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454A -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 Google Patents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454A
KR20190082454A KR1020180000030A KR20180000030A KR20190082454A KR 20190082454 A KR20190082454 A KR 20190082454A KR 1020180000030 A KR1020180000030 A KR 1020180000030A KR 20180000030 A KR20180000030 A KR 20180000030A KR 20190082454 A KR20190082454 A KR 20190082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yte
accident
control boar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456B1 (ko
Inventor
김유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카
Priority to KR102018000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4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07C5/04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using counting means or digital c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업용 혹은 운수용 차량에 설치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별도의 e-call(Emergency Call) 단말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차량 주행시 확보된 운행정보를 토대로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e-call 서비스 가능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A Digital Tachograph}
본 발명은 영업용 혹은 운수용 차량에 설치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별도의 e-call(Emergency Call) 단말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차량 주행시 확보된 차량정보를 토대로 e-call 서비스 가능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EU를 중심으로 하는 선진국에서는 자동차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골든타임(Golden Time) 이내에 소중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응급구난센터(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에 차량의 사고 위치가 포함된 사고 내용을 데이터 메시지 형태로 만들어서 알려주는 e-Call 단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소형차를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e-Call 단말을 의무 장착하도록 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경우에는 이미 소형차를 중심으로 의무화 장착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차량 ICT 기반의 긴급구난체계 도입을 결정하고 관련 표준 및 필요한 기술 개발과 관련 산업의 조기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다부처 공동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모든 차량에 한국형 e-Call 시스템과 연동되는 e-Call 단말을 의무 장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승용차 또는 소형 상용차의 경우에만 e-Call 단말과 VSM(Vehicle Status Monitoring) 단말을 별도로 장착할 수 있지, 중대형 화물차나 버스 또는 택시와 같은 운수용 혹은 영업용 차량의 경우에는 이미 차량 내부에 의무화 장착 대상으로 분류된 디지털 운행기록계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영업용 혹은 운수용 차량의 경우에는 e-Call 단말과 VSM(Vehicle Status Monitoring) 단말을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량제조사 및 소비자에게는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밖에 없고, 특히 의무화 장착에 따른 기존 차량에 대한 정부의 막대한 단말기 보조금이 지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KR 10-2012-0050023 A KR 10-2015-0137555 A KR 10-1498367 B1
이에 본 발명은 영업용 혹은 운수차량에 별도로 e-Call 단말을 설치할 필요없이,
기존의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하여 e-Call 서비스 가능하게 구현하여 하나의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복합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실시간 수집 기록하고, 이를 관제 센터로 실시간 송수신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무화 장착 대상으로 분류되고 있는 디지털 운행기록계에,
차량사고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판단하여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를 생성하였을 때 관제센터나 응급구난센터(PSAP)로 송수신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e-Call 서비스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업용 혹은 운수용 차량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운행정보를 확보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가 e-call 서비스 가능함에 따라 별도로 e-call 단말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면서 차량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정부 또는 차량제조사와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주기로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데이터를 확보할 때 e-call 기능 역시 같이 테스트되면서 안정성 및 관리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개념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사고판단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센서별 사고판단의 기준을 보여주는 표1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복합신호 판단의 기준을 보여주는 표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의 포멧을 보여주는 표3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전체 구성 및 개념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운수용 혹은 영업용 차량(이하, 차량이라고 함)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운행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3)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제센터(1) 실시간 운행정보의 송수신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사고를 감지하고 판단하게 되면 응급구난센터(2)로 차량의 사고 위치 및 사고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 형태의 최소사고정보데이터(이하, 사고 데이터 혹은 MSD 메시지 혹은 MSD 정보라고 함)를 만들어 송신하는 것이다.
이때 디지털 운행기록계(3)는 각 중대형 화물차나 버스 또는 택시 등의 영업용 혹은 운수 차량에 의무화 장착되고, 관제센터(1)는 각 차량의 운행정보를 주기적으로 확보하여 차량의 운행기록을 판독하는 한편, 응급구난센터(2)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로부터 전송된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판독하여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디지털 운행기록계(3)의 본체(10)는, 내공간을 가진 상부 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가 서로 맞물리면서 조립되거나 분해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따로따로 복합 컨트롤보드(20)와 무선통신보드(40)가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디지털 운행기록계 혹은 E-call 서비스 가능한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사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본체(10)는 차량과 연동되게 하기 위하여 차량 I/O인터페이스(속도, RPM, CAN, 브레이크, 안전벨트, 기타 신호)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보드와 연결되는 통신모듈 인터페이스(송신, 수신, 하드 리셋, 기타)를 갖추고 있어 실시간으로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 기록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차량사고 여부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한편 이에 대응하는 MSD 메시지를 생성하고 응급구난센터(PSAP)나 관리센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복합 컨트롤보드(20)를 설치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10)는 GSM/UMTS 또는 LTE family와 같은 이동통신망이나 WAVE, Wifi, Wimax와 같은 휴대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41)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와 연결되어 MSD 메시지를 응급구난센터(2)나 관리센터(1)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보드(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본체(10)의 전면에는, 복합 컨트롤보드(DTG Control Board) 또는 무선통신보드(Communication Board)와 연결된 상태로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 전면에 장착되는 프런트 패널(13)이 설치되고,
상기 프런트 패널(13)은 수집된 운행정보나 버튼 조작에 따라 특정 메뉴나 특정정보가 노출되는 LCD 창(14)과 함께 다수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메뉴 선택 버튼부(16)와, 사고 발생사실을 통지하기 위한 SOS 버튼부(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프런트 패널(13)은 실시 예에 따라 모듈화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용이하게 상기 프런트 패널(13)만 대쉬보드나 운전석 주변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프런트 패널에 설치되는 SOS 버튼부(19)는, 전면에 투명캡(17)이 씌워져 있고, 상기 투명캡(17)을 상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혹은 부셨을 때에만 내측에 위치한 SOS 버튼(18)이 눌려지면서 사고발생 사실을 응급구난센터(2)나 관리센터(1)로 알릴 수 있다.
참고로, 복합 컨트롤보드(20)는 제어부(21)를 중심으로 2축 가속도 센서(22), GNSS모듈(23), 콤파스 센서/자이로 센서(24), RTC(25), 3축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3축 자이로스코프 센서(26), CAN 트렌시버(27)와, 차량 I/O 인터페이스(28) 및 통신모듈 인터페이스(29)와 프런트 인터페이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운행중인 차량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차량의 센서 신호 또는 차량 I/O 인터페이스(28)를 통하여 차량의 속도, RPM, 브레이크 상태, 기타 신호를 수신하고, 자체 보드의 GNSS(또는 GPS) 모듈(23)을 통하여 차량의 위도 및 경도 위치, 방위각, 시간 정보, 종 및 횡축 가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내부 저장장치(31)에 안전하게 저장하고,
차량 운행을 완료한 후에는 USB 포트(15)에 장착된 보조기억장치을 제출하거나 혹은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스마트폰 혹은 타블릿 PC 혹은 노트북으로 다운로드된 운행정보를 원격지의 관제센터(1)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는 수집된 차량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사고 감지 및 판단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사고라고 판단할 경우에는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Minisum Set of Data)를 생성하고 무선통신모듈(41)을 통해 응급구난센터(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로 보내어 구조요청을 실시하는 한편,
때에 따라서는 사고 발생시 관리센터(1)로 기록된 운행정보를 전송하여 정확한 사고판단과 시시비비를 가리기 위한 기초로 사용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고 판단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센서별 사고판단의 기준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9는 복합신호 판단의 기준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10은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의 포멧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는 운전자에 의해 프런트 패널(13)의“SOS 버튼”(18)가 눌려졌는지 감지한다.
이때 “SOS 버튼”(18)이 눌려졌을 경우에는 “수동 e-Call 또는 테스트 e-Call 인지를 구분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고(S100), “SOS 버튼”이 눌려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자동사고판단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S120)
참고로 “수동 e-Call 또는 테스트 e-Call 인지를 구분하는 프로세스”는 “SOS 버튼”이 설정된 시간(예, 5초) 이상 눌려졌는지 확인하고, 만일 설정된 시간 이하로 눌려지면 바로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를 생성하여 응급구난센터(PSAP)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만일 설정된 시간(5초) 이상으로 눌려지고 일정시간(예, 10초) 동안 대기 상태에 있다가 다시 “SOS 버튼”을 눌러 주면 Reset되면서 종료되고(S110), 이때 “SOS 버튼”이 다시 눌려지지 않으면 테스트용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를 생성하여 응급구난센터(PSAP)나 관리센터(1)로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참고로 “자동사고판단 프로세스”는, 먼저 차량의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와 CAN 메시지를 확인하여 에어백이 전개되었으면 바로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지시하고,(S130)
에어백이 전개되었다는 CAN 메시지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3축 가속도센서의 Z값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넘었을 경우에는 해당 차량이 전복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S140)
이때 Z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차량전복이 아닌 경우)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의 값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넘었을 경우에는 스핀(Spin)된 것으로 판단하여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를 생성하고, (S150)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의 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스핀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차량의 가속도 X, Y, X + Y 값을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넘었을 경우에는 충돌사고라고 판단하고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S160)
이때 차량의 가속도 X, Y, X + Y 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충돌사고가 아닌 경우)에는 복합신호를 임계치와 비교하여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복합신호는 차량의 속도, RPM, ADAS 데이터, 브레이크 신호, 방위각, 가속도, 시간정보와 같은 여러 가지 정보를 함께 판단하여 사고판단 여부를 결정한다.(S170)
즉, 7.5km/h ~ 40km/h로 감속 운행한 경우에는 급감속한 것으로 판단하고, 7.5km/h ~ 40km/h로 감속하여 멈춘 경우에는 급정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15km/h이상의 속도로 2초 동안 좌측 혹은 우측(60 ~ 120도)으로 회전한 경우우에는 급좌회전 혹은 급우회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15km/h 이상의 속도로 3초 동안 좌측 혹은 우측(160 ~ 180도)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급U턴한 것으로 판단하고, 11km/h 이상의 속도로 가속하여 좌측 혹은 우측으로 (30 ~ 60도)로 차로를 변경한 경우에는 앞지르기로 한 것으로 판단하고, 30km/h 이상의 속도에서 진행방향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15 ~ 30도 이상 차로를 변경하면서 ± 5km/h로 가감속한 경우에는 급 진로변경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는 국제 및 한국 표준에서 정한 MSD 포멧을 기반으로 하여,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와 트레일(Trail)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더(Header)는 1 Byte의 MSD 메시지의 시작을 알리는 식별자와 함께 1 Byte의 장치 ID와, 2 Byte의 데이터의 길이 및 이벤트 응답 또는 요청을 위한 2 Byte의 명령어 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1 Byte의 MSD 버전과 1 Byte의 MSD 순번 그리고 6 Byte의 연/월/일/시/분/초로 이루어진 사고발생시간과, 1 Byte의 자동 혹은 수동의 제어종류와, 1 Byte의 차량종류, 17 Byte의 차대번호와,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고 있는 사고발생위치와, 2 Byte의 차량 방위각, 그리고 2건의 이전 차량위치와, 탑승자수 혹은 탑승자 동승 여부와, 가솔린/디젤 등의 차량연료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트레일(Trail)는 1 Byte의 오류 검출을 위한 Checksum 항목과, MSD 메시지의 끝을 알리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응급구난센터(PSAP)에서 전복, 스핀, 충돌 등의 차량 사고 내용과 사고 수준을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1 Byte의 에어백 상태(전개여부)와, 1 Byte의 안전벨트상태(착용여부)와, 도어상태(오픈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2 Byte의 X, Y축의 가속도와 6 Byte의 트래킹 시작 시간(년/월/일/시/분/초), 그리고 1 Byte의 차량 속도와 2 Byte의 차량 RPM, 그리고 1 Byte의 브레이크 상태(동작여부)와, 609 Byte의 구간정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609 Byte의 구간정보 데이터는 차량 내의 ADAS 시스템의 TTC값과 현재의 차량 속도 변화율, TTC 구간에서의 브레이크 사용 여부 등을 토대로 주행하는 차량이 선행 차량과 추돌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게 차량위치부터 브레이크 상태까지는 일정시간 동안 버퍼링된 정보이다.
또한, 무선통신보드(40)는 무선통신모듈(4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이동통신망 혹은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응급구난센터(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에 복합 컨트롤보드(20)가 생성한 MSD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혹은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더불어 실시 예에 따라 메뉴 선택 버튼부(16)의 동작에 따라서 저장장치(31)에 기록된 운행정보를 관리센터(1)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때 무선통신보드(40)는 사고 발생시 MSD 메시지를 응급구난센터(2)로 전송하여 구조요청하면서 동시에 실시간 기록된 해당 차량의 운행정보를 관리센터(1)로 전송하여 정확한 사고판단과 시시비비를 가리기 위한 기초로 사용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무선통신보드(40)는 기타 독립 작동이 가능한 모듈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 송수신 포트, 리셋 포트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실시 예에 따라 응급구난센터(2)와 음성통화 가능하도록 외부 마이크와 스피커 등이 연결되는 포트(42,43,4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무선통신보드(40)는 무선통신 서비스 종류가 다양하고 시스템 및 적용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을 적용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쉽게 교체 및 탈/장착이 가능하고, 통신모듈 인터페이스(29)를 통해서 복합 컨트롤보드(20)와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업용 혹은 운수용 차량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운행정보를 기록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가 e-call 단말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별도로 e-call 단말이나 VSM(Vehicle Status Monitoring) 단말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면서 차량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특히 정부 또는 차량제조사와 소비자가 지불해야만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일정한 주기로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데이터를 확보할 때 e-call 기능 역시 같이 테스트되어 안정성 및 관리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1:관리센터 2:응급구난센터
3:디지털 운행기록계 10:본체
11:상부케이스 12:하부케이스
13:프런트패널 14:LCD 창
15:USB 포트 16:메뉴 선택 버튼부
17:투시캡 18:SOS버튼
19:SOS버튼부 20:복합 컨트롤보드
21:제어부 22:2축 가속도 센서
23:GNSS 모듈 24:콤파스 센서
25:RTC 26:3축 자이로스코프 센서
27:CAN 트랜시버 28:차량 I/O 인터페이스
29:통신모듈 인터페이스 30:Front 인터페이스
31:저장장치 40:무선통신보드
41:무선통신모듈 42:마이크 포트
43:스피커 포트 44:예약포트

Claims (16)

  1. 각 차량의 운행정보를 주기적으로 확보하여 차량의 운행정보를 판독하는 하는 관제센터(1);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Minisum Set of Data)를 판독하여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급구난센터(2);
    각 중대형 화물차나 버스 또는 택시 등의 영업용 혹은 운수 차량에 의무화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 기록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가 실시간 수집 기록되는 운행정보를 토대로 차량사고를 감지하고 판단하게 되면, 차량의 사고 위치 및 사고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 형태의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Minisum Set of Data)를 생성하고, 이를 응급구난센터(PSAP)로 전송하여, 별도의 e-Call 단말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e-Call 서비스 가능하게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3)는 차량과 연동되게 하기 위하여 차량 I/O인터페이스(28)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보드와 연결되는 통신모듈 인터페이스(29)를 갖추고 있어 실시간으로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 기록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차량사고 여부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한편 이에 대응하는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Minisum Set of Data)를 생성하고 응급구난센터(2)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복합 컨트롤보드(20)와,
    이동통신망이나 휴대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41)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와 연결되어 복합 컨트롤보드(20)의 지시에 따라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Minisum Set of Data)를 응급구난센터(2)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보드(40)와,
    복합 컨트롤보드(20) 또는 무선통신보드(40)와 연결되어 버튼 조작에 따라 특정 메뉴나 특정정보가 노출되는 LCD 창(14)과, 사용자 메뉴 선택 버튼부(16)와, 사고 발생사실을 통지하기 위한 SOS 버튼부(19)를 형성하고 있는 프런트패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는 제어부(21)를 중심으로 2축 가속도 센서(22)와, GNSS모듈(23)과, 콤파스 센서(24)와, RTC(25)와, 3축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3축 자이로스코프 센서(26)와, CAN 트렌시버(27)와, 차량 I/O 인터페이스(28) 및 통신모듈 인터페이스(29)와 프런트 인터페이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운행중인 차량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차량의 센서 또는 차량 I/O 인터페이스(28)를 통하여 차량의 속도, RPM, 브레이크 상태, 도어 상태, 에어백 상태, 안전벨트 상태의 신호를 수신하고, GNSS 또는 GPS 모듈(23)을 통하여 차량의 위도 및 경도 위치, 방위각, 시간 정보, 종 및 횡축 가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내부 저장장치(31)에 안전하게 기록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3)는 내부 저장장치(31)에 기록된 운행정보를, 차량 운행 후 필요할 경우 프런트 패널(13)의 USB 포트(15)에 장착된 USB 스틱과 같은 보조기억장치나,
    BT 통신 또는 WIFI 모듈과 같은 근거리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또는 노트북 또는 타블릿PC으로 다운로드하여 관제센터(1)로 제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3)는 사고 발생시 내부 저장장치(31)에 기록된 운행정보를 원격지의 관제센터(1)로 전송하여 기록 보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Minisum Set of Data)는 실시간 수집 기록되는 운행정보를 토대로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와 트레일(Trail)로 이루어진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Minisum Set of Data)를 생성하고,
    상기 헤더(Header)는 1 Byte의 MSD 메시지의 시작을 알리는 식별자와, 1 Byte의 장치 ID와, 2 Byte의 데이터의 길이와, 이벤트 응답 또는 요청을 위한 2 Byte의 명령어 항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1 Byte의 MSD 버전과, 1 Byte의 MSD 순번과. 6 Byte의 사고발생시간과, 1 Byte의 제어종류와, 1 Byte의 차량종류와, 17 Byte의 차대번호와, 위도 및 경도값으로 이루어진 사고발생위치와, 2 Byte의 차량 방위각와, 2건의 이전 차량위치와, 탑승자수와, 차량연료 정보 항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레일(Trail)는 1 Byte의 오류 검출을 위한 Checksum과, MSD 메시지의 끝을 알리는 식별자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응급구난센터(PSAP)에서 전복, 스핀, 충돌의 차량 사고 내용과 사고 수준을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1 Byte의 에어백 상태와, 1 Byte의 안전벨트상태와, 1 Byte 도어오픈상태 항목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응급구난센터(PSAP)에서 전복, 스핀, 충돌의 차량 사고 내용과 사고 수준을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2 Byte의 X, Y축의 가속도와, 6 Byte의 트래킹 시작 시간(년/월/일/시/분/초), 그리고 1 Byte의 차량 속도와 2 Byte의 차량 RPM과, 1 Byte의 브레이크 상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609 Byte의 구간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간정보 데이터는 차량 내의 ADAS 시스템의 TTC값과 현재의 차량 속도 변화율, TTC 구간에서의 브레이크 사용 여부를 토대로 주행하는 차량이 선행 차량과 추돌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게 차량위치부터 브레이크 상태까지는 일정시간 동안 버퍼링된 주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는 운전자에 의해 프런트 패널(13)의“SOS 버튼”(18)가 눌려졌는지 감지하고,
    이때 “SOS 버튼”(18)이 눌려졌을 경우에는 “수동 e-Call 또는 테스트 e-Call 인지를 구분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SOS 버튼”이 눌려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자동사고판단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는, “수동 e-Call 또는 테스트 e-Call 인지를 구분하는 프로세스”진행시 SOS 버튼이 설정된 시간 이상 눌려졌는지 확인하고, 만일 설정된 시간 이하로 눌려졌으면 바로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응급구난센터(2)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만일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눌려지고 일정시간 동안 대기 상태에 있다가 다시 SOS 버튼이 눌려지면 Reset되면서 종료되고),
    이때 SOS 버튼이 다시 눌려지지 않으면 테스트용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응급구난센터(2)나 관리센터(1)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는, “자동사고판단 프로세스” 진행시 차량의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는 하이(High)/로우(Low) 신호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메시지를 통해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응급구난센터(2)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는, 에어백이 전개되었다는 CAN 메시지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 3축 자이로스코프 센서(26)의 Z값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초과하였을 때 해당 차량이 전복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응급구난센터(2)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는, 3축 자이로스코프 센서(26)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자이로 센서(24)의 값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초과시 해당 차량이 스핀(Spin)된 것으로 판단하고,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응급구난센터(2)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는, 자이로 센서(24)의 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2축 가속도 센서(22)를 통해 차량의 가속도 X, Y, X + Y 값을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넘었을 때 충돌사고라고 판단하고,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응급구난센터(2)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트롤보드(20)는, 2축 가속도 센서(22)를 통해 X, Y, X + Y 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복합신호를 임계치와 비교하여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복합신호는 차량의 속도, RPM, ADAS 데이터, 브레이크 신호, 방위각, 가속도, 시간정보를 토대로,
    7.5km/h ~ 40km/h로 감속 운행한 경우에는 급감속한 것으로 판단하고, 7.5km/h ~ 40km/h로 감속하여 정지한 경우에는 급정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15km/h이상의 속도로 2초 동안 좌측 혹은 우측(60 ~ 120도)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급좌회전 혹은 급우회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15km/h 이상의 속도로 3초 동안 좌측 혹은 우측(160 ~ 180도)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급U턴한 것으로 판단하고, 11km/h 이상의 속도로 가속하여 좌측 혹은 우측으로 (30 ~ 60도)로 차로를 변경한 경우에는 앞지르기로 한 것으로 판단하고, 30km/h 이상의 속도에서 진행방향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15 ~ 30도 이상 차로를 변경하면서 ± 5km/h로 가/감속한 경우에는 급진로변경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KR1020180000030A 2018-01-02 2018-01-02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KR102029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30A KR102029456B1 (ko) 2018-01-02 2018-01-02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30A KR102029456B1 (ko) 2018-01-02 2018-01-02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54A true KR20190082454A (ko) 2019-07-10
KR102029456B1 KR102029456B1 (ko) 2019-11-29

Family

ID=6725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030A KR102029456B1 (ko) 2018-01-02 2018-01-02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4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680B1 (ko) * 2019-07-26 2020-05-29 캐롯손해보험 주식회사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KR20210010784A (ko) * 2019-07-19 2021-01-28 주식회사 유니크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KR102636725B1 (ko) 2023-10-26 2024-02-15 주식회사 이노카 비상 대응 단말의 성능 평가를 위한 모의실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582A (ko) * 2009-09-25 2011-03-31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차량의 안전 운전 관리 시스템
KR20120050023A (ko) 2010-11-10 2012-05-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 운행 기록 시스템 및 그의 차량 운행 기록 방법, 이를 위한 단말 및 운행 정보 장치
KR101498367B1 (ko) 2013-06-05 2015-03-05 주식회사 웨이브엠 차량용 디지털 운행 기록계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7555A (ko) 2014-05-30 2015-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101792141B1 (ko) * 2017-04-28 2017-11-20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교통사고 확인 자동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582A (ko) * 2009-09-25 2011-03-31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차량의 안전 운전 관리 시스템
KR20120050023A (ko) 2010-11-10 2012-05-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 운행 기록 시스템 및 그의 차량 운행 기록 방법, 이를 위한 단말 및 운행 정보 장치
KR101498367B1 (ko) 2013-06-05 2015-03-05 주식회사 웨이브엠 차량용 디지털 운행 기록계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7555A (ko) 2014-05-30 2015-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101792141B1 (ko) * 2017-04-28 2017-11-20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교통사고 확인 자동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784A (ko) * 2019-07-19 2021-01-28 주식회사 유니크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KR102082680B1 (ko) * 2019-07-26 2020-05-29 캐롯손해보험 주식회사 자동차 트립 정보에 기초한 보험료 자동 산출 시스템
KR102636725B1 (ko) 2023-10-26 2024-02-15 주식회사 이노카 비상 대응 단말의 성능 평가를 위한 모의실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456B1 (ko)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45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data acquisition using telematics-enabled portable devices
CN202703486U (zh) 车辆碰撞自动求援安全装置
CN202294652U (zh) 车辆碰撞自动求援安全装置
US20130226369A1 (en) Portable vehicle telematics systems and methods
US89899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crash
US20100117869A1 (en) Transmission of an emergency call comprising address data
US8620256B2 (en) Automated voice emergency call
CN108349507A (zh) 驾驶辅助装置、驾驶辅助方法及移动体
CA2718591A1 (en) Roadside and emergency assistance system
CN101559754A (zh) 低成本自动碰撞通报系统及其使用方法
WO2001037240A1 (fr) Terminal de communication embarque et centre de service d'informations communiquant avec ce terminal
CN107911476B (zh) 一种多功能辅助驾驶和监控系统
CN106200477B (zh) 一种智能车载系统及更新方法
CN113439290A (zh) 基于车车通信的紧急呼叫
Bonyár et al. A review on current eCall systems for autonomous car accident detection
KR102029456B1 (ko)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KR101157864B1 (ko)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CN104077898A (zh) 紧急情况报告系统
CN103963722A (zh) 出租车载客监测系统
CN111193995A (zh) 使用rfid的v2x通信系统
EP1878628A1 (en) Anti-theft system
JP2008269358A (ja) 車両用駐車案内装置、及び駐車案内システム
KR102124210B1 (ko)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복합 단말기.
JP2001118175A (ja) 緊急通報システムおよびその車載装置
US20160170840A1 (en) Vehicle information backup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f telematics unit,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backu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