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751B1 -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751B1
KR102080751B1 KR1020190114148A KR20190114148A KR102080751B1 KR 102080751 B1 KR102080751 B1 KR 102080751B1 KR 1020190114148 A KR1020190114148 A KR 1020190114148A KR 20190114148 A KR20190114148 A KR 20190114148A KR 102080751 B1 KR102080751 B1 KR 102080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upport
ground
rota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훈
Original Assignee
문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훈 filed Critical 문정훈
Priority to KR102019011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가공물 반전 장치는 내측에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본체에 설치되어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가공물의 비가공면을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을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한 후, 상향 회전하며 가공물을 가압하여 가공물을 제2 수용공간 측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회전부, 본체에 설치되어 제2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가공물의 회전 시 가공물의 가공면을 지지한 상태로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을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한 후, 상향 회전하며 가공물을 가압하여 가공물의 가공면을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회전부, 및 본체에 설치되어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을 구획하고, 제1 회전부의 하향 회전 시 수직방향을 따라 하강하여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된 가공물의 단부를 지지하고, 제2 회전부의 상향 회전 시 수직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가공물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Workpiece reversing apparatus and workpiece reversa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공물 반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중량의 가공물을 자동으로 반전시킬 수 있는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중량의 금속성 판재는 그 크기 및 무게로 인하여 판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절단된 가공물들에 후가공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고중량의 금속성 판재를 복수개의 가공물로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1 ~ 2 m 크기의 금속성 판재를 소정의 크기 및 형상으로 절단(cutting)하여 복수개의 가공물을 형성한 후,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가공물들을 평탄화 한다. 그리고, 평탄화된 복수개의 가공물을 각각 연마하여 각 가공물의 표면 및 모서리 등에 남아있는 버(burr)를 제거한다.
여기서, 가공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은, 가공물의 일면을 연마하고, 가공물을 반전시킨 뒤, 가공물의 타면을 연마하게 된다.
그러나, 판재로부터 절단된 각 가공물은 대략 100 ~ 500kg 정도의 무게를 가짐에 따라, 가공물을 반전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견인장치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가공물의 둘레에 밴드 혹은 끈 등을 설치하고, 견인장치에 마련된 후크(hook)에 밴드를 연결한 뒤 가공물을 들어 올린다. 그리고, 들어 올린 가공물을 작업대에 내려놓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가공물을 가압하여 가공물을 반전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공물을 견인장치를 통해 들어올려, 작업자가 가공물을 직접 회전시키는 방법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진행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가공물을 반전시키거나, 가공물을 견인장치를 통해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가공물이 낙하되어 작업자에게 큰 상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공물을 흡착시킨 상태에서 장치를 회전하여 가공물을 반전시키거나, 가공물을 내측에 고정한 상태에서 드럼을 이용해 회전하여 가공물을 반전시키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의 기술들은 복잡한 기계장치를 통해 구현됨에 따라,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다양한 기계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2014-01462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물을 자동으로 반전시켜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공물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는 내측에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가공물의 비가공면을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을 상기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한 후, 상향 회전하며 상기 가공물을 가압하여 상기 가공물을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회전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가공물의 회전 시 가공물의 가공면을 지지한 상태로 하향 회전하여 상기 가공물을 상기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한 후, 상향 회전하며 상기 가공물을 가압하여 상기 가공물의 가공면을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하향 회전 시 수직방향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기 가공물의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회전부의 상향 회전 시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가공물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지면에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승강부가 설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지지부; 및 신장 또는 수축을 통하여 상기 제1 회전 지지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지지부는, 힌지부재를 매개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지지판; 상기 제1 회전 지지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물의 가압 시 상기 가공물의 비가공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롤러; 및 상기 제1 회전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물의 비가공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 회전 지지판이 상기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경우,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공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 지지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브래킷; 및 일 측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제1 지지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체의 유입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1 지지브래킷이 설치된 상기 제1 회전 지지부를 상향 회전시키거나, 유체의 배출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수축하여 상기 제1 회전 지지부를 하향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 지지부; 및 신장 또는 수축을 통하여 상기 제2 회전 지지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지지부는, 힌지부재를 매개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 지지판; 상기 제2 회전 지지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물의 지지 시 상기 가공물의 가공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롤러; 및 상기 제2 회전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물의 가공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회전 지지판이 상기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경우,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공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2 회전 지지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브래킷; 및 일 측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제2 지지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체의 유입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2 지지브래킷이 설치된 상기 제2 회전 지지부를 상향 회전시키거나, 유체의 배출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수축하여 상기 제2 회전 지지부를 하향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유체의 유입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유체의 배출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제3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3 유압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유압실린더의 구동을 통하여 승강 가능하고, 상기 가공물의 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이동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지지부는, 상기 제3 유압실린더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동력부; 및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가공물을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반구 형상의 곡면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가공물이 상기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경우,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지지면; 및 평면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가공물이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경우,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물을 상기 제1 회전부측으로 제공하는 제1 가공물 이송부; 및 상기 제2 회전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가공물을 다른 공간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공물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은 제1 회전부를 통해 제1 가공물 이송부로부터 제공된 가공물을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회전부를 통해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상기 가공물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승강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가공물을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회전부를 하향 회전하여 상기 가공물을 상기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부를 하강하여 상기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기 가공물의 단부를 지지하는 단계; 상기 가공물의 단부가 상기 승강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를 상향 회전하여 상기 가공물의 비가공면을 가압하는 단계; 제2 회전부를 하향 회전하여 상기 제1 회전부에 가압되어 상기 제2 회전부 측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가공물의 가공면을 지지하고, 상기 가공물을 상기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가공물의 가공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제2 회전부를 상향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가공물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부를 상승하여 상기 가공물의 비가공면과 가공면을 반전시키고, 상기 가공물을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회전부를 통해 비가공면과 가공면이 반전된 상기 가공물을 제2 가공물 이송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화된 가공물 반전 장치를 통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공물을 뒤집기 위하여 별도의 견인수단 혹은 회전드럼 혹은 흡착 수단 등과 같이 복잡한 기계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회전 가능한 날개형태의 회전부와 승강 가능한 승강부를 통해 구조를 단순화함에 따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나아가 다양한 기계 장치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제1 회전부가 가공물을 정렬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제1 회전부가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제1 회전부가 상향 회전하여 가공물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제2 회전부가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제2 회전부가 상향 회전하여 가공물의 비가공면과 가공면을 반전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이동 지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제1 회전부가 가공물을 정렬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제1 회전부가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제1 회전부가 상향 회전하여 가공물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제2 회전부가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제2 회전부가 상향 회전하여 가공물의 비가공면과 가공면을 반전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의 이동 지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100)(이하 '가공물 반전 장치(100)'라 함)는 본체(110), 제1 회전부(120), 제2 회전부(130) 및 승강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제1 회전부(120), 제2 회전부(130) 및 승강부(140)가 설치되고, 내측에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10b)이 마련된다.
본체(110)는 프레임 형태의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고, 바닥부(111) 및 외벽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1)는 지면(G)에 설치되고, 내측에 승강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외벽부(112)는 바닥부(111)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제1 수용공간(110a), 제2 수용공간(110b))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벽부(112)에는 제1 회전부(120)와 제2 회전부(13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10)의 바닥부(111)에는 본체(110)를 지면(G)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레그(leg)(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레그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본체(110)의 둘레에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레그는 본체(110)에 설치되는 수용부(미도시), 수용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용부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수용부의 내측에 수용됨으로써,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 가능한 길이조절부재(미도시), 그리고 수용부와 길이조절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길이조절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레그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제1 회전부(12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수용공간(110a)에 배치되고, 회전을 통해 가공물(WP)을 지지하거나, 가공물(WP)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회전부(120)는 가공물(WP)의 비가공면(F1)을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한 상태에서(도 2),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WP)을 상기 지면(G)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한 후(도 3), 상향 회전하며 가공물(WP)을 가압하여 가공물(WP)을 제2 수용공간(110b) 측으로 회전시킨다(도 4). 여기서, 제1 회전부(120)는 하향 회전 및 상향 회전 시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제1 회전부(120)의 회전 속도는 반전시킬 가공물(WP)의 크기, 두께, 무게, 재질 등과 같은 가공물의 사양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고, 하향 회전 및 상향 회전 시 서로 다른 조건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부(120)는 가공물(WP)이 순간적으로 낙하되지 않고, 서서히 제1 회전부(120)의 지지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기울어 질 수 있도록 하향 회전되고, 가공물(WP)에 순간적으로 큰 힘이 가해져 가공물(WP)이 낙하되지 않도록 상향 회전 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회전부(12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지지부(121)와, 제1 회전 지지부(121)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 구동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부(121)는 제1 회전 지지판(1211), 제1 가압롤러(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판(1211)은 힌지부재(1213)를 매개로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전 지지판(1211)은 금속성 재료를 통해 제작되며, 고중량의 가공물(WP)을 지지할 경우에도,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 지지판(1211)의 단부는 제1 회전 지지판(1211)의 회전 시 후술할 승강부(14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압롤러(1212)는 제1 회전 지지판(1211)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1 회전 지지판(1211)이 상향 회전하여 가공물(WP)을 가압할 경우, 가공물(WP)의 비가공면(F1)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지지부(121)는 제1 정렬부(1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렬부(1214)는 제1 회전 지지판(1211)에 설치되어 가공물(WP)의 비가공면(F1)을 지지하고, 제1 회전 지지판(1211)이 지면(G)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경우, 회전력을 발생시켜 가공물(WP)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정렬부(1214)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지지부(121)에 가공물(WP)이 제공될 경우, 제1 정렬부(1214)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부에 안착된 가공물(WP)을 일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이를 통해 가공물(WP)의 단부가 승강부(140)에 접촉되도록 하여 가공물(WP)을 정렬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정렬부(1214)는 제1 회전 지지판(1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시 상측에 안착된 가공물(WP)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미도시)와, 구동롤러의 일 측에 결합되고, 구동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부(미도시) 및 동력전달부와 결합되어 동력전달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모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구동부(122)는 신장 또는 수축을 통하여 제1 회전 지지부(12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구동부(122)는 제1 지지브래킷(1221)과, 제1 유압실린더(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브래킷(1221)은 제1 회전 지지부(121)의 하측에 설치되고, 후술할 제1 유압실린더(122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지지브래킷(1221)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하여 제1 회전 지지판(1211)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패널부(미도시)와, 패널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유압실린더(1222)와 힌지(미도시) 등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지지브래킷(1221)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회전 지지판(1211)을 지지하고, 제1 유압실린더(12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제1 유압실린더(1222)는 유체의 유입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제1 지지브래킷(1221)이 설치된 제1 회전 지지부(121)를 상향 회전시키거나, 유체의 배출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수축하여 제1 회전 지지부(121)를 하향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유압실린더(1222)의 일 측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유압실린더(1222)의 타 측은 제1 지지브래킷(1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회전부(13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수용공간(110b)에 배치되고, 회전을 통해 가공물(WP)을 지지하거나, 가공물(WP)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회전부(130)는 가공물(WP)의 회전 시 가공물(WP)의 가공면(F2)을 지지한 상태로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WP)을 지면(G)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한 후(도 4 및 도 5), 상향 회전하며 가공물(WP)을 가압하여 가공물(WP)의 가공면(F2)을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한다(도 6). 여기서, 제2 회전부(130)는 하향 회전 및 상향 회전 시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제2 회전부(130)의 회전 속도는 반전시킬 가공물(WP)의 크기, 두께, 무게, 재질 등과 같은 가공물의 사양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고, 하향 회전 및 상향 회전 시 서로 다른 조건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부(130)는 가공물(WP)이 순간적으로 낙하되지 않고, 서서히 제2 회전부(130)의 지지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기울어 질 수 있도록 하향 회전되고, 가공물(WP)에 순간적으로 큰 힘이 가해져 가공물(WP)이 낙하되지 않도록 상향 회전 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회전부(13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 지지부(131)와, 제2 회전 지지부(131)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 구동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지지부(131)는 제2 회전 지지판(1311) 및 제2 가압롤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지지판(1311)은 힌지부재(1313)를 매개로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전 지지판(1311)은 금속성 재료를 통해 제작되며, 고중량의 가공물(WP)을 지지할 경우에도,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 지지판(1311)의 단부는 제2 회전 지지판(1311)의 회전 시 후술할 승강부(14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압롤러(1312)는 제2 회전 지지판(1311)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2 회전 지지판(1311)이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WP)을 지지할 경우, 가공물(WP)의 가공면(F2)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 지지부(131)는 제2 정렬부(1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렬부(1314)는 제2 회전 지지판(1311)에 설치되어 가공물(WP)의 가공면(F2)을 지지하고, 제2 회전 지지판(1311)이 지면(G)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경우, 회전력을 발생시켜 가공물(WP)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정렬부(1314)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가공물(WP)의 비가공면(F1)과 가공면(F2)이 반전되어 제2 회전 지지부(131)에 가공물(WP)이 지지된 경우, 제2 정렬부(1314)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부에 안착된 가공물(WP)을 일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정렬부(1314)는 제2 회전 지지판(13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시 상측에 안착된 가공물(WP)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미도시)와, 구동롤러의 일 측에 결합되고, 구동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부(미도시) 및 동력전달부와 결합되어 동력전달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모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구동부(132)는 신장 또는 수축을 통하여 제2 회전 지지부(13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회전 구동부(132)는 제2 지지브래킷(1321)과, 제2 유압실린더(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브래킷(1321)은 제2 회전 지지부(131)의 하측에 설치되고, 후술할 제2 유압실린더(132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지지브래킷(1321)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하여 제2 회전 지지판(1311)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패널부(미도시)와, 패널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유압실린더(1322)와 힌지(미도시) 등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지지브래킷(1321)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회전 지지판(1311)을 지지하고, 제2 유압실린더(13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제2 유압실린더(1322)는 유체의 유입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제2 지지브래킷(1321)이 설치된 제2 회전 지지부(131)를 상향 회전시키거나, 유체의 배출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수축하여 제2 회전 지지부(131)를 하향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유압실린더(1322)의 일 측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유압실린더(1322)의 타 측은 제2 지지브래킷(13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승강부(140)는 본체(110)에 설치되어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10b)을 구획하고, 제1 회전부(120)의 하향 회전 시 수직방향을 따라 하강하여 지면(G)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된 가공물(WP)의 단부를 지지하고(도 3), 제2 회전부(130)의 상향 회전 시 수직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가공물(WP)을 가압한다(도 6). 여기서, 승강부(140)는 상승 및 하강 시 미리 설정된 속도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승강부(140)의 이동속도는 반전시킬 가공물(WP)의 크기, 두께, 무게, 재질 등과 같은 가공물의 사양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고, 상승 및 하강 시 서로 다른 조건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부(140)는 제1 회전부(120)에서 가공물(WP)을 기울일 경우에는 제1 회전부(120)의 하향 회전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하강하고, 제2 회전부(130)에서 가공물(WP)을 상승시킬 경우에는 제2 회전부(130)의 상향 회전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공물(WP)은 반전 시 승강부(140)로부터 낙하되거나,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승강부(140)는 제3 유압실린더(141) 및 이동 지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압실린더(141)는 본체(110)에 설치되고, 유체의 유입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유체의 배출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동 지지부(142)는 제3 유압실린더(141)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3 유압실린더(141)의 구동을 통하여 승강 가능하고, 가공물(WP)의 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지지부(142)는 제3 유압실린더(141)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우징(1421), 하우징(1421)의 상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1422), 가이드레일(1422)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422)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슬라이더(1423), 하우징(1421)에 설치되어 슬라이더(1423)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슬라이더(1423)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동력부(1424) 및 슬라이더(1423)에 설치되어 슬라이더(1423)와 함께 이동되고, 가공물(WP)을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14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 지지부(142)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제어를 통하여 지지하고 있는 가공물(WP)에 따라 위치를 조절 가능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가공물(WP)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425)는 제1 지지면(1425a) 및 제2 지지면(1425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지지면(1425a)은 반구 형상의 곡면 형태로 마련되고, 가공물(WP)이 지면(G)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경우, 가공물(WP)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지지면(1425b)은 평면 형태로 마련되고, 가공물(WP)이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경우, 가공물(WP)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가공물 반전 장치(100)는 복수개의 가공물 이송부(150,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가공물 반전 장치(100)는 가공물(WP)을 제1 회전부(120)측으로 제공하는 제1 가공물 이송부(150) 및 제2 회전부(130)로부터 전달된 가공물(WP)을 다른 공간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공물 이송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가공물 이송부(150) 및 제2 가공물 이송부(160)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가공물(WP)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롤러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가공물 이송부(150) 및 제2 가공물 이송부(16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100)를 이용한 가공물(WP) 반전 방법(이하 '가공물(WP) 반전 방법'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가공물(WP) 반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가공물 반전 장치(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가공물 이송부(150)로부터 제1 회전부(120)에 가공물(WP)이 제공되면, 제1 회전부(120)는 제1 가공물 이송부(150)로부터 제공된 가공물(WP)을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한다(S110).
여기서, 제1 가공물 이송부(150)를 통해 제1 회전부(120)로 제공되는 가공물(WP)은 일면이 가공면(F2)으로 마련되고, 타면이 비가공면(F1)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부(120)로 제공되는 가공물(WP)은 비가공면(F1)이 제1 회전부(120)를 향하도록 전달될 수 있다.
제1 회전부(120)는 가공물(WP)의 비가공면(F1)이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가공물(WP)을 지지한 뒤, 제1 정렬부(1214)를 통해 상기 가공물(WP)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승강부(140)에 마련된 지지부재(1425)의 제2 지지면(1425b)에 밀착시키고, 이를 통해 가공물(WP)을 정렬시킨다(S120).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회전부(120)는 가공물(WP)을 정렬시킨 후,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WP)을 지면(G)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승강부(140)는 하강하여 지면(G)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 가공물(WP)의 단부를 지지한다(S130).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회전부(120)는 가공물(WP)을 지면(G)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한 뒤, 가공물(WP)의 단부가 승강부(1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향 회전하여 지지하고 있던 가공물(WP)의 비가공면(F1)을 가압하고, 이를 통해 가공물(WP)을 제2 수용공간(110b) 측으로 회전시킨다(S140).
도 4,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회전부(130)는 하향 회전하여 제1 회전부(120)에 가압되어 제2 회전부(130) 측으로 기울어지는 가공물(WP)의 가공면(F2)을 지지한 뒤, 이보다 더 하강하여 가공물(WP)을 지면(G)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한다(S150).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회전부(130)는 가공물(WP)을 지면(G)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한 뒤, 상향 회전하여 지지하고 있던 가공물(WP)의 가공면(F2)을 가압하고, 이와 동시에 가공물(WP)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던 승강부(140)가 상승하여 가공물(WP)을 가압하여, 가공물(WP)의 비가공면(F1)과 가공면(F2)을 반전시키고, 제2 회전부(130)는 비가공면(F1)과 가공면(F2)이 반전된 가공물(WP)을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한다(S160).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회전부(130)는 비가공면(F1)과 가공면(F2)이 반전된 가공물(WP)을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한 뒤, 상측에 마련된 제2 정렬부(1314)를 통해 상기 가공물(WP)을 제2 가공물 이송부(160)로 전달한다(S17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화된 가공물 반전 장치를 통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공물(WP)을 뒤집기 위하여 별도의 견인수단 혹은 회전드럼 혹은 흡착 수단 등과 같이 복잡한 기계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회전 가능한 날개형태의 회전부와 승강 가능한 승강부를 통해 구조를 단순화함에 따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나아가 다양한 기계 장치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가공물 반전 장치
110. 본체
110a. 제1 수용공간
110b. 제2 수용공간
111. 바닥부
112. 외벽부
120. 제1 회전부
121. 제1 회전 지지부
1211. 제1 회전 지지판
1212. 제1 가압롤러
1213. 힌지부재
1214. 제1 정렬부
122. 제1 회전 구동부
1221. 제1 지지브래킷
1222. 제1 유압실린더
130. 제2 회전부
131. 제2 회전 지지부
1311. 제2 회전 지지판
1312. 제2 가압롤러
1313. 힌지부재
1314. 제2 정렬부
132. 제2 회전 구동부
1321. 제2 지지브래킷
1322. 제2 유압실린더
140. 승강부
141. 제3 유압실린더
142. 이동 지지부
1421. 하우징
1422. 가이드레일
1423. 슬라이더
1424. 동력부
1425. 지지부재
1425a. 제1 지지면
1425b. 제2 지지면
150. 제1 가공물 이송부
160. 제2 가공물 이송부
WP. 가공물
F1. 비가공면
F2. 가공면
G. 지면

Claims (10)

  1. 내측에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가공물의 비가공면을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하향 회전하여 가공물을 상기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한 후, 상향 회전하며 상기 가공물을 가압하여 상기 가공물을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회전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가공물의 회전 시 가공물의 가공면을 지지한 상태로 하향 회전하여 상기 가공물을 상기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한 후, 상향 회전하며 상기 가공물을 가압하여 상기 가공물의 가공면을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하향 회전 시 수직방향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기 가공물의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회전부의 상향 회전 시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가공물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승강부;
    를 포함하는 가공물 반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지지부; 및
    신장 또는 수축을 통하여 상기 제1 회전 지지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회전 구동부;
    를 포함하는 가공물 반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지지부는,
    힌지부재를 매개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지지판; 상기 제1 회전 지지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물의 가압 시 상기 가공물의 비가공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롤러; 및
    상기 제1 회전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물의 비가공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 회전 지지판이 상기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경우,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공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정렬부;
    를 포함하는 가공물 반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 지지부; 및
    신장 또는 수축을 통하여 상기 제2 회전 지지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회전 구동부;
    를 포함하는 가공물 반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지지부는,
    힌지부재를 매개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 지지판; 상기 제2 회전 지지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물의 지지 시 상기 가공물의 가공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롤러; 및
    상기 제2 회전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물의 가공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회전 지지판이 상기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경우,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공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정렬부;
    를 포함하는 가공물 반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유체의 유입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유체의 배출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제3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3 유압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유압실린더의 구동을 통하여 승강 가능하고, 상기 가공물의 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이동 지지부;
    를 포함하는 가공물 반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부는,
    상기 제3 유압실린더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동력부; 및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가공물을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가공물 반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반구 형상의 곡면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가공물이 상기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경우,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지지면; 및
    평면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가공물이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경우,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지지면;
    을 포함하는 가공물 반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을 상기 제1 회전부측으로 제공하는 제1 가공물 이송부; 및
    상기 제2 회전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가공물을 다른 공간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공물 이송부;
    를 더 포함하는 가공물 반전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공물 반전 장치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으로서,
    제1 회전부를 통해 제1 가공물 이송부로부터 제공된 가공물을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회전부를 통해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상기 가공물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승강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가공물을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회전부를 하향 회전하여 상기 가공물을 상기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부를 하강하여 상기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기 가공물의 단부를 지지하는 단계;
    상기 가공물의 단부가 상기 승강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를 상향 회전하여 상기 가공물의 비가공면을 가압하는 단계;
    제2 회전부를 하향 회전하여 상기 제1 회전부에 가압되어 상기 제2 회전부 측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가공물의 가공면을 지지하고, 상기 가공물을 상기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가공물의 가공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제2 회전부를 상향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가공물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부를 상승하여 상기 가공물의 비가공면과 가공면을 반전시키고, 상기 가공물을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회전부를 통해 비가공면과 가공면이 반전된 상기 가공물을 제2 가공물 이송부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공물 반전 장치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KR1020190114148A 2019-09-17 2019-09-17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KR102080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148A KR102080751B1 (ko) 2019-09-17 2019-09-17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148A KR102080751B1 (ko) 2019-09-17 2019-09-17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751B1 true KR102080751B1 (ko) 2020-02-24

Family

ID=6963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148A KR102080751B1 (ko) 2019-09-17 2019-09-17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7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411B1 (ko) * 2020-02-17 2021-01-21 하티스코리아(주) 컴팩트 타입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KR102310307B1 (ko) * 2021-04-09 2021-10-07 김상대 식품 판매 시스템
KR20210141025A (ko) 2020-05-15 2021-11-2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피가공물의 턴오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641U (ja) * 1992-12-28 1995-09-05 株式会社大北耕商事 ワ−クの反転装置
JP2000168941A (ja) * 1998-12-01 2000-06-20 Ss Pharmaceut Co Ltd 自動物品反転装置
JP2001301953A (ja) * 2000-04-17 2001-10-31 Sumitomo Kinzoku Kozan Siporex Kk 被加工物の転向搬送装置
KR101471083B1 (ko) * 2014-04-14 2014-12-09 홍국선 중량체 뒤집기장치
KR20140146235A (ko) 2012-06-22 2014-12-24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프레스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641U (ja) * 1992-12-28 1995-09-05 株式会社大北耕商事 ワ−クの反転装置
JP2000168941A (ja) * 1998-12-01 2000-06-20 Ss Pharmaceut Co Ltd 自動物品反転装置
JP2001301953A (ja) * 2000-04-17 2001-10-31 Sumitomo Kinzoku Kozan Siporex Kk 被加工物の転向搬送装置
KR20140146235A (ko) 2012-06-22 2014-12-24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프레스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471083B1 (ko) * 2014-04-14 2014-12-09 홍국선 중량체 뒤집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411B1 (ko) * 2020-02-17 2021-01-21 하티스코리아(주) 컴팩트 타입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KR20210104520A (ko) * 2020-02-17 2021-08-25 정문성 컴팩트 타입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KR102333577B1 (ko) 2020-02-17 2021-12-01 정문성 컴팩트 타입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KR20210141025A (ko) 2020-05-15 2021-11-2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피가공물의 턴오버 시스템
KR102310307B1 (ko) * 2021-04-09 2021-10-07 김상대 식품 판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751B1 (ko)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KR102333577B1 (ko) 컴팩트 타입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CN114012130B (zh) 一种快速定位和可调节加工角度的轮胎模具打孔装置
KR20170000845A (ko) 다방향 작업이 가능한 작업설비
CN112959082A (zh) 一种建筑架构生产用的扣件加工设备
KR100921320B1 (ko) 오일 그루브 가공을 위한 실린더 라이너용 지그
CN113894755B (zh) 加工角度可调的工作台以及路由器激光打标机
CN217122147U (zh) 旋转上下料工作台以及路由器激光打标机
CN2928451Y (zh) 一种新型石材挂栓钻孔机
CN212494734U (zh) 一种钢管压槽机
KR101327816B1 (ko) 프로펠러 턴 오버 장치 및 그 프로펠러 턴 오버 장치를 이용한 턴 오버 방법
CN210393626U (zh) 一种移动剪叉式液压升降机
CN103753719A (zh) 组合绳锯机
KR20060116413A (ko) 폴리싱용 항공기 스킨 홀딩장치
CN115070588A (zh) 一种高精度的自动抛光设备
CN214213730U (zh) 一种用于机械数控机床维修的支撑升降装置
CN214498308U (zh) 一种建筑装饰工程施工用升降装置
CN214392662U (zh) 一种管道开坡口调整装置
CN212174317U (zh) 一种建筑施工用钢板吊运装置
CN213141832U (zh) 一种玻璃切割用上料装置
CN211574629U (zh) 一种冶金机械维修用可调式液压起重设备
CN208051464U (zh) 刀剑玩具夹紧机构
KR101753007B1 (ko) 밀링 가공용 셋업 장치
CN202622452U (zh) 一种工件变位机
KR20210046430A (ko) 유리재단용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