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469B1 -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469B1
KR102079469B1 KR1020190050359A KR20190050359A KR102079469B1 KR 102079469 B1 KR102079469 B1 KR 102079469B1 KR 1020190050359 A KR1020190050359 A KR 1020190050359A KR 20190050359 A KR20190050359 A KR 20190050359A KR 102079469 B1 KR102079469 B1 KR 10207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unit
main
support bracke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제
김종국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이승제
김종국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제, 김종국, 조현철 filed Critical 이승제
Priority to KR102019005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2Cleaning travelling work, e.g. a web, articles on a conveyor
    • B08B1/12
    • B08B1/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5/046Cleaning mov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닛이 철망형 벨트 표면에 회전 접촉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되 제1 유닛의 구동 전달은 제2 유닛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제3 유닛은 이러한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받침 지지하는 구조로부터, 철망형 벨트의 부착 오염물이나 이물질 또는 녹 등을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자동적으로 청소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AUTOMATIC CLEANINIG APPARATUS FOR CONVEYOR BELT WITH WIRE BRUSH}
본 발명은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망형 벨트의 부착 오염물이나 이물질 또는 녹 등을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자동적으로 청소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개실용 20-1988-17301호의 "회전형 와이어 브러쉬"(이하 선행기술)를 포함한 일반적인 와이어 브러쉬는 금속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녹이나 이물질 또는 오염부위를 제거하는 청소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활성판 필터 제조 라인에서 활성탄이 함유된 필터 미디어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는 활성탄의 분진이나 장시간 경과시 녹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철망형 표면을 가진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철망형 벨트의 오염 부위를 청소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작업자가 와이어 브러쉬를 장착한 수공구를 직접 들고 컨베이어 벨트 표면을 청소하여 오염 부위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청소 방법은 청소 중 비산되는 먼지와 와이어 브러쉬의 파손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청소 방법은 작업자가 여러명 현장에 투입되어 작업을 실시하더라도, 생산 설비의 규모에 따라 매우 큰 컨베이어 벨트일 경우에는 작업 시간이 매우 오래 걸려 생산에 차질을 빚게 되는 등 생산성 저하 및 업무 효율의 저하가 우려되었다.
또한, 이러한 청소 방법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파악하여 직접 수공구로 청소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염 부위의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뒤이어 이송되는 필터 미디어 제품의 오염을 유발하여 불량품의 발생이 될 우려가 다분하였다.
이러한 불량품의 발생은 소비자 또는 수요처와의 분쟁 발생과 제작사의 이미지 하락으로 이어지는 치명적인 문제점이라 할 수 있었다.
공개실용 20-1988-173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철망형 벨트의 부착 오염물이나 이물질 또는 녹 등을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자동적으로 청소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성탄 필터의 생산 설비에서 필터 미디어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중 상기 필터 미디어가 거치되어 이송되는 철망형 벨트의 이물질과 분진을 제거하도록, 상기 철망형 벨트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원통형 코어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와이어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 유닛; 상기 코어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메인 전달축과, 구동축을 가지는 구동 모터와, 상기 메인 전달축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구동 풀리와, 상기 메인 종동 풀리와 메인 구동 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구동전달 벨트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메인 전달축의 양단부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이 각각 구비된 메인 지지 브라켓과, 상기 메인 지지 브라켓과 상기 구동 모터가 고정되는 면적과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에 구비된 서브 구동 풀리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메인 지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지지 브라켓과, 상기 서브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브 전달축과, 상기 서브 전달축에 장착되는 서브 종동 풀리와, 상기 서브 종동 풀리와 상기 서브 구동 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 구동전달 벨트와, 상기 서브 전달축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전달축과 연동회전하면서 상기 철망형 벨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에어 유동을 형성하는 복수의 흡입 블레이드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보조 코어로 이루어진 흡입 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철망형 벨트에 접촉 회전하면서 비산하는 분진을 일방향으로 빨아들이는 분진제거 유닛과,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부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분진제거 유닛을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하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분진제거 유닛까지 분진 흡입 경로를 형성하는 커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활성탄 필터의 생산 설비에서 필터 미디어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중 필터 미디어가 거치되어 이송되는 철망형 벨트의 이물질과 분진을 제거하도록, 철망형 벨트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원통형 코어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와이어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철망형 벨트 전체에 걸친 오염 부위 제거 및 오염물과 이물질의 제거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코어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메인 전달축과, 구동축을 가지는 구동 모터와, 메인 전달축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종동 풀리와, 구동축의 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구동 풀리와, 메인 종동 풀리와 메인 구동 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구동전달 벨트를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및 동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전달축의 양단부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이 각각 구비된 메인 지지 브라켓과, 메인 지지 브라켓과 구동 모터가 고정되는 면적과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원활한 받침 지지를 통한 장치 전체의 구조적 안전성을 도모하면서 장치 전체를 모듈화하여 현장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운반과 이동의 편의까지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축에 구비된 서브 구동 풀리와,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동 모터와 메인 지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지지 브라켓과, 서브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브 전달축과, 서브 전달축에 장착되는 서브 종동 풀리와, 서브 종동 풀리와 서브 구동 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 구동전달 벨트와, 서브 전달축의 단부에 구비되어 메인 전달축과 연동회전하면서 철망형 벨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에어 유동을 형성하는 복수의 흡입 블레이드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보조 코어로 이루어진 흡입 팬을 포함하고, 제1 유닛이 철망형 벨트에 접촉 회전하면서 비산하는 분진을 일방향으로 빨아들이는 제4 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써, 비산하는 분진이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작업 현장의 쾌적한 환경 조성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부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제1 유닛과 제2 유닛 및 분진제거 유닛을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함과 동시에, 하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분진제거 유닛까지 분진 흡입 경로를 형성하는 제5 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물리, 화학적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하고, 만일의 경우 와이어브러쉬가 파손되더라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와이어브러쉬가 멀리 튕겨나가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기존의 수공구에 의한 작업자의 투입에 비하여 장치 가동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1인으로 모든 작업 일체가 컨트롤 가능하므로,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면에서 "⊙"는 지면(紙面)에 수직하게 본 명세서를 바라보는 독자쪽으로 다가오는 방향을, "ⓧ"는 지면(紙面)에 수직하게 본 명세서를 바라보는 독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이 철망형 벨트(600) 표면에 회전 접촉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되 제1 유닛(100)의 구동 전달은 제2 유닛(20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제3 유닛(300)은 이러한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을 받침 지지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0)은 활성탄 필터의 생산 설비에서 필터 미디어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중 필터 미디어가 거치되어 이송되는 철망형 벨트(600)의 이물질과 분진을 제거하도록, 철망형 벨트(600)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원통형 코어(11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와이어(120)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코어(110)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메인 전달축(210)과, 구동축(221)을 가지는 구동 모터(220)와, 메인 전달축(21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종동 풀리(230)와, 구동축(221)의 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구동 풀리(240)와, 메인 종동 풀리(230)와 메인 구동 풀리(240)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구동전달 벨트(250)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3 유닛(300)은 메인 전달축(210)의 양단부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이하 미도시)이 각각 구비된 메인 지지 브라켓(310)과, 메인 지지 브라켓(310)과 구동 모터(220)가 고정되는 면적과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320)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은 베이스(320)와, 베이스(320)에 대하여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 지지 브라켓(310)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메인 장력 조절부(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메인 장력 조절부(700)는, 메인 구동전달 벨트(250)의 장력을 일정 정도로 유지시키도록, 메인 구동 풀리(240)와 메인 종동 풀리(230)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게 메인 구동전달 벨트(250)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메인 장력 조절부(700)는, 메인 지지 브라켓(310)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상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1 조절 슬롯(7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장력 조절부(700)는, 베이스(3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메인 지지 브라켓(310)의 하부측과 접촉되는 면을 가지는 제1 고정 돌출편(7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장력 조절부(700)는, 제1 고정 돌출편(720)과 제1 조절 슬롯(7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조절 볼트(7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장력 조절부(700)는, 제1 고정 돌출편(720) 또는 메인 지지 브라켓(310)에 접촉 고정되는 제1 조절 볼트(730)의 헤드부(731)에 대하여 반대측으로부터 나사 체결되는 제1 조절 너트(74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장시간 경과후 메인 구동전달 벨트(250)의 장력이 저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조절 너트(740)를 약간 풀어서 제1 조절 볼트(730)가 제1 조절 슬롯(7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한 상태를 조성한다.
이후,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메인 지지 브라켓(310)을 제1 조절 볼트(7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면서 메인 구동전달 벨트(250)가 적절히 긴장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제1 조절 너트(740)를 죄면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이 철망형 벨트(600)에 접촉 회전하면서 비산하는 분진을 일방향으로 빨아들이는 제4 유닛(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우선, 제4 유닛(400)은 구동축(221)에 구비된 서브 구동 풀리(410)를 포함할 수 이있다.
도면상에서 도면부호가 240과 410이 동일한 부분을 가리키는 것은, 실제 하나의 부품으로서 메인 및 서브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도면 작성상, 측면에서는 구동축(221)상에 순차적으로 장착된 서브 구동 풀리(410)와 메인 구동 풀리(240) 중, 서브 구동 풀리(410)는 메인 구동 풀리(240)에 가려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편의상 같은 부분에 지시선을 달아놓은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제4 유닛(400)은, 베이스(3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동 모터(220)와 메인 지지 브라켓(310)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지지 브라켓(4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유닛(400)은, 서브 지지 브라켓(4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브 전달축(4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유닛(400)은, 서브 전달축(430)에 장착되는 서브 종동 풀리(4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유닛(400)은, 서브 종동 풀리(440)와 서브 구동 풀리(410)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 구동전달 벨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유닛(400)은, 서브 전달축(430)의 단부에 구비되어 메인 전달축(210)과 연동회전하면서 철망형 벨트(6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에어 유동을 형성하는 복수의 흡입 블레이드(462)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보조 코어(461)로 이루어진 흡입 팬(4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베이스(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부 가장자리를 구비하는 제5 유닛(5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5 유닛(500)은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4 유닛(400)을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함과 동시에, 하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제4 유닛(400)까지 분진 흡입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베이스(320)와, 베이스(320)에 대하여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 지지 브라켓(420)의 하단부 사이에 서브 장력 조절부(8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서브 장력 조절부(800)는, 서브 구동전달 벨트(450)의 장력을 일정 정도로 유지시키도록, 서브 구동 풀리(410)와 서브 종동 풀리(440)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게 서브 구동전달 벨트(450)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서브 장력 조절부(800)는 서브 지지 브라켓(420)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상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2 조절 슬롯(8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장력 조절부(800)는 베이스(3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브 지지 브라켓(420)의 하부측과 접촉되는 면을 가지는 제2 고정 돌출편(8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장력 조절부(800)는 제2 고정 돌출편(820)과 제2 조절 슬롯(8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조절 볼트(8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서브 장력 조절부(800)는 제2 고정 돌출편(820) 또는 서브 지지 브라켓(420)에 접촉 고정되는 제2 조절 볼트(830)의 헤드부(831)에 대하여 반대측으로부터 나사 체결되는 제2 조절 너트(8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장시간 경과후 서브 구동전달 벨트(450)의 장력이 저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 조절 너트(840)를 약간 풀어서 제2 조절 볼트(830)가 제2 조절 슬롯(8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한 상태를 조성한다.
이후,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서브 지지 브라켓(420)을 제2 조절 볼트(8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면서 서브 구동전달 벨트(450)가 적절히 긴장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제2 조절 너트(840)를 죄면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2 유닛(100, 200)이 장착된 제3 유닛(300)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수공구를 이용한 수작업을 대체할 수 있도록 베이스 변위수단(900)을 포함하는 자동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베이스(320)의 일측에는 이동지지 블록(9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이동지지 블록(910)은 원통형 코어(110) 및 철망형 벨트(600) 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양단 관통인 원통 형상의 가이드로(911)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스크류 봉(920)은 철망형 벨트(600)의 폭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로(91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암나사산과 맞물리는 수나사산(921)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것이다.
또한, 서보 모터(930)는 스크류 봉(92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스크류 봉(920)을 정, 역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스크류 봉(920)에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베이스(320)와 연결되며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940)과, 지지 프레임(940)과 연결되어 지지 프레임(940)이 3축 직교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베이스 변위수단(900)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 변위수단(900)이 작업장 바닥에 고정 설치되면, 지지 프레임(940)은 철망형 벨트(600)의 표면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여 적절한 위치를 잡고, 지지 프레임(940)은 다시 베이스 변위수단(900)에 대하여 승강 왕복하면서 적절한 작업 높이를 탐색한다.
이후, 베이스 변위수단(900)이 최적의 작업 위치를 결정하게 되면, 제2 유닛(200)이 가동함과 동시에 서보 모터(930) 또한 가동되면서 이동지지 블록(910)이 스크류 봉(92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철망형 벨트(600)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베이스 변위수단(900)은 해당 지지 프레임(940)의 상승 또는 하강과, 전진 또는 후퇴를 포함하는 3축 제어가 가능하도록, LM 가이드나, 유체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 어셈블리 등 적용 가능한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활성탄 필터의 생산 설비에서 필터 미디어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중 필터 미디어가 거치되어 이송되는 철망형 벨트(600)의 이물질과 분진을 제거하도록, 철망형 벨트(600)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원통형 코어(11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와이어(120)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 유닛(100)을 포함함으로써, 철망형 벨트(600) 전체에 걸친 오염 부위 제거 및 오염물과 이물질의 제거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코어(110)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메인 전달축(210)과, 구동축(221)을 가지는 구동 모터(220)와, 메인 전달축(21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종동 풀리(230)와, 구동축(221)의 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구동 풀리(240)와, 메인 종동 풀리(230)와 메인 구동 풀리(240)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구동전달 벨트(25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을 포함함으로써,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및 동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전달축(210)의 양단부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이하 미도시)이 각각 구비된 메인 지지 브라켓(310)과, 메인 지지 브라켓(310)과 구동 모터(220)가 고정되는 면적과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320)를 포함하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함으로써,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원활한 받침 지지를 통한 장치 전체의 구조적 안전성을 도모하면서 장치 전체를 모듈화하여 현장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운반과 이동의 편의까지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축(221)에 구비된 서브 구동 풀리(410)와, 베이스(3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동 모터(220)와 메인 지지 브라켓(310)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지지 브라켓(420)과, 서브 지지 브라켓(4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브 전달축(430)과, 서브 전달축(430)에 장착되는 서브 종동 풀리(440)와, 서브 종동 풀리(440)와 서브 구동 풀리(410)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 구동전달 벨트(450)와, 서브 전달축(430)의 단부에 구비되어 메인 전달축(210)과 연동회전하면서 철망형 벨트(6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에어 유동을 형성하는 복수의 흡입 블레이드(462)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보조 코어(461)로 이루어진 흡입 팬(460)을 포함하고, 제1 유닛(100)이 철망형 벨트(600)에 접촉 회전하면서 비산하는 분진을 일방향으로 빨아들이는 제4 유닛(400)을 더 구비함으로써, 비산하는 분진이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작업 현장의 쾌적한 환경 조성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이스(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부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4 유닛(400)을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함과 동시에, 하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제4 유닛(400)까지 분진 흡입 경로를 형성하는 제5 유닛(500)을 더 구비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물리, 화학적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하고, 만일의 경우 와이어브러쉬(120)가 파손되더라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와이어브러쉬(120)가 멀리 튕겨나가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기존의 수공구에 의한 작업자의 투입에 비하여 장치 가동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1인으로 모든 작업 일체가 컨트롤 가능하므로,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철망형 벨트의 부착 오염물이나 이물질 또는 녹 등을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자동적으로 청소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코어
120...와이어
200...제2 유닛
210...메인 전달축
220...구동 모터
221...구동축
230...메인 종동 풀리
240...메인 구동 풀리
250...메인 구동전달 벨트
300...제3 유닛
310...메인 지지 브라켓
320...베이스
400...제4 유닛
410...서브 구동 풀리
420...서브 지지 브라켓
430...서브 전달축
440...서브 종동 풀리
450...서브 구동전달 벨트
460...흡입 팬
461...보조 코어
462...흡입 블레이드
500...제5 유닛
600...철망형 벨트
700...메인 장력 조절부
710...제1 조절 슬롯
720...제1 고정 돌출편
730...제1 조절 볼트
731...제1 조절 볼트(730)의 헤드부
740...제1 조절 너트
800...서브 장력 조절부
810...제2 조절 슬롯
820...제2 고정 돌출편
830...제2 조절 볼트
831...제2 조절 볼트(830)의 헤드부
840...제2 조절 너트
900...베이스 변위수단
910...이동지지 블록
911...가이드로
920...스크류 봉
921...수나사산
930...서보 모터
940...지지 프레임

Claims (2)

  1. 활성탄 필터의 생산 설비에서 필터 미디어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중 상기 필터 미디어가 거치되어 이송되는 철망형 벨트(600)의 이물질과 분진을 제거하도록, 상기 철망형 벨트(600)의 하부와 상부가 연결되는 일측부 외측의 벨트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원통형 코어(110)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코어(110)는 상기 벨트 표면에 접촉하는 다수의 와이어(120)들이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 유닛(100);
    상기 코어(110)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메인 전달축(210)과, 구동축(221)을 가지는 구동 모터(220)와, 상기 메인 전달축(21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종동 풀리(230)와, 상기 구동축(221)의 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구동 풀리(240)와, 상기 메인 종동 풀리(230)와 메인 구동 풀리(240)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구동전달 벨트(25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지지 브라켓(310)은 베이스(320)에 대하여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제2 유닛(200);
    상기 메인 전달축(210)의 양단부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이 각각 구비된 메인 지지 브라켓(310)과, 상기 메인 지지 브라켓(310)과 상기 구동 모터(220)가 고정되는 면적과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320)를 포함하는 제3 유닛(300);
    상기 구동축(221)에 구비된 서브 구동 풀리(410)와, 상기 베이스(3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구동 모터(220)와 상기 메인 지지 브라켓(3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320)에 대하여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서브 지지 브라켓(420)과, 상기 서브 지지 브라켓(4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브 전달축(430)과, 상기 서브 전달축(430)에 장착되는 서브 종동 풀리(440)와, 상기 서브 종동 풀리(440)와 상기 서브 구동 풀리(410)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 구동전달 벨트(450)와, 상기 서브 전달축(4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전달축(210)과 연동회전하면서 상기 철망형 벨트(6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에어 유동을 형성하는 복수의 흡입 블레이드(462)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보조 코어(461)로 이루어진 흡입 팬(4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100)이 상기 철망형 벨트(600)에 접촉 회전하면서 비산하는 분진을 일방향으로 빨아들이는 제4 유닛(400);
    상기 베이스(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부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 코어(110) 및 상기 흡입팬(460)이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구동 모터(220)가 위치하는 공간을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하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4 유닛(400)까지 분진 흡입 경로를 형성하는 제5 유닛(500);
    상기 베이스(320)와 연결되며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940)과, 지지 프레임(940)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940)이 3축 직교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베이스 변위수단(900);
    상기 베이스(320)와 상기 메인 지지 브라켓(310)의 하단부 사이에 구비되되,상기 메인 지지 브라켓(310)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상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1 조절 슬롯(710)과, 상기 베이스(3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메인 지지 브라켓(310)의 하부측과 접촉되는 면을 가지는 제1 고정 돌출편(720)과, 상기 제1 고정 돌출편(720)과 상기 제1 조절 슬롯(7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조절 볼트(730)와, 상기 제1 조절 볼트(730)의 헤드부(731)에 대하여 반대측으로부터 나사 체결되는 제1 조절 너트(74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조절 볼트(730)가 상기 제1 조절 슬롯(710)을 따라 이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제1 조절 너트(740)가 부분적으로 풀린 상태에서, 상기 메인 지지 브라켓(310)이 상기 제1 조절 볼트(7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메인 구동전달 벨트(250)의 긴장도가 조절되는, 메인 장력 조절부(700); 및
    상기 베이스(320)와 상기 서브 지지 브라켓(420)의 하단부 사이에 구비되되,상기 서브 지지 브라켓(420)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상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2 조절 슬롯(810)과, 상기 베이스(3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서브 지지 브라켓(420)의 하부측과 접촉되는 면을 가지는 제2 고정 돌출편(820)과, 상기 제2 고정 돌출편(820)과 제2 조절 슬롯(8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조절 볼트(830)와, 상기 제2 조절 볼트(830)의 헤드부(831)에 대하여 반대측으로부터 나사 체결되는 제2 조절 너트(840)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조절 볼트(830)가 상기 제2 조절 슬롯(810)을 따라 이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제2 조절 너트(840)가 부분적으로 풀린 상태에서, 상기 서브 지지 브라켓(420)이 상기 제2 조절 볼트(8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서브 구동전달 벨트(450)의 긴장도가 조절되는, 서브 장력 조절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100), 상기 제2 유닛(200), 상기 제3 유닛(300), 상기 제4 유닛(400), 상기 제5 유닛(500), 상기 베이스 변위수단(900), 상기 메인 장력 조절부(700) 및 상기 서브 장력 조절부(800)는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코어(110)의 상기 다수의 와이어(120)들이 상기 철망형 벨트(600)의 하부와 상부가 연결되는 일측부 외측의 벨트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유닛(200)이 상기 철망형 벨트(600)의 구동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 원통형 코어(110)를 회전시켜 상기 철망형 벨트(600)의 이물질과 분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
  2. 삭제
KR1020190050359A 2019-04-30 2019-04-30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 KR10207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59A KR102079469B1 (ko) 2019-04-30 2019-04-30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59A KR102079469B1 (ko) 2019-04-30 2019-04-30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469B1 true KR102079469B1 (ko) 2020-04-07

Family

ID=7029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359A KR102079469B1 (ko) 2019-04-30 2019-04-30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4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866A (ja) * 1998-01-26 1999-08-03 Nippon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ア用クリーナ
CN201605026U (zh) * 2010-01-13 2010-10-1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胶带输送机的胶带清扫装置
KR20130060789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 브러쉬 클리너의 높이 조절 장치
CN205274570U (zh) * 2016-01-11 2016-06-01 北京泽华路桥工程有限公司 皮带机清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866A (ja) * 1998-01-26 1999-08-03 Nippon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ア用クリーナ
CN201605026U (zh) * 2010-01-13 2010-10-1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胶带输送机的胶带清扫装置
KR20130060789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 브러쉬 클리너의 높이 조절 장치
CN205274570U (zh) * 2016-01-11 2016-06-01 北京泽华路桥工程有限公司 皮带机清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042B1 (ko) 버 자동제거장비
CN210677205U (zh) 一种齿轮加工装置
JP4210260B2 (ja) マグネチックベルトコンベアを備えた鋼板平面加工用ミリングマシン
KR101797303B1 (ko) 마그네틱 칩 컨베이어 필터장치
AU779637B2 (en) Waste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for an abrading or cutting device
KR101485737B1 (ko) 금속가공기의 칩 이송장치
KR102079469B1 (ko)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자동 청소 장치
CN1298506C (zh) 切削装置的切削刀片监视装置
KR101604952B1 (ko) 금속가공기의 칩 이송장치
JPH07314435A (ja) ワイヤソー装置
JP2011104494A (ja) パレット清掃装置
KR20100024796A (ko) X-y 테이블에 장착된 콘크리트 표면 제염장치
KR100843517B1 (ko) 양파 껍질 제거장치
KR101762886B1 (ko) 직물원단의 먼지제거장치
KR101608802B1 (ko) 디버링 장치
JP5774949B2 (ja) クーラント浄化装置及び堆積した切り屑の除去方法
CN215788737U (zh) 一种发动机瓦盖去毛刺设备的输运定位装置
KR102578251B1 (ko)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JP2007181936A (ja) Alcパネルの主面内切り込み、開口穴及び開口切欠の形成方法
KR100631849B1 (ko) 칩 이송장치
CN219704333U (zh) 一种切削加工设备
CN212265308U (zh) 一种用于数控机床的机械设备
CN212494314U (zh) 一种切割机床收料装置
CN220499334U (zh) 一种用于中心板加工切口的智能化清废装置
CN216138557U (zh) 托盘倒圆角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