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902B1 -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902B1
KR102081902B1 KR1020170102943A KR20170102943A KR102081902B1 KR 102081902 B1 KR102081902 B1 KR 102081902B1 KR 1020170102943 A KR1020170102943 A KR 1020170102943A KR 20170102943 A KR20170102943 A KR 20170102943A KR 102081902 B1 KR102081902 B1 KR 10208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lates
fixing device
presen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238A (ko
Inventor
유지웅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7010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9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05Urinary tract
    • A61B2018/00517Urinary bladder or ureth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석 고정 장치는, 결석의 분쇄 시 결석의 밀림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결석 고정부, 결석 고정 장치의 체내 삽입을 위한 본체부 및 결석 고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되, 본체부는 결석 고정부 및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결석 고정부에는 복수개의 판들이 포함되며, 조작부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조작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판들로 하여금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A CALCULUS FIXING APPRATUS AVAILABLE FOR LITHOTRIPSY}
본 발명은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석 분쇄 시 발생할 수 있는 결석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석 고정부를 통해 결석을 고정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결석이란 몸 속의 분비물에 포함되어 있는 염류가 이물의 표면이나 작은 결정괴 둘레에 가라앉아 붙어서 돌같이 단단해진 것을 말한다. 이러한 결석은 신체 내에서 생기는 부위에 따라 치석, 담석, 요로결석 등으로 불리는데, 이 중 가장 많이 발생하고 활발히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담석과 요로결석이다.
특히, 요로결석의 경우 다양한 대사 문제 및 체내 수분량의 문제 등으로 생기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치료법에는 약물요법, 체외충격파쇄석술, 요관경하 배석술 등이 존재한다. 이 중 요관경하 배석술은 요관을 통해 내시경을 통과시켜 결석을 분쇄하여 제거하는 수술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요관경하 배석술은 주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결석이 소변과 함께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결석 전체를 파쇄하거나, 바스켓, 겸자와 같은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결석이 체외로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결석의 일부를 파쇄하는 것이다.
그러나, 요관경하 배석술을 이용할 경우 레이저를 이용하여 결석에 충격을 가할 때 결석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수술 시간을 지연시키고 요관 내 레이저에 의한 내상 등 환자의 합병증으로 높이는 경우가 있다. 또한 결석이 요관에서 신우로 이동하여 요관경을 이용한 배석술을 불가하게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결석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왔으나, 결석의 밀림과 이동을 확실히 방지하기 힘들고, 레이저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1107호 (2010.07.1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판을 결석의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레이저의 충격으로 인해 결석이 이동하거나 뒤로 밀리는 현상 및 레이저에 의한 내상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조작부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판의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결석의 고정 여부를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결석 제거 수술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는, 결석의 분쇄 시 결석의 밀림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결석 고정부, 결석 고정 장치의 체내 삽입을 위한 본체부 및 결석 고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되, 본체부는 결석 고정부 및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결석 고정부에는 겹쳐진 복수개의 판들이 포함되며, 조작부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조작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판들로 하여금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에는 복수개의 판들의 펼침 또는 접힘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포함되고, 조작부에 의하여 탄성부재가 신장되면 복수개의 판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지고, 탄성부재가 복원되면 복수개의 판들이 본체부 방향으로 모이며 접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는 탄성부재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제 1 나선을 포함하고, 조작부는 제 1 나선과 결합하여 복수개의 판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나선을 포함하며,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회전 동작에 의해 제 1 나선과 제 2 나선이 맞물려 회전하여 연결부가 회전 동작에 대한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동작하고, 연결부의 동작에 의해 탄성부재가 신장 또는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는 복수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가요성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에는 복수개의 판들의 동작 후 판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판들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소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판들은 결석의 분쇄에 이용되는 레이저(laser)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결석 고정 장치에 따르면, 레이저에 내구성을 갖는 판의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을 통해 결석의 후방으로 배치가능하도록 하여 결석 제거 수술 시 레이저에 의한 결석의 이동을 방지하고 레이저에 의한 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의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을 위해 나선을 형성하고 조작부를 통해 판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정밀한 판의 동작이 가능하여 결석 고정 장치에 의한 체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석 제거 수술의 편의를 향상시켜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결석 고정 장치의 본체부에 홈을 형성하고, 본체부를 복수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가요성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홈을 통해 판을 고정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판이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요성 구조를 통해 결석 고정 장치가 요관 내시경을 따라 용이하게 체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판의 펼침 동작 전 결석 고정 장치의 모습의 예, (b) 판의 펼침 동작 전 결석 고정 장치를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c) 판의 펼침 동작 전 결석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판의 펼침 동작 후 결석 고정 장치의 모습의 예, (b) 판의 펼침 동작 후 결석 고정 장치를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c) 판의 펼침 동작 후 결석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석 고정 장치가 요관 내부에서 결석을 고정하는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판(110)의 펼침 동작 전 결석 고정 장치의 모습의 예, (b) 판(110)의 펼침 동작 전 결석 고정 장치를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c) 판(110)의 펼침 동작 전 결석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판(110)의 펼침 동작 후 결석 고정 장치의 모습의 예, (b) 판(110)의 펼침 동작 후 결석 고정 장치를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c) 판(110)의 펼침 동작 후 결석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는, 결석의 분쇄 시 결석의 밀림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결석 고정부(100), 결석 고정 장치의 체내 삽입을 위한 본체부(200) 및 결석 고정부(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300)를 포함하되, 본체부(200)는 결석 고정부(100) 및 조작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부(210)를 포함하고, 결석 고정부(100)에는 겹쳐진 복수개의 판들(110)이 포함되며, 조작부(30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조작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판들(110)로 하여금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200)의 굵기는 요관 내시경에 이용되는 포셉(forcep)의 굵기와 같거나 포셉의 굵기보다 얇은 굵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석 고정 장치는 결석 제거를 위한 요관 내시경을 통해 신체 내부로 삽입되므로 포셉의 굵기와 같거나 보다 얇은 굵기로 형성되어야 체내로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조작부(300)는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면에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굴곡은 반원형태, 사각형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10)에는 복수개의 판들(110)의 펼침 또는 접힘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부재(211)가 포함되고, 조작부(300)에 의하여 탄성부재(211)가 신장되면 복수개의 판들(110)이 방사형으로 펼쳐지고, 탄성부재(211)가 복원되면 복수개의 판들(110)이 본체부(200) 방향으로 모이며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11)는 스프링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10)에는 탄성부재(211)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제 1 나선(212)이 포함되고, 조작부(300)에는 제 1 나선(212)과 결합하여 복수개의 판들(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나선(310)이 포함되며, 조작부(300)에 대한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회전 동작에 의해 제 1 나선(212)과 제 2 나선(310)이 맞물려 회전하여 연결부(210)가 회전 동작에 대한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동작하고, 연결부(210)의 동작에 의해 탄성부재(211)가 신장 또는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석의 고정을 위해 결석의 후방에서 판(110)을 펼쳐야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30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나선(212)과 제 2 나선(310)이 맞물려 회전하여 연결부(210)가 회전 동작에 대한 후진 방향으로 동작하고, 연결부(210)가 후진 방향으로 동작함에 따라 탄성부재(211)가 신장되어 복수개의 판들(110)이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결석 제거 후 판(110)을 접어서 결석 고정 장치를 제거해야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300)를 전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나선(212)과 제 2 나선(310)이 맞물려 회전하여 연결부(210)가 회전 동작에 대한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고, 연결부(210)가 전진 방향으로 동작함에 따라 탄성부재(211)가 복원되어 북수개의 판들(110)이 본체부(200) 방향으로 모이며 겹쳐지도록 접힐 수 있다.
즉, 조작부(300) 및 연결부(210)에 형성된 제 1 나선(212) 및 제 2 나선(310)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00)에 인가되는 회전 동작을 통해 안정적으로 결석 고정부(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판(110)의 갑작스러운 펼침 또는 접힘으로 인한 신체 내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10)에는 연결부(21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돌출부(213)가 포함될 수 있다. 돌출부(213)는 연결부(210)의 제 1 나선(212)과 결합되어 전술한 연결부(210)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의 동작 시 연결부(210)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거리를 각각 제한할 수 있다. 즉, 연결부(210)가 조작부(300)의 회전 동작에 대한 전진 방향으로 동작 시 돌출부(213)는 연결부(210)의 제 1 나선(212)을 따라 전진하여 탄성부재(211)가 복원되어 복수개의 판들(110)이 접히는 범위까지로 연결부(210)의 전진 거리를 제한할 수 있으며, 연결부(210)가 조작부(300)의 회전 동작에 대한 후진 방향으로 동작 시 돌출부(213)는 연결부(210)의 제 1 나선(212)을 따라 후진하여 탄성부재(211)가 신장되어 복수개의 판들(110)이 펼쳐지는 범위까지로 연결부(210)의 후진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200)는 복수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가요성 구조일 수 있다. 즉, 결석 고정 장치가 요관 내시경을 통해 체내로 삽입될 때, 체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 본체부(200)는 복수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가요성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가요성 구조는 자바라 구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200)에는 복수개의 판들(110)의 동작 후 판들(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22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판들(110)이 펼쳐진 경우 레이저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복수개의 판들(110)이 고정되어야 하고, 복수개의 판들(110)이 접힌 경우 체내로의 삽입 및 외부 충격에 의한 갑작스러운 펼침을 방지해야하므로 본체부(200)에 홈(220)이 포함되어 복수개의 판들(11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홈(220)을 통해 결석 고정 장치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판들(110)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소의 구멍(1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석 제거 수술 시 레이저 등을 사용하는 경우 레이저에 의한 열 발생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요관 내시경을 통해 물을 주입시켜주는데, 복수개의 판들(110)에 의해 물의 이동경로가 막히는 경우 수압 등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판들(110)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미소의 구멍(111)을 형성함으로써, 물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전술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구멍(111)의 사이즈는 밀리밀터 이하의 단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판들(110)은 결석의 분쇄에 이용되는 레이저(laser)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레이저 등에 의해 복수개의 판들(110)이 손상되어 발생할 수 있는 체내 출혈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판들(110)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또는 티타늄(titanium) 등 레이저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석 고정 장치가 요관 내부에서 결석을 고정하는 모습의 예을 나타낸다. 즉, 레이저 등에 의한 충격에 의해 결석이 밀리는 등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판들(110)은 결석의 후방에 위치하여 방사형으로 펼쳐져 결석을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결석 고정부
110: 판
111: 구멍
200: 본체부
210: 연결부
211: 탄성부재
212: 제 1 나선
213: 돌출부
220: 홈
300: 조작부
310: 제 2 나선

Claims (7)

  1.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로서,
    결석의 분쇄 시 상기 결석의 밀림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결석 고정부;
    상기 결석 고정 장치의 체내 삽입을 위한 본체부; 및
    상기 결석 고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결석 고정부 및 상기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석 고정부에는 겹쳐진 복수개의 판들이 포함되며,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조작 동작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판들로 하여금 펼쳐지거나 접히게 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판들의 동작 후 상기 판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판들의 펼침 또는 접힘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신장되면 상기 복수개의 판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지고, 상기 탄성부재가 복원되면 상기 복수개의 판들이 상기 본체부 방향으로 모이며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제 1 나선이 포함되고,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제 1 나선과 결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판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나선이 포함되며,
    상기 조작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나선과 상기 제 2 나선이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동작하고, 상기 연결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신장 또는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복수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가요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고정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판들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소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판들은 상기 결석의 분쇄에 이용되는 레이저(laser)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고정 장치.
KR1020170102943A 2017-08-14 2017-08-14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KR102081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43A KR102081902B1 (ko) 2017-08-14 2017-08-14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43A KR102081902B1 (ko) 2017-08-14 2017-08-14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38A KR20190018238A (ko) 2019-02-22
KR102081902B1 true KR102081902B1 (ko) 2020-02-26

Family

ID=6558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943A KR102081902B1 (ko) 2017-08-14 2017-08-14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9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96253U (zh) * 2011-04-29 2012-01-04 江苏省人民医院 一种胆道取石器
KR101442062B1 (ko) * 2013-11-19 2014-09-18 안지용 결석 제거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107A (ko) 2009-01-05 2010-07-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선된 결석 제거 장치
EP3141213B1 (en) * 2014-05-09 2018-10-10 Toray Industries, Inc. Endovascular treatment a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96253U (zh) * 2011-04-29 2012-01-04 江苏省人民医院 一种胆道取石器
KR101442062B1 (ko) * 2013-11-19 2014-09-18 안지용 결석 제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38A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9172B2 (ja) 虹彩拡張器
JP6050682B2 (ja) 閉塞部の焼灼・横断・切断を行うシステム、方法及び器具
US7799058B2 (en) Interspinous spacer
JP5588978B2 (ja) 心臓弁における石灰化部の破砕
US9545194B2 (en) Multi-purpose trocar with lens cleaner
EP3232953B1 (en) Intravascular devices for the controlled dissection of body lumens
JP2010502398A (ja) 安定した調節性眼内レンズ
JP2011522579A (ja) 脊椎の狭窄を処置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17518093A (ja) 塞栓症を治療するための後退及び吸引デバイス及び関連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H02234753A (ja) 拡張可能な狭窄手術用切削装置
JP2021522959A (ja) 眼科用手術器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2081902B1 (ko)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KR20230150899A (ko) 골절 수술용 기구
EP3632384B1 (en) Iris shield
JP2000060880A (ja) 変形可能な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
Meeks et al. Retrieval of migrated ureteral stents by coaxial cannulation with a flexible ureteroscope and paired helical basket
US11504151B2 (en) Thrombectomy apparatuses
US20230047682A1 (en) Thrombectomy methods
Zehri et al. Overview of Antiretropulsion Devices for Prevention of Inadvertent Stone Migration during Pneumatic Lithotripsy for Ureteric Stone
Cauni et al. Retrograde Intrarenal Surgery for Lithiasis in Calyceal Diverticul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