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307B1 -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307B1
KR100641307B1 KR1020047006187A KR20047006187A KR100641307B1 KR 100641307 B1 KR100641307 B1 KR 100641307B1 KR 1020047006187 A KR1020047006187 A KR 1020047006187A KR 20047006187 A KR20047006187 A KR 20047006187A KR 100641307 B1 KR100641307 B1 KR 10064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rope
upper beam
hoistway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68126A (en
Inventor
하마구치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1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3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의 구동 로프 풀리에 감겨진 메인 로프에 의해, 카가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 카는, 상부 빔 및 천정부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의 카 접속단부는, 로프단 접속 장치를 통하여 상부 빔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빔은, 그 하단부가 천정부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In the elevato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a car is suspended in a hoistway by the main rope wound by the drive rope pulley of a drive device. The car has an upper beam and a ceiling. The car connection end of the main rope is connected to the upper beam via 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The upper beam is arranged such that its lower end is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구동 장치, 메인 로프, 로프단 접속 장치, 카 접속 단부, 카 프레임 Drive, main rope, rope end connection device, car connection end, car fram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APPARATUS}Elevator device {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카(car)를 승강로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가, 카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main rope for suspending a car in a hoistway is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car.

예를 들면, WO 02/16247 A1에 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카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의 구동 시브(sheave) 즉 로프 풀리에는, 메인 로프가 감겨져 있고, 메인 로프의 일단부에는 카가 접속되고, 메인 로프의 타단부에는 균형추가 접속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disclosed in WO 02/16247 A1, a drive device for elevating a car and a counterweight is disposed above the hoistway. The main rope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or rope pulley, of the drive device, a ca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rope, and a balance weigh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또, 메인 로프의 일단부는, 로프 걸쇠(shackle) 및 완충 부재를 사이에 두고 카의 상부 빔(beam)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빔은, 캐빈(cabin)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One end of the main rope is connected to the upper beam of the car with a rope shackle and a cushion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upper beam is disposed above the cabi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부 빔, 로프 걸쇠 및 완충 부재 등이 캐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의 상하 방향 치수가 커져 버린다. 그러므로, 승강로의 오버헤드 치수(정상부 간격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승강로 전체의 상하 방향 치수가 커져 버린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beam, the rope clasp, the buffer member, and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bin,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car increa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overhead dimension (normal spacing dimension) of a hoistway, and the up-down direction dimension of the whole hoistway becomes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승강로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n elevator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hoistway.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로프 풀리를 가지는 구동 장치, 상부 빔을 포함하는 카 프레임과, 천정부를 포함하는 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캐빈을 가지고,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 카 접속단부를 가지고, 또한 구동 로프 풀리에 감겨져 승강로 내에 카를 매다는 메인 로프, 및 카 접속단부를 상부 빔에 접속하는 로프단 접속 장치를 구비하고, 상부 빔은, 그 하단부가 천정부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ive device having a drive rope pulley, a car frame including an upper beam, and a cabin supported by a car frame including a ceiling, and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device. A main rope wound around the drive rope pulley and hung the car in the hoistway, and a rope end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car connection end to the upper beam, wherein the upper beam has a lower end at an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It is arranged to be located lower.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로프 풀리를 가지는 구동 장치, 천정부를 가지고,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 카 접속단부를 가지고, 또한 구동 로프 풀리에 감겨져 승강로 내에 상기 카를 매다는 메인 로프, 및 카 접속단부를 카의 상부에 접속하는 로프단 접속 장치를 구비하고, 로프단 접속 장치는, 그 하단부가 천정부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has the drive apparatus which has a drive rope pulley, and the ceiling part, and has the car and car connection end which raise and lower the inside of a hoistway by the driving force of a drive apparatus, and are wound around a drive rope pulley, The main rope which hangs a car, and the rope end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nects a car connection end part to an upper part of a car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part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a ceiling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로프단 접속 장치의 단면도이다.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xample 2 of this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로프단 접속 장치의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쌍 카 가이드 레일(2) 및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카(4)는, 카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In FIG. 1, a pair of car guide rails 2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3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car 4 is guided by the car guide rail 2 and moves up and down the hoistway 1. The counterweight 5 is guided by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3 and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hoistway 1.

카(4)에는, 카 가이드 레일(2)에 걸어맞추어지는 복수의 카 가이드슈(guide shoes)(6)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5)에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에 걸어맞추어지는 복수의 균형추 가이드슈(7)가 설치되어 있다.The car 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r guide shoes 6 engaged with the car guide rail 2. The counterweight 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nterweight guide shoes 7 engaged with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3.

가이드 레일(2, 3)의 상단부에는, 지지대(8)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대(8)에는, 구동 장치(권상기)(9)가 탑재되어 있다. 구동 장치(9)는, 모터(10)와, 이 모터(1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로프 풀리(11)를 가지고 있다. 또, 구동 장치(9)는, 그 직경보다 축 방향의 길이가 작은 박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동 장치(9)는, 구동 로프 풀리(11)의 축선이 연직(鉛直) 방향에 따라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장치(9)는, 카(4)의 코너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The support stand 8 is attached to the upper ends of the guide rails 2 and 3. On the support stand 8, a drive device (winder) 9 is mounted. The drive device 9 has a motor 10 and a drive rope pulley 11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10. Moreover, the drive device 9 has a thin outline having a smaller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diameter thereof. Moreover, the drive apparatus 9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axis line of the drive rope pulley 11 may extend along a perpendicular direction. In addition, the drive device 9 is disposed above the corner portion of the car 4.                 

구동 로프 풀리(11)에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12)가 감겨져 있다(도면에서는 1개 만 나타낸다). 각 메인 로프(12)는, 카(4)에 접속된 카 접속단부(12a)와, 균형추(5)에 접속된 균형추 접속단부(12b)를 가지고 있다. 즉, 카(4) 및 균형추(5)는,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The plurality of main ropes 12 are wound around the drive rope pulley 11 (only one is shown in the drawing). Each main rope 12 has a car connection end 12a connected to the car 4 and a counterweight connection end 12b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5. That is,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in a 1: 1 roping manner.

지지대(8)에는, 메인 로프(12)를 구동 장치(9)로부터 카(4)에 안내하는 제1 방향 전환 편향차(13)와, 메인 로프(12)를 구동 장치(9)로부터 균형추(5)에 안내하는 제2 방향 전환 편향차(14)가 지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 방향 전환 편향차(13, 14)는, 그들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방향 전환 편향차(13)는 카(4)의 바로 위에, 제2 방향 전환 편향차(14)는 균형추(5)의 바로 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In the support stand 8, the first direction deflection deflection difference 13 which guides the main rope 12 from the drive device 9 to the car 4, and the main rope 12 from the drive device 9 are balanced. The 2nd direction change deflection difference 14 which guides to 5) is supported. The 1st and 2nd direction change deflection differences 13 and 14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ose rotation axes may extend horizontally. Moreover, the 1st direction change deflection difference 13 is arrange | positioned directly on the car 4, and the 2nd direction change deflection difference 14 is arrange | positioned directly on the counterweight 5, respectively.

카(4)는, 카 프레임(21)과, 카 프레임(2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캐빈(22)을 가지고 있다. 카 프레임(21)은, 서로 평행이며 수직으로 뻗는 한쌍의 세로기둥(21a)과, 세로기둥(21a)의 하단부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빔(23)과 세로기둥(21a)의 상단부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빔(24)을 가지고 있다. 캐빈(22)은, 카 플로어(car floor)(도시하지 않음), 캐빈벽(25), 카의 도어(26) 및 천정부(27)를 가지고 있다.The car 4 has a car frame 21 and a cabin 22 supported by the car frame 21. The car frame 21 is fixed between a pair of vertical columns 21a extending in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lower beam 23 and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columns 21a fix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columns 21a. It has an upper beam 24. The cabin 22 has a car floor (not shown), a cabin wall 25, a car door 26, and a ceiling 27.

천정부(27)는, 소정의 상하 방향 치수(두께 치수) H를 가지고 있고, 천정부(27) 내에는, 조명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의 기기가 수납되어 있다. 상부 빔(24)은, 그 하단부가 천정부(27)의 상면(27a)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 빔(24)의 전체가 천정부(27)의 상하 방향 치수 H의 범위 내에 수납되어 있다.The ceiling part 27 has a predetermined vertical dimension (thickness dimension) H, and the ceiling part 27 accommodates apparatuses, such as a lighting fixture (not shown). The upper beam 24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part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27a of the ceiling part 27. A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the entire upper beam 24 is housed within the range of the vertical dimension H of the ceiling 27.

각 메인 로프(12)의 카 접속단부(12a)는, 로프단 접속 장치(31)에 의해 상부 빔(24)에 접속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12)의 균형추 접속단부(12b)는, 로프 걸쇠(15) 및 완충 부재(16)를 사이에 두고 균형추(5)의 상부 빔(5a)에 접속되어 있다.The car connection end 12a of each main rope 12 is connected to the upper beam 24 by 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31. The counterweight connection end part 12b of each main rope 12 is connected to the upper beam 5a of the counterweight 5 through the rope clasp 15 and the buffer member 16 in between.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천정부(27) 내에 수용된 기기의 도시는 생략한다. 로프단 접속 장치(31)는, 카 접속단부(12a)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로서의 로프 걸쇠(32), 로프 걸쇠(3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부 빔(24)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부재(33), 및 로프 걸쇠(32)와 지지 부재(33)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완충 부재(34)를 가지고 있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1, and the illustration of the device accommodated in the ceiling 27 is omitted. 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31 is a rope latch 32 as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car connection end 12a and a support member 33 fixed to the upper beam 24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rope latch 32. ) And a buffer member 34 interposed between the rope clasp 32 and the support member 33.

로프 걸쇠(32), 지지 부재(33) 및 완충 부재(34)는, 상부 빔(24)의 내측(상부 빔(24)에 의해 형성된 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천정부(27)의 상하 방향 치수 H의 범위 내에 수납되어 있다. 로프 걸쇠(32)는, 쐐기식 로프 파스너부(32a)를 가지고 있다. 완충 부재(34)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판이 사용된다. 또, 상부 빔(24)은, 천정부(27)가 카(4)의 전후 방향으로 대략 균등하게 2분할되도록, 카(4)의 폭 방향에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rope clasp 32, the support member 33, and the buffer member 34 are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upper beam 24 (inside of the groove formed by the upper beam 24),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eiling 27 It is accommodated in the range of the direction dimension H. The rope clasp 32 has the wedge-type rope fastener part 32a. As the shock absorbing member 34, a rubber plate is used, for example. Moreover, the upper beam 24 is arrange | positioned horizontal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4 so that the ceiling part 27 may divide into 2 parts substantially equally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r 4.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부 빔(24)을, 그 하단부가 천정부(27)의 상면(27a)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했으므로, 카(4)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승강로(1)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승강로(1) 정상부의 오버헤드 치수도 작게 할 수 있고, 건물의 상부에 승강로가 돌출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축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건물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upper beam 24 wa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part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27a of the ceiling part 27, the dimension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car 4 can be made small, and it raises by the hoistway ( The up-down direction dimension of 1) can be made small. In addition, the overhead dimension of the top of the hoistway 1 can also be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istway from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have.

또, 상부 빔(24)의 전체가 천정부(27)의 상하 방향 치수 H의 범위 내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카(4)의 상하 방향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승강로(1)의 상하 방향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whole upper beam 24 is accommodated in the range of the vertical direction dimension H of the ceiling part 27,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car 4 can be made smaller, and the vertical direction dimension of the hoistway 1 is thereby. Can be made smaller.

또한, 상부 빔(24)은, 천정부(27)가 카(4)의 전후 방향으로 2분할되도록, 카(4)의 폭 방향에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상부 빔(24)을 천정부(27)의 상하 방향 치수 H의 범위 내에 수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p beam 24 is arrange | positioned horizontal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4 so that the ceiling part 27 may divide into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r 4, the upper beam 24 is simple by a simple structure. ) Can be stored within the range of the vertical dimension H of the ceiling portion 27.

또한, 로프단 접속 장치(31)는, 로프 걸쇠(32), 지지 부재(33) 및 완충 부재(34)를 가지고 있으므로, 로프단 접속 장치(31)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31 has the rope clasp 32, the support member 33,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34, 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31 can be made compact.

또, 로프 걸쇠(32), 지지 부재(33) 및 완충 부재(34)는, 천정부(27)의 상하 방향 치수 H의 범위 내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카(4)의 상하 방향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승강로(1)의 상하 방향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rope clasp 32, the support member 33, and the buffer member 34 are accommodated in the range of the up-down dimension H of the ceiling part 27, the up-down dimension of the car 4 can be made smaller. As a result,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er.

또한, 로프 걸쇠(32)는, 쐐기식 로프 파스너부(32a)를 가지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메인 로프(12)를 상부 빔(24)에 대해서 견고하게 접속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rope clasp 32 has the wedge-type rope fastener part 32a, the main rope 12 can be firm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beam 24 by a simple structure.

실시예 2Example 2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로프단 접속 장치의 단면도이다. 카 접속단부(12a)에는, 쐐기식 로프 파스너부(41a) 및 스프링 베어링 플랜지(41b)를 가지는 고정 부재로서의 로프 걸쇠(41)가 고정되어 있다. 스 프링 베어링 플랜지(41b)와 지지 부재(33)사이에는, 완충 부재로서의 스프링(42)이 개재되어 있다.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pe shackle 41 as a fixing member having a wedge-type rope fastener portion 41a and a spring bearing flange 41b is fixed to the car connection end portion 12a. A spring 42 as a shock absorb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spring bearing flange 41b and the supporting member 33.

로프단 접속 장치(43)는, 로프 걸쇠(41), 지지 부재(33) 및 스프링(42)을 가지고 있다. 로프 걸쇠(41), 지지 부재(33) 및 스프링(42)은, 상부 빔(2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천정부(27)의 상하 방향 치수 H의 범위 내에 수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같다.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43 has a rope clasp 41, a support member 33, and a spring 42. The rope clasp 41, the support member 33, and the spring 42 are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upper beam 24, and are accommodated in the range of the dimension H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ceiling 27. As shown in FIG.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이와 같은 로프단 접속 장치(43)를 사용한 경우에도, 카(4)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승강로(1)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Even when such a rope end connection device 43 is used,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car 4 can be made small, and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by this.

실시예 3Example 3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로프단 접속 장치의 단면도이다. 카 접속단부(12a)에는, 쐐기식 로프 파스너부(44a)를 가지는 고정 부재로서의 로프 걸쇠(44)가 고정되어 있다. 로프 걸쇠(44)의 외주부에는, 나사부(44b)가 형성되어 있다. Next, FIG. 4 is sectional drawing of 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A rope shackle 44 as a fixing member having a wedge-type rope fastener portion 44a is fixed to the car connection end portion 12a. The threaded portion 44b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ope clasp 44.

나사부(44b)에는, 로프 걸쇠(44)에 대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메인 로프(12)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 부재(45)가 나사 장착되어 있다. 또, 나사부(44b)에는, 로프 걸쇠(44)에 대한 조정 부재(45)의 위치를 록하는 록 너트(46)도 나사 장착되어 있다. The screw member 44b is screwed with an adjusting member 45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main rope 12 by adjusting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ope latch 44. Moreover, the lock nut 46 which locks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45 with respect to the rope clasp 44 is also screwed in the screw part 44b.

로프단 접속 장치(47)는, 로프 걸쇠(44), 지지 부재(33), 스프링(42), 조정 부재(45) 및 록 너트(46)를 가지고 있다. 로프 걸쇠(44), 지지 부재(33), 스프링(42), 조정 부재(45) 및 록 너트(46)는, 상부 빔(2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 고, 천정부(27)의 상하 방향 치수 H의 범위 내에 수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같다.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47 has a rope latch 44, a support member 33, a spring 42, an adjustment member 45, and a lock nut 46. The rope clasp 44, the support member 33, the spring 42, the adjustment member 45, and the lock nut 46 are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upper beam 24, and the up-down direction of the ceiling part 27 is carried out. It is stored in the range of dimension H.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이와 같은 로프단 접속 장치(47)를 사용한 경우에도, 카(4)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승강로(1)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Even when such a rope end connection device 47 is used,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car 4 can be made small, and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by this.

또, 조정 부재(45)에 의해 메인 로프(12) 개개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메인 로프(12)의 장력을 보다 균등하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tension of each main rope 12 can be adjusted with the adjustment member 45, the tension of the main rope 12 can be made more uniform.

그리고, 상기의 예에서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기계실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a machine room.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카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승강로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승강로 정상부의 오버헤드 치수도 작게 할 수 있고, 건물의 상부에 승강로가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축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건물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car can be reduced, and thereby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overhead dimension of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can also be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istway from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Claims (8)

구동 로프 풀리를 가지는 구동 장치, Drive device with drive rope pulley, 상부 빔을 포함하는 카(car) 프레임과, 천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캐빈(cabin)을 가지고,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A car having a car frame including an upper beam and a cabin including a ceiling and supported by the car frame, the car lifting up and down the hoistway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카 접속단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구동 로프 풀리에 감겨져 상기 승강로 내에 상기 카를 매다는 메인 로프, 및 A main rope having a car connection end and wound around the drive rope pulley to suspend the car in the hoistway, and 상기 카 접속단부를 상기 상부 빔에 접속하는 로프단 접속 장치Rope end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car connection end to the upper beam 를 구비하고, And 상기 상부 빔은 그 하단부가 상기 천정부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The upper beam is disposed so that its lower end is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상기 로프단 접속 장치는 그 전체가 상부 빔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rope end connecting device is an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hole is disposed to be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ea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빔의 전체가 상기 천정부의 상하 방향 치수의 범위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ty of the upper beam is housed within a range of vertical dimension of the ceil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프단 접속 장치는, The rope end connection device, 상기 카 접속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car connection end;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빔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부재, 및 A support member fixed to the upper beam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xing member, and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완충 부재를 가지며,It has a buff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상기 완충 부재는 스프링이고,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스프링 사이에는,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메인 로프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said damping member is a spring,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djustment member which adjusts the tension of the said main rope by adjusting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aid fixing member between the said fixing member and the said spring. 삭제delete
KR1020047006187A 2002-11-08 2002-11-08 Elevator apparatus KR10064130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11686 WO2004041702A1 (en) 2002-11-08 2002-11-08 Elevator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126A KR20040068126A (en) 2004-07-30
KR100641307B1 true KR100641307B1 (en) 2006-10-31

Family

ID=3231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187A KR100641307B1 (en) 2002-11-08 2002-11-08 Elevator apparatu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02614A4 (en)
JP (1) JPWO2004041702A1 (en)
KR (1) KR100641307B1 (en)
CN (2) CN1292972C (en)
WO (1) WO200404170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957A (en) * 2007-02-26 2010-01-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rope end device and rope device
WO2009050113A1 (en) * 2007-10-11 2009-04-23 Pfeifer Holding Gmbh & Co. Kg End connector for a cable,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end connectors, system or device having the same, arrangement having the same and a mounting rail, and use of the same
DE202008012659U1 (en) * 2008-09-25 2010-02-25 Pfeifer Holding Gmbh & Co. Kg End connection for a cable and system or device with at least one end connection
JP4869385B2 (en) * 2009-06-26 2012-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Rope elevator
CN101823662B (en) * 2010-04-13 2011-12-28 黄海 Seesaw-type rope end balancing device for forcibly driving elevator
FI125156B (en) * 2011-08-29 2015-06-15 Kone Corp Elevator basket and elevator
FI124543B (en) * 2012-12-30 2014-10-15 Kone Corp Linen mount and lift
CN104003266B (en) * 2014-04-14 2017-01-25 西尼电梯(杭州)有限公司 Arrangement structure of villa lift
CN107949534B (en) * 2015-09-16 2019-07-02 三菱电机株式会社 The deflector sheave replacing options and deflector sheave of elevator replace accessory
CN107265247A (en) * 2017-07-28 2017-10-20 森赫电梯股份有限公司 It is a kind of single around high speed passenger lift
CN108706430B (en) * 2018-06-14 2023-12-08 徐州市三森威尔矿山科技有限公司 Translation combination beam bearing mechanism
CN114455428B (en) * 2022-01-27 2024-08-02 西子电梯科技有限公司 Elevator cable anti-brea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4349A (en) * 1900-01-01
DE245407C (en) *
DE651872C (en) * 1934-10-09 1937-10-21 Carl Flohr A G Frameless basket for elevators
GB496286A (en) * 1937-02-25 1938-11-25 Express Lift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vator cars
JPS56117980A (en) * 1980-02-21 1981-09-16 Tokyo Shibaura Electric Co Elevator
JPS59159680U (en) * 1983-04-11 1984-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ar device
JPS60102385A (en) * 1983-11-10 1985-06-06 株式会社東芝 Cage for elevator
FI92182C (en) * 1992-07-07 1994-10-10 Kone Oy Traction sheave elevator
FI98210C (en) * 1993-06-28 1997-05-12 Kone Oy Arrangement for connecting an elevator machine to a building
JPH1077171A (en) * 1996-09-04 1998-03-24 Toshiba Corp Hoist device for elevator
KR100319936B1 (en) * 1999-03-04 2002-01-09 장병우 Vibration reducing device for elevator car
JP4404999B2 (en) * 1999-08-16 2010-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JP2001089051A (en) * 1999-09-17 2001-04-03 Hitachi Ltd Elevator
JP2001097649A (en) * 1999-09-29 2001-04-10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KR100473094B1 (en) * 1999-12-06 2005-03-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device
US6446763B1 (en) * 2000-07-19 2002-09-10 Otis Elevator Company Integrated elevator installation hoist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2972C (en) 2007-01-03
CN1299966C (en) 2007-02-14
JPWO2004041702A1 (en) 2006-03-09
WO2004041702A1 (en) 2004-05-21
EP1602614A4 (en) 2011-06-15
EP1602614A1 (en) 2005-12-07
CN1568282A (en) 2005-01-19
KR20040068126A (en) 2004-07-30
CN1571753A (en) 200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1084A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horizontal vibration of elevator compensating ropes
KR100641307B1 (en) Elevator apparatus
KR20060006947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KR20070037995A (en) Method of mounting a support means of a lift cage to a lift cage and to a lift shaft
US7493989B2 (en) Elevator suspension arrangement
JP6215093B2 (en) Elevator and compensator used for it
JP2006264862A (e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5329031B2 (en) Elevator equipment
JPH09151059A (en) Elevator device
JP6693373B2 (en) elevator
KR20060003086A (en) Elevator device
JP2012056773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216252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1072352A (en) Elevator apparatus having driving unit disposed in elevator hoistway
KR100685505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671608B1 (en) Elevator rope holding structure
CN108377647B (en) Counterweight of elevat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KR102082426B1 (en) Elevator device
JP7111670B2 (en) elevator equipment
JP5253285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597941B1 (en)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JPH0524769A (en) High speed elevator
JP4491300B2 (en) Elevator hoist support device
KR101432451B1 (en) Elevator device
JPWO2006018868A1 (en) Elevat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