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329B1 -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329B1
KR102082329B1 KR1020180083567A KR20180083567A KR102082329B1 KR 102082329 B1 KR102082329 B1 KR 102082329B1 KR 1020180083567 A KR1020180083567 A KR 1020180083567A KR 20180083567 A KR20180083567 A KR 20180083567A KR 102082329 B1 KR102082329 B1 KR 10208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upper film
lower film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337A (ko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대인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인화학(주) filed Critical 대인화학(주)
Priority to KR102018008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3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9/00Cutting apparatus combined with punching or perforating apparatus or with dis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06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with punching tools moving with the work
    • B26F1/10Roller type pu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기에서 성형된 가공대상필름을 이동시키는 공급롤러, 공급롤러를 통해 이동된 가공대상필름을 두께 기준으로 상부필름 및 하부필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날, 상부필름이 통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부필름침롤러와 상부필름받침롤러로 구성되며, 상부필름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상부필름천공침이 형성되고, 상부필름받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부필름천공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상부필름천공지지층이 형성된 상부필름천공부, 하부필름이 통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하부필름침롤러와 하부필름받침롤러로 구성되며, 하부필름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하부필름천공침이 형성되고, 하부필름받침롤러의 외주면에는 하부필름천공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하부필름천공지지층이 형성된 하부필름천공부, 상부필름천공부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상부필름을 권취하는 상부필름권취롤러, 하부필름천공부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하부필름을 권취하는 상부필름권취롤러를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breathable film}
본 발명은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는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재는 방습, 방수 및 밀봉효과가 뛰어난 플라스틱 필름 재질의 포장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의 경우, 종이 등에 비하여 내구성 및 밀봉성이 우수하여 포장대상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인쇄가 가능하다.
여기서, 플라스틱 필름 포장재는 단일재질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필름으로 포장지를 만들 수 있으며, 또한 복합재질 즉,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이하 PE) 등의 포장지의 내면재질, 알루미늄 호일(Aluminum Foil), 나일론(Nylon, 이하 Ny)등의 중간층재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thalate, 이하 PET) 또는 Oriented Polypropylene, 이하 OPP), Ny 등의 필름이 포장지의 외면재질로 이루질 수도 있다.
이처럼 플라스틱필름 포장재는 밀봉효과가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포장재 외부에 미세한 흠집을 내어 공기가 투과되는 통기성 필름을 이용하며, 통기성 필름은 공기는 통과시키되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는 필름으로써 비닐의 성질 그대로 유지하되, 포장대상물의 저장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필름이라고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통기성 필름을 가공할 때 필름면적에 따라 다수개의 레이저 발진장치를 설치하여 플라스틱 필름의 외부면에 미세한 홈을 가공하는 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레이저 발진장치를 다수개 사용하게 되면 플라스틱 필름 가공장치의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의 플라스틱 필름 가공장치는 하나의 필름만을 순차적으로 가공함으로써 가공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85934(2014.04.17)호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레이저 발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필름에 복수의 통기공을 형성되게 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가공효율을 높여, 제조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압출기에서 성형된 가공대상필름을 이동시키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를 통해 이동된 상기 가공대상필름을 두께 기준으로 상부필름 및 하부필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날, 상기 상부필름이 통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부필름침롤러와 상부필름받침롤러로 구성되며, 상부필름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상부필름천공침이 형성되고, 상부필름받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부필름천공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상부필름천공지지층이 형성된 상부필름천공부, 상기 하부필름이 통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하부필름침롤러와 하부필름받침롤러로 구성되며, 하부필름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하부필름천공침이 형성되고, 하부필름받침롤러의 외주면에는 하부필름천공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하부필름천공지지층이 형성된 하부필름천공부, 상기 상부필름천공부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상부필름을 권취하는 상부필름권취롤러, 상기 하부필름천공부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하부필름을 권취하는 상부필름권취롤러를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리날과 상부필름천공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필름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절단하는 상부필름폭절단커터, 상기 분리날과 하부필름천공부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필름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절단하는 하부필름폭절단커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필름침롤러 및 하부필름침롤러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상부필름침롤러와 연결되어, 상부필름침롤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상부침롤이동실린더, 상기 하부필름침롤러와 연결되어, 하부필름침롤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하부침롤이동실린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필름침롤러의 내측에는 상부필름히팅코일을 결합 구비하며, 상부필름히팅코일은 상부필름침롤러를 250 ~ 300℃ 온도로 가열하며, 상기 하부필름침롤러의 내측에는 하부필름히팅코일을 결합 구비하며, 하부필름히팅코일은 하부필름침롤러를 250 ~ 300℃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필름침롤러와 상부필름권취롤러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필름권취롤러에 상부필름이 펼침상태로 권취되게 하는 상부필름펼침부, 상기 하부필름침롤러와 하부필름권취롤러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필름권취롤러에 하부필름이 펼침상태로 권취되게 하는 하부필름펼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필름펼침부는, 상기 상부필름침롤러와 상부필름권취롤러 사이에 설치하는 상부필름펼침연결바, 일단이 상부필름펼침연결바에 고정결합하며, 타단은 상부필름권취롤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부필름권취롤러에 감기는 상부필름 상면에 안착되게 배치하는 상부필름펼침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필름펼침부는, 상기 하부필름침롤러와 하부필름권취롤러 사이에 설치하는 하부필름펼침연결바, 일단이 하부필름펼침연결바에 고정결합하며, 타단은 하부필름권취롤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하부필름권취롤러에 감기는 하부필름 상면에 안착되게 배치하는 하부필름펼침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는, 공급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가공대상필름을 분리날에서 상부필름 및 하부필름으로 분리한 후, 상부필름은 상부필름천공부를 통과하면서 가열상태로 상부필름천공침에 의해 통기공이 형성되게 하고, 하부필름은 하부필름천공부를 통과하면서 가열상태로 하부필름천공침에 의해 통기공이 형성되게 한다. 이렇게, 통기공이 형성된 상부필름 및 하부필름은 각각 상부필름권취롤러 및 하부필름권취롤러에 권취되면서 제조작업이 완료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바, 제조 비용은 적게 소요되면서도 가공효율은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부분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는, 공급롤러(100), 분리날(110), 상부필름천공부(120), 하부필름천공부(130), 상부필름권취롤러(140), 하부필름권취롤러(1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급롤러(100)는 압출기(도면미도시)에서 성형된 가공대상필름(10)을 이동시키는 롤러이다. 즉, 공급롤러(100)는 압출기에서 성형된 가공대상필름(10)을 이후 설명될 분리날(110)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공급롤러(100)는 길이방향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도면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여기서, 공급롤러(10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도면미도시)를 연결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공급롤러(100)가 지지대 상에서 축회전하면서 가공대상필름(10)을 분리날(110)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분리날(110)은 공급롤러(100)로부터 공급받는 가공대상필름(10)을 2장으로 분리되게 하는 부분이다. 즉, 분리날(110)은 가공대상필름(10)을 두께 기준으로 상부필름(10a)과 하부필름(10b)으로 분리되게 한다. 이같이, 분리날(110)에 의해 분리된 상부필름(10a)은 이후 설명될 상부필름천공부(120)로 공급되고, 하부필름(10b)은 이후 설명될 하부필름천공부(130)로 공급된다. 이러한, 분리날(110)은 가공대상필름(10)을 상부필름(10a)과 하부필름(10b)으로 안정적인 분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도록 가공대상필름(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필름천공부(120)는 분리날(110)에 의해 분리된 상부필름(10a)을 공급받은 후, 상부필름(10a)에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상부필름천공부(120)는 상부필름(10a)을 통과되게 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부필름침롤러(121)와 상부필름받침롤러(124)로 구성된다. 즉, 상부필름침롤러(121)는 상부필름받침롤러(124)의 상부에 대향되게 배치하며, 상부필름침롤러(121) 및 상부필름받침롤러(124)는 각각 지지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이때, 상부필름침롤러(121) 및 상부필름받침롤러(124)는 구동모터(도면미도시)에 의해 각각 동일한 회전속도를 가지면서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필름침롤러(121)의 외주면에는 상부필름(10a)의 통과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상부필름천공침(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필름천공침(122)은 원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필름침롤러(121)의 내측에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상부필름히팅코일(123)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필름히팅코일(123)은 상부필름침롤러(121)를 250 ~ 300℃ 온도로 가열하면서, 상부필름(10a)의 통과시 상부필름(10a)을 가열되게 하는 바, 상부필름천공침(122)에 의한 통기공의 형성시 상부필름(10a)이 찢어지지 않도록 유연성을 가지게 한다. 이때, 상부필름히팅코일(123)에 의한 상부필름침롤러(121)의 가열온도가 250℃ 미만일 경우, 상부필름천공침(122)에 의한 통기공의 형성시 찢어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부필름히팅코일(123)에 의한 상부필름침롤러(121)의 가열온도가 300℃ 초과할 경우, 상부필름(10a)의 열손상이나 상부필름천공침(122)에 의한 통기공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필름침롤러(121)는 지지대 상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회전되게 연결 설치되고, 상부침롤이동실린더(12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부침롤이동실린더(126)의 로드 단부는 상부필름침롤러(121)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러한, 상부침롤이동실린더(126)는 상부필름침롤러(1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상부필름받침롤러(124)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바, 상부필름천공침(122)이 상부필름받침롤러(124)의 표면에 접하는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부필름(10a)에 형성되는 통기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필름받침롤러(124)는 상부필름침롤러(121)의 하부에 대향되게 인접 배치하는 롤러이다. 이러한, 상부필름받침롤러(124)의 외주면에는 상부필름침롤러(121)의 상부필름천공침(122)과 접촉시, 상부필름천공침(122)의 손상없이 삽입되게 하면서 상부필름(10a)에 통기공이 형성되게 하도록 연성을 가지는 상부천공지지층(1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천공지지층(125)은 고무재질이나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필름천공부(130)는 분리날(110)에 의해 분리된 하부필름(10b)을 공급받은 후, 하부필름(10b)에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하부필름천공부(130)는 하부필름(10b)을 통과되게 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하부필름침롤러(131)와 하부필름받침롤러(134)로 구성된다. 즉, 하부필름침롤러(131)는 하부필름받침롤러(134)의 상부에 대향되게 배치하며, 하부필름침롤러(131) 및 하부필름받침롤러(134)는 각각 지지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이때, 하부필름침롤러(131) 및 하부필름받침롤러(134)는 구동모터(도면미도시)에 의해 각각 동일한 회전속도를 가지면서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
상기 하부필름침롤러(131)의 외주면에는 하부필름(10b)의 통과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하부필름천공침(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필름천공침(132)은 원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필름침롤러(131)의 내측에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하부필름히팅코일(133)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필름히팅코일(133)은 하부필름침롤러(131)를 250 ~ 300℃ 온도로 가열하면서, 하부필름(10b)의 통과시 하부필름(10b)을 가열되게 하는 바, 하부필름천공침(132)에 의한 통기공의 형성시 하부필름(10b)이 찢어지지 않도록 유연성을 가지게 한다. 이때, 하부필름히팅코일(133)에 의한 하부필름침롤러(131)의 가열온도가 250℃ 미만일 경우, 하부필름천공침(132)에 의한 통기공의 형성시 찢어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하부필름히팅코일(133)에 의한 하부필름침롤러(131)의 가열온도가 300℃ 초과할 경우, 하부필름(10b)의 열손상이나 하부필름천공침(132)에 의한 통기공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부필름침롤러(131)는 지지대 상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회전되게 연결 설치되고, 하부침롤이동실린더(13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하부침롤이동실린더(136)의 로드 단부는 하부필름침롤러(131)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러한, 하부침롤이동실린더(136)는 하부필름침롤러(1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하부필름받침롤러(134)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바, 히부필름천공침(132)이 하부필름받침롤러(134)의 표면에 접하는 위치를 조절하면서 하부필름(10b)에 형성되는 통기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필름받침롤러(134)는 하부필름침롤러(131)의 하부에 대향되게 인접 배치하는 롤러이다. 이러한, 하부필름받침롤러(134)의 외주면에는 하부필름침롤러(131)의 하부필름천공침(132)과 접촉시, 하부필름천공침(132)의 손상없이 삽입되게 하면서 하부필름(10b)에 통기공이 형성되게 하도록 연성을 가지는 하부천공지지층(135)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천공지지층(135)은 고무재질이나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날(110)과 상부필름천공부(120)의 사이에는 상부필름(10a)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되게 하는 상부필름폭절단커터(1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필름절단커터(160)는 상부필름(10a)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지지대에 한 쌍을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필름폭절단커터(160)는 지지대 상에서 상부필름(10a)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부필름(10a)의 폭 방향에 대한 절단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부필름절단커터(160)의 하부에는 상부필름절단가이드롤러(161)를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필름절단가이드롤러(161)의 외주면에는 원둘레로 상부필름절단가이드홈(16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필름절단가이드홈(162)은 상부필름절단가이드롤러(16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부필름폭절단커터(160)의 하단이 삽입되게 배치하면서 상부필름(10a)의 안정적인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상부필름절단가이드롤러(161)는 구동모터(도면미도시)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날(110)과 하부필름천공부(130)의 사이에는 하부필름(10b)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되게 하는 하부필름폭절단커터(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필름절단커터(170)는 하부필름(10b)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지지대에 한 쌍을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필름폭절단커터(170)는 지지대 상에서 하부필름(10b)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하부필름(10b)의 폭 방향에 대한 절단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하부필름절단커터(170)의 하부에는 하부필름절단가이드롤러(171)를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필름절단가이드롤러(171)의 외주면에는 원둘레로 하부필름절단가이드홈(172)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필름절단가이드홈(172)은 하부필름절단가이드롤러(17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며, 하부필름폭절단커터(170)의 하단이 삽입되게 배치하면서 하부필름(10b)의 안정적인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하부필름절단가이드롤러(171)는 구동모터(도면미도시)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상부필름권취롤러(140)는 상부필름천공부(120)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상부필름(10a)을 권취하는 롤러이다. 이러한, 상부필름권취롤러(140)는 길이방향 양단을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여기서, 상부필름권취롤러(14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도면미도시)를 연결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부필름권취롤러(140)가 지지대 상에서 축회전하면서 통기공이 형성된 상부필름(10a)을 권취하게 된다.
상기 하부필름권취롤러(150)는 하부필름천공부(130)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하부필름(10b)을 권취하는 롤러이다. 이러한, 하부필름권취롤러(150)는 길이방향 양단을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여기서, 하부필름권취롤러(15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도면미도시)를 연결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하부필름권취롤러(150)가 지지대 상에서 축회전하면서 통기공이 형성된 하부필름(10b)을 권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필름천공부(120)의 상부필름침롤러(121)와 상부필름권취롤러(140) 사이에는 상부필름(10a)을 상부필름권취롤러(140)에 펼침상태로 권취되게 하는 상부필름펼침부(18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부필름펼침부(180)는 상부필름권취롤러(140)에 통기공이 형성된 상부필름(10a)을 접힘없는 상태로 안정적인 권취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부필름펼침부(180)는 상부필름펼침연결바(181), 상부필름펼침필름(18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필름펼침연결바(181)는 상부필름침롤러(121)와 상부필름권취롤러(14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지지대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바 부재이다. 이러한, 상부필름펼침연결바(181)는 상부필름펼침필름(182)의 일단을 연결 지지한다.
상기 상부필름펼침필름(182)은 상부필름권취롤러(140)에 감기는 상부필름(10a) 상면에 안착되게 배치되면서, 상부필름(10a)을 펼침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부필름펼침필름(182)의 일단은 상부필름펼침연결바(181)에 고정되게 결합하며, 상부필름펼침필름(182)의 타단은 상부필름권취롤러(140)에 감김되도록 이동하는 상부필름(10a) 상면에 안착되게 배치한다. 이같이, 상부필름펼침필름(182)의 타단이 상부필름(10a)의 상면을 눌러주면서 상부필름권취롤러(140)에 상부필름(10a)의 접힘없는 펼침상태로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필름천공부(130)의 하부필름침롤러(131)와 하부필름권취롤러(150) 사이에는 하부필름(10b)을 하부필름권취롤러(150)에 펼침상태로 권취되게 하는 하부필름펼침부(19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하부필름펼침부(190)는 하부필름권취롤러(150)에 통기공이 형성된 하부필름(10b)을 접힘없는 상태로 안정적인 권취가 이루어지게 한다. 하부필름펼침부(190)는 하부필름펼침연결바(181), 하부필름펼침필름(19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필름펼침연결바(191)는 하부필름침롤러(131)와 하부필름권취롤러(15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지지대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바 부재이다. 이러한, 하부필름펼침연결바(191)는 하부필름펼침필름(192)의 일단을 연결 지지한다.
상기 하부필름펼침필름(192)은 하부필름권취롤러(150)에 감기는 하부필름(10b) 상면에 안착되게 배치되면서, 하부필름(10b)을 펼침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하부필름펼침필름(192)의 일단은 하부필름펼침연결바(191)에 고정되게 결합하며, 하부필름펼침필름(192)의 타단은 하부필름권취롤러(150)에 감김되도록 이동하는 하부필름(10b) 상면에 안착되게 배치한다. 이같이, 하부필름펼침필름(192)의 타단이 하부필름(10b)의 상면을 눌러주면서 하부필름권취롤러(150)에 하부필름(10b)의 접힘없는 펼침상태로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공급롤러(100) 및 상부필름천공부(120) 사이와, 공급롤러(100) 및 하부필름천공부(130) 사이와, 상부필름천공부(120) 및 상부필름권취롤러(140) 사이와, 하부필름천공부(130) 및 하부필름권취롤러(150) 사이에는 상부필름(10a) 및 하부필름(10b)을 각각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킨 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이동가이드롤러(200)를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이동가이드롤러(200)에는 구동모터를 연결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이동가이드롤러(20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필름권취롤러(140)의 상부 또는 하부 및, 하부필름권취롤러(15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각각 상부필름권취롤러(140)에 권취되는 상부필름(10a) 및 하부필름권취롤러(150)에 권취되는 하부필름(10b)의 분진 및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210)를 지지대에 연결상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를 이용한 통기성 필름 제조작업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출기에서 성형된 가공대상필름(10)은 공급롤러(100)를 통해 분리날(1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분리날(110)로 이동 공급된 가공대상필름(10)은 분리날(110)을 통과하면서 상부필름(10a)과 하부필름(10b)로 분리된 후, 상부필름(10a)은 상부필름천공부(120)로 이동하고, 하부필름(10b)은 하부필름천공부(130)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상부필름천공부(120)에 상부필름(10a)이 공급되기전에는 상부필름절단커터(160)를 통해 설정된 폭을 가지도록 절단된 후 이동할 수 있으며, 하부필름천공부(130)에 하부필름(10b)이 공급되기전에는 하부필름절단커터(170)를 통해 설정된 폭을 가지도록 절단된 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필름천공부(120)로 이동 공급된 상부필름(10a)은 상부필름침롤러(121)와 상부필름받침롤러(124)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열상태로 상부필름천공침(122)에 의해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부필름권취롤러(140)에 권취된다. 그리고, 하부필름천공부(130)로 이동 공급된 하부필름(10b)은 하부필름침롤러(131)와 하부필름받침롤러(134)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열상태로 하부필름천공침(132)에 의해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부필름권취롤러(140)에 권취된다.
여기서, 상부필름권취롤러(140)에 권취시 상부필름(10a)은 상부필름펼침부(180)의 상부필름펼침필름(182)에 의해 눌림 밀착상태로 이동하면서 상부필름권취롤러(140)에 접힘없이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하부필름권취롤러(150)에 권취시 하부필름(10b)은 하부필름펼침부(190)의 하부필름펼침필름(192)에 의해 눌림 밀착상태로 이동하면서 하부필름권취롤러(150)에 접힘없이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는, 공급롤러(100)에 의해 이동되는 가공대상필름(10)을 분리날(110)에서 상부필름(10a) 및 하부필름(10b)으로 분리한 후, 상부필름(10a)은 상부필름천공부(120)를 통과하면서 가열상태로 상부필름천공침(122)에 의해 통기공이 형성되게 하고, 하부필름(10b)은 하부필름천공부(130)를 통과하면서 가열상태로 하부필름천공침(132)에 의해 통기공이 형성되게 한다. 이렇게, 통기공이 형성된 상부필름(10a) 및 하부필름(10b)은 각각 상부필름권취롤러(140) 및 하부필름권취롤러(150)에 권취되면서 제조작업이 완료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바, 제조 비용은 적게 소요되면서도 가공효율은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급롤러 120: 상부필름천공부
121: 상부필름침롤러 122: 상부필름천공침
123: 상부필름히팅코일 124: 상부필름받침롤러
130: 하부필름천공부 131: 하부필름침롤러
132: 하부필름천공침 133: 하부필름히팅코일
134: 하부필름받침롤러 140: 상부필름권취롤러
150: 하부필름권취롤러 160: 상부필름절단커터
170: 하부필름절단커터 180: 상부필름펼침부
190: 하부필름펼침부 200: 이동가이드롤러
210: 이오나이저

Claims (7)

  1. 압출기에서 성형된 가공대상필름을 이동시키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를 통해 이동된 상기 가공대상필름을 두께 기준으로 상부필름 및 하부필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날과;
    상기 상부필름이 통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부필름침롤러와 상부필름받침롤러로 구성되며, 상부필름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상부필름천공침이 형성되고, 상부필름받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부필름천공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상부필름천공지지층이 형성된 상부필름천공부와;
    상기 하부필름이 통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하부필름침롤러와 하부필름받침롤러로 구성되며, 하부필름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하부필름천공침이 형성되고, 하부필름받침롤러의 외주면에는 하부필름천공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하부필름천공지지층이 형성된 하부필름천공부와;
    상기 상부필름천공부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상부필름을 권취하는 상부필름권취롤러; 및
    상기 하부필름천공부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하부필름을 권취하는 상부필름권취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필름침롤러와 상부필름권취롤러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필름권취롤러에 상부필름이 펼침상태로 권취되게 하는 상부필름펼침부와,
    상기 하부필름침롤러와 하부필름권취롤러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필름권취롤러에 하부필름이 펼침상태로 권취되게 하는 하부필름펼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필름펼침부는,
    상기 상부필름침롤러와 상부필름권취롤러 사이에 설치하는 상부필름펼침연결바와,
    일단이 상부필름펼침연결바에 고정결합하며, 타단은 상부필름권취롤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부필름권취롤러에 감기는 상부필름 상면에 안착되게 배치하는 상부필름펼침필름을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2. 압출기에서 성형된 가공대상필름을 이동시키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를 통해 이동된 상기 가공대상필름을 두께 기준으로 상부필름 및 하부필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날과;
    상기 상부필름이 통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부필름침롤러와 상부필름받침롤러로 구성되며, 상부필름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상부필름천공침이 형성되고, 상부필름받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부필름천공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상부필름천공지지층이 형성된 상부필름천공부와;
    상기 하부필름이 통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하부필름침롤러와 하부필름받침롤러로 구성되며, 하부필름침롤러의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하부필름천공침이 형성되고, 하부필름받침롤러의 외주면에는 하부필름천공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하부필름천공지지층이 형성된 하부필름천공부와;
    상기 상부필름천공부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상부필름을 권취하는 상부필름권취롤러; 및
    상기 하부필름천공부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하부필름을 권취하는 상부필름권취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필름침롤러와 상부필름권취롤러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필름권취롤러에 상부필름이 펼침상태로 권취되게 하는 상부필름펼침부와,
    상기 하부필름침롤러와 하부필름권취롤러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필름권취롤러에 하부필름이 펼침상태로 권취되게 하는 하부필름펼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부필름펼침부는,
    상기 하부필름침롤러와 하부필름권취롤러 사이에 설치하는 하부필름펼침연결바와,
    일단이 하부필름펼침연결바에 고정결합하며, 타단은 하부필름권취롤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하부필름권취롤러에 감기는 하부필름 상면에 안착되게 배치하는 하부필름펼침필름을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리날과 상부필름천공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필름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절단하는 상부필름폭절단커터와,
    상기 분리날과 하부필름천공부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필름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절단하는 하부필름폭절단커터를 더 구비하는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름침롤러 및 하부필름침롤러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상부필름침롤러와 연결되어, 상부필름침롤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상부침롤이동실린더와,
    상기 하부필름침롤러와 연결되어, 하부필름침롤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하부침롤이동실린더를 더 구비하는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름침롤러의 내측에는 상부필름히팅코일을 결합 구비하며, 상부필름히팅코일은 상부필름침롤러를 250 ~ 300℃ 온도로 가열하며,
    상기 하부필름침롤러의 내측에는 하부필름히팅코일을 결합 구비하며, 하부필름히팅코일은 하부필름침롤러를 250 ~ 300℃ 온도로 가열하는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80083567A 2018-07-18 2018-07-18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KR10208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67A KR102082329B1 (ko) 2018-07-18 2018-07-18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67A KR102082329B1 (ko) 2018-07-18 2018-07-18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337A KR20200009337A (ko) 2020-01-30
KR102082329B1 true KR102082329B1 (ko) 2020-02-27

Family

ID=6932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567A KR102082329B1 (ko) 2018-07-18 2018-07-18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0654A (zh) * 2022-05-17 2022-07-22 嘉兴星越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自动打孔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436B1 (ko) * 2000-05-27 2002-11-22 김영한 기계적 문양이 가공된 박층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337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4066B1 (en) Inflation and sealing device for inflatable air cushions
US3682028A (en) Highly permeable thermoplastic film perforating
JP5323249B1 (ja) 製袋機
US202100314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ag using ultrasonic sealing
KR102082329B1 (ko) 통기성 필름 제조장치
JP2017522193A (ja) 紙、段ボール、プラスチック材、複合材又はその種の比較的堅固な材料を切断するための切断装置
CN106079402B (zh) 吹膜机及塑料袋的加工方法
JP2706713B2 (ja) 梱包用エアクッション製造装置
KR20170098784A (ko) 비닐 천공기
US20150165635A1 (en)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cross-cutting a moving fiber web
JP2011025994A (ja) 合成樹脂製袋の玉シール部製造装置及び玉シール部製造方法
CA132011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ir-cushioning product
JPH07165267A (ja) エアクッション製造装置
RU2729484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форирования пленки из пластика
US4029539A (en) Apparatus for forming a stretchable tubular packaging material
CN202518862U (zh) 宽幅卷材分切装置
WO2020235188A1 (ja) 製袋方法および製袋機
KR20070120800A (ko) 폴리우레탄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4975072B2 (ja) 幅広樹脂フィルム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452287B2 (ja) 灌水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05151341U (zh) 卷筒料设备切边装置
JP7084011B2 (ja) 製袋機
KR101537663B1 (ko) 포장필름용 펀칭기
JP6000649B2 (ja) 包装フィルム用折り線形成装置
KR102096877B1 (ko) 종이컵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