자이로 센서 즉, 회전을 인식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자동차(1)의 회전 정보를 센싱하게 된다.
자이로 센싱부(141)는 자동차(1)의 회전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자동차(1)의 회전 임계치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를 사고 인지부(150)가 비상 상?으로 인식하고 정보 전송부(170)를 통하여 IPMS 유닛(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가속도 센싱부(142)의 경우, 자동차(1)의 전방향이나 후방향 혹은 측방향으로 발생되는 가속도의 정보를 센싱하게 된다.
가속도 센싱부(142) 역시 마찬가지로, 가속 임계치 이상의 것이 인식되면 이를 사고 인지부(150)가 비상 상황인 것으로 인식하고 정보 전송부(170)를 통해 IPMS 유닛(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지자기 센싱부(143)의 경우, 자동차(1)의 전후 방향을 지자기 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 정보를 센싱하여, 자동차(1)의 방향을 정지 상태에서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에서 입수한 다양한 정보는 IPMS 유닛(200)으로 전송되는데, 이후, IPMS유닛(200)은 정보 수신부(170)로부터 정보를 입수하여 보험료 산출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PMS 유닛(200)은 정보 수신부(210), 주행거리 산출부(220), 운전 패턴 산출부(230), 트립 인식부(240) 및 보험료 산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주행거리 산출부(220)는 GPS 위성(2)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1)가 주행한 주행거리를 소정의 기간별로 산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소정의 기간은 본 발명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가 임의로 운전자에게 부과하고자 하는 요금 기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데, 일주일(7일) 혹은 1개월 혹은 분기 또는 반기, 혹은 1년 단위로 임의 설정 가능한 것이다.
운전 패턴 산출부(230)는 가속 정보, 회전 정보 또는 방향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차(1)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산출하게 된다.
운전자의 운전 패턴에는 급출발, 급가속, 급정거, 급감속, 급회전, 급차로 변경 등의 난폭 운전뿐만 아니라, 정속 주행, 완만한 가속 및 감속 등에 관한 안전 운전에 대한 패턴 정보도 분석하고 저장하게 된다.
운전자의 운전 패턴은 시간대에 따라, 날씨에 따라, 지역에 따라 별도로 분석하게 되며, 이에 대한 정보는 추후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된다.
트립 인식부(240)의 경우, GPS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정차 정보, 자동차의 주차 정보, 자동차가 GPS 신호 음영 지역에 속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모두 인식하게 된다.
GPS 신호 음영 지역인지 여부는 GPS 신호가 0으로 나타나며 자동차의 가속이 0이상으로 나타나면 자동차(1)가 음영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GPS 신호의 음역 지역의 진입과 통과 후, GPS 신호의 끊김이 시작된 부분과 다시 연결된 지역을 지도 정보에 매핑하여, 실제 자동차가 음영 지역에 속하였는지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데 GPS 신호가 끊긴 경우라면 GPS 신호가 끊긴 지역으로부터 새로 시작된 영역까지의 좌표 정보를 상호 이어 주행거리에 반영하게 된다.
트립 인식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트립 정보를 인식하고 이에 주행 거리와의 연동을 통해 보험료 산출부(250)가 산출하고자 하는 보험료에 반영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주행거리 산출부(220)의 경우, GPS 좌표 인식부(221), 지도 매핑부(222) 및 거리 산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GPS 좌표 인식부(221)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GPS 위성(2)으로부터 GPS 신호를 미리 결정된 수 초,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초 단위로 규칙적으로 인식하며, GPS 신호가 일시 누락되면 누락된 GPS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GPS 좌표 인식부(221)는 자동차(1)가 운행되면서 인식한 GPS 신호에 따른 좌표 정보를 시간의 순서에 따라 매핑하고, 시간에 따른 좌표 정보를 나열하게 된다.
지도 매핑부(222)의 경우, GPS 좌표 인식부(221)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정보가 지정된 지도 정보에 GPS 좌표 인식부(221)가 인식한, 시간에 따른 좌표 정보를 매핑하여 자동차(1)의 주행 거리를 지도 정보 상에 매핑 시키게 된다.
거리 산출부(223)의 경우, 지도 매핑부(222)에 매핑된 자동차(1)의 주행 거리를 기준으로 자동차(1)의 실제 주행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보험료 산출부(250)의 경우, 마일리지 산출부(251), 지역 가중치부(252), 시간 가중치부(253) 및 행정 가중치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보험료 산출부(250)의 마일리지 산출부(251)의 경우, 거리 산출부(223)로부터 실제 주행 거리를 수신하고, 실제 주행 거리에 비례하여 보험료를 산출하는 구성이다.
마일리지 산출부(251)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기간 별로, 사용자인 운전자에게 후불로 주행 거리에 따른 보험료를 규칙적으로 청구(billing) 하게 된다.
지역 가중치부(252)의 경우,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지도 정보 중에서 i) 사고 다발 지역, ii) 도심지, iii) 공사 지역, iv) 관광지, 또는 v) 일시 정체 지역 등에 대한 지역을 구분하여, 이러한 지역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한 후, 운전 패턴에 따른 자동차 운준자의 운전 점수를 조정하고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마일리지 산출부(251)가 산출한 보험료를 재조정하도록 하게 된다.
일시 정체 지역인지 여부는 GPS 신호와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GPS 신호의 변동이 없으며, G값이 0으로 나타나는 시간이 나타나면 정체로 인식하게 된다. 혹은 G값이 1이하이면서 GPS 신호에 따른 자동차(1)의 운행 속도가 0km와 20~30km 범위가 반복되면 도로 정체로 판단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수신되고 확보된 GPS 정보는 개인정보에 해당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 폐기되도록 한다.
시간 가중치부(253)의 경우, 자동차(1)가 운행한 시간을 측정한 후, 자동차(1)가 운행한 시간대 중, i) 출퇴근 시간, ii) 비 오는 시간, iii) 눈 오는 시간, iv) 눈 내린 후의 일정 결빙 기간을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마일리지 산출부(251)가 산출한 보험료를 재조정하거나, 운전자의 운전습관 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행정 가중치부(254)의 경우, 자동차(1)에 부여된 행정적 조치 정보를 경찰서, 구청 등으로부터 수신하여, 자동차(1)의 주정차 위반, ii) 속도 위반, iii) 차선 위반, iv) 신호 위반 여부에 대한 행정적 조치를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마일리지 산출부(251)가 산출한 보험료를 재조정하게 된다.
IPMS 유닛(200)의 경우, 치팅 분석부(260) 및 상관관계 분석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팅 분석부(260)의 경우, 탈착 인식부(120)로부터 드라이빙 태그 유닛(100)이 자동차(1)로부터 탈거된 것으로 인식되고, 소정의 탈거 시간이 도래하면 운전자 치팅(cheating) 상황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 경우, IPMS 유닛(200)은 고객 센터(20)를 통해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10)로 이를 알려주게 된다.
소정의 탈거 시간은 주행이 시작된 것으로 인식된 후, 탈착 인식부(120)가 탈거된 것으로 인식하고 5분 이상 지체되면 운전자의 치팅 여부를 의심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게 된다. 운전자에게 알리는 방식은 IPMS유닛(200)이 고객센터(2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화를 하거나 SMS 문자 전송 혹은 SNS 메신저로 메시지 전송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관관계 분석부(270)의 경우,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미리 저장된 운전 사고율에 매핑하여 운전 패턴에 따른 운전자 사고율을 재산출하고 이에 따라 보험료를 재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자동차 2: GPS 위성
10: 모바일 단말기 20: 고객센터
100: 드라이빙 태그 유닛(driving tag unit) 101: 중앙 제어부
110: GPS 센싱부 120: 탈착 인식부
121: 걸림턱부 122: 하강 보디부
123: 하향 가압부 124: 회전 단자부
125: 접촉 단자부 130: 전원 제어부
131: 시동 인식부
132: 전원 인가부 140: 동작 센싱부
141: 자이로 센싱부 142: 가속도 센싱부
143: 지자기 센싱부 150: 사고 인지부
160: E-콜링부 170: 정보 전송부
200: IPMS 유닛 201: 중앙 제어부
210: 정보 수신부 220: 주행거리 산출부
221: GPS 좌표 인식부 222: 지도 매핑부
223: 거리 산출부 230: 운전 패턴 산출부
240: 트립 인식부 250: 보험료 산출부
251: 마일리지 산출부 252: 지역 가중치부
253: 시간 가중치부 254: 행정 가중치부
260: 치팅 분석부 270: 상관관계 분석부
271: 요율 매핑부 272: 정보 처리부

Claims (10)

  1.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에 탈착 정보를 센싱하며, 상기 자동차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며, 운전자의 운전 패턴에 따른 동작 정보를 센싱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드라이빙 태그 유닛; 및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으로부터 상기 탈착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산출하여 보험료를 산출하는 IPMS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정보를 인식하는 GPS 센싱부;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외부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자동차 내에 장착 혹은 탈거를 인식하게 되는 탈착 인식부;
    상기 자동차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전자적인 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자동차의 가속 정보, 회전 정보를 센싱하는 동작 센싱부; 및
    상기 GPS 센싱부, 상기 탈착 인식부, 상기 전원 제어부 또는 상기 동작 센싱부의 정보를 상기 IPMS 유닛으로 네트워킹하여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센싱부는,
    상기 자동차의 운행시 발생되는 상기 자동차의 상기 회전 정보를 센싱하는 자이로 센싱부;
    상기 자동차의 전방향, 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의 가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싱부; 및
    상기 자동차의 전후 방향을 지자기에 상대적인 방향 정보를 센싱하여 인식하는 지자기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IPMS 유닛은,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상기 정보 전송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가 주행한 주행 거리를 소정의 기간별로 산출하는 주행거리 산출부;
    상기 가속 정보, 상기 회전 정보 또는 상기 방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차를 운전하는 상기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산출하는 운전 패턴 산출부;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의 정차 정보, 상기 자동차의 주차 정보, 상기 자동차가 GPS 신호 음영 지역에 속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내포하는 트립 정보를 인식하는 트립 인식부; 및
    상기 주행거리 산출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기간별로 산출한 상기 주행 거리를 수신하며, 상기 운전 패턴 산출부로부터 상기 운전 패턴 또는 상기 트립 정보를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자동차의 보험료를 산출하는 보험료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은,
    상기 동작 센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속 정보가 가속 임계치 이상으로 인식되거나, 상기 동작 센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회전 정보가 회전 임계치 이상으로 인식되면 상기 자동차가 비상 상황인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사고 인지부; 및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에 제공되는, 미리 설정된 버튼이 상기 운전자에 의해 소정의 시간 동안 눌러지면 비상 상황인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E-콜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인식부는,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탄성력을 구비하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탈착시에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하 유동되는 걸림턱부;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걸림턱부의 하부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걸림턱부의 상하 유동에 따라 유동되는 하강 보디부;
    상기 하강 보디부에 부착되어, 상기 하강 보디부의 상하 유동에 따라 하향 가압하는 하향 가압부;
    상기 하향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이 제공됨에 따라 일정 회전각만큼 회전하며, 하단에는 상부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 단자부; 및
    상기 회전 단자부의 하단에 접촉하며, 상기 회전 단자부의 일정 회전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접속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 유무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탈착 인식부가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이 상기 자동차에 장착된 것으로 인식하는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로부터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시동 여부를 인식하는 시동 인식부; 및
    상기 시동 인식부가 상기 자동차의 시동을 인식하면, 상기 자동차로부터 상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으로 인가하는 전원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거리 산출부는,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상기 GPS 신호를 미리 결정된 수 초마다 규칙적으로 인식하며, 상기 GPS 신호가 일시 누락되면 상기 누락된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좌표 인식부;
    상기 GPS 좌표 인식부로부터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신호가 지정된 지도 정보에 상기 GPS 신호를 매핑하여 상기 자동차의 주행 거리를 상기 지도 정보 상에 매핑시키는 지도 매핑부; 및
    상기 지도 매핑부에 매핑된 상기 자동차의 주행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자동차의 실제 주행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료 산출부는,
    상기 거리 산출부로부터 상기 실제 주행 거리를 수신하여, 상기 실제 주행 거리에 따른 보험료를 산출하는 마일리지 산출부;
    상기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도 정보 중, i) 사고 다발 지역, ii) 도심지, iii) 공사 지역, iv) 관광지, 또는 v) 일시 정체 지역을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따라 상기 보험료의 산출을 재조정하는 지역 가중치부;
    상기 자동차가 운행한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자동차가 운행한 시간대 중, i) 출퇴근 시간, ii) 비오는 시간, iii) 눈오는 시간, 또는 iv) 눈 내린 후 결빙 시간을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보험료의 산출을 재조정하는 시간 가중치부; 및
    상기 자동차에 부여된 i) 주정차위반, ii) 속도위반, iii) 차선 위반, iv) 신호위반을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보험료의 산출을 재조정하는 행정 가중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PMS 유닛은,
    상기 탈착 인식부로부터 상기 드라이빙 태그 유닛이 상기 자동차로부터 탈거된 것으로 인식되고 소정의 탈거 기간이 도래하면, 상기 운전자의 치팅 상황임을 인식하는 치팅 분석부; 및
    상기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미리 저장된 운전 사고율에 매핑하여, 상기 운전 패턴에 따른 운전자 사고율을 재산출하고 상기 보험료를 재조정하는 상관관계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KR1020190090925A 2019-07-26 2019-07-26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KR10208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925A KR102082680B1 (ko) 2019-07-26 2019-07-26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925A KR102082680B1 (ko) 2019-07-26 2019-07-26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680B1 true KR102082680B1 (ko) 2020-05-29

Family

ID=7091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925A KR102082680B1 (ko) 2019-07-26 2019-07-26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6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5644A (zh) * 2020-09-01 2020-12-04 北京四维图新科技股份有限公司 车险方案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781244A (zh) * 2021-08-18 2021-12-10 上海赢科信息技术有限公司 车险保费的生成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108293A1 (ko) * 2020-11-23 2022-05-27 캐롯손해보험 주식회사 주행거리 연동형 자동차 보험의 가입자에 의한 차량의 변칙사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2191389A1 (ko) * 2021-03-12 2022-09-15 캐롯손해보험 주식회사 주행거리 연동형 자동차 보험 가입자에 의한 악의적인 플러그 재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41115A (ko) * 2021-04-12 2022-10-19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부정사용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사물인터넷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070A (ja) * 2001-04-27 2002-11-15 Kddi Corp 自動車保険料算出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走行距離通知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20040027130A (ko) 2002-09-27 2004-04-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대리 운전자 보험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460319B1 (ko) 2001-11-27 2004-12-08 김기원 자동차보험료 산출 및 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KR100771645B1 (ko) 2001-02-15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차 유지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497988B1 (ko) 2012-02-13 2015-03-04 (주)케이에프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에서 차량의 안전 운행 지수 산정 방법,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
KR101502155B1 (ko) 2013-04-04 2015-03-13 인카금융서비스(주) 운전자 통합 보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4250A (ko) 2014-01-13 2015-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센싱 장치 기반 안전운전 성향정보를 반영한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KR20160019331A (ko) * 2014-08-11 2016-02-19 주식회사 포어링크 자동차 보험료 산출 시스템
KR101769102B1 (ko) 2016-11-25 2017-08-17 주식회사 오복소프트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840446B1 (ko) 2016-10-17 2018-03-20 윤정호 운전습관 연계보험을 위한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71065A (ko) 2017-12-14 2019-06-24 박광호 블록체인을 이용한 운전자 기반 자동차 보험 요금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p2p 자동차 공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2454A (ko) * 2018-01-02 2019-07-10 주식회사 이노카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45B1 (ko) 2001-02-15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차 유지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02329070A (ja) * 2001-04-27 2002-11-15 Kddi Corp 自動車保険料算出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走行距離通知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0460319B1 (ko) 2001-11-27 2004-12-08 김기원 자동차보험료 산출 및 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KR20040027130A (ko) 2002-09-27 2004-04-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대리 운전자 보험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KR101497988B1 (ko) 2012-02-13 2015-03-04 (주)케이에프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에서 차량의 안전 운행 지수 산정 방법,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
KR101502155B1 (ko) 2013-04-04 2015-03-13 인카금융서비스(주) 운전자 통합 보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4250A (ko) 2014-01-13 2015-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센싱 장치 기반 안전운전 성향정보를 반영한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KR20160019331A (ko) * 2014-08-11 2016-02-19 주식회사 포어링크 자동차 보험료 산출 시스템
KR101840446B1 (ko) 2016-10-17 2018-03-20 윤정호 운전습관 연계보험을 위한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69102B1 (ko) 2016-11-25 2017-08-17 주식회사 오복소프트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1065A (ko) 2017-12-14 2019-06-24 박광호 블록체인을 이용한 운전자 기반 자동차 보험 요금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p2p 자동차 공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2454A (ko) * 2018-01-02 2019-07-10 주식회사 이노카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5644A (zh) * 2020-09-01 2020-12-04 北京四维图新科技股份有限公司 车险方案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108293A1 (ko) * 2020-11-23 2022-05-27 캐롯손해보험 주식회사 주행거리 연동형 자동차 보험의 가입자에 의한 차량의 변칙사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2191389A1 (ko) * 2021-03-12 2022-09-15 캐롯손해보험 주식회사 주행거리 연동형 자동차 보험 가입자에 의한 악의적인 플러그 재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41115A (ko) * 2021-04-12 2022-10-19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부정사용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사물인터넷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512099B1 (ko) * 2021-04-12 2023-03-17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부정사용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사물인터넷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3781244A (zh) * 2021-08-18 2021-12-10 上海赢科信息技术有限公司 车险保费的生成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781244B (zh) * 2021-08-18 2023-12-01 上海赢科信息技术有限公司 车险保费的生成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680B1 (ko)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US10140417B1 (en) Creating a virtual model of a vehicle event
US80508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to a traffic information server
KR101500472B1 (ko) 차량 내외로 차량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95422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 accident involving a vehicle
US20050187714A1 (en) System for determining weather information and providing ambient parameter data
US20150112800A1 (en) Targeted advertising using vehicle information
US20100299001A1 (en)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radio transmissions by the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trolled by radio communication from base stations
US11683684B2 (en) Obtaining a credential for V2X transmission on behalf of a vehicle
JP7486057B2 (ja) 安全性能評価装置、安全性能評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6448263B (zh) 车辆行驶安全管理系统及方法
CN110400480B (zh) 基于交通通信站的交通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20200334920A1 (en) Geo bounded dynamic data collection for road tolling and road usage monitoring
CN106671986A (zh) 一种基于dsrc的车车通信的车载装置和方法
CN106080195A (zh) 基于车联网的汽车智能限速仪
CN110830956A (zh) 一种基于v2x的车辆外部环境探测系统及方法
JP2011048608A (ja) 車載装置及び車両監視システム
US20070080829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vehicle for producing and wirelessly transmitting messages to other vehicles
KR100892786B1 (ko)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속도정보 제공 단말기
US20220248175A1 (en) Method for generating an awareness message from a first road user, and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a second road user
CN109624842B (zh) 一种汽车自动鸣笛的控制方法及装置
CN111583701A (zh) 一种共享前视摄像头的tbox系统以及车况获取方法
CN215867570U (zh) 车载智能系统
KR20240064948A (ko)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KR20220095295A (ko) 이콜 기능과 하이패스 기능을 구비한 차량탑재용 온보드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