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426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426B1
KR102082426B1 KR1020187022888A KR20187022888A KR102082426B1 KR 102082426 B1 KR102082426 B1 KR 102082426B1 KR 1020187022888 A KR1020187022888 A KR 1020187022888A KR 20187022888 A KR20187022888 A KR 20187022888A KR 102082426 B1 KR102082426 B1 KR 102082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pe
counterweight
rope fixing
car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1486A (en
Inventor
게이타 시마바야시
도요히로 노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1Guideways; Guides with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져 있다.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는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와, 메인 로프의 제2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는, 균형추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또한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는,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In an elevator apparatus, a car and a balance weight are suspended by the main rope so that the inside of a hoistway can move up and down. Car side main which has a guess main rope end device which has the guess main rope fixing part with which the 1st end of the main rope wa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in a hoistway, and the cage side main rope fixing part with which the 2nd end of the main rope is connected. A rope end device is provided. The drive device is provided just above the moving range of the counterweight, and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of the car when the hoistway is viewed from above.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become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a drive apparatus.

Figure 112018078428259-pct00002
Figure 112018078428259-pct00002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elevator apparatus by which the drive apparatus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driving force which moves a car and a counterweight is arrange | positioned in a hoistway.

종래, 균형추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에 유닛 프레임을 고정하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의 단부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권상기를 유닛 프레임에 장착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알려져 있다. 권상기는 유닛 프레임의 하부 빔의 상부에 배치되고, 메인 로프의 단부는 유닛 프레임의 하부 빔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상기를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해서, 권상기를 장착한 유닛 프레임의 상부를 체인 블록에 의해 매달면서 권상기를 상승시킨 후, 권상기를 아래로부터 받는 리프팅 지그에 체인 블록을 다시 연결하여 권상기를 더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a machine room is provided in which a unit frame is fixed to an upper end of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for guiding movement of a counterweight, an end of a main rope for fastening a car and counterweight, and a hoist for moving the car and counterweight to a unit frame. An elevator without this is known. The hoist is disposed above the lower beam of the unit frame, and the end of the main rope is connected to the lower beam of the unit frame. In an elevator without such a conventional machine room, in order to install the hoisting machin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hoisting machine is lifted while hanging the upper part of the unit frame on which the hoisting machine is mounted by the chain block, and then the chain block is placed on the lifting jig which receives the hoisting machine from below. Is reconnected to further raise the hoist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4828084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4828084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상기가 장착된 유닛 프레임의 하부 빔에 메인 로프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균형추의 상하 방향의 이동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권상기를 승강로의 천정에 가능한 한 가깝게 할 필요가 있다. However, in the elevator without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 shown by patent document 1, since the edge part of the main rope is connected to the lower beam of the unit frame with the hoisting machine, in order to ensure the movement range of the counterweight in the up-down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get as close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as possible.

예를 들면 유럽 안전 규격의 EN81-20에 의하면, 승강로 기기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엘리베이터 칸 위에서 행할 때, 엘리베이터 칸 위의 작업면으로부터 승강로의 천정까지의 거리를 2100mm 이상으로 확보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의 천정에 가능한 한 가깝게 하여 권상기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EN81-20을 준수하면, 엘리베이터 칸 상(上)의 작업면으로부터 보아 권상기의 위치가 높아져, 권상기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이 하기 어려워져 버린다. For example, according to EN81-20 of the European safety standard, when performing maintenance work on a hoisting device on a car, it is prescribed to secure a distance from the working surface on the car to the ceiling of the hoisting path to 2100 mm or more. In the elevator without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 shown by patent document 1, since the hoisting machine is provid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eiling of a hoistway, when the EN81-20 is complied, the position of the hoisting machine will be seen from the working surface of an upper cage | basket | car. It becomes high and becomes difficult to perform maintenance work on a hoist.

또,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의 천정에 권상기를 가능한 한 가깝게 하기 위해, 권상기의 설치시에, 권상기를 아래로부터 받는 리프팅 지그를 체인 블록에 의해 매달아 권상기를 양중(揚重)할 필요가 있으므로, 리프팅 지그가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권상기에 대해 매달린 지점의 위치가 권상기의 하부가 되어 버려, 불안정하게 매달린 상태에서 권상기의 양중 작업을 행하게 되어 버린다. Moreover, in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in order to make the hoisting machin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it is necessary to hang the lifting jig which receives the hoisting machine from below by a chain block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hoisting machine to lift the hoisting machine. Therefore, not only the lifting jig is necessary, but also the position of the point suspended from the hoist becomes the lower part of the hoist,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hoist is performed in the unstable suspended st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균형추의 이동 범위를 확보한 채로, 구동 장치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 및 구동 장치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it aims at obtaining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facilitate the maintenance work with respect to a drive device, and the installation work of a drive device, ensuring the movement range of a balance weight. .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승강로 내에 마련되며, 균형추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구동 쉬브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추측 메인 로프단(端) 장치,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 및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단부를 가지며, 구동 쉬브에 감아 걸려져 있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를 구비하며, 구동 장치는, 균형추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또한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고,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는,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다.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car and a balance weight, which are movabl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n a hoistway, and has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and a drive sheave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and move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n elevator main side main rope having a drive device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be driven, a guess main rope fixing part, and a guess main rope end device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 hoistway, and a car side main rope fixing part, and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 hoistway. The step device and the first end connected to the guess main rope fixing part, and the 2nd end connected to the cage side main rope fixing part, are suspended in a cage | basket | car and a counterweight in the state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With the main rope, the drive unit is moved Of being immediately laid on top, and the elevator shaft as seen from above, is arranged outside the area of the car, assume uppermost position of the main rope end device is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most position of the driving device.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가 구동 장치의 하부에서 균형추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균형추의 이동 범위를 유지한 채로, 구동 장치의 위치를 내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의 천정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거리 이상 떨어진 엘리베이터 칸 상(上)의 작업면에 대해서 구동 장치의 위치를 가깝게 할 수 있어, 구동 장치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구동 장치의 위치를 내려 승강로의 천정면으로부터 구동 장치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넓힐 수 있으므로, 구동 장치의 설치시에, 승강로의 천정면에 구동 장치를 가능한 한 가깝게 할 필요가 없어져, 양중기에 의해 구동 장치의 상부를 매달면서 구동 장치를 설치 위치까지 안정되게 옮길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장치의 설치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apparatus by this invention, it can avoid that a guess main rope end apparatus interferes with a counterweight at the lower part of a drive apparatus, and can lower the position of a drive apparatus, maintaining the movement range of a counterweight.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device can be made close to the working surface on the car spaced away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hoistwa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the maintenance work on the driving device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hoistway to the position of the drive device can be increased by lowering the position of the driveway, it is unnecessary to bring the drive devic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eiling face of the hoistway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driveway. It is possible to stably move the driving device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while hang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device. Thereby, the installation work of a drive device can also be made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권상기 및 유닛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권상기 및 유닛 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권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 및 유닛 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top side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unit frame of FIG. 2.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unit frame of FIG. 3.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hoisting machine of FIG. 2, a guess main rope end apparatus, and a unit frame.
6 is a top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8 is a top side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Fig. 9 is a top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FIG. 11 is a top side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0.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에는,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대향하는 한 쌍의 승강로 벽면(1a, 1b)이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저면, 상면, 정면, 배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일방의 측면을 일방의 승강로 벽면(1a)에 대향시키고,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타방의 측면을 타방의 승강로 벽면(1b)에 대향시킨 상태로 승강로(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정면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각 층의 승강장(6)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1 is a top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upper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so that a movement to an up-down direction is possible. In the hoistway 1, a pair of hoistway wall surfaces 1a and 1b which face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are formed. The car 2 has a car body having a bottom, an upper surface, a front surface, a back surface and a pair of side surfaces. The car 2 has one side surface of the car body facing one of the hoist wall surfaces 1a, and the hoistway 1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ar body opposes the other hoist wall surface 1b. It is arranged inside. In front of the cage | basket | car 2, a cage | basket | car entrance and exit is provided. When the cage | basket | car 2 is seen from the top, the cage | basket | car 2 is arrange | positioned toward the cage | board 6 of each floor.

균형추(3)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과의 사이에 균형추(3)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균형추 횡(橫) 낙하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이다. The counterweight 3 i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the top. In this example,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above, the counterweight 3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one hoistway wall surface 1a and one side surface of the car 2. Therefore, the elevator apparatus of this example is a counterweight horizontal fall type elevator apparatus.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과,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 사이에 배치되고, 균형추(3)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In the hoistway 1, a pair of car guide rails 4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are provided in the up-down direction, respectively. The car 2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car guide rails 4, and the counterweight 3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플랜지부(4a)와, 플랜지부(4a)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고 플랜지부(4a)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안내부(4b)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단면 형상은, 플랜지부(4a) 및 안내부(4b)에 의해서 T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Each car guide rail 4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flange part 4a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 guide rail 4, and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flange part 4a. It has the guide part 4b.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age guide rail 4 in the plan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ge guide rail 4 is T-shaped by the flange part 4a and the guide part 4b.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은,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각 안내부(4b)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각각의 안내부(4b)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pair of cage guide rails 4 ar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guide portions 4b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e cage | basket | car 2 moves inside the hoistway 1 in the up-down direction, being guided to each guide part 4b of the cage | basket | car guide rail 4, respectively.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은,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플랜지부(5a)와, 플랜지부(5a)로부터 돌출되고 플랜지부(5a)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안내부(5b)를 가지고 있다.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단면 형상은, 플랜지부(5a) 및 안내부(5b)에 의해서 T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5 has the flange part 5a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5, and the guide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flange part 5a and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flange part 5a. Has (5b)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5 in the plan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5 is T-shaped by the flange part 5a and the guide part 5b.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은, 승강로(1)의 깊이 방향, 즉 승강로(1)의 폭방향 및 상하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각 안내부(5b)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각각의 안내부(4b) 사이를 잇는 직선(A)과,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이 직교하고 있다. 또,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은,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각각의 안내부(4b) 사이를 잇는 직선(A)보다도 승강장(6)으로부터 보아 안쪽측에 배치되고, 또한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ar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ortions 5b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at is, the width direction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t is. As a result,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straight line A connecting between the guide portions 4b of the pair of car guide rails 4 and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The straight line B which connects between each guide part 5b of orthogonally crosses. Moreover, when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look at the hoistway 1 from above,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are more than the straight line A which connects between each guide part 4b of the pair of car guide rails 4, respectively. It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in view of (6), and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one hoistway wall surface 1a and the cage | basket | car 2. The counterweight 3 is guided to each guide part 5b of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5, and moves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up and down.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인 권상기(7)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7)는, 균형추(3)의 상하 방향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권상기(7)의 적어도 일부가 균형추(3)의 영역 내에 존재하고 있다. 또, 권상기(7)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지름 방향 치수가 축선 방향 치수보다도 큰 박형(薄型) 권상기가 권상기(7)로서 이용되어 있다.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hoist 7 which is a drive device which produces the drive force which moves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is provided. The hoist 7 is provided directly above the moving range of the counterweight 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above, at least a part of the hoist 7 is present in the area of the counterweight 3. Moreover, the hoist 7 i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the top. In this example, a thin hoist that has a radial dimension larger than the axial dimension is used as the hoist 7.

권상기(7)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71)와, 구동 장치 본체(7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구동 장치 본체(7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쉬브(72)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7)는, 구동 쉬브(72)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72)를 엘리베이터 칸(2)측을 향하게 하고, 구동 장치 본체(71)를 승강로 벽면(1a)을 향하게 한 상태로 권상기(7)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에 구동 쉬브(72)의 회전축의 축선이 직교하고 있다. The hoist 7 has a drive sheave 72 including a motor and a drive sheave 72 rotatably provided in the drive main body 71 and rotated by a drive force of the drive main body 71. . The hoist 7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which made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sheave 72 horizontal. In this example,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as shown in FIG. 1, the drive sheave 72 is directed toward the car 2 side, and the drive unit main body 71 moves the hoistway wall surface 1a. The hoist 7 is arranged in a facing state. Moreover, in this example,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axis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e sheave 72 is connected to the straight line B connecting between the guide parts 5b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This is orthogonal.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suspension sheave)(8)가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8)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일방의 측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8)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타방의 측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에 대해서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9)의 축선이 경사져 있다. At the lower part of the car 2, a pair of car suspension sheaves 8 are provided. One car suspension sheave 8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one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main body, and the other car suspension sheave 8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other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main body.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9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weight 3. In this example,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axis of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9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B connecting between the respective guide portions 5b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have.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 및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11)가 마련되어 있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7)와 승강로 벽면(1a)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균형추(3)의 상하 방향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적어도 일부가 균형추(3)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10 and the cage | basket | car side main rope end device 11 are provided.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10 is disposed between the hoisting machine 7 and the hoistway wall surface 1a as shown in FIG. 1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dead main rope end device 10 is provided just above the moving range of the counterweight 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in this example,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above, at least a part of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10 is disposed in the area of the counterweight 3.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최상부의 위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또,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최하부의 위치는, 권상기(7)의 최하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7)의 하부에서 균형추(3)가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와 간섭하는 것이 회피되어 있다. 게다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를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권상기(7)를 보았을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일부는 권상기(7)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become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 7. Moreover, the position of the lowest part of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become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lowest part of the hoist 7. Thereby, the interference of the counterweight 3 with the guess main rope end apparatus 10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 7 is avoided. In addition, when the traction machine 7 is viewed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e including the respective guide portions 5b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as shown in FIG. 2,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 A part of 10 is disposed in the area of the hoist 7.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The speculative main rope end device 10 has a plurality of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ortions 12. 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positions of the uppermost positions of all the estimated main rope fixing portions 12 are higher than the positions of the uppermost portions of the hoisting machine 7.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11)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측면과 승강로 벽면(1b)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11)는, 도시하지 않은 빔을 매개로 하여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지지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11)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13)를 가지고 있다. When the cage side main rope end device 11 is viewed from above, as shown in FIG. 1, the cage side main rope end device 11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age 2 and the elevator wall surface 1b. In addition, the cage side main rope end device 11 is supported by one cage guide rail 4 via a beam (not shown). The cage side main rope end device 11 has a plurality of cage side main rope fixing portions 13.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14)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다. 각 메인 로프(14)는, 제1 단부(14a) 및 제2 단부(14b)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에는 각 메인 로프(14)의 각각의 제1 단부(14a)가 개별로 접속되고,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13)에는 각 메인 로프(14)의 각각의 제2 단부(14b)가 개별로 접속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14)는, 제1 단부(14a)로부터,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9), 구동 쉬브(72),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8)의 순서로 감아 걸려지고, 제2 단부(14b)에 이르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메인 로프(14)는,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9), 구동 쉬브(72),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8)에 감아 걸려져 있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달고 있다. The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by the plurality of main ropes 14. Each main rope 14 has a first end 14a and a second end 14b. Each first end 14a of each main rope 14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guessed main rope fixing portions 12, and each main rope 14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age side main rope fixing portions 13. Each second end 14b of the is connected separately. Each main rope 14 is wound from the first end 14a in the order of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9, the drive sheave 72, the pair of car suspension sheaves 8, and the second end 14. 14b). Thereby, each main rope 14 is wound around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9, the drive sheave 72, and the pair of car suspension sheaves 8, and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is hanging.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프레임(24)이 고정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24)의 하부는, 한 쌍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고, 유닛 프레임(24)의 상부는, 한 쌍의 상부 고정대(26)에 의해서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하부 고정대(25)가 유닛 프레임(24)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고, 각 상부 고정대(26)가 유닛 프레임(24)의 편심에 의한 모멘트를 받는 흔들림 방지구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unit frame 24 is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The lower part of the unit frame 24 is individually fixed to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5 by a pair of lower holders 25, and the upper part of the unit frame 24 is attached to the pair of upper holders 26. It is fixed to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5 separately by this. In this example, each lower holder 25 is a support that receives a downward load on the unit frame 24, and each upper holder 26 is an anti-shake tool that receives a moment due to the eccentricity of the unit frame 24. have.

유닛 프레임(24)에는,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장착되어 있다. 또, 유닛 프레임(24)은, 권상기(7)를 지지하는 빔인 하부 빔(21)과,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지지하는 빔인 상부 빔(22)과,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 기둥(23)을 가지고 있다. 즉, 유닛 프레임(24)은,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개별로 지지하는 복수의 빔(21, 22)과, 복수의 빔(21, 22)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 기둥(23)을 가지고 있다. 하부 빔(21)에 지지되어 있는 권상기(7)는, 하부 빔(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하부 빔(21)이 각 하부 고정대(25)에 장착되고, 상부 빔(22)이 각 상부 고정대(26)에 장착되어 있다. The hoist 7 and the dead main rope end device 10 are attached to the unit frame 24. In addition, the unit frame 24 includes a lower beam 21 that is a beam that supports the hoist 7, an upper beam 22 that is a beam that supports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a lower beam 21, and an upper part. It has a pair of longitudinal pillars 23 connecting between beams 22. That is, as long as the unit frame 24 connects between the plurality of beams 21 and 22 that separately support the hoist 7 and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and the plurality of beams 21 and 22. It has a pair of longitudinal columns 23. The hoist 7 supported by the lower beam 21 is arranged above the lower beam 21. In this example, the lower beam 21 is attached to each lower holder 25, and the upper beam 22 is attached to each upper holder 26.

각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의 각각은, 메인 로프(14)의 제1 단부(14a)가 접속되어 있는 섀클(shackle) 로드(31)와, 섀클 로드(31)에 마련되어 있는 탄성체 받이인 받이판(32)과, 메인 로프(14)에 걸리는 하중을 받이판(32)으로부터 받는 탄성체인 스프링(33)과, 섀클 로드(31)에 나사 결합되고, 섀클 로드(31)에 대한 받이판(32)의 위치를 섀클 로드(3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조정하는 조정구인 너트(34)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33)은, 받이판(32)으로부터의 하중을 받아 탄성 변형한 상태로 상부 빔(22)의 상면과 받이판(32)과의 사이에서 수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의 받이판(32), 스프링(33) 및 너트(34)의 각각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천정면(1c)과 상부 빔(22)과의 사이에는, 섀클 로드(31)의 상부, 받이판(32), 스프링(33) 및 너트(34)가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메인 로프(14)의 장력은, 너트(34)를 조작하여 섀클 로드(31)에 대한 받이판(32)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Each of the guessed main rope fixing portions 12 is a shackle rod 31 to which the first end 14a of the main rope 14 is connected, and an elastic body provided on the shackle rod 31. The receiving plate 32, the spring 33 which is an elastic body that receives the load applied to the main rope 14 from the receiving plate 32, and the shackle rod 31 are screwed to the receiving plate for the shackle rod 31. It has the nut 34 which is the adjustment tool which adjusts the position of the 32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ckle rod 31. As shown in FIG. The spring 33 is contrac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eam 22 and the receiving plate 32 in a state in which the spring 33 is elastically deformed under the load from the receiving plate 32. In this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receiving plate 32, the spring 33, and the nut 34 of each guessed main rope fixing portion 12 are higher than the positions of the top of the hoist 7. Between the ceiling surface 1c and the upper beam 22 in the hoistway 1, the space where the upper part of the shackle rod 31, the receiving plate 32, the spring 33, and the nut 34 is arrange | positioned is ensured. It is. The tension of the main rope 14 can be adjusted by operating the nut 34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plate 32 relative to the shackle rod 31.

각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13)의 각각의 구성도,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13)의 각각의 섀클 로드에는, 메인 로프(14)의 제2 단부(14b)가 접속되어 있다. Each structure of each cage | basket | car side main rope fixing | fixed part 13 also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estimated main rope fixing | fixed part 12. As shown in FIG. The second end 14b of the main rope 14 is connected to each shackle rod of each car side main rope fixing part 13.

도 3은, 도 2의 권상기(7) 및 유닛 프레임(24)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권상기(7) 및 유닛 프레임(24)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부 빔(22)의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빔(21)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상부 빔(22)의 상면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hoist 7 and the unit frame 24 of FIG. 2. 4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hoist 7 and the unit frame 24 of FIG. As shown in FIG. 3, the position of the upper beam 22 is a position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beam 21. In this example, the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eam 22 i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 7.

하부 빔(2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를 포함하는 평면(B)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빔(22) 및 한 쌍의 세로 기둥(23)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를 포함하는 평면(B)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즉,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 상에 하부 빔(21)이 배치되고,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으로부터 떨어져 상부 빔(22)이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하부 빔(21)의 일부가 권상기(7)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부 빔(22) 및 한 쌍의 세로 기둥(23) 모두가 권상기(7)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lower beam 21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plane B containing the guide parts 5b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respectively. The upper beam 22 and the pair of longitudinal pillars 23 are disposed away from the plane B that includes the respective guide portions 5b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That is,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lower beam 21 is disposed on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between the guide portions 5b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and the pair of The upper beam 22 is arrange | positioned apart from the straight line B which connects between each guide part 5b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5. In addition,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a part of the lower beam 21 is disposed in the area of the hoist 7, and both the upper beam 22 and the pair of vertical posts 23 are the hoist 7. It is arranged outside the area of.

도 5는, 도 2의 권상기(7),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 및 유닛 프레임(24)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 및 구동 쉬브(72)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를 포함하는 평면(B)으로부터 보아 서로 다른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이 구동 쉬브(72)와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와의 사이를 통과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작용하는 모멘트와, 구동 쉬브(72)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적어도 일부에서 상쇄된다. FIG. 5: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hoist 7, the estimated main rope end apparatus 10, and the unit frame 24 of FIG.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10 and the drive sheave 72 are arranged on different sides as viewed from the plane B including the guide portions 5b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That is,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above, as shown in FIG. 2, the straight line B which connects between the guide parts 5b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is the drive sheave 72, It passes between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and. As a result, the moment acting on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y the load on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10 and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y the load on the drive sheave 72. The moment acting on) cancels at least in part.

하부 빔(21)의 일부는, 수평 방향에 대해 권상기(7)의 배면보다도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측으로 나와 있다. 즉,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하부 빔(21)의 일부는, 권상기(7)의 영역으로부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향해서 나와 있다. A part of the lower beam 21 is more protruding toward the guess main rope end device 10 side than the rear surface of the hoist 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above, a part of the lower beam 21 is shown toward the guess main rope end device 10 from the area | region of the hoist 7.

다음으로,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유닛 프레임(24)의 하부 빔(21)에 권상기(7)를 장착하고, 권상기(7) 및 유닛 프레임(24)을 일체로 한 권상기 유닛을 제작한다. Next,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hoist 7 and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10 above the hoistway 1 will be described. First, the hoisting machine 7 is attached to the lower beam 21 of the unit frame 24, and the hoisting unit which integrated the hoisting machine 7 and the unit frame 24 is manufactured.

이 후, 승강로(1)의 천정면(1c)에 장착한 양중기인 체인 블록의 훅(hook)을 권상기 유닛의 상부에 건 후, 체인 블록을 조작하여, 권상기 유닛을 체인 블록에 의해 매달면서 권상기 유닛을 상승시킨다. Thereafter, the hook of the chain block, which is a heavy lifter, attached to the ceiling surface 1c of the hoistway 1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ing unit, and then the hoisting unit is suspended while the hoisting unit is suspended by the chain block. Raise the unit.

이 후, 권상기 유닛이 설치 위치에 이르면, 하부 고정대(25) 및 하부 고정대(26)에 의해서 권상기 유닛의 유닛 프레임(24)을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한다. 이 후, 유닛 프레임(24)의 상부 빔(22)에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장착한다. Thereafter, when the hoisting unit reaches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unit frame 24 of the hoisting unit is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y the lower holder 25 and the lower holder 26. Thereafter, the speculative main rope end device 10 is attached to the upper beam 22 of the unit frame 24.

다음으로, 권상기(7)에 대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의 작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보수원이 최상층의 승강장(6)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 상(上)에 오른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2) 상에 마련되어 있는 보수용 조작부를 조작하여, 최상층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칸(2)을 상부로 저속으로 이동시킨다. 엘리베이터 칸(2)을 정지시키는 작업 위치는, 엘리베이터 칸(2) 상의 작업면으로부터 승강로(1) 내의 천정면(1c)까지의 거리가 EN81-20에서의 기준 거리 2100mm 이상이 되는 위치이다. Next, the operation method at the time of performing maintenance on the hoist 7 is demonstrated. First, the maintenance worker climbs on the cage | basket | car 2 from the boarding point 6 of the uppermost floor. Thereafter, the maintenance staff on the car 2 operates the repair operation unit provided on the car 2 to move the car 2 upward at a low speed to a work position located above the uppermost floor. . The working position which stops the cage | basket | car 2 is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working surface on the cage | basket | car 2 to the ceiling surface 1c in the hoistway 1 becomes a reference distance 2100 mm or more in EN81-20.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권상기(7)에 대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이 때, 보수원은,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대한 메인터넌스, 예를 들면 너트(34)의 조정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보수용 조작부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하부로 저속으로 이동시킨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최상층의 승강장(6)으로 이동한다. After that, the maintenance worker on the cage | basket | car 2 performs maintenance with respect to the hoisting machine 7.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maintenance staff can also perform maintenance with respect to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for example, adjusting the nut 34, and the like. After that, the maintenance staff on the cage | basket | car 2 moves the cage | basket | car 2 at low speed by operating the repair operation part, and then moves to the boarding point 6 of the uppermost floor from the cage | basket | car 2.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7)가 균형추(3)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권상기(7)의 하부에서 균형추(3)와 간섭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균형추(3)의 이동 범위를 유지한 채로, 권상기(7)의 위치를 내려 권상기(7)의 위치를 균형추(3)의 이동 범위의 상한 위치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 내의 천정면(1c)과 엘리베이터 칸(2) 상의 작업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기준 거리 이상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권상기(7)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권상기(7)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권상기(7)의 위치를 내려 승강로(1)의 천정면(1c)으로부터 권상기(7)의 설치 위치까지의 거리를 넓힐 수 있으므로, 권상기(7)의 설치시에, 승강로(1)의 천정면(1c)에 권상기(7)를 가능한 한 가깝게 할 필요가 없어져, 권상기를 아래로부터 받는 리프팅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 양중기에 의해 권상기(7)의 상부를 매달면서 권상기(7)를 설치 위치까지 옮길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7)의 설치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므로,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최상부에도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권상기(7)를 피해 액세스할 수 있어,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도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hoist 7 is provided just above the movement range of the counterweight 3, and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become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 7.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guess main rope end device 10 from interfering with the counterweight 3 at the bottom of the hoist 7. Thereby, while maintain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counterweight 3, the position of the hoist 7 can be lowered, and the position of the hoist 7 can be made closer to the upper limit position of the movement range of the counterweight 3. As a result, the maintenance worker can lift the hoist from above the car 2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eiling surface 1c in the hoistway 1 and the work surface on the car 2 is secured at a reference distance or more. 7) can be easily accessed, so that maintenance work on the hoist 7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from the ceiling surface 1c of the hoistway 1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ister 7 can be widened by lowering the position of the hoister 7, the hoistway 7 of the hoistway 7 is installed. It is not necessary to bring the hoisting machine 7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eiling surface 1c, and the hoisting machine 7 is installed while hanging the upper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7 by a lifting machine without using a lifting jig which receives the hoisting machine from below. You can move it to a location. Thereby,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hoist 7 can also be made easy.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is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7, the uppermost part of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is also lifted from the car 2 on the hoisting machine 7. Can be accessed, and maintenance work on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can also be easily performed on the car 2.

또,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는, 권상기(7)를 지지하는 하부 빔(21)과,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지지하는 상부 빔(22)을 가지는 유닛 프레임(24)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권상기(7)를 유닛 프레임(24)에 장착한 상태에서 운반 작업 및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설치 작업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includes a unit frame 24 having a lower beam 21 supporting the hoisting machine 7 and an upper beam 22 supporting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Since it is fixed, the conveyance work and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hoist 7 is attached to the unit frame 24. Thereby,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hoist 7 and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can be made easier.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를 잇는 직선(B)이, 구동 쉬브(72)와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와의 사이를 통과하고 있으므로,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작용하는 모멘트와, 구동 쉬브(72)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적어도 일부에서 상쇄시킬 수 있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하중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straight line B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passes between the drive sheave 72 and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10. , The moment acting on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y the load on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and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y the load on the drive sheave 72. The moment to cancel can be canceled at least in part, and the load burden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can be reduced.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권상기(7)를 지지하는 하부 빔(21)의 일부가, 권상기(7)의 영역으로부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향해서 나와 있으므로, 예를 들면 지진 또는 강풍 등에 의해서 권상기(7)에 대해서 메인 로프(14)가 흔들린 경우라도, 메인 로프(14)의 흔들림을 하부 빔(21)에 의해 억제하여 메인 로프(14)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권상기(7)에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메인 로프(14)가 흔들린 경우에도 권상기(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고장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Moreover,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above, since a part of the lower beam 21 which supports the hoisting machine 7 comes out from the area | region of the hoisting machine 7, toward the guess main rope end device 10, an example is given. For example, even when the main rope 14 is shaken with respect to the hoist 7 due to an earthquake or strong wind, the main rope 14 and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are restrained by the lower beam 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10 from colliding with the hoist 7. Thereby, even when the main rope 14 is shaken, the damage of the hoist 7 can be prevented, and the failure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prevented.

또,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는, 메인 로프(14)의 제1 단부(14a)에 접속되어 있는 섀클 로드(31)와, 섀클 로드(31)에 마련되어 있는 받이판(32)과, 메인 로프(14)에 걸리는 하중을 받이판(32)으로부터 받는 스프링(33)과, 섀클 로드(31)에 마련되어 섀클 로드(31)에 대한 받이판(32)의 위치를 조정하는 너트(34)를 가지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메인 로프(14)를 지지할 수 있고, 너트(34)에 대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메인 로프(14)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 has the shackle rod 31 connected to the 1st end part 14a of the main rope 14, the receiving plate 32 provided in the shackle rod 31, A spring 33 receiving a load applied to the main rope 14 from the receiving plate 32 and a nut 34 provided on the shackle rod 31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plate 32 with respect to the shackle rod 31. Since the main rope 14 can be supported in a simple configuration, the tension of the main rope 14 can be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on the nut 34.

또,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권상기(7)를 보았을 때,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일부가 권상기(7)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이 예에서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에 대해서,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적어도 일부를 권상기(7)의 범위 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Moreover, when looking at the hoist 7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e containing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since a part of guessed main rope end apparatus 10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hoist 7,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face each other (in this exampl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at least a part of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10 is disposed within the range of the hoist 7. The space in the hoistway 1 can be used effectively.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72)가 엘리베이터 칸(2)을 향하게 권상기(7)가 배치되고, 또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를 잇는 직선(B)에 구동 쉬브(72)의 축선이 직교하고 있으므로,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과 승강로 벽면(1a)과의 사이에 권상기(7)를 배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과 승강로 벽면(1a)과의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Moreover,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winding machine 7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drive sheave 72 may face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straight line B which connects between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is carried out. Since the axis of the drive sheave 72 is orthogonal to each other,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hoist 7 is disposed between the car 2 and the hoist wall surface 1a. The distance between 2) and the hoist wall surface 1a can be shortened, and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72)가 엘리베이터 칸(2)을 향하게 권상기(7)가 배치되어 있지만, 구동 쉬브(72)가 엘리베이터 칸(2)과는 반대측의 승강로 벽면(1a)을 향하게 권상기(7)를 배치해도 괜찮다.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hoisting machine 7 is disposed so that the drive sheave 72 faces the car 2, but the drive sheave 72 is the car 2. You may arrange the hoist 7 to face the hoistway wall surface 1a on the opposite side.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를 잇는 직선(B)에 대해서 구동 쉬브(72)의 축선이 직교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를 잇는 직선(B)에 대해서 구동 쉬브(72)의 축선이 경사져 있어도 괜찮다.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axis of the drive sheave 72 is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B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ut is limited thereto. Instead,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axis of the drive sheave 72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B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권상기(7)는 하부 빔(21)에 지지되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상부 빔(22)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은, 서로 분리된 별체의 빔이다. 즉,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빔(21, 22)에 의해서 개별로 지지되어 있다. Fig. 6 is a top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ist 7 is supported by the lower beam 21, and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is supported by the upper beam 22. The lower beam 21 and the upper beam 22 are separate beam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oist 7 and the dead main rope end device 10 are individually supported by the some beam 21 and 22 separated from each other.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 즉 복수의 빔(21, 22)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다. 하부 빔(21)은 한 쌍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고, 상부 빔(22)은 한 쌍의 상부 고정대(26)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어 있다. 각 하부 고정대(25)는, 하부 빔(21)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어 있다. 각 상부 고정대(26)는, 상부 빔(22)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The lower beam 21 and the upper beam 22, that is, the plurality of beams 21 and 22, are individually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The lower beam 21 is fixed to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y a pair of lower anchors 25, and the upper beam 22 is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s by a pair of upper anchors 26. It is fixed to the rail 5. Each lower fixing stand 25 is a support tool that receives a downward load on the lower beam 21. Each upper fixing stand 26 is a supporting tool that receives a downward load on the upper beam 22.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7)를 지지하는 하부 빔(21)과,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지지하는 상부 빔(22)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부 빔(21)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상부 빔(22)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강장(6)으로부터 보아,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좌측에 배치한 경우와, 엘리베이터 칸(2)의 우측에 배치한 경우에, 권상기(7)에 대한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위치 관계가 다르게 되지만, 하부 빔(21)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상부 빔(22)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엘리베이터 칸(2)의 좌측 및 엘리베이터 칸(2) 우측 중 어느 쪽에 배치한 경우라도,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의 각각에 대해서 동일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lower beam 21 which supports the hoist 7 and the upper beam 22 which support the guess main rope end apparatus 10 are individually fixed to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Therefore, the upper beam 22 can be provid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lower beam 21. For example, from the boarding point 6, when the hoist 7 and the guess | route main rope end device 10 are arrange |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2 like this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arrangement on the right side, although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guess main rope end device 10 with respect to the hoist 7 is different, since the upper beam 22 can be provided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lower beam 21, the hoist (7) and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even when the left side of the car 2 and the right side of the car 2 are disposed, for each of the lower beam 21 and the upper beam 22, respectively. The same parts can be used.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복수의 메인 로프(14)의 각각의 제1 단부(14a)가 개별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122)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122) 중, 일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로 되고, 나머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로 되어 있다.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각각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의 구성과 동일하다. 7 is a top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upper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The speculative main rope end device 10 has a plurality of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ortions 121, 122 to which the respective first ends 14a of the plurality of main ropes 14 are individually connected. Of the plurality of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121 and 122, a part of the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 becomes the first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 121, and the remaining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 is the second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 122. ) Each structure of the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1 and the 2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2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 in Embodiment 1. As shown in FIG.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최상부의 위치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받이판(32), 스프링(33) 및 너트(34)의 각각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최상부의 위치는,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1 become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7. A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receiving plate 32, the spring 33, and the nut 34 of the first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1 are higher than the positions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 7.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2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2 becomes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 7.

권상기(7)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중,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도 8에서 우측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보다도, 타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도 8에서 좌측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과 권상기(7)와의 사이에 메인터넌스 공간(30)이 존재하고 있다. The hoisting machine 7 is the other counterweight guide rail 5 among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5 of the right side in FIG. 8) among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FIG.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close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5 of the left side by 8. Thereby, the maintenance space 30 exists between one counterweight guide rail 5 and the hoist 7.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보다도 메인터넌스 공간(3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터넌스 공간(30)은,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조작 및 조정에 필요한 공구가 삽입 가능한 공간이다. 이것에 의해, 작업 위치에 정지되어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이 메인터넌스 공간(30)으로부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에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이 메인터넌스 공간(30)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second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122 is dispos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maintenance space 30 than the first guessing main rope fixing part 121. The maintenance space 30 is a space into which a tool necessary for the operation and adjustment of the seco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2 can be inserted. Thereby, the maintenance worker on the cage | basket | car 2 at the time of being stopped at a work position becomes accessible from the maintenance space 30 to the 2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2, and it is 2nd guess main rope go. Maintenance work for the government 122 is made possible through the maintenance space 30.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는 제1 상부 빔(221)에 지지되고,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제2 상부 빔(222)에 지지되어 있다. 또, 권상기(7)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하부 빔(2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상부 빔(221)의 위치는, 제2 상부 빔(222)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은, 서로 분리된 별체의 빔이다. 즉, 권상기(7),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빔(21, 221, 222)에 의해서 개별로 지지되어 있다. The first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1 is supported by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2 is supported by the second upper beam 222. In addition, the hoist 7 is supported by the lower beam 21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first upper beam 221 is set to a position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upper beam 222. The lower beam 21,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upper beam 222 are separate beam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oist 7, the first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121, and the second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122 are individual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beams 21, 221, and 222 separated from each other. .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 즉 복수의 빔(21, 221, 222)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다. 하부 빔(21)은,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상부 빔(221)은 한 쌍의 제1 상부 고정대(261)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고, 제2 상부 빔(222)은 한 쌍의 제2 상부 고정대(262)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어 있다. 각 하부 고정대(25)는, 하부 빔(21)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어 있다. 각 제1 상부 고정대(261)는 제1 상부 빔(221)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며, 각 제2 상부 고정대(262)는 제2 상부 빔(222)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어 있다. The lower beam 21,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upper beam 222, that is, the plurality of beams 21, 221, 222 are individually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 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lower beam 21 is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y the pair of lower fixing stands 25. The first upper beam 221 is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y a pair of first upper anchors 261, and the second upper beam 222 is a pair of second upper anchors 262. Is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Each lower fixing stand 25 is a support tool that receives a downward load on the lower beam 21. Each first upper fixture 261 is a support that receives a downward load on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each second upper fixture 262 receives a downward load on the second upper beam 222. It is a support.

또,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과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9)의 축선이 평행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In addition, in this example,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straight line B connecting the respective guide portions 5b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and the axis of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9 are It is parallel.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과 권상기(7)와의 사이에 메인터넌스 공간(30)이 존재하고 있고,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고,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가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보다도 메인터넌스 공간(3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이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에 메인터넌스 공간(30)을 통해서 더 액세스하기 쉬워져,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maintenance space 30 exists between one counterweight guide rail 5 and the hoist 7, and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1st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1 is the hoist 7. The position of the top of the seco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2 is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top of the hoisting machine 7, and the position of the top of the seco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2 is increased. Since 122 is locat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maintenance space 30 than the first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121, a maintenance worker on the car 2 is maintained at the second guessing main rope fixing part 122 in the maintenance space. It becomes easier to access through 30, and the maintenance work with respect to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can be made easier.

또,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의 각각을 독립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엘리베이터 칸(2)의 좌측 및 엘리베이터 칸(2)의 우측 중 어느 쪽에 배치한 경우라도,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의 각각에 대해서 동일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wer beam 21,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upper beam 222 are individually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ower beam 21 ), Each of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upper beam 222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and, for example, the hoist 7 and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may be The same component can be used for each of the lower beam 21,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upper beam 222 even when disposed on either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car 2.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장착되어 있는 유닛 프레임(24)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도 고정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24)은,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 중,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고정되어 있다. 9 is an upper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frame 24 to which the hoist 7 and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10 are mounted has not only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ut also a cage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age 2. It is also fixed to (4). The unit frame 24 is being fixed to one cage guide rail 4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near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5 among the pair of cage guide rails 4.

유닛 프레임(24)의 하부는, 한 쌍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및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고정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24)의 하부는, 일방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만 고정되고, 타방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타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및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한꺼번에 고정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24)의 상부는, 일방의 상부 고정대(26)에 의해서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만 고정되고, 타방의 상부 고정대(26)에 의해서 타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및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한꺼번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The lower part of the unit frame 24 is being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and one cage guide rail 4 by a pair of lower fixtures 25. The lower part of the unit frame 24 is fixed only to one counterweight guide rail 5 by one lower fixture 25, and the other counterweight guide rail 5 and one by the other lower fixture 25. It is fixed to the car guide rail 4 at once. The upper part of the unit frame 24 is fixed only to one counterweight guide rail 5 by one upper fixture 26, and the other counterweight guide rail 5 and one by the other upper fixture 26. It is fixed to the car guide rail 4 at once.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장착된 유닛 프레임(24)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에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유닛 프레임(24)에 걸리는 하중을, 2개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보다도 많은 갯수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어, 가이드 레일의 1개당 작용하는 하중을 저하시킬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device, the unit frame 24 to which the hoisting machine 7 and the dead main rope end device 10 are mounted is fixed not only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ut also to the car guide rails 5. Therefore, the load applied to the unit frame 24 can be shared and supported by a larger number of guide rails than the two counterweight guide rails 5, so that the load acting on one guide rail can be reduced.

실시 형태 5.Embodiment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복수의 메인 로프(14)의 각각의 제1 단부(14a)가 개별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122)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122) 중, 일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로 되고, 나머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로 되어 있다.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각각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의 구성과 동일하다. Fig. 10 is a top view showing the elevator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upper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The speculative main rope end device 10 has a plurality of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ortions 121, 122 to which the respective first ends 14a of the plurality of main ropes 14 are individually connected. Of the plurality of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121 and 122, a part of the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 becomes the first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 121, and the remaining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 is the second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 122. ) Each structure of the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1 and the 2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2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 in Embodiment 1. As shown in FIG.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최상부의 위치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받이판(32), 스프링(33) 및 너트(34)의 각각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최상부의 위치는, 권상기(7)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1 become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7. A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receiving plate 32, the spring 33, and the nut 34 of the first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1 are higher than the positions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 7.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2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2 is set to the position lower than the hoist 7.

각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는 제1 상부 빔(221)에 지지되고, 각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제2 상부 빔(222)에 지지되어 있다. 또, 권상기(7)는,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하부 빔(2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상부 빔(221)의 위치는, 하부 빔(21)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제2 상부 빔(222)의 위치는, 하부 빔(21)의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하부 빔(21)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은, 서로 분리된 별체의 빔이다. 즉, 권상기(7),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빔(21, 221, 222)에 의해서 개별로 지지되어 있다.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 즉 복수의 빔(21, 221, 222)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대한 복수의 빔(21, 221, 222)의 고정 구조는,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 Each first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1 is supported by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each seco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2 is supported by the second upper beam 222. In addition, the hoist 7 is supported by the lower beam 21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first upper beam 221 is set to a position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beam 21. The position of the second upper beam 222 is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lower beam 21. As a result, the seco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2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beam 21. The lower beam 21,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upper beam 222 are separate beam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oist 7, the first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121, and the second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122 are individual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beams 21, 221, and 222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lower beam 21,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upper beam 222, that is, the plurality of beams 21, 221, 222 are individually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 The fixing structure of the some beam 21, 221, 222 with respect to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3. As shown in FIG.

각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각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을 따라서 일렬씩 늘어서 있다. 즉,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열과,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열이, 직선(B)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서로 이웃하는 2열로 되어 있다. 또, 각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각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보다도 승강로 벽면(1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각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보다도 엘리베이터 칸(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가 권상기(7)의 영역 밖에 배치되고, 각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가 권상기(7)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 Each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1 and each 2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2 are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as shown in FIG. 10,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the top. Are lined up along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each guide portion 5b. That is, in the guess main rope end device 10,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above, as shown in FIG. 10, the row of the fir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s 121 and the seco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 The rows of 122 are two rows adjacen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aight line B. FIG. Moreover, each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1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closer to the hoistway wall surface 1a than each 2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2,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above. Thereby, each 2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closer to the cage | basket | car 2 than each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1,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above. have. In addition,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as shown in FIG. 10, each first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121 is disposed outside the region of the hoisting machine 7, and each second guessing main rope fixing part ( 122 is disposed in the region of the hoist 7.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third embodiment.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2)의 사이즈가 커져 메인 로프(14)의 수가 많아지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수가 많아지므로, 모든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일렬로 늘어놓으면, 추 서스펜션 쉬브(9)에 대한 메인 로프(14)의 진입 각도가 매우 커져 버려, 메인 로프(14)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메인 로프(14)의 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늘어놓는 열을, 엘리베이터 칸(2)에 가까운 측의 열과 엘리베이터 칸(2)으로부터 먼 측의 열인 2열로 하는 경우가 있다.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늘어놓는 열이 2열이 되면, 엘리베이터 칸(2)측으로부터 보아 먼 측의 열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액세스하기 어려워져 버려,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에 시간이 걸려 버린다. 또,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모든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권상기(7)의 최상부보다도 높은 위치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지만,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열이 2열이 되므로, 승강로 벽면(1a)과 권상기(7)와의 사이의 거리를 넓힐 필요가 있다. Here, in an elevator in which the size of the car 2 becomes large and the number of the main ropes 14 increases, the number of the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s of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increases, so that all the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s line up. In this case, the entry angle of the main rope 14 to the weight suspension sheave 9 becomes very large, and the life of the main rope 14 is shortened.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the main ropes 14 becomes large, the row which arrange | positions a some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is made into two rows which are rows on the side close to the cage | basket | car 2 and rows on the side far from the cage | basket | car 2. There is a case. When the row which arrange | positions a plurality of guess main rope fixing parts becomes 2 rows, it becomes difficult to access the guess main rope fixing part of the row of the side which is distant from the cage | basket | car 2 side from the cage | basket | car 2, and is guessed main Maintenance work on the rope fixing part takes time. Moreover, although all the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s of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are made higher than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 7, the access from the cage | basket | car 2 can be made easy, but the guessed main rope high Since the rows of the government become two rows,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distance between the hoist wall surface 1a and the hoist 7.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고,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에는 권상기(7)의 상부로부터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에는 권상기(7)의 하부로부터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를 권상기(7)의 하부에서 권상기(7)과 간섭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2)에 가깝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가 늘어서는 열과,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가 늘어서는 열이,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2열로 되어 있어도, 승강로 벽면(1a)과 권상기(7)와의 사이의 거리를 넓히지 않고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를 승강로(1) 내에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메인 로프(14)의 수가 많아지면, 엘리베이터 칸(2)의 사이즈가 확대되기 때문에,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균형추(3)의 폭치수가 넒어져 균형추(3)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균형추(3)의 상하 방향의 이동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5,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1st dead main rope fixing part 121 become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7, and the 2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Since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122 is lower than the hoist 7, the first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121 can be easily access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ist 7, and the second guessed main rope high The government 122 can be easily ac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hoist 7. Thereby, the maintenance work with respect to the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10 can be made easy from the cage | basket | car 2 top. Moreover, since the 2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1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age | basket | car 2 at the lower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7,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hoisting machine 7, the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1 is Even if the row of rows and the row of the second guessed main rope fixing portions 122 are arranged in two rows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from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hoistway wall surface 1a and the hoist 7 is wide. The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1 and the 2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122 can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istway 1, without lifting.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main ropes 14 increases, the size of the cage | basket | car 2 expands, and the distance between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can be enlarged. As a result, the width dimension of the counterweight 3 is reduced, so that the height dimension of the counterweight 3 can be reduced, and the moving range of the counterweight 3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secured.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지만,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뿐만 아니라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도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을 개별로 고정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해도, 가이드 레일의 1개당 작용하는 하중을 저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Embodiment 2, although the lower beam 21 and the upper beam 22 are individually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similarly to Embodiment 4,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In addition, the lower beam 21 and the upper beam 22 may be individually fixed to one car guide rail 4. Even in this way, the load acting on one guide rail can be reduced.

또, 실시 형태 3 및 5에서는,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지만,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뿐만 아니라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도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을 개별로 고정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해도, 가이드 레일의 1개당 작용하는 하중을 저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Embodiment 3 and 5, although the lower beam 21, the 1st upper beam 221, and the 2nd upper beam 222 are individually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Embodiment 4 Similarly, the lower beam 21,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upper beam 222 may be individually fixed not only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ut also to one car guide rail 4. Okay. Even in this way, the load acting on one guide rail can be reduced.

또, 실시 형태 3 및 5에서는,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과,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 기둥을 가지는 유닛 프레임을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면, 권상기(7)를 유닛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에서 운반 작업 및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설치 작업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Embodiment 3 and 5, although the lower beam 21, the 1st upper beam 221, and the 2nd upper beam 222 are individually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it limits only to this. The lower beam 21,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upper beam 222, and the lower beam 21, the first upper beam 221, and the second upper beam ar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You may fix the unit frame which has a pair of longitudinal pillars which connect 222 to each other to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y doing in this way, a conveyance work and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in the state which attached the hoist 7 to the unit frame, and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hoist 7 and the dead main rope end device 10 can be made easier.

또, 실시 형태 3 및 5에서 유닛 프레임을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하는 경우,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뿐만 아니라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도 유닛 프레임을 고정해도 괜찮다. Moreover, when fixing a unit frame to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in Embodiment 3 and 5, similar to Embodiment 4, not only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5 but one cage guide rail 4 The unit frame can also be fixed.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72)를 엘리베이터 칸(2)측을 향하게 하고, 구동 장치 본체(71)를 승강로 벽면(1a)을 향하게 한 상태로 권상기(7)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72)를 승강로 벽면(1a)측을 향하게 하고, 구동 장치 본체(71)를 엘리베이터 칸(2)을 향하게 한 상태로 권상기(7)를 배치해도 괜찮다. 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when the hoistway 1 is seen from the top, the drive sheave 72 is made to face the cage | basket | car 2 side, and the drive apparatus main body 71 is directed to the hoistway wall surface 1a. Although the hoist 7 is arrange | positioned, it is not limited to this, When viewing the hoistway 1 from the top, the drive sheave 72 faces the hoistway wall surface 1a side, and the drive apparatus main body 71 is an elevator. You may arrange the hoist 7 in the state which faced the compartment 2.

Claims (14)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되며, 상기 균형추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구동 쉬브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
추(錐)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추측 메인 로프단(端) 장치,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
상기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 쉬브에 감아 걸려져 있는 상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지지하는 하부 빔과,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를 지지하는 상부 빔을 복수의 빔으로서 가짐과 아울러, 상기 하부 빔 및 상기 상부 빔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 기둥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유닛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균형추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며,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를 잇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를 보았을 때에는,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일부가 상기 구동 장치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는,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구동 장치와 승강로 벽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which can move up and down inside the hoistway,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provided in the hoistwa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A driving device having a driving sheav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 guess main rope end device having a weight side main rope fixing part an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hoistway;
The car side main rope end device which has the car side main rope fixing part and provided in the upper part in the said hoistway,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have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car side main rope fixing part and are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Hanging main rope, and
And having a lower beam for supporting the drive device and an upper beam for supporting the speculative main rope end device as a plurality of beams, and a pair of vertical columns for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beam and the upper beam. It has a unit frame fixed to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The drive device is provided directly above the moving range of the counterweight, and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of the car when the hoistway is viewed from above,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i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drive apparatus,
When the driving device is viewed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e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a part of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is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driving device,
The said main rope end apparatus is an elevator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said drive apparatus and a hoistway wall surface, when the said hoistway is seen from the top.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되며, 상기 균형추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구동 쉬브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
추(錐)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추측 메인 로프단(端) 장치,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 및
상기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 쉬브에 감아 걸려져 있는 상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균형추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는, 복수의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서 매달려져 있고,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는, 상기 복수의 메인 로프의 각각의 상기 제1 단부가 개별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중, 일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로 되고, 나머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이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중,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보다도 타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구동 장치와의 사이에 메인터넌스 공간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보다도 상기 메인터넌스 공간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which can move up and down inside the hoistway,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provided in the hoistwa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A driving device having a driving sheav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 guess main rope end device having a weight side main rope fixing part an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hoistway;
The cage side main rope end device which has the cage side main rope fixing part, and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in the said hoistway, and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have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car side main rope fixing part and are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With the main rope hanging,
The drive device is provided directly above the moving range of the counterweight, and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of the car when the hoistway is viewed from above,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i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drive apparatus,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suspended by a plurality of the main ropes,
The speculative main rope end device has a plurality of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ortions to which the respective first ends of the plurality of main ropes are individually connected,
Of the plurality of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some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are first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and the remaining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are second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i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drive apparatus,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2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is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drive apparatus,
The said drive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closer to the other counterweight guide rail than one counterweight guide rail among the said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and maintains between the said counterweight guide rails and the said drive apparatus. Space exists,
The said 2nd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closer to the said maintenance space than the said 1st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되며, 상기 균형추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구동 쉬브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
추(錐)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추측 메인 로프단(端) 장치,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 및
상기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 쉬브에 감아 걸려져 있는 상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균형추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는, 복수의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서 매달려져 있고,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는, 상기 복수의 메인 로프의 각각의 상기 제1 단부가 개별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중, 일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로 되고, 나머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 보다도 낮은 위치이며,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보다도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which can move up and down inside the hoistway,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provided in the hoistwa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A driving device having a driving sheav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 guess main rope end device having a weight side main rope fixing part an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hoistway;
The cage side main rope end device which has the cage side main rope fixing part, and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in the said hoistway, and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have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guessed main rope fixing par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car side main rope fixing part and are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With the main rope hanging,
The drive device is provided directly above the moving range of the counterweight, and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of the car when the hoistway is viewed from above,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guessed main rope end device i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drive apparatus,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suspended by a plurality of the main ropes,
The speculative main rope end device has a plurality of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ortions to which the respective first ends of the plurality of main ropes are individually connected,
Of the plurality of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some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are first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and the remaining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are second speculative main rope fixing parts,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is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aid drive apparatus,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2nd dead main rope fixing part is a position lower than the said drive apparatus,
The said 2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closer to the said car than the said 1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when the said lifting path is seen from the top.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및 상기 구동 장치를 개별로 지지하는 복수의 빔을 가지는 유닛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a unit frame having a plurality of beams that individually support the first dead main rope fixing unit, the second dead main rope fixing unit, and the drive unit,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및 상기 구동 장치를 개별로 지지하는 복수의 빔을 가지는 유닛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a unit frame having a plurality of beams that individually support the first dead main rope fixing unit, the second dead main rope fixing unit, and the drive unit,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및 상기 구동 장치는, 복수의 빔에 의해서 개별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빔은,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the seco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and the driving device are individual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beams,
The said plurality of beams are elevator apparatuses fixed to the said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individuall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및 상기 구동 장치는, 복수의 빔에 의해서 개별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빔은,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guess main rope fixing part, the second guess main rope fixing part, and the driving device are individual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beams,
The said plurality of beams are elevator apparatuses fixed to the said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individually.
청구항 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프레임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도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4 or 5,
The said unit frame is an elevator apparatus fixed to the cage guide rail which guides the movement of the cage.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도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plurality of beams, the elevator device is fixed to the car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ar.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이, 상기 구동 쉬브와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와의 사이를 통과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When the hoistway is viewed from above,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passes between the drive sheave and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빔 중, 상기 구동 장치를 지지하는 빔이, 상기 구동 장치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를 향해서 나와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When the said hoistway is seen from above,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supports the said drive apparatus among the said some beams emerges toward the said guessed main rope end apparatus from the area | region of the said drive apparatu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상기 제1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섀클(shackle) 로드와, 상기 섀클 로드에 마련되어 있는 탄성체 받이와, 상기 메인 로프에 걸리는 하중을 상기 탄성체 받이로부터 받는 탄성체와, 상기 섀클 로드에 마련되어 상기 섀클 로드에 대한 상기 탄성체 받이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구(調整具)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specular main rope fixing part includes a shackle rod connected to the first end, an elastic support provided on the shackle rod, an elastic body receiving a load applied to the main rope from the elastic support, and the shackle rod An elevator apparatus provided in an elevator and having an adjusting tool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aid elastic body receiver relative to said shackle rod.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를 잇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를 보았을 때에는,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일부가 상기 구동 장치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When the drive device is viewed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e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part of the estimated main rope end device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drive devic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상기 구동 쉬브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구동 장치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에 상기 구동 쉬브의 축선이 직교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n the hoistway is viewed from above, the drive device is arranged with the drive sheave facing the car, and the elevator of the drive sheave is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between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Device.
KR1020187022888A 2016-02-19 2016-02-19 Elevator device KR1020824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4930 WO2017141438A1 (en) 2016-02-19 2016-02-19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486A KR20180101486A (en) 2018-09-12
KR102082426B1 true KR102082426B1 (en) 2020-02-27

Family

ID=5962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888A KR102082426B1 (en) 2016-02-19 2016-02-19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36225B2 (en)
KR (1) KR102082426B1 (en)
CN (1) CN108698792B (en)
DE (1) DE112016006454T5 (en)
WO (1) WO201714143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2054B2 (en) * 2018-04-12 2020-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Machine platform fixing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JPWO2023053181A1 (en) * 2021-09-28 2023-04-06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8084B1 (en) 1966-09-29 1973-08-29
JPS5854074B2 (en) * 1977-12-29 1983-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How to install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and diverting wheel device
JPH0780659B2 (en) * 1988-04-20 1995-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Mobile cable system for skew elevator
FI94123C (en) * 1993-06-28 1995-07-25 Kone Oy Pinion Elevator
FI100516B (en) * 1994-09-27 1997-12-31 Kone Oy Arrangement for attaching a carrier line to an elevator and for using a guide as a carrier for an elevator
JP4157631B2 (en) * 1998-11-19 2008-10-01 日本エレベーター製造株式会社 Elevator device
JP2000211851A (en) * 1999-01-22 2000-08-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Elevator
FI111622B (en) * 1999-01-27 2003-08-29 Kone Corp Drive wheel lift and flywheel operation
JP4416381B2 (en) * 2002-06-14 2010-02-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Machine roomless elevator
SG117469A1 (en) * 2002-12-24 2005-12-29 Inventio Ag Lift cage with horizontal balancing system
MY137170A (en) * 2003-02-04 2009-01-30 Toshiba Elevator Kk Elevator
CN2632050Y (en) * 2003-07-24 2004-08-11 广州日立电梯有限公司 Elevator without control cabin
JP5120260B2 (en) * 2006-09-29 2013-01-1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JP2008230809A (en) * 2007-03-22 2008-10-02 Toshiba Elevator Co Ltd Main rope hitch device for elevator
DE112014006866B4 (en) * 2014-08-13 2021-06-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chine base attachment device for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8792A (en) 2018-10-23
WO2017141438A1 (en) 2017-08-24
DE112016006454T5 (en) 2018-12-20
JP6336225B2 (en) 2018-06-06
JPWO2017141438A1 (en) 2018-05-31
CN108698792B (en) 2020-06-05
KR20180101486A (en)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1376C2 (en) Method for erecting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which can be adapted to increasing building height
JP2007099515A (en) Method for mounting support means of lift cage to lift cage and lift shaft
JP5889412B2 (en) Elevator suspension structure and guide shoe structure
JP5264751B2 (en) Elevator lifting device and elevator lifting method
KR102106837B1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installation method
CN112239115A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s into elevator shaft
KR102082426B1 (en) Elevator device
JP2009173386A (en) Installation device of elevator
JP5329031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641307B1 (en) Elevator apparatus
CN110709344B (en) Elevator with a movable elevator car
CN107618959B (en) The installation method and elevator of hoist engine
JP2007210703A (en)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hoist machine in machine-room-less elevator
JP6432926B1 (en) Elevator equipment
CN108377647B (en) Counterweight of elevat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JP2012201497A (en) Machine bed and lifting device
JP4056475B2 (en) Elevator equipment
JP4917829B2 (e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and installation equipment
JP2013067492A (en) Device for fixing hoisting machine of elevator
CN113548559B (en) Elevator device
JP2020007120A (en)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of clearance under compensation sheave
AU2020379140B2 (en) Installation device for use in a lift shaft
JP2023168698A (en) Elevator device
JP6881865B1 (en) Hoisting machine uni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7105723B2 (en) Elevator and Compen rope suppor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