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302B1 -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패키지 - Google Patents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302B1
KR102081302B1 KR1020187009795A KR20187009795A KR102081302B1 KR 102081302 B1 KR102081302 B1 KR 102081302B1 KR 1020187009795 A KR1020187009795 A KR 1020187009795A KR 20187009795 A KR20187009795 A KR 20187009795A KR 102081302 B1 KR102081302 B1 KR 102081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lubricating liquid
main bod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578A (ko
Inventor
요스케 아쿠츠
고타 오카모토
신야 세이토
게이스케 뉴우
도모유키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 내용물(3)이 헤드 스페이스(7)를 남기도록 하여 수용되어 있는 용기 본체(1)로 이루어지는 패키지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내면(1a)에는, 그 전체에 걸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요철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1)의 내면(1a)은, 유동성 내용물(3)과는 비혼화성인 윤활액(30)으로 피복되어 있으며, 내면(1a)과 유동성 내용물(3)의 사이에, 윤활액(30)의 피복층이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용기 본체(1)가 정립으로 홀딩된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1) 내에 수용되어 있는 유동성 내용물(3)의 상단면(上端面)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피복층을 형성하고 있는 윤활액(30)의 액체 웅덩이(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패키지
본 발명은, 유동성 물질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 본체로 이루어지는 패키지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의 내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본체 내면에는, 유동성 내용물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윤활액의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용기는 성형이 용이하고,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등으로 인해, 각종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용기 벽의 내면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되고, 또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으로 성형된 보틀 형상의 올레핀계 수지 용기는 내용물을 짜내기 쉽다는 관점에서, 케첩 등의 점조한 슬러리상(狀) 또는 페이스트상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 점조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보틀에서는, 해당 내용물을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해, 또는 보틀 내에 잔존시키는 일 없이 깨끗하게 끝까지 다 사용하기 위해, 보틀을 거꾸로 세운 상태로 보존해 두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보틀을 거꾸로 세웠을 때에는 점조한 내용물이 보틀 내벽면에 부착 잔존하지 않고 신속하게 낙하하는 특성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하는 보틀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일차 입자 평균 지름이 3∼100nm의 소수성 산화물 미립자가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평균 입경이 1㎛∼20㎛의 수지 입자에 의해 형성된 수지막의 표면에 평균 입경이 5nm∼100nm의 산화물 미립자가 분산 부착되어 있는 구조의 발수성 막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뚜껑체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의 특허문헌에서 제안되어 있는 기술은, 모두 내용물이 접촉하는 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고, 미세한 요철면에 의해 발수성(소수성)을 발현시키고 있다. 즉, 이 요철면을 형성하는 재료의 소수성에 더하여, 요철면에 존재하는 공극 중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이 공기층은 용기를 형성하는 재료보다도 발수성이 높으며, 이 결과, 수성(水性)의 내용물에 대한 비(非)부착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미세한 요철면을 형성한 경우에는, 수성의 내용물에 대한 비부착성은 높아지지만, 내용물과 미세한 요철면이 상시 접촉하는 경우, 미세한 요철면의 오목부에서는 수분의 응축이 매우 일어나기 쉽고, 수분 응축에 의해 오목부가 메워지기 때문에 그 미끄러짐성이 악화되어가는 문제가 있어, 더욱 미끄러짐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 특허문헌 3에는, 내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에 액체를 안정적으로 홀딩시킨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는, 요철의 모관현상을 이용하여 용기 내면에 액체의 층을 안정적으로 홀딩하고, 이 액체의 층에 의해, 내용물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서는, 용기 내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수단에 어려움이 있다. 즉, 이러한 요철은, 모관현상에 의해 액체를 홀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피치가 극히 작고, 피치에 대하여 요철의 높이가 상당히 높다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형태가 아니면, 모관력이 지배적으로 되지 않아, 중력에 의해 액체가 낙하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형태의 요철은, 용기 본체를 성형한 후의 후가공, 예를 들면, 요철 형성용의 미립자가 분산된 액체를 분사하거나 또는 에칭 등의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보틀 등의 형태를 갖는 용기에서는, 용기 성형 후의 요철 형성을 위한 공정이 극히 번잡해져 버려, 코스트 등의 대폭적인 증대를 피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자 등은, 특허문헌 4에 의해, 상기의 문제가 해결된 용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도, 내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요철의 내면에 윤활액의 액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액층을 이용하여, 용기 내용물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는, 상기의 특허문헌 3의 기술과 같다.
그런데, 이 특허문헌 4는, 액층의 표면에 국부적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것, 구체적으로는, 용기 내면의 요철이 액층 표면에 반영되어 있고, 용기 내면의 볼록부에 대응하여, 액층 표면에 국부적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중요한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여기에서 형성되어 있는 액층은, 용기 내면을 적시는 정도의 박층이고, 이와 같은 액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용기 내용물이 흐를 때, 용기 내용물은, 액층(국부적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과, 국부적으로 돌출하고 있는 액층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층에 접촉하여 흐르게 되며, 이것에 의해, 단지 액층과 접촉시켜 용기 내용물을 흐르게 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뛰어난 미끄러짐성이 발휘된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4의 기술은, 용기 내용물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주목해야 할 것은, 용기 내면의 요철을, 용기 성형 후의 후가공에 의하지 않고, 용기 내면을 형성하는 수지에 조면화제가 되는 미립자를 혼합하여 용기를 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요철은, 용기 내면이 젖을 정도의 액체가 홀딩되면 되고, 요철 사이에 액체를 홀딩하는 것과 같은 모관력을 발현시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피치는 크고, 예를 들면 요철의 높이보다도 큰 것이다. 이 결과, 이와 같은 요철은, 용기 내면을 형성하는 수지에 어느 정도의 양의 조면화용 미립자를 혼합하여 성형을 행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고, 용기 성형 후의 귀찮은 후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성, 제조 코스트 등의 점에서 큰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 등이 개발한 상기 특허문헌 4의 기술에 있어서도 과제가 남아 있다.
즉, 특허문헌 4의 기술에서는, 용기 내면의 윤활액의 액층이 극히 얇은 층이기 때문에, 용기 내면에 윤활액을 스프레이 분무하여 액층을 형성한다는 수단에 적합하고 있지 않고, 용기 내면을 형성하는 수지에 윤활액을 혼합하여 용기를 성형한다는 내첨(內添) 수단에 의해 액층이 형성된다. 즉, 용기 내면을 형성하는 수지층으로부터의 블리딩에 의해 액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첨 수단은, 확실히 얇은 액층의 형성에는 유리하지만, 내면 전체에 균일한 두께로 형성하기 어렵고, 부분적으로 액층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내면의 요철이 액체 홀딩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과잉인 두께의 액층이 형성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 때문에, 내용물에 대한 미끄러짐성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 새로운 개선이 필요하다.
물론, 상기의 액층을 용기 내면에 윤활액을 스프레이 분무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액층을 형성하는 액량이 과잉이 되어 버려, 스프레이 분무 후, 내용물의 충전에 앞서, 용기를 거꾸로 세워서 과잉인 양의 윤활액을 배출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즉, 윤활액의 낭비나 쓸데없는 공정의 존재 등의 점에서, 스프레이 분무에 의한 수단을 채용할 수 없다.
일본국 특개 2010-254377호 공보 일본국 등록특허 제4878650호 일본국 특표 2015-510857호 공보 일본국 등록특허 제567387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 본체로 이루어지며, 해당 용기 본체의 내면의 전체에 걸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해당 요철의 내면이 윤활액으로 피복되어 있는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특히, 해당 윤활액에 의한 유동성 내용물에 대한 미끄러짐성이 안정적으로 발휘되어, 그 신속한 배출이 가능한 동시에, 코스트의 증대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와 같은 패키지에 대해 많은 실험을 행한 결과, 용기 본체의 내면에 모관력이 지배적이지 않은 작은 요철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요철을 완전히 덮도록 과잉의 윤활액으로 피복하고 있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 내에 수용시키는 유동성 내용물에 대한 미끄러짐성이 안정적으로 장기에 걸쳐 발휘된다는 지견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성 내용물이 헤드 스페이스를 남기도록 하여 수용되어 있는 용기 본체로 이루어지는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에는, 그 전체에 걸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의 내면은, 상기 유동성 내용물과는 비혼화성인 윤활액으로 피복되어 있으며, 해당 내면과 해당 유동성 내용물의 사이에, 해당 윤활액의 피복층이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가 정립(正立; up right)으로 홀딩된 상태에 있어서, 해당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유동성 내용물의 상단면(上端面)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피복층을 형성하고 있는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liquid pool)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패키지에 있어서는
(1) 상기 요철은, 0.7㎛ 이상의 높이를 갖는 미세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해당 미세 돌기의 피치가 높이보다도 큰 형태를 갖고 있는 것,
(2)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은, 조면화제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40㎛ 이하의 미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
(3) 상기 유동성 내용물이, 100mPa·s(25℃) 이상의 점도를 갖는 점조 물질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패키지는, 용기 본체의 정립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유동성 내용물의 상단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현저한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가 유동성 내용물의 상단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를 기울여서 유동성 내용물을 배출할 때, 이 유동성 내용물은, 항상, 윤활액과 접촉하면서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패키지에서는, 항상 윤활액에 의한 미끄러짐성이 발휘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은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를 형성하는 경우, 용기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은, 유동성 내용물에 대한 모관력이 지배적이 되는 것과 같은 형태를 갖고 있을 필요는 없고, 용기 본체 내면을 형성하는 수지에 내첨하여 성형함으로써 해당 요철을 형성할 수 있어, 용기 성형 후의 후가공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기의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는, 헤드 스페이스 부분의 요철을 피복하고 있는 윤활액의 낙하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의 내면의 요철을 피복하는 윤활액의 층은, 과잉인 양의 윤활액을 용기 본체의 내면에 스프레이 분무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즉, 두께의 불균일 등을 발생시키기 쉬운 수지에의 내첨에 의하지 않고, 윤활액의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키지에서는, 용기 본체 내면의 요철을, 번잡하고 또한 코스트가 드는 후가공을 이용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으며, 또, 윤활액의 피복도, 용기 본체 내면에 윤활액을 스프레이 분무한다는 용이한 수단으로 행하여, 윤활액의 피복층의 두께 등의 불균일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번잡하고 코스트가 드는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매우 용이한 수단으로, 윤활액의 특성이 안정적으로 발휘되는 패키지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층을 지지하고 있는 수지 성형체의 표면 수지층의 하측에, 액층을 형성하고 있는 액체의 확산을 억제 또는 차단하는 액 확산 방지층을 설치함으로써, 액층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어, 그 표면 개질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키지는,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유동성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윤활액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유동성 내용물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안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점조한 액체, 예를 들면 100mPa·s(25℃) 이상의 점도를 갖는 점조 물질(케첩, 마요네즈, 드레싱 등)의 수용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키지의 요부 및 유동성 내용물을 배출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패키지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의 가장 적합한 형태인 다이렉트 블로우 보틀의 전체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패키지의 구조 및 기능>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패키지는, 내부에 유동성 내용물(3)이 수용된 용기 본체(1)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특히 도 1(A)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바와 같이, 정립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상단은, 시일 박(5)에 의해 시일되어 있고, 적절히 뚜껑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닫혀져 있으며, 유동성 내용물(3)의 상단면과 용기 본체(1)의 상단(시일 박(5))의 사이에는 헤드 스페이스(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용기 본체(1)의 적합한 예는, 다이렉트 블로우 보틀이며, 이 형태는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 2에 있어서, 전체로서 10으로 나타내어지는 다이렉트 블로우 보틀(도 1의 용기 본체(1)에 상당)은 나사산을 구비한 네크부(11), 숄더부(13)를 거쳐 네크부(11)로 이어지는 몸통부 벽(15) 및 몸통부 벽(15)의 하단을 닫고 있는 바닥 벽(17)을 갖고 있으며, 그 상단의 개구부는, 상기의 유동성 내용물(3)(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충전한 후에, 알루미늄 박 등의 시일 부재(19)(도 1의 시일 박(5)에 상당)에 의해 닫혀지고, 추가로 캡(20)이 나사 장착되어 시일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보틀(10)은, 점조한 유동성 내용물의 수용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몸통부 벽(15)을 스퀴즈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점조한 물질을 배출한다는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용기 본체(1)(예를 들면 도 2의 다이렉트 블로우 보틀(10))의 내면은, 그 전체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높이(h)가 0.7㎛ 이상의 미세 돌기(8)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면(1a)으로 되어 있고, 이와 같은 요철면(1a)은 유동성 내용물(3)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키는 윤활액(30)으로 피복되어 있으며, 유동성 내용물(3)과 용기 본체(1)의 내면(요철면(1a))의 사이에는 윤활액(30)이 개재되어 있어, 그 사이에 공기층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또한, 요철면(1a)에는, 상기 미세 돌기(8)보다도 높이가 작은 소(小)돌기(9)가 분포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소돌기(9)는, 미끄러짐성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에서는 무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본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패키지에서는, 도 1(A)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정립 상태에 있어서, 유동성 내용물(3)의 상단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윤활액(30)의 액체 웅덩이(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정립 상태에서는, 유동성 내용물(3)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헤드 스페이스(7) 부분의 요철면(1a)을 피복하고 있는 윤활액(30)이 흘러내림으로써, 윤활액(30)의 액체 웅덩이(31)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헤드 스페이스(7) 부분의 요철면(1a)의 위쪽 부분에서는, 미세 돌기(8)의 사이에 윤활액(30)이 들어가 있지 않은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되어 있는 액체 웅덩이(31)에 의해, 유동성 내용물(3)의 배출 시에, 안정적으로 뛰어난 미끄러짐성이 발휘되게 된다.
예를 들면, 이 유동성 내용물(3)을 배출하려면, 도 1(B)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시일 박(5)을 벗긴 후, 용기 본체(1)를 기울이지만, 이것에 의해, 액체 웅덩이(31)를 형성하고 있는 윤활액(30)은, 요철면(1a)을 따라 용기 본체(1)의 상단 부분으로 흘러내린다. 이 상태에서 유동성 내용물(3)이 배출되지만, 이때에는 도 1(C)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액체 웅덩이(31)를 형성하고 있는 윤활액(30)의 흘러내림에 의해, 헤드 스페이스(7)에 대응하는 위치의 요철면(1a)에는, 미세 돌기(8)를 완전히 덮고 또한 미세 돌기(8)의 사이의 공극부를 완전히 매립하고 있는 윤활액(30)의 두꺼운 막(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윤활액(30)의 두꺼운 막(30a)에 접촉하면서 유동성 내용물(3)이 윤활액(30)의 일부와 함께 배출, 또는 윤활액(30)의 두꺼운 막(30a) 상을 미끄러지게 되며, 이것에 의해, 안정적으로 뛰어난 미끄러짐성이 발휘되게 된다.
이때, 요철면(1a) 상에는 윤활액(30)의 두꺼운 막(30a)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두꺼운 막(30a)이 요철면(1a) 상을 흐를 때, 요철면(1a)을 형성하는 미세 돌기(8)라는 존재에 의해, 유동 저항이 발생한다. 이 유동 저항에 의해, 두꺼운 막(30a) 자체가 흐르는 속도는, 평활한 면 상을 윤활액이 흐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느려져 있다. 따라서, 평활한 면 상에 윤활액의 막을 피복한 경우와 비교하여, 요철면(1a) 상에 윤활액의 막을 형성함으로써, 유동성 내용물(3)의 배출에 의해 함께 배출되는 윤활액(30)의 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윤활액(30)의 보유량을 저감시키지 않는 효과도 본 발명의 중요한 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1)를 기울이면, 도 1(C)에 나타내는 두꺼운 윤활액(30a) 측에 대향하는 요철면(도시 없음), 즉, 기울였을 때에 위가 되는 요철면(즉, 요철면이 하향이 되는 측의 면)으로부터 유동성 내용물(3)이 박리되게 되지만, 액체 웅덩이(31)가 박리의 기점이 되어 측벽으로부터 바닥부(底部)까지 진행한다. 액체 웅덩이(31)가 이와 같은 박리의 기점이 되는 것도 내용물의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이점이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1)를 기울여 유동성 내용물(3)의 일부를 배출한 후에는, 용기 본체(1)는 정립 상태로 홀딩되고, 적절히 뚜껑체가 장착되어 시일되게 되지만, 이와 같은 정립 상태에서는, 헤드 스페이스(7)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요철면(1a)을 피복하고 있는 잉여의 윤활액(30)이 흘러내려, 다시, 유동성 내용물(3)의 상단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도 1(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윤활액(30)의 액체 웅덩이(31)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재차, 용기 본체(1)를 기울여 유동성 내용물(3)을 배출할 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헤드 스페이스 부분에 윤활액(30)의 두꺼운 막(30a)이 형성되게 되어, 뛰어난 미끄러짐성이 발현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패키지에서는, 상술한 미세 돌기(8)에 의해 요철면(1a)이 형성되어 있으면 되지만, 이 미세 돌기(8)의 피치(p)는, 미세 돌기(8)의 높이(h)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평균적으로 20∼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400㎛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은, 미세 돌기(8)에 의한 윤활액에 대한 모관력이 중력에 대하여 지배적으로는 되지 않아서, 요철면(1a)을 피복하고 있는 윤활액(30)이 모관력에 의해 홀딩되지 않아, 신속하게 흘러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윤활액(30)이 모관력에 의해 요철면(1a) 상에 홀딩되어 버리면, 미끄러짐성을 향상하는데 유효한 양의 액체 웅덩이(31)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헤드 스페이스(7) 부분에서의 요철면(1a)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윤활액(30)의 양이 적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또, 상기와 같은 미세 돌기(8)는, 10∼250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500개/㎟의 밀도로 용기 본체(1)의 내면에 분포하고 있는 것이 적합하다. 즉, 적당한 밀도로 미세 돌기(8)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윤활액(30)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적어지고, 이 결과, 용기 본체(1)를 기울여 유동성 내용물(3)을 배출할 때, 다량의 윤활액(30)이 유동성 내용물(3)과 함께 배출되어 버려, 윤활액(30)에 의한 미끄러짐성 향상 효과가 단시간에 소실되어 버리게 된다. 특히, 요철면(1a)이 용기 본체(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술과 같이 윤활액(30)이 즉시 배출되어 버려, 미끄러짐성 향상 효과를 실질적으로 발휘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상술한 요철면(1a)을 형성하는 미세 돌기(8)의 존재 등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원자간력 현미경, 레이저 현미경이나 백색 간섭 현미경 등에 의해 해석할 수 있다. 또, 액체 웅덩이(31)의 존재는, 육안이나, 유리제의 모세관(capillary tube)(유리 모세관) 등을 이용한 회수(回收)에 의해, 용이하게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미세 돌기(8)에 의한 요철면(1a)의 형성은, 용기 본체(1)를 성형한 후의 후가공에 의하지 않고, 용기 본체(1)의 내면을 형성하는 수지에 조면화제를 내첨해 둠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큰 이점이다. 이와 같은 조면화제의 내첨에 의한 요철면(1a)의 형성에서는, 통상, 미세 돌기(8)의 높이의 상한은 50∼100㎛ 정도이며, 예를 들면, 조면화제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40㎛ 이하의 미세 입자를 열가소성 수지층에 분산시킨 경우에서는 높이의 상한은 30㎛ 정도, 평균 입자 지름이 20㎛ 정도의 미세 입자에서는 높이의 상한은 15㎛ 정도이다.
또,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요철면(1a)을 피복하고 있는 윤활액(30)은, 이 요철면(1a)을 형성하고 있는 미세 돌기(8)를 완전히 덮어, 해당 돌기(8) 사이의 공극을 채우는 것과 같은 과잉량으로 입혀진다. 즉, 이것은, 상기와 같은 용기 본체(1)의 내면의 요철면(1a)에 윤활액(30)을 스프레이 분무함으로써, 윤활액(30)을 입힐 수 있으며, 이것도 본 발명의 큰 이점이다.
<용기 본체(1)>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용기 본체(1)는, 그 내면이 상기의 미세 돌기(8)에 의해 요철면(1a)으로 되어 있다.
용기 본체(1)의 내면을 형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열경화성 수지, 유리, 금속 등 용도·내용물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는, 용기의 형태로 성형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이들의 올레핀류의 공중합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고, 이들은 용기 외면의 형성에도 적합하다.
특히, 이 용기 본체(1)를,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은 다이렉트 블로우 보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짜냄에 적합하고 있다는 점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대표되는 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내면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에는, 미세 돌기(8)에 의한 요철면(1a)을 형성하기 위해, 조면화제가 배합된다. 이러한 조면화제는, 평균 입자 지름이 40㎛ 이하, 특히 0.2∼20㎛의 미세 입자가 사용된다. 즉, 이와 같은 미세 입자가 배합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을 행하면, 이러한 미세한 입자가 늘어선 부분이 융기하여, 상술한 미세 돌기(8)가 형성되게 된다. 게다가, 이와 같은 미세 입자는, 그 표면을 열가소성 수지에 피복된 상태로 용기 본체(1)의 내표면을 형성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미세 돌기(8)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면(1a)에 접촉하고 있는 윤활액(30)을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조면화제를 수지에 내첨함으로써 미세 돌기(8)에 의한 요철면(1a)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면화를 위한 입자를 스프레이 분무 등에 의해 도포함으로써 요철면(1a)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미세 돌기(8)의 탈락 등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큰 이점이다.
또한, 상기의 평균 입자 지름은, 예를 들면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등을 이용한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한 방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입도 분포에 있어서, 체적 환산에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 지름으로서 산출된다. 또한, 실리카 등의 일차 입자 지름이 0.2㎛ 이하의 미립자에 있어서는, 일차 입자인 채 단독으로 존재시키는 것이 극히 곤란하기 때문에, 이차 입자의 입자 지름이 평균 입자 지름으로서 산출된다.
상기와 같은 조면화제로서 사용되는 미세 입자로는, 평균 입자 지름이 상기 범위에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 탄산칼슘 등의 탄산염, 카본 블랙 등의 탄소계 미립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경화물이나, 초(超)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대표되는 실리콘 입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미립자가 대표적이고, 이들은, 실란커플링제나 실리콘 오일 등에 의해 소수화 처리되어 있어도,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으로 대표되는 압출 성형에 의해서도 실시 가능하기 때문에, 용융 성형 후에 입자 지름을 홀딩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소수화 처리되어 있는 미세 입자, 특히 소수성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경화물,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 실리콘 입자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조면화제로서 사용되는 미세 입자는, 미세 돌기(8)를 상술한 높이(h), 피치(p) 및 밀도로 형성하기 위해, 통상, 용기 본체(1)의 내면을 형성하는 수지 100 질량부당 0.1 내지 3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질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본체(1)는, 그 내면이 미세 돌기(8)에 의해 형성된 요철면(1a)으로 되어 있는 한에 있어서, 상기의 조면화제가 배합된 수지의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1)의 내면층(상술한 조면화제 함유의 수지층)과 외면층(조면화제가 배합되어 있지 않은 수지층)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산소 등의 가스 투과에 의한 내용물(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가스 배리어성 수지로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비누화물),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환상 폴리올레핀 등이 대표적이고, 그 중에서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특히 뛰어난 산소 배리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가장 적합하다.
상기와 같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는, 일반적으로, 에틸렌 함유량이 20 내지 60 몰%, 특히 25 내지 50 몰%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도가 96 몰% 이상, 특히 99 몰% 이상이 되도록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 비누화물이 적합하다.
상술한 가스 배리어성 수지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 내면층이나 외면층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가스 배리어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이 가스 배리어성 수지에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와 같은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을 중간층으로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요철면(1a)이 형성되어 있는 내면층 또는 외면층과의 접착성을 높여,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들의 층과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의 사이에 접착제 수지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접착 수지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접착제 수지는 그 자체 공지이며, 예를 들면, 카르보닐기(>C=O)를 주쇄(主鎖) 또는 측쇄(側鎖)에 1 내지 100meq/100g 수지, 특히 10 내지 100meq/100g 수지의 양으로 함유하는 수지, 구체적으로는,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 아미드, 에스테르 등으로 그래프트 변성된 올레핀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이온 가교 올레핀계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이 접착성 수지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층 구조에 있어서는, 이 용기 본체(1)를 성형할 때에 생기는 버(burr) 등의 스크랩 수지가 내층 또는 외층 형성용의 버진(virgin) 수지에 배합된 리프로듀스층(reproduced layer)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각층은, 당해 층에 요구되는 특성이 발휘되도록, 그 자체 공지의 두께로 설정된다. 또,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에는, 각 층의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 방지제, 계면활성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가 적절히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용기 본체(1)는, 내면이 소정의 요철면(1a)으로 되어 있고, 요철면(1a)을 윤활액(30)으로 피복했을 때, 액체 웅덩이(31)를 형성할 수 있는 한에서, 여러 가지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되며, 예를 들면, 보틀 또는 컵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용기 본체(1)는, 상술한 각 층을 형성하는 수지를 이용한 압출 성형에 의해 프리폼을 형성한 후, 블로우 성형, 플러그 어시스트 성형, 진공 성형 등의 후가공에 의해 소정의 용기 형상으로 부형(賦形)함으로써 제조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 용기 본체(1)는,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은 점조한 유동성 내용물의 배출에 적합한 다이렉트 블로우 보틀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 최적이다. 이와 같은 다이렉트 블로우 보틀은, 압출 성형에 의해 튜브 형상의 프리폼을 성형하고, 이 프리폼의 일단(一端)을 핀치 오프하여 닫고, 이어서, 에어 등의 블로우 유체를 프리폼 내에 불어넣어 보틀 형상으로 부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윤활액(30) 및 유동성 내용물(3)>
본 발명의 포장 용기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용기 본체(1)의 내면인 요철면(1a)을 윤활액(30)으로 피복하고, 이어서, 헤드 스페이스(7)가 형성되도록 유동성 내용물(3)이 충전된다.
상기의 윤활액(30)으로는, 용기 본체(1) 내에 충전되는 유동성 내용물(3)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표면 특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윤활액(30)은, 당연히, 유동성 내용물(3)과 비혼화성인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동성 내용물(3)과 비혼화성이라는 것은, 유동성 내용물(3)과 접촉하더라도 바로 분자 분산하지 않고, 윤활액(30)으로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기압하에서의 증기압이 작은 불휘발성의 액체, 예를 들면 비점이 200℃ 이상의 고(高)비점 액체가 아니면 안 된다. 휘발성 액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용이하게 휘산하여 시간 경과와 함께 소실하고, 유동성 내용물(3)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해져 버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윤활액(30)의 구체예로는, 상기와 같은 고비점 액체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여러 가지의 것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표면장력이, 미끄러짐성의 대상이 되는 유동성 내용물(3)과 크게 다른 것일수록, 윤활 효과가 높고, 본 발명에는 적합하다.
예를 들면, 유동성 내용물(3)이 물이나 물을 포함하는 친수성 물질인 경우에는, 표면장력이 10 내지 40mN/m, 특히 16 내지 35mN/m의 범위에 있는 액체를 윤활액(30)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소계 액체, 불소계 계면활성제, 실리콘 오일,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각종의 식물유 등이 대표적이다. 이 식물유로는, 대두유, 유채유, 올리브 오일, 미유(米油), 옥수수유, 홍화유, 참기름, 팜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코코넛유, 아몬드유, 호두유, 개암유, 샐러드유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의 액체를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윤활액(30)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1)의 내면의 요철면(1a)을 피복하지만, 유동성 내용물(3)을 충전했을 때에, 헤드 스페이스(7)에 면하고 있는 유동성 내용물(3)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액체 웅덩이(31)가 형성되도록(도 1(A) 참조), 과잉량의 윤활액(30)을 용기 본체(1)의 내면(요철면(1a))에 입힘으로써, 이러한 피복이 행해진다.
즉, 도 1(A)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유동성 내용물(3)이 충전되어 있는 용기 본체(1)가 정립 상태로 홀딩되었을 때, 헤드 스페이스(7)에 대면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요철면(1a)으로부터 윤활액(30)이 흘러내리도록, 과잉의 윤활액(30)으로 요철면(1a)의 전체를 피복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이 윤활액(30)을 스프레이 분무에 의해, 용기 본체(1)의 내면 전체에 도포하는 것이 필요하고, 예를 들면, 그 도포량은, 평균적으로, 2.5g/㎡ 이상, 특히 10∼40g/㎡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도포량으로 함으로써, 요철면(1a)을 형성하고 있는 미세 돌기(8)가 완전히 윤활액(30)으로 덮여지고 또한 미세 돌기(8) 사이의 공극이 윤활액(30)으로 완전히 충만한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윤활액(30)을 용기 본체(1)의 내면을 형성하는 수지에 배합해 두는 등의 방법으로는, 이와 같은 과잉의 윤활액(30)에 의해 요철면(1a)을 피복하여 액체 웅덩이(31)를 형성할 수는 없다.
또한, 과잉량의 윤활액(30)으로 요철면(1a)(내면)의 전체를 피복할 수 있는 한에서, 윤활액(30)의 스프레이 분무는, 용기 본체(1)를 정립 상태로 홀딩한 상태에서 행하여도 되고, 거꾸로 세운 상태로 홀딩한 상태에서 행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윤활액(30)을 도포한 후, 정립 상태로 홀딩되고 또한 과잉의 윤활액(30)으로 내면 전체가 피복되어 있는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유동성 내용물(3)이, 소정의 충전용 파이프로부터, 헤드 스페이스(7)를 남기도록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철면(1a)을 형성하고 있는 미세 돌기(8)가, 윤활액(30)에 대하여 중력보다도 모관력이 지배적이 되지 않는 것 같은 높이나 밀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유동성 내용물(3)을 충전했을 때, 헤드 스페이스(7)에 대응하는 부분의 요철면(1a)을 피복하고 있는 윤활액(30)이 흘러내려, 유동성 내용물(3)의 상단면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액체 웅덩이(3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 1(A)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액체 웅덩이(31)보다도 위쪽 부분의 윤활액(30)의 액막(30a)은, 유동성 내용물(3)의 측면과 요철면(1a)의 사이에 존재하는 윤활액의 액막(30b)에 비해, 그 두께가 얇아져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충전되는 유동성 내용물(3)은, 앞에도 서술한 바와 같이, 윤활액(30)과 표면장력이 크게 다른 것이고, 특히 점도(25℃)가 100mPa·s 이상의 점조한 유체, 구체적으로는, 케첩, 수성풀, 봉밀, 각종 소스류, 마요네즈, 머스터드, 드레싱, 잼, 초콜릿 시럽, 유액 등의 화장액, 액체 세제, 샴푸, 린스 등이다. 즉, 유동성 내용물(3)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윤활액(30)을 사용하여 액체 웅덩이(31)를 형성해 둠으로써, 용기를 경사 또는 거꾸로 세움으로써, 이들의 점조한 유동성 내용물(3)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케첩, 각종 소스류, 봉밀, 마요네즈, 머스터드, 잼, 초콜릿 시럽, 유액 등은 수분을 포함하는 친수성 물질이고, 윤활액(30)으로는, 실리콘 오일,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식용유 등의 식품 첨가물로서 인가되어 있는 유성 액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헤드 스페이스(7)를 남기도록 하여 유동성 내용물(3)을 충전하고 또한 윤활액(30)의 액체 웅덩이(31)를 형성한 후, 시일 박(5)을 히트 시일에 의해 입히고, 적절히 뚜껑체를 장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패키지가 얻어진다.
실시예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등에서 행한 각종 특성, 물성 등의 측정 방법 및 용기 본체(보틀)는 다음과 같다.
<용기 본체>
하기의 층 구성을 갖는, 용량 약 200mL의 다층 다이렉트 블로우 보틀을 공지의 수법에 의해 성형하고, 하기의 실험에 이용했다.
보틀 A; 5종 9층 다이렉트 블로우 다층 보틀
층 구성:
내층/접착층/액 확산 억제층/접착층/메인층/접착층/산소 배리어층/접착층/외층
내층: 실리카 5 중량% 함유 저밀도 폴리에틸렌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지름=5㎛)
접착층: 산 변성 폴리에틸렌
액 확산 억제층: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메인층: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산소 배리어층: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외층: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보틀 B; 5종 9층 다이렉트 블로우 다층 보틀 B
층 구성:
내층/접착층/액 확산 억제층/접착층/메인층/접착층/산소 배리어층/접착층/외층
내층: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접착층: 산 변성 폴리에틸렌
액 확산 억제층: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메인층: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산소 배리어층: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외층: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윤활액>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MCT)
표면장력: 28.8mN/m(23℃)
점도: 33.8mPa·s(23℃)
비점: 210℃ 이상
인화점: 242℃ (참고치)
또한, 액체의 표면장력은 고액계면 해석 시스템 DropMaster700(교와 가이멘 가가쿠(주) 제조)을 이용하여 23℃에서 측정한 값을 이용했다. 또, 액체의 표면장력 측정에 필요한 액체의 밀도는, 밀도 비중계 DA-130(교토 덴시 고교(주) 제조)을 이용하여 23℃에서 측정한 값을 이용했다. 또, 윤활액의 점도는 음차형 진동식 점도계 SV-10((주) 에이 앤드 디 제조)을 이용하여 23℃에서 측정한 값을 나타냈다.
<보틀 내면의 표면 형상 측정>
상기 다층 다이렉트 블로우 보틀(보틀 A, 보틀 B)의 몸통부로부터 20mm×20mm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NewView7300, zygo사 제조)를 이용하여, 보틀 내면의 표면 형상 측정을 행하였다.
측정 및 화상 해석에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MetroPro(Ver.9.1.4 64-bit)를 이용했다.
0.699mm×0.524mm의 범위를 측정하고,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0.7㎛ 이상의 높이의 돌기에 대하여, 돌기 밀도(1㎟ 면적당), 평균 돌기 간격(피치), 최대 돌기 높이, 및 평균 돌기 높이를 구했다. 보틀 내면의 표면 형상 측정의 결과는, 후술한 표 1에 나타낸다.
<유동성 내용물>
마요네즈 같은 점조성 식품
점도: 499Pa·s(0.1sec-1)
   94Pa·s(1sec-1)
   0.30Pa·s(1000sec-1)
또한, 점도의 측정에는 레오미터(ARES, 티에이 인스트루먼트 제조)를 이용했다. 패러렐 플레이트(parallel plate)의 지오메트리(geometry), 갭 0.5mm에서 정상류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냈다.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의 확인>
유동성 내용물을 보틀 내에 200g 충전하고, 100g 꺼낸 후, 1일 이상 정립 보관했다. 이 정립 보관 시에서의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했다.
여기에서, 보틀 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유동성 내용물의 상단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액체 웅덩이 있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것을 액체 웅덩이 없음으로 판단했다.
<유동성 내용물의 미끄러짐성 시험>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의 확인을 행한 후, 100g의 유동성 내용물이 내부에 남아 있는 보틀을 이용하여, 실온하(25℃)에서, 정립 상태의 보틀로부터 유동성 내용물을 50g 스퀴즈하여 사용한 후, 보틀을 흡인(suck back)시켜 보틀 형상을 복원시킨 후, 실온하(25℃)에서 거꾸로 세웠을 때의 내용물의 미끄러짐성을, 거꾸로 세운 후부터 내용물이 보틀 마우스부측으로 다 미끄러져 떨어지는 시간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다 미끄러져 떨어지는 시간이 2분 미만이다.
○: 다 미끄러져 떨어지는 시간이 2분 이상 5분 미만이다.
△: 다 미끄러져 떨어지는 시간이 5분 이상 10분 미만이다.
×: 다 미끄러져 떨어지는 시간이 10분 이상이다.
<실험예 1∼3>
용기 본체로서, 보틀 A(5종 9층 다이렉트 블로우 다층 보틀)를 준비했다.
보틀 A의 내면에 에어브러시를 이용한 에어 스프레이법으로, 윤활액으로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표 1에 나타내는 양이 되도록 도포했다. 내면에 윤활액이 도포된 보틀을 이용하여, 상술의,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의 확인 및, 유동성 내용물의 미끄러짐성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4∼6>
포장 용기로서, 보틀 B(5종 9층 다이렉트 블로우 다층 보틀)를 준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표 1에 나타내는 양이 되도록 도포하고,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의 확인 및, 유동성 내용물의 미끄러짐성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8034288008-pct00001
표 1로부터, 보틀 내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을 갖는 내면이 윤활액으로 피복되어 있는 실험예 1∼3에 있어서는,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의 형성이 확인된 실험예 1, 2에서 내용물의 미끄러짐성이 양호한 것을, 또한, 액체 웅덩이의 형성이 확인되지 않았던 실험예 3에서는 내용물의 미끄러짐성이 불량인 것을 알았다.
한편, 보틀 내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보틀 B에 윤활액으로 피복되어 있는 실험예 4∼6에 있어서는,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가 확인된 실험예 4에서는 미끄러짐성이 적당히 양호하지만, 실험예 5에서는 액체 웅덩이가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끄러짐성이 불량하게 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액체 웅덩이의 형성이 확인되지 않았던 실험예 6에서는 실험예 3과 마찬가지로 미끄러짐성이 불량하게 되었다.
실험예 1과 실험예 4, 실험예 2와 실험예 5는 각각 동등량의 윤활액을 보틀 내면에 도포하고 있지만, 그 미끄러짐성은 보틀 내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쪽이 양호해져 있다. 이것은, 보틀을 거꾸로 세웠(경사)을 때, 내용물의 상단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었던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에 의해, 내용물의 진행 방향으로 윤활액의 두꺼운 액막이 형성됨으로써, 뛰어난 미끄러짐성이 발현되었다고 생각된다.
1: 용기 본체 1a: 요철면(용기 본체(1)의 내면)
3: 유동성 내용물 5: 시일 박
7: 헤드 스페이스 8: 미세 돌기
9: 미세 돌기(8)보다도 높이가 작은 소돌기
30: 윤활액 31: 액체 웅덩이

Claims (4)

  1. 유동성 내용물이 헤드 스페이스를 남기도록 하여 수용되어 있는 용기 본체로 이루어지는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에는, 그 전체에 걸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의 내면은, 상기 유동성 내용물과는 비혼화성인 윤활액으로 피복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과 상기 유동성 내용물의 사이에, 상기 윤활액의 피복층이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가 정립(正立)으로 홀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유동성 내용물의 상단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피복층을 형성하고 있는 윤활액의 액체 웅덩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체 웅덩이는 상기 헤드 스페이스에 대면하고 있는 용기 본체 내면의 요철로부터 과잉의 윤활액이 흘러내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은, 0.7㎛ 이상의 높이를 갖는 미세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세 돌기의 피치가 높이보다도 큰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가 정립으로 홀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 스페이스에 대면하고 있는 용기 본체의 내면의 미세 돌기 사이에는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유동성 내용물의 주위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의 사이에는 반드시 윤활액이 개재하고 있고 미세 돌기 사이에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0.7㎛ 이상의 높이를 갖는 미세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세 돌기의 피치가 높이보다도 큰 형태를 갖고 있고,
    상기 미세 돌기는 10개/mm2 내지 2500개/mm2의 밀도로 용기 본체의 내면에 분포하고 있는 패키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은, 조면화제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40㎛ 이하의 미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패키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내용물이, 100mPa·s(25℃) 이상의 점도를 갖는 점조 물질인 패키지.
KR1020187009795A 2015-09-30 2016-08-30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패키지 KR102081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2961 2015-09-30
JP2015192961A JP6651319B2 (ja) 2015-09-30 2015-09-30 包装容器
PCT/JP2016/075260 WO2017056820A1 (ja) 2015-09-30 2016-08-30 流動性内容物が収容されているパッケー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578A KR20180051578A (ko) 2018-05-16
KR102081302B1 true KR102081302B1 (ko) 2020-02-25

Family

ID=5842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795A KR102081302B1 (ko) 2015-09-30 2016-08-30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패키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889409B2 (ko)
EP (1) EP3357836B1 (ko)
JP (1) JP6651319B2 (ko)
KR (1) KR102081302B1 (ko)
CN (1) CN108137218B (ko)
AU (1) AU2016333118B2 (ko)
CA (1) CA2997672C (ko)
RU (1) RU2705988C1 (ko)
WO (1) WO2017056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0314A (ja) * 2016-12-07 2018-06-14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流動物が収容されているパッケージ
JP7147035B2 (ja) * 2016-12-07 2022-10-04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流動物が収容されている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7149084B2 (ja) * 2018-03-13 2022-10-06 東洋製罐株式会社 粘稠物質用容器
JP7292629B2 (ja) * 2019-01-24 2023-06-1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20102029A1 (de) 2020-01-28 2021-08-12 Schulz Farben- Und Lackfabrik Gmbh Verfahren und Gebinde zur Verringerung von Anhaftungen innerhalb von gefüllten Gebinden
JP7333858B2 (ja) * 2021-12-06 2023-08-25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流動物が収容されているパッケー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6030A1 (en) * 2013-09-16 2015-03-19 LiquiGlide Inc. Non-toxic liquid impregnated surfaces
JP2015510857A (ja) 2012-03-23 2015-04-13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食品包装および食品加工装置のための自己潤滑性表面
JP2016005966A (ja) 2014-05-27 2016-01-14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流動性内容物の充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0371A1 (en) * 2002-11-01 2005-11-24 Yu Shi Preform for low natural stretch ratio polymer, container made therewith and methods
EP2116475B1 (en) * 2007-01-26 2016-05-04 Toyo Seikan Kaisha, Ltd. High-gloss multilayer plastic container
US8003178B2 (en) * 2007-05-15 2011-08-23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Container with improved release properties
TWI488746B (zh) 2009-02-13 2015-06-21 Toyo Aluminium Kk 層積體及容器
JP5683827B2 (ja) 2009-03-30 2015-03-11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非付着性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878650B1 (ja) 2010-08-12 2012-02-15 森永乳業株式会社 カップ状容器の蓋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75378A1 (ja) * 2013-04-24 2014-10-30 東洋製罐株式会社 流動性内容物に対する滑り性に優れた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5673870B1 (ja) * 2013-07-26 2015-02-18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面に液層を有する樹脂構造体
WO2015194251A1 (ja) 2014-06-20 2015-12-23 東洋製罐株式会社 表面に液膜が形成されている構造体及び液膜形成用コーティング液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0857A (ja) 2012-03-23 2015-04-13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食品包装および食品加工装置のための自己潤滑性表面
US20150076030A1 (en) * 2013-09-16 2015-03-19 LiquiGlide Inc. Non-toxic liquid impregnated surfaces
JP2016005966A (ja) 2014-05-27 2016-01-14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流動性内容物の充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578A (ko) 2018-05-16
JP6651319B2 (ja) 2020-02-19
EP3357836A4 (en) 2019-06-12
EP3357836A1 (en) 2018-08-08
CA2997672A1 (en) 2017-04-06
RU2705988C1 (ru) 2019-11-13
CA2997672C (en) 2020-07-21
AU2016333118B2 (en) 2019-02-28
CN108137218A (zh) 2018-06-08
AU2016333118A1 (en) 2018-03-29
JP2017065725A (ja) 2017-04-06
CN108137218B (zh) 2020-05-12
US10889409B2 (en) 2021-01-12
US20200231334A1 (en) 2020-07-23
WO2017056820A1 (ja) 2017-04-06
EP3357836B1 (en) 202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302B1 (ko)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패키지
JP6311747B2 (ja) 内容物に対する滑り性に優れた包装容器
JP6531859B2 (ja) 流動性内容物に対する滑り性に優れた容器
CA2948319C (en) Method of filling liquid content and packing container filled with liquid content
AU2016263863A1 (en) Structure having gel-like coating on surface
JP7035366B2 (ja) 内面に油膜を形成して使用されるブロー容器
KR102214870B1 (ko) 유동물이 수용되어 있는 패키지
JP7147035B2 (ja) 流動物が収容されている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7333858B2 (ja) 流動物が収容されている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