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062B1 - 결석 제거 기구 - Google Patents

결석 제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062B1
KR101442062B1 KR1020140000088A KR20140000088A KR101442062B1 KR 101442062 B1 KR101442062 B1 KR 101442062B1 KR 1020140000088 A KR1020140000088 A KR 1020140000088A KR 20140000088 A KR20140000088 A KR 20140000088A KR 101442062 B1 KR101442062 B1 KR 10144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
push handle
handle member
wire
cat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용
Original Assignee
안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용 filed Critical 안지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062B1/ko
Priority to US14/546,25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14200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18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61B2017/22035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for retrieving or repositioning foreign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5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n open distal e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의 후단과 푸시 핸들 부재 사이에 탄성 스프링이 장착되어 푸시 핸들 부재의 작동으로 캐쳐 와이어를 출몰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시스를 결석 근처까지 용이하게 접근시킬 수 있어 결석 포획이 용이하고, 포획된 결석은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경피적 추출뿐만 아니라 내시경에 의한 방법에도 사용되고 담석이나 요석은 물론 혈관에 있는 이물질까지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범용의 결석 제거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결석 제거 기구{STONE EXTRACTOR}
본 발명은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관이나 요로 등 각종 장기의 통로에 있는 결석을 제거하기 위한 결석 제거 기구에 관한 것이다.
담관이나 요로 등 인체 내 장기의 통로에 결석이 있게 되면 정상적인 흐름에 장애를 유발하여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결석을 제거하는 방법은 결석이 어디에 있는지 어떤 증상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주로 수술용 x-ray 장비인 c-arm 이나 imaging modality를 사용하며 시술하는 경피적 추출(percutaneous extraction)에 의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경피적 추출은 통상 중공의 가용성 시스(sheath, 카테터)와 그 내부에 구비된 결석 포획수단으로 구성된 수술도구에 의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국제공개 WO1999/47054, 한국특허 제10-0124073호, 한국특허 제10-0928706호 등이 있고, 내시경을 이용한 것으로는 한국공개 제10-1998-085829호 등이 있다.
국제공개 WO1999/47054에는 카테터 내장 와이어를 웨지형(wedge shaped)으로 충분히 충전되도록 하여 카테터의 직경을 최대한 줄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면 내장 와이어 사이에 공간이 없어 결석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 제10-0124073호는 결석 포획수단으로 복수 개의 탄성 와이어를 절곡하여 다각형 원뿔형태로 바스켓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면 바스켓 입구의 개폐를 위해 별도의 바스켓 입구 개폐 와이어를 구비해야 하므로, 결석 포획수단의 구성이 복잡하고 바스켓 입구 개폐 와이어의 조절로 결석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 제10-0928706호도 선단에 복수 개의 탄성 와이어로 바스켓 형태의 결석 포획수단을 구비하고, 후단에 바스켓을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조정부를 구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결석을 포획하기 위해선 조정부를 후진하며 바스켓이 팽팽해지도록 해야하므로 시술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삽입튜브(카테터)의 전방 내측에 결석을 파쇄하기 위한 진동장치 등의 구비로 삽입튜브의 직경이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 제10-1998-085829호는 내시경에 구비된 채널에 결석 제거 수단을 삽입하여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된 말단부로 결석을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형상기억합금이 어떤 조건에서 어떤 형태로 변하여 결석을 제거하게 되는지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결석 제거 수단이 내시경의 채널에 삽입되어 체내로 이동시 체온에 의하여 이미 형상기억합금은 원래 모양으로 변형하게 될 것이므로, 이에 의하여 결석을 포획하기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고, 설령 말단부로 결석을 포획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내시경 채널 내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경피적 추출 및 내시경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만 이용되도록 고안된 것이어서 시술 상황에 따른 제한이 있고, 주로 담석이나 요석 제거를 위한 것이어서 혈관에 있는 이물질까지 제거하기 어려운 단점들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경피적 추출뿐만 아니라 내시경에 의한 방법에도 사용되며 담석이나 요석은 물론 혈관에 있는 이물질까지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범용의 결석 제거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가락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와이어 삽입 공간을 갖는 내부 심재; 상기 내부 심재의 선단에 연결된 캐쳐 와이어; 상기 내부 심재의 후단에 연결되고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관통 공이 형성된 푸시 핸들 부재; 상기 내부 심재의 전체를 감싸며 상기 캐쳐 와이어를 상기 푸시 핸들 부재의 작동으로 출몰시키는 가요성 시스; 및 상기 시스의 후단과 상기 푸시 핸들 부재 사이에 장착된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심재는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관통 공이 형성된 하나의 가락으로 이루어진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나의 가락은 상기 푸시 핸들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심재는 복수 개의 가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와이어 삽입 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가락 사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락 각각에 상기 캐쳐 와이어 각각이 연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가락은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안정화 부재(stabilizer member)가 장착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가락 각각은 상기 캐쳐 와이어 각각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가락은 2~8개로 구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쳐 와이어는 일정 온도에서 원래 형상으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이나 상기 시스에 의한 변형력을 제거하면 항상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 초탄성합금(Superelastic Alloy)으로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쳐 와이어는 선단이 내측으로 휘어지거나 말리어 비외상성 끝단(atraumatic end)으로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 핸들 부재는 손잡이가 있는 비대칭 T형, 대칭 T형, 비대칭 H형 및 대칭 H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 핸들 부재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시스의 후단과 고정될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 핸들 부재는 손잡이와 상기 탄성 스프링이 감싸는 지지축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축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과 상기 지지축대의 후방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의 후단은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는 홈 삽입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걸이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의 후단은 상기 걸이 돌출부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걸이 요홈이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는 상기 내부 심재를 감싸는 몸체 튜브와 상기 몸체 튜브의 후방으로 연결된 플랜지를 갖는 입구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하나 이상의 걸이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푸시 핸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시스의 플랜지에 걸을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스의 후단과 푸시 핸들 부재 사이에 탄성 스프링이 장착되어 푸시 핸들 부재의 작동으로 캐쳐 와이어를 출몰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시스를 결석 근처까지 용이하게 접근시킬 수 있어 결석 포획이 용이하고, 포획된 결석은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결석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심재의 각 가락은 캐쳐 와이어 각각과 일체로 형성될 경우 가락 사이로 가이드와이어 삽입 공간을 확보하면서 시스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시경이나 경피적 추출을 통한 담석이나 요석 제거는 물론 혈관에 있는 이물질까지 제거하는 등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푸시 핸들 부재에는 소정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됨으로써,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포획된 결석이 부서져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의 구조 및 동작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의 AA선, BB선, CC선 단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내부 심재가 5개의 가락으로 구성되었을 때의 도 2(b)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서 푸시 핸들 부재가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관통 공만 형성된 예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푸시 핸들 부재가 원통형 지지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을 때의 도 3(a)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내부 심재가 복수 개의 가락으로 구성된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하나의 가락으로 구성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캐쳐 와이어가 가질 수 있는 형상의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푸시 핸들 부재가 가질 수 있는 형상의 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기고 푸시 핸들 부재가 시스에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결석 제거 기구로 요관에 있는 결석을 제거하는 일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를 기초로 다양하게 응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석 제거 기구(100)는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공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가락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와이어 삽입 공간을 갖는 내부 심재(20); 상기 내부 심재(20)의 선단에 연결된 캐쳐 와이어(22); 상기 내부 심재(20)의 후단에 연결되고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관통 공(16)이 형성된 푸시 핸들 부재(10); 상기 내부 심재(20)를 감싸며 상기 캐쳐 와이어(22)를 상기 푸시 핸들 부재(10)의 작동으로 출몰시키는 가요성 시스(30); 및 상기 시스(30)의 후단과 상기 푸시 핸들 부재(10) 사이에 장착된 탄성 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심재(20)는, 도 4(b)와 같이, 가이드와이어(1)를 위한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관통 공(미도시)이 형성된 하나의 가락(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의 가락(21)은 푸시 핸들 부재(10)와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푸시 핸들 부재(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도 3(a)에서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관통 공(16)이 형성된 지지축대(14)가 하나의 가락(21)으로 캐쳐 와이어(22) 연결부위까지 연장되도록 함이 중간에 별도의 연결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내부 심재(20)는, 도 4(a)와 같이, 복수 개의 가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와이어 삽입 공간은, 도 2(b)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가락(20) 사이로 형성되어 가이드와이어(1)가 지나갈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가락 각각(20)에 상기 캐쳐 와이어 각각(2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경우, 내부 심재(20)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와이어(1)가 지나가기 위한 관통 공을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가락(20)에는, 도 4(a)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안정화 부재(stabilizer member; 50)가 더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정화 부재(50)로 복수 개의 가락(20)을 묶어 줄 수 있게 됨으로써, 시스(30) 내에서 가락의 휨을 방지하여 푸시 핸들 부재(10)의 작동에 의한 캐쳐 와이어(22)의 출몰을 더욱 정확히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가락 각각(20)은, 도 1과 같이, 캐쳐 와이어 각각(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캐쳐 와이어 각각(22)의 굵기로 내부 심재(20)를 이루는 각 가락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가락 사이로 가이드와이어(1)의 삽입 공간을 확보하면서 시스(30)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시경이나 경피적 추출을 통한 담석이나 요석 제거는 물론 혈관에 있는 이물질까지 제거하는 등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가락(20)은 2~8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캐쳐 와이어(22)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주어진 시스(30)의 내경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상기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캐쳐 와이어(22) 및/또는 상기 복수 개의 가락(20)은 니티놀(nitinol), 백금(platinum), 티타늄(titanium),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기타 탄성 섬유(elastic fibers)로도 만들 수 있으나, 니티놀과 같이 일정 온도(예컨대, 체온)에서 원래 형상으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이나 시스(30)에 의한 변형력을 제거하면 항상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 초탄성합금(Superelastic Alloy)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니티놀은 니켈과 티타늄을 1:1 원자 비로 섞어 만든 합금으로, 36℃의 체온에서 원래 형상으로 변형되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캐쳐 와이어(22) 및/또는 상기 복수 개의 가락(20)을 만들 수 있다.
즉, 니티놀은 저온에서는 합금의 원자들이 체심입방으로 배열하게 되어 어느 모양으로든 구부러진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가 체온에 가까운 36℃의 고온에서는 정육면체(cubic)의 중심에 있던 원자가 정육면체(cubic)의 각 면의 중심으로 이동되며 면심입방으로 원자배열이 바뀌면서 원래 고온에서 가졌던 모양으로 돌아오게 되는 성질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니티놀과 같이 저온에서 고온으로 바뀔 때 원자배열이 바뀌면서 고온 상태의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 형상기억합금의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형상기억합금은 니티놀에 한하지 않고, 상기 성질이 있는 한 니켈(Ni), 구리(Cu), 철(Fe) 등을 아연(Zn), 알루미늄(Al), 금(Au), 은(Ag) 등의 금속과 조합한 Cu-Zn-Ni, Cu-Al-Ni, Ag-Ni, Au-Cd 등의 합금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형상기억합금으로 상기 캐쳐 와이어(22) 및/또는 상기 복수 개의 가락(20)을 만들게 되면, 체온에 가까운 36℃의 고온에서 원하는 형상이 나오도록 미리 캐쳐 와이어(22) 및/또는 복수 개의 가락(20)의 형상을 만들고(예컨대, 캐쳐 와이어는 도 5의 형상 중 하나로, 복수 개의 가락은 시스 내에 있으므로 직선형으로), 이후 온도를 떨어뜨려 체온보다 낮은 저온 상태에서 시스(30) 내에서 최소면적을 점유하도록 캐쳐 와이어(22)도 복수 개의 가락(20)과 동일하게 직선형으로 펴서 본 실시예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에 장착하면 된다.
특히, 상기 캐쳐 와이어(22)를 형상기억합금으로 체온에 가까운 36℃의 고온에서 특정 형상을 만들 때, 도 5와 같이, 각 캐쳐 와이어(22)의 선단(24)을 내측으로 휘거나 말아 시술시 결석 주변의 벽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비외상성 끝단(atraumatic end)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캐쳐 와이어(22)가 체온에 가까운 36℃의 고온에서 가질 수 있는 형상의 예를 도시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캐쳐 와이어(22)를 초탄성합금(Superelastic Alloy)으로 만들 경우에는 시스(30) 내에 있을 경우에는, 도 1(a) 및 도 2(a)와 같이, 시스(30)에 의한 변형력으로 시스(30) 내벽에 밀착하며 붕괴되어 있다가(캐쳐 와이어를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하고 시스 내에서 이미 체온에 도달할 경우에는 마찬가지임), 도 1(b)와 같이, 푸시 핸들 부재(10)를 전방으로 밀며 탄성 스프링(40)을 압축시키게 되면, 캐쳐 와이어(22)가 시스(30)를 벗어나면서 원래 모습으로 펴지게 된다.
상기 캐쳐 와이어(22)가 시스(30)를 벗어나면서 원래 모습으로 펴질 때, 주위에 있는 결석을 포획하게 된다.
이어, 상기 푸시 핸들 부재(10)에 가했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도 1(c)와 같이, 탄성 스프링(40)의 복원력으로 상기 캐쳐 와이어(22)가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시스(30)의 선단 측벽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상기 캐쳐 와이어(22)의 선단 입구는 오그라들며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 스프링(40)의 복원력으로 상기 캐쳐 와이어(22)의 선단 입구를 닫게 되므로, 포획된 결석은 캐쳐 와이어(22)의 새장 우리 형상 내에 갇히거나, 도 10(c)와 같이, 캐쳐 와이어(22)의 선단 입구의 닫히는 압력으로 물려있는 상태로 체외로 결석(5)을 이동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푸시 핸들 부재(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칭 T형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손잡이가 있는 비대칭 T형[도 6(a)], 비대칭 H형[도 6(b)] 또는 대칭 H형[도 6(c)]의 형상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핸들 부재(10)에는 탄성 스프링(40)이 압축된 상태에서 시스(30)의 후단과 고정될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탄성 스프링(40)의 복원력으로 포획된 결석(5)이나 이물질이 부서져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에 관한 구체적 실시예는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푸시 핸들 부재(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12)와 탄성 스프링(40)이 감싸는 지지축대(14)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축대(1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13)과 상기 지지축대(14)의 후방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가이드 홈(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30)의 후단은 상기 제 1 가이드 홈(13) 및 상기 제 2 가이드 홈(11)을 따라 이동되는 홈 삽입 돌출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7(b)와 같이, 푸시 핸들 부재(10)를 전방으로 밀며 탄성 스프링(40)을 압축시킨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홈 삽입 돌출부(31)가 제 1 가이드 홈(13)을 따라 슬라이딩하다가 제 2 가이드 홈(11)에 삽입되며 탄성 스프링(40)의 복원력이 차단되어 더 이상 푸시 핸들 부재(1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되며, 그 결과로 캐쳐 와이어(22)의 선단 입구는 결석(5) 등을 일정하게 물고 있는 상태로만 유지하게 되어, 탄성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캐쳐 와이어(22)의 선단 입구 압력으로 포획된 결석(5)이나 이물질이 파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8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푸시 핸들 부재(10)에 소정의 걸이 돌출부(15)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30)의 후단은 상기 걸이 돌출부(15)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걸이 요홈(33)이 형성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대, 필요에 따라 푸시 핸들 부재(10)에 걸이 돌출부(15)의 길이 조절 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스(30)는 상기 내부 심재(20)를 감싸는 몸체 튜브와 상기 몸체 튜브의 후방으로 연결된 플랜지(32)를 갖는 입구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하나 이상의 걸이 와이어(17)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 와이어(17)의 일단은 상기 푸시 핸들 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시스(30)의 플랜지(32)에 걸을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걸이 와이어(17)가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32)에 걸이 와이어(17)의 절곡된 끝단이 걸리도록 걸림 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결석 제거 기구(100)로 요관(4)에 있는 결석(5)을 제거하는 일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및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전 과정을 통하여 가이드와이어(1)를 신장(2)의 신우(3)를 통하여 요관(3)에 있는 결석 즉 요석(5)을 지나 방광(6)까지 넣고, 본 발명에 의한 결석 제거 기구(100)를 상기 가이드와이어(1)를 따라 삽입하여, 도 10(b)와 같이, 선단을 요석(5) 가까이 위치시킨 후, 도 10(c)와 같이, 푸시 핸들 부재(10)를 작동시켜 캐쳐 와이어(22)가 시스(30)에서 나와 요석(5)을 포획하고, 푸시 핸들 부재(10)에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서 탄성 스프링(40)의 복원력으로 요석(5)을 잡은 상태로 결석 제거 기구(100)를 빼며 체외로 이동시켜 요석(5)을 제거하게 된다.
10: 푸시 핸들 부재
12: 손잡이
14: 지지축대
16: 관통 공
18: 원통형 지지축대
20: 내부 심재
22: 캐쳐 와이어
24: 캐쳐 와이어의 선단
30: 시스
32: 플랜지
40: 탄성 스프링
50: 안정화 부재

Claims (14)

  1.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가락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와이어 삽입 공간을 갖는 내부 심재;
    상기 내부 심재의 선단에 연결된 캐쳐 와이어;
    상기 내부 심재의 후단에 연결되고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관통 공이 형성된 푸시 핸들 부재;
    상기 내부 심재의 전체를 감싸며 상기 캐쳐 와이어를 상기 푸시 핸들 부재의 작동으로 출몰시키는 가요성 시스; 및
    상기 가요성 시스의 후단과 상기 푸시 핸들 부재 사이에 장착된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심재는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관통 공이 형성된 하나의 가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가락은 상기 푸시 핸들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심재는 복수 개의 가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와이어 삽입 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가락 사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락 각각에 상기 캐쳐 와이어 각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락은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안정화 부재(stabilizer member)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락 각각은 상기 캐쳐 와이어 각각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락은 2~8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쳐 와이어는 일정 온도에서 원래 형상으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이나 상기 시스에 의한 변형력을 제거하면 항상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 초탄성합금(Superelastic Alloy)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쳐 와이어는 선단이 내측으로 휘어지거나 말리어 비외상성 끝단(atraumatic end)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핸들 부재는 손잡이가 있는 비대칭 T형, 대칭 T형, 비대칭 H형 및 대칭 H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핸들 부재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시스의 후단과 고정될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핸들 부재는 손잡이와 상기 탄성 스프링이 감싸는 지지축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축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과 상기 지지축대의 후방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의 후단은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는 홈 삽입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걸이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의 후단은 상기 걸이 돌출부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걸이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는 상기 내부 심재를 감싸는 몸체 튜브와 상기 몸체 튜브의 후방으로 연결된 플랜지를 갖는 입구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하나 이상의 걸이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푸시 핸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시스의 플랜지에 걸을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석 제거 기구.
KR1020140000088A 2013-11-19 2014-01-02 결석 제거 기구 KR10144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46,254 US20150142009A1 (en) 2013-11-19 2014-11-18 Stone ex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05863P 2013-11-19 2013-11-19
US61/905,863 2013-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062B1 true KR101442062B1 (ko) 2014-09-18

Family

ID=5176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088A KR101442062B1 (ko) 2013-11-19 2014-01-02 결석 제거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42009A1 (ko)
KR (1) KR101442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38A (ko) * 2017-08-14 2019-02-2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1292B4 (de) 2016-02-05 2019-02-07 Uromed Kurt Drews Kg Chirurgisches Steinfanginstrument
US20170231747A1 (en) * 2016-02-16 2017-08-17 Peter Sayet Extraluminal Urethral Prostate Shield Apparatus
CN110730676B (zh) * 2017-06-15 2022-07-29 奥林巴斯株式会社 引导管
CN107854155A (zh) * 2017-11-13 2018-03-30 山东大学第二医院 胆囊取石器
USD943743S1 (en) * 2019-01-15 2022-02-15 Olympus Corporation Stone retrieval basket for medical device
US11534189B2 (en) 2019-03-01 2022-12-27 Gyrus Acmi, Inc. Surgical bask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829A (ko) * 1997-05-30 1998-12-05 한호성 형상 기억 합금을 사용한 결석 제거 수단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KR20010013279A (ko) * 1997-06-02 2001-02-26 찰스 더블유 프란즈 교체형 의료 장치 핸들
JP2007536985A (ja) * 2004-05-13 2007-12-20 オムニソニックス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尿石症を治療するための超音波医療用デバイスおよび方法
WO2008063883A1 (en) * 2006-11-21 2008-05-29 Wilson-Cook Medical Inc. Umbrella stone ex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8888A1 (en) * 1993-02-19 1994-09-01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extractor
US7101379B2 (en) * 2001-04-02 2006-09-05 Acmi Corporation Retrieval basket for a surgical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050154400A1 (en) * 2003-12-18 2005-07-14 Asahi Intecc Co., Ltd Medical treating tool
US8523879B1 (en) * 2005-03-31 2013-09-03 Stuart J. Lind Stone retriever for flexible endoscopes having small diameter working channels
US11160652B2 (en) * 2008-09-10 2021-11-02 Art, Limited IOL inj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829A (ko) * 1997-05-30 1998-12-05 한호성 형상 기억 합금을 사용한 결석 제거 수단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KR20010013279A (ko) * 1997-06-02 2001-02-26 찰스 더블유 프란즈 교체형 의료 장치 핸들
JP2007536985A (ja) * 2004-05-13 2007-12-20 オムニソニックス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尿石症を治療するための超音波医療用デバイスおよび方法
WO2008063883A1 (en) * 2006-11-21 2008-05-29 Wilson-Cook Medical Inc. Umbrella stone extra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38A (ko) * 2017-08-14 2019-02-2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KR102081902B1 (ko) * 2017-08-14 2020-02-26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42009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062B1 (ko) 결석 제거 기구
KR101101523B1 (ko) 혈관내의 혈전 포획기
JP5252606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5073300B2 (ja) 治療用器具の送達
US8034075B2 (en) Tethered coil for treatment of body lumens
EP3238642B1 (en) Medical instrument and medical system
US9782197B2 (en) Tissue grasping device
US10905446B2 (en) Caculus removing device
KR20140008319A (ko) 관형 구조로부터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기기
JP6749336B2 (ja) 回収デバイス及び関連の使用方法
JP6009077B2 (ja) 体腔内の異物捕捉具
JP2008093295A (ja) 塞栓物を捕捉する捕捉体
US20160089170A1 (en) Invertable medical retrieval devices and methods
US20130066329A1 (en) Medical Retrieval Devices
KR20190070689A (ko) 의료용 결석 제거장치
EP3701887B1 (en) Surgical basket
CN110353762B (zh) 一种取栓装置
JPWO2018164264A1 (ja) 引っ掛け具及び医療用スネア
JP7414217B2 (ja) 医療用回収装置
US20160199078A1 (en) Snare device for catching an object
JP2010200955A (ja) 内視鏡用処置具
WO2017182840A1 (en) Medical retrieval device
JP2024003011A (ja) 内視鏡用スネアネット
EP3205295A1 (en) Basket-type grasping forceps
JP2001353123A (ja) 医療用具の折れ止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