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251B1 -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 Google Patents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251B1
KR102578251B1 KR1020210019071A KR20210019071A KR102578251B1 KR 102578251 B1 KR102578251 B1 KR 102578251B1 KR 1020210019071 A KR1020210019071 A KR 1020210019071A KR 20210019071 A KR20210019071 A KR 20210019071A KR 102578251 B1 KR102578251 B1 KR 102578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ousing
flexible display
display film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5270A (ko
Inventor
신석호
강대언
Original Assignee
(주)필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옵틱스 filed Critical (주)필옵틱스
Priority to KR102021001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2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2Devices for holding articles during clean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T) 상에 위치하며 흡입을 위한 개구부(12)를 구비한 프레임(10);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서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프레임(10)의 개구부(12)에 대하여 저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브러쉬(24)를 구비한 회전부재(20); 전부재(20)에 대하여 회전축(32)을 통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30); 회전부재(20)를 수용하며 회전부재(20)의 흡입회전 방향에 대하여 개구부(12)를 통하여 집진되는 입자(Pa)들을 배기구(44)로 진공 흡입하기 위한 제1 흡입유로(42a)를 구비한 하우징(40); 및 하우징(40) 내부에서 제1 흡입유로(42a)를 형성하도록 하며 회전부재(20)의 브러쉬(24)에 접촉되어 집진된 입자(Pa, Pa´)들 중에서 브러쉬(24)에 접착되거나 부착된 입자(Pa´)들에 대하여 브러쉬(24)로부터 마찰에 의하여 탈거되어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탈거부재(50)를 포함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Cleaning device for the work table}
본 발명은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커팅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가공 공정에서 발생되는 입자들에 대하여 제거의 효율성을 증대함으로써 조재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OLED 필름 소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OLED 디스플레이 필름 소재는 레이저 커팅 기술을 이용하여 셀단위로 생산된다. 이러한 절단 공정에 있어서, 작업 테이블에 원장으로 이루어진 OLED 필름을 안착시킨 후에 레이저 빔을 원장의 OLED 필름에 조사시켜 셀 단위로 OLED 필름을 셀 단위로 나누고 있다. 이 때 레이저 빔의 고온에 의하여 절단 과정에서 발생되는 필름 연소물과 이물질이 발생되며 이러한 연소물과 이물질이 작업 테이블에 고착되어 절단 공정에 대하여 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절단 공정에서 발생되어 고착된 연소물과 이물질은 작업 테이블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연소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작업 테이블을 분리한 후에 특수 화학 약품처리와 세정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고착된 연소물과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작업 테이블의 클린닝을 자주 실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작업 테이블의 전면적인 분해 과정과 세정 과정을 거쳐야 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현격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진공 흡입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클린 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작업 테이블은 원장 OLED 필름을 수용할 만큼의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연소물과 이물질의 진공 흡입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넓은 면적에 대하여 진공 흡입을 위한 작업시에 넓은 면적과 길이에 따른 원할한 기밀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진공흡입 장치의 승하강 운동시에 비대칭 모멘트가 발생되어 정비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에서 절단공정시에 가공에 필요한 클린닝 공정과 절단 공정에 따른 연소물과 이물질의 진공 흡입 제거 공정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진공 관로와 진공 펌핑장비를 클린닝 공정과 진공 흡입 제거 공정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고 있다. 따라서 클린닝 공정과 진공 흡입 제거 공정의 개별적 장비의 구비 및 운용에 따른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개별적으로 클린닝 공정과 진공 흡입 제거 공정을 통합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통합 운용에 따라 발생되는 진공 흡입력의 손실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특허 제10-2089367호(도 1참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W) 상에서 연소물과 이물질(미도시)의 진공흡입을 위한 진공흡입부(100); 진공흡입부(100)에 대하여 연소물 등을 흡입하는 경로와 작업대(W)의 진공 클린닝의 경로를 가변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밸브구동부(200); 밸브구동부(200)에 대하여 진공압을 인가하기 위한 집진부(300);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지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이 제공된다. 진공흡입부(100)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작업대(W)의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결합되기 위한 브라켓(110),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피스톤(122)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실린더(120), 승하강 실린더(120)의 피스톤(122)에 결합되어 승하강 운동하는 플레이트(130), 및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결합되며 밸브구동부(200)로부터의 제1 덕트(D1)에 연결되어 진공흡입과 진공 클린닝을 위한 흡입부(150)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있어서 진공압에 의한 집진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접착성을 가진 필름의 커팅시 접착성분으로 인하여 그루브에 있는 입자들에 대해서는 높은 진공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체형의 상대적 큰 사이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비의 유지관리가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의 레이저빔 경로를 이루는 그루브에 있는 입자들에 대하여 접착성분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상에서 클린닝에 필요한 유닛에 대하여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상에서 입자들의 제거시 발생되는 입자들의 비산으로 인한 작업대의 재오염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T) 상에 위치하며 흡입을 위한 개구부(12)를 구비한 프레임(10);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서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프레임(10)의 개구부(12)에 대하여 저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브러쉬(24)를 구비한 회전부재(20); 전부재(20)에 대하여 회전축(32)을 통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30); 회전부재(20)를 수용하며 회전부재(20)의 흡입회전 방향에 대하여 개구부(12)를 통하여 집진되는 입자(Pa)들을 배기구(44)로 진공 흡입하기 위한 제1 흡입유로(42a)를 구비한 하우징(40); 및 하우징(40) 내부에서 제1 흡입유로(42a)를 형성하도록 하며 회전부재(20)의 브러쉬(24)에 접촉되어 집진된 입자(Pa, Pa´)들 중에서 브러쉬(24)에 접착되거나 부착된 입자(Pa´)들에 대하여 브러쉬(24)로부터 마찰에 의하여 탈거되어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탈거부재(50)를 포함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프레임(10)은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이 위치하는 커팅 작업대(T)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프레임(1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회전부재(20)의 브러쉬(24) 저면 일부분이 노출되며 브러쉬(24)의 회전동작에 따른 브러쉬(24)와 커팅 작업대(T)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커팅 작업대(T) 상에 있는 입자(P)들이 접촉되거나 흡입되어 하우징(40)의 일측으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재(20)는 프레임(10)의 양측에 입설된 지지부(22)와, 지지부(22)를 관통하는 회전축(32)에 결합되는 브러쉬(2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재(20)는 마찰력을 가진 쿠션재로 이루어진 브러쉬(2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30)는 회전부재(20)의 지지부(22) 중의 일측에 위치하여 감속기를 구비한 구동모터(미도시)르 구비하며, 구동모터에는 회전축(32)에 대하여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40)은 회전부재(20)를 수용하며, 브러쉬(24)의 흡입회전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 개구부(12)를 통하여 집진되는 입자(Pa)들을 배기구(44)로 진공 흡입하기 위한 제1 흡입유로(42a)와, 제1 흡입유로(42a)와 연통하며 집진기(미도시)에 연통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구(4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흡입유로(42a)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40)의 내부 일측에는 브러쉬(24)의 상부면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접선 방향에 대응하는 경사면(4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거부재(50)는 하우징(40) 내부에서 하우징(40)에 결합되며 제1 외측면(52a)에 의하여 제1 흡입유로(42a)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부(52)와, 가이드부(52)의 일단부로부터 브러쉬(24)에 대하여 'J'자의 형태로 단부의 단면이 후크 형상으로 연장되어 접촉되는 접촉부(5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40)은 잔여입자(Pb)들이 커팅 작업대(T)로 재순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편(49)을 개구부(12)의 일측에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대의 레이저빔 경로를 이루는 그루브에 있는 입자들에 대하여 접착성분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클린닝에 필요한 유닛에 대하여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팅 작업대 상에서 입자들의 제거시 발생되는 입자들의 비산으로 인한 작업대의 재오염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특허 제10-2089367호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클린닝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화살표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 화살표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에 의하면,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T) 상에 위치하며 흡입을 위한 개구부(12)를 구비한 프레임(10),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서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프레임(10)의 개구부(12)에 대하여 저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브러쉬(24)를 구비한 회전부재(20), 회전부재(20)에 대하여 회전축(32)을 통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30), 회전부재(20)를 수용하며 회전부재(20)의 흡입회전 방향에 대하여 개구부(12)를 통하여 집진되는 입자(Pa)들을 배기구(44)로 진공 흡입하기 위한 제1 흡입유로(42a)를 구비한 하우징(40), 및 하우징(40) 내부에서 제1 흡입유로(42a)를 형성하도록 하며 회전부재(20)의 브러쉬(24)에 접촉되어 집진된 입자(Pa, Pa´)들 중에서 브러쉬(24)에 접착되거나 부착된 입자(Pa´)들에 대하여 브러쉬(24)로부터 마찰에 의하여 탈거되어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탈거부재(5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이 위치하는 커팅 작업대(T)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프레임(1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회전부재(20)의 브러쉬(24) 저면 일부분이 노출되며 브러쉬(24)의 회전동작에 따른 브러쉬(24)와 커팅 작업대(T)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커팅 작업대(T) 상에 있는 입자(P)들이 접촉되거나 흡입되어 하우징(40)의 일측으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12)를 구비한다.
회전부재(20)는 프레임(10)의 양측에 입설된 지지부(22)와, 지지부(22)를 관통하는 회전축(32)에 결합되는 브러쉬(24)로 이루어진다.
회전부재(20)의 브러쉬(24)는 원통형상의 회전드럼(26)의 외주연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방사형 형태로 연장된 솔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브러쉬(24)의 솔들은 긴밀하게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회전부재(20)의 브러쉬(24)는 솔 대신에 일정한 마찰력을 가진 쿠션재로 이루어진다.
구동부(30)는 회전부재(20)의 지지부(22) 중의 일측에 위치하여 감속기를 구비한 구동모터(미도시)르 구비하며, 구동모터에는 회전축(32)에 대하여 축결합된다.
하우징(40)은 회전부재(20)를 수용하며, 브러쉬(24)의 흡입회전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 개구부(12)를 통하여 집진되는 입자(Pa)들을 배기구(44)로 진공 흡입하기 위한 제1 흡입유로(42a)와, 제1 흡입유로(42a)와 연통하며 집진기(미도시)에 연통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구(44)를 구비한다. 이 때, 제1 흡입유로(42a)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40)의 내부 일측에는 브러쉬(24)의 상부면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접선 방향에 대응하는 경사면(46)을 구비한다.
탈거부재(50)는 하우징(40) 내부에서 하우징(40)에 결합되며 제1 외측면(52a)에 의하여 제1 흡입유로(42a)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부(52)와, 가이드부(52)의 일단부로부터 브러쉬(24)에 대하여 'J'자의 형태로 단부의 단면이 후크 형상으로 연장되어 접촉되는 접촉부(54)로 이루어진다. 탈거부재(50)의 가이드부(52)는 하우징(40)에 대하여 체결부재(C)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에 의하면, 커팅 작업대(T) 상에 커팅에 따른 입자(P; Pa, Pa´)들이 프레임(10)의 개구부(12)를 통하여 노출된 브러쉬(24)의 회전 마찰에 의하여 하우징(40)의 내부의 제1 흡입유로(42a)로 흡입된다. 이 때, 브러쉬(24)에 접착되거나 고착되지 않은 입자(Pa)들은 하우징(40) 내의 제1 흡입유로(42a)를 통하여 배기구(44)을 향해 배출되며, 필름의 잔여 접착 성분으로 인하여 브러쉬(24)에 고착된 입자(Pa´)들은 회전축(32)을 기점으로 제1 흡입유로(42a)와 반대측에 위치하여 브러쉬(24)에 마찰 접촉된 탈거부재(50)의 접촉부(54)에 의하여 브러쉬(24)의 회전시 탈거된 후 제1 흡입유로(42a)를 통하여 배기구(44)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에 의하면 잔여 접착 성분을 가진 입자(Pa´)들에 대하여 다시 커팅 작업대(T)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배기구(44)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는 탈거부재(50)에 의하여 탈거된 입자(Pa´)들이 입자(Pa)들과 동일한 제1 흡입유로(42a)를 경유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효율적으로 탈거된 입자(Pa´)들을 배기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탈거부재(50)의 가이드부(52)는 수직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52A)와 제1 가이드(52A)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52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에 의하면, 수직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52A)의 단부를 넘어 하우징(40)의 타측으로 입자(Pa´)들이 이탈되어 진공흡입압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가이드(52A)의 단부로부터 제1 가이드(52A)에 수직하게 하우징(40)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52B)를 더 포함한다.
제2 가이드(52B)에 의하여 제1 가이드(52A)의 단부에서 진공흡입시 발생될 수 있는 진공 흡입 와류를 방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클린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거부재(50)의 가이드부(52)는 하우징(40)의 내부 천정면으로부터 긴밀하게 접촉되어 연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40) 내의 제1 흡입유로(42a)는 배기구(44)에 대하여 브러쉬(24)와 접하는 탈거부재(50)를 중심으로 완전히 분리된다.
이 때, 탈거부재(50)와 브러쉬(24) 사이의 회전 마찰시 부분적으로 잔여되는 잔여입자(Pb)들에 대하여 진공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 배기구(48)를 더 구비한다.
한편, 하우징(40)은 잔여입자(Pb)들이 커팅 작업대(T)로 재순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편(49)을 개구부(12)의 일측에 더 구비한다.
10: 프레임
12: 개구부
20: 회전부재
22: 지지부
24: 브러쉬
26: 회전드럼
30: 구동부
32: 회전축
40: 하우징
42a: 제1 흡입유로
42b: 제2 흡입유로
42c: 제3 유로
44: 배기구
46: 경사면
48: 제2 배기구
50: 탈거부재
52: 가이드부
52a: 제1 외측면
52b: 제2 외측면
54: 접촉부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T) 상에 위치하며 흡입을 위한 개구부(12)를 구비한 프레임(10);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서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프레임(10)의 개구부(12)에 대하여 저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브러쉬(24)를 구비한 회전부재(20);
    회전부재(20)에 대하여 회전축(32)을 통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30);
    회전부재(20)를 수용하며 회전부재(20)의 흡입회전 방향에 대하여 개구부(12)를 통하여 집진되는 입자(Pa)들을 배기구(44)로 진공 흡입하기 위한 제1 흡입유로(42a)를 구비한 하우징(40); 및
    하우징(40) 내부에서 제1 흡입유로(42a)를 형성하도록 하며 회전부재(20)의 브러쉬(24)에 접촉되어 집진된 입자(Pa, Pa´)들 중에서 브러쉬(24)에 접착되거나 부착된 입자(Pa´)들에 대하여 브러쉬(24)로부터 마찰에 의하여 탈거되어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탈거부재(50)를 포함하며,
    탈거부재(50)는 하우징(40)의 내부 천정을 향해수직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52A)와 제1 가이드(52A)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52B)로 이루어진 가이드부(52)와, 가이드부(52)의 일단부로부터 브러쉬(24)에 대하여 'J'자의 형태로 단부의 단면이 후크 형상으로 연장되어 접촉되는 접촉부(54)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거부재(50)는 회전축(32)의 수직축에 대하여 비대칭 위치에 구비되어 하우징(40) 내에서 제1 흡입유로(42a)와 구분되는 제2 흡입유로(42b)를 형성하며,
    탈거부재(50)의 가이드부(52)는 하우징(40)과 탈거부재(50)의 가이드부(52)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서 회전부재(20)의 브러쉬(24)에 접촉 또는 미접촉되어 집진된 입자(Pa, Pa´)들을 흡입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제1 흡입유로(42a)와, 하우징(40)과 탈거부재(50)의 가이드부(52)의 타측면 사이의 공간에서 회전부재(20)의 브러쉬(24)와 미접촉된 입자(Pb)들을 흡입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제2 흡입유로(42b)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탈거부재(50)의 가이드부(52)는 하우징(40)에 대하여 체결부재(C)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10. 삭제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탈거부재(50)는 하우징(40)의 내부 천정면으로부터 긴밀하게 접촉되어 연장되는 가이드부(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하우징(40) 내의 제1 흡입유로(42a)는 배기구(44)에 대하여 브러쉬(24)와 접하는 탈거부재(50)를 중심으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하우징(40)은 탈거부재(50)와 브러쉬(24) 사이의 회전 마찰시 부분적으로 잔여되는 잔여입자(Pb)들에 대하여 진공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 배기구(4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하우징(40)은 탈거부재(50)와 브러쉬(24) 사이의 회전 마찰시 부분적으로 잔여되는 잔여입자(Pb)들에 대하여 진공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 배기구(4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하우징(40)은 탈거부재(50)와 브러쉬(24) 사이의 회전 마찰시 부분적으로 잔여되는 잔여입자(Pb)들에 대하여 진공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 배기구(4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하우징(40)은 잔여입자(Pb)들이 커팅 작업대(T)로 재순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편(49)을 개구부(12)의 일측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KR1020210019071A 2021-02-10 2021-02-10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KR10257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071A KR102578251B1 (ko) 2021-02-10 2021-02-10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071A KR102578251B1 (ko) 2021-02-10 2021-02-10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270A KR20220115270A (ko) 2022-08-17
KR102578251B1 true KR102578251B1 (ko) 2023-09-13

Family

ID=8311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071A KR102578251B1 (ko) 2021-02-10 2021-02-10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2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370B2 (ja) * 1996-05-29 2001-01-09 株式会社伸興 除塵装置
JP2010171264A (ja) * 2009-01-23 2010-08-05 Aisin Seiki Co Ltd 基板異物除去装置
JP2011104494A (ja) * 2009-11-16 2011-06-02 Kanto Auto Works Ltd パレット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750B1 (ko) * 2001-12-22 2006-05-30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370B2 (ja) * 1996-05-29 2001-01-09 株式会社伸興 除塵装置
JP2010171264A (ja) * 2009-01-23 2010-08-05 Aisin Seiki Co Ltd 基板異物除去装置
JP2011104494A (ja) * 2009-11-16 2011-06-02 Kanto Auto Works Ltd パレット清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270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55603U (zh) 一种机械加工用钢板表面除锈装置
JP2009078307A (ja) 粉塵回収装置付き研磨作業用テーブル装置
CN215319276U (zh) 一种多片锯除屑装置
JP5100257B2 (ja) 裁断機およびそのダスト除去方法
KR102266955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장치
KR102578251B1 (ko)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CN212700956U (zh) 一种新型污泥处理除尘装置
CN116913853A (zh) 一种半导体切筋设备的送料机构
KR100768922B1 (ko) 나이프를 가진 기판용 제진 장치
TWI257959B (en) Continuous vacuum film deposition machine with built-in electrostatic dust removal mechanism
CN109333137A (zh) 一种用于五金加工除尘设备
CN210788653U (zh) 钢丝表面除尘装置
CN115338763A (zh) 一种金属模具加工设备
JPH08187663A (ja) 除塵装置
JP2020001275A (ja) カッターホイール清掃機構及びスクライブ装置
KR20170055947A (ko)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0218620A (ja) 無塵ゴム練り機
KR102575747B1 (ko) 건식 세정 장치
KR20200089882A (ko) 낙곡 수거용 흡입기
CN220329543U (zh) 一种清粉机
CN217340611U (zh) 一种防堵塞油雾过滤器
CN205851492U (zh) 一种吹气清洁机构
KR20100067910A (ko) 롤 상의 이물질 제거용 블레이드 장치
CN115502566B (zh) 一种手机玻璃蚀刻成型设备
CN210596360U (zh) 一种纤维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