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882A - 낙곡 수거용 흡입기 - Google Patents

낙곡 수거용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882A
KR20200089882A KR1020190006681A KR20190006681A KR20200089882A KR 20200089882 A KR20200089882 A KR 20200089882A KR 1020190006681 A KR1020190006681 A KR 1020190006681A KR 20190006681 A KR20190006681 A KR 20190006681A KR 20200089882 A KR20200089882 A KR 20200089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aler
filter cartridges
suction machine
filter
re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춘
Original Assignee
김기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춘 filed Critical 김기춘
Priority to KR102019000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9882A/ko
Publication of KR20200089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12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with pulsating air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4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곡 회수용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기내에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에 흡착되어져 있는 이물질 제거를 위한회전동작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동시에 실시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입기는, 흡입기 하우징(10) 내부에서 흡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펌프(5), 상기 흡입기 하우징(10) 내부에 다수개가 각각 회동축(11a,12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연속되는 요철형상의 외경을 이루 고 있는 필터 카트리지(11,12), 상기 다수개의 필터 카트리지(11,12)로 동력 전달수단을 통해 동시에 회동력을 전달하기위한 구동모터(16), 상기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11,12)의 회동시 요철부위와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프레임(20)상에 고정설치된 돌출패드(21), 상기 흡입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곡물이 저장되어지는 저장호퍼(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곡 수거용 흡입기{SUCTION MACHINE FOR GRAIN}
본 발명은 낙곡 회수용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 떨어진 곡물을 진공으로 흡입하여 회수하는 흡입기 사용시 장치 내부에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의 청소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을 가공하는 가공라인이나 정미소, 건조장 등에서 곡물을 가공, 운반, 건조할 때 기계의 틈이나 바닥에 곡 물이 떨어져 쌓이게 되고, 이 곡물을 방치하게되면 주변 환경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이나 작업이 완료된 후 주변에 산재해 있는 낙곡을 빗자루 등으로 쓸어 모은 후 별도의 분리기에 넣 고 작동시켜 이물질과 곡물을 분리하고 분리된 곡물은 정상곡물에 포함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산재한 곡물의 처리 과정은 많은 시간과 인원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번거롭고, 곡물을 모으고분리할 때 많은 먼지가 비산되어 주변을 먼지로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에 해를 끼치는 등 작업 환경을 저해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낙곡을 진공식으로 흡입하여 보관할 수 있는 "산업용 진공청소기"(실용등 록번호 제294707호)를 선출원하여 등록한바 있다.
특히, 상기 선등록 기술에서는 필터 카트리지의 축상에 연결된 손잡이를 작업자가 직접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장 치 내부에 돌출 구비된 고무패드와의 충격작용에 의해 필터 외벽면에 부착된 미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필터 카트리지의 청소를 위한 회전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 가 발생하게 된다.
즉, 통상적으로 낙곡 회수용 흡입기의 필터 카트리지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필터 카트리지 회전축의일단에 결합된 각각의 핸들을 직접 돌려줄 경우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는 내부에서 회동시 고무패드와 접촉이 발생함으로 인해 작업이 힘들게 된다.
따라서, 필터 카트리지를 자주 청소를 실시해 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청소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지 못하게 된다.
또한, 곡물 흡입작업이 완료될 때마다 작업자가 일일이 핸들을 돌려서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각 필터 카트리지마다 회동이 이루어지는 횟수가 동일하지 못하고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각 필터 카트리지의 청소상태 및 고무패드와의 마찰에 의한 필터 외벽면의 마모상태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다수개의 필터 카트리지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일측의 카트리지를 먼저 돌려서 청소를 행한 후 나머지 타측 카트리지를 돌리게 되면, 타측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비산)되는 이물질이 먼저 청소가 이루어진 일측 카트리지에 악영 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개로 구비된 필터 카트리지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가 동시에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필터 카트리지의 청소 및 관리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흡입기 하우징 내부에서 흡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펌프와, 상기 흡입기 하우징 내부에 다수개가 회동축을 중 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각각은 외경을 따라 연속되는 요철형상을 이루고 있는 필터 카트리지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로 별도의 동력 전달수단을 통해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의 회동시 요철부위와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고정 설치된 돌출패드와, 상기 흡입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곡물이 저장되어지며, 하부에 는 개폐플레이트가 설치된 저장호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곡 회수용 흡입기의 필터 카트리지 구동장치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필터 카트리지에 흡착되어져 있는 이물질 제거를 위한 회전동작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실시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필터 카트리지의 청소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필터 카트리지가 다수개로 설치된 경우 각각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각 카트리 지의 청소 및 마모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교체주기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의 회전동작이 동시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기존에 시간차이를 두고필터 청소작업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먼저 청소가 실시되어진 타측 필터 카트리지에 미치는 악영향을 방지하는 이점을 나 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낙곡 흡입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낙곡 흡입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낙곡 흡입기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필터 카트리지의 부품 상세도.
도 5는 도 4의 A-A부 단면도.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낙곡 회수용 흡입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외부 흡입관(미도시)의 착탈 연결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돌출 구비된 연결구(1)와, 상기 연결구(1)를 통해 흡입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곡물이 저장되어지며 하부에는 개폐플레이트(4)가 설치된 저장호퍼(3)와, 흡입기 하우징(10) 내부에서 흡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펌프(5)와, 상기 구동펌프(5)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되 면적의 극대화를 위해 연속되는 요철형태의 단면형상을 이 루고 있는 필터 카트리지(11,12)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11,12)의 회전에 따른 접촉이 발생되어지도록 고정프레임(20)상에 고정 설치되어진 탄력성 고무재질의 돌출패드(21)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11,12)를 회동축(11a,12a)의 일단에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2)으로 구성된다. 특히, 필터 카트리지(11,12)는 흡입기 하우징(10) 내부의 동일한 높이에서 2개가 쌍을 이루는 가운데 제어판(미도시)에서
의 정/역회전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지는 구동모터(16)로 부터 회동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정/역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즉, 각각의 회동축(11a,12a) 일단에는 피동 스프로킷(13,14)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피동 스프로킷(13,14)은 구동모터(16)측의 구동 스프로킷(15)과 연결체인(17)으로 연결되어져 회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었는데, 연결체인(17)의 경로중에는 텐션조절 스프로킷(18)이 구성되어져 있어 체인의 적정 텐션을 유지함과 함께 회동력 전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 록 구성하였다.
또한, 2개의 필터 카트리지(11,12)가 동일한 속도 및 회전수로 회동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피동스프로킷(13,14)은 상호 동일한 크기의 외경(D)으로 구성하며, 연결체인(17)은 각각의 피동스프로킷(13,14)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 력 전달을 받을 수 있도록 연결함이 바람직 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지게차의 포크부가 삽입되어질 수 있는 삽입부이고, 5는 내부 확인용 투시창이며, 6,7은 필터 카 트리지(11,12)로 부터 구동펌프(5)측으로 공기의 유입경로를 가이드 하는 안내관 및 안내하우징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발명 낙곡 흡입기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연결구(1)에 외부 흡입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펌프(5)의 팬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 흡입기 하우징(1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됨으로 연결구(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흡입력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외부 흡입관의 입구를 곡물이 떨어져 산재한 위치에 접근시키게 되면, 흡 인력에 의해 낙곡 알갱이들은 흡입관 및 연결구(1)를 경유하여 흡입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이때 비중이 작은 미세 이물질과 먼지는 계속되는 흡입력의 영향을 받아 필터 카트리지(11,12)측으로 상승되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곡물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져 저장호퍼(3)에 저장된다.
즉, 미세 이물질과 먼지는 함께 유입된 공기와 함께 내부에서 비산되어 필터 카트리지(11,12) 외벽에 흡착 여과되고, 여과된 공기는 필터 카트리지(11,1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안내 하우징(7)과 안내관(6)을 경유하여 구동펌프(5)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저장호퍼(3)에 저장되는 곡물의 량은 투시창(5)을 통해 확인하여 일정량 이상이 되면 개폐 플레이트(4)를 슬라이 딩 방식으로 개폐시켜 하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낙곡에 대한 흡입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구동모터(16)를 동작시켜 필터 카트리지(11,12)를 동시에 회동시킴으로서 상기 흡입과정에서 필터 외벽에 흡착된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는 구동모터(16)를 동작시키면, 각각의 피동 스프로킷(13,14)은 모터축의 구동 스프로킷(15)으로부터 연결체인(17)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이로 인해 필터 카트리지(11,12)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짐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20)에 소정 경사형태로 돌출 고정되어진 돌출패드(21)에 의해 필터 카트리지(11,12)의 돌출부위가 연속적으로 부딪히면서 진동이 발생하게 됨으로 외벽면에 흡착되어져 있던 이물질들이 해당 충격력에 영향을 받아 하부로 낙하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낙하되어 저장호퍼(3)내에 안착되어진 이물질들은 개폐플레이트(4)를 개폐시켜 별도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2개의 필터 카트리지(11,12)에 대한 이물질 제거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11,12)는 상호 반대되는 외측방향으로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상기 필터 청소과정에서 일측 필터 카트리지에서 비산되어진 이물질이 타측 필터 카트리지에 다시 흡착 되는 등의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측 필터 카트리지(11,12)는 회전속도 및 회전수가 항상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 필터 돌출부위가 돌출패드(21)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정도 및 청소상태가 상호 유사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어, 필터 교체작업을 동시에 수행할수 있게 되는 등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각 필터 카트리지의 교체시는 작업자가 장시간 동안 하우징의 분해작업을 실시해야 하는데, 교체시기가 상이한 경우하우징 분해작업을 따로 따로 실시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함으로,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작업효율이 개선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필터 카트리지 장착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필터 카트리지(11,12)가 2개로 장착된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필터 카트리지 는 흡입기 용량에 따라 3개 이상으로 장착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연결구 2 : 삽입부
3 : 저장호퍼 4 : 개폐플레이트
5 : 구동펌프 6 : 안내관
7 : 안내 하우징 10: 흡입기 하우징
11,12 : 필터 카트리지 11a,12a: 회동축
13,14: 피동 스프로킷 15 : 구동 스프로킷
16 : 구동모터 17 : 연결체인
18 : 텐션조절 스프로킷 20 : 고정프레임
21 : 돌출패드 22 : 스프링

Claims (5)

  1. 흡입기 하우징(10) 내부에서 흡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펌프(5);
    상기 흡입기 하우징(10) 내부에 다수개가 각각 회동축(11a,12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연속되는 요철형상 의 외경을 이루고 있는 필터 카트리지(11,12);
    상기 다수개의 필터 카트리지(11,12)로 동력 전달수단을 통해 동시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16);
    상기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11,12)의 회동시 요철부위와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프레임(20)상에 고정 설치된 돌출패드(21); 상기 흡입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곡물이 저장되어지는 저장호퍼(3);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곡 회수용 흡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 회동축(11a,12a) 일단에 결합된 피동스프로킷(13,14)과, 상기 각각의 피동스프로킷(13,14)으로 구동모터(16)의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연결된 연결체인(17)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낙곡 회수용 흡입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인(17)이 연결 되어진 각각의 피동스프로킷(13,14)은 상호 동일한 크기의 외경(D)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낙곡 회수용 흡입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인(17)은 각각의 피동스프로킷(13,14)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력 전달을 받도록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낙곡 회수용 흡입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인(17)의 연결경로상에는 피동스프로킷(13,14)간의 회동방향 제어를 위한 스프로킷(18)이 더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낙곡 회수용 흡입기.
KR1020190006681A 2019-01-18 2019-01-18 낙곡 수거용 흡입기 KR20200089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681A KR20200089882A (ko) 2019-01-18 2019-01-18 낙곡 수거용 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681A KR20200089882A (ko) 2019-01-18 2019-01-18 낙곡 수거용 흡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882A true KR20200089882A (ko) 2020-07-28

Family

ID=7183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681A KR20200089882A (ko) 2019-01-18 2019-01-18 낙곡 수거용 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98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9330A (zh) * 2023-12-14 2024-04-09 奥朗博佳羽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吸尘器用振动式除尘装置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9330A (zh) * 2023-12-14 2024-04-09 奥朗博佳羽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吸尘器用振动式除尘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524B1 (ko) 로봇청소기
KR101524170B1 (ko)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
KR100588061B1 (ko) 이중흡입장치가 구비된 청소용 로봇
KR102024591B1 (ko) 로봇 청소기
US8650703B2 (en) Cleaning apparatus
EP1743562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TW201832713A (zh) 清掃機
KR100673854B1 (ko) 컨베이어벨트용 클리닝장치
KR20100132893A (ko)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먼지 포집 방법
KR101667716B1 (ko) 로봇청소기
JP6384918B2 (ja) 集塵機
KR20170058575A (ko) 진공청소기
KR20130115529A (ko)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
KR200402408Y1 (ko) 컨베이어벨트용 클리닝장치
CN205294322U (zh) 一种输送机
CN1754070A (zh) 具有附带空气过滤器自动清扫功能的室内单元的空气调和机
KR20200089882A (ko) 낙곡 수거용 흡입기
KR101387610B1 (ko) 칠판 지우개 털이 장치
US20080201899A1 (en) Cleaning Apparatus For Releasing and Transporting Particles Away From an Area to be Cleaned
WO2023236690A1 (zh) 防尘装置及室外机
US11819182B2 (en) Dust remover for vacuum cleaner
KR20070105125A (ko) 실내 구석 청소가 가능한 흡입 장치
KR100638340B1 (ko) 낙곡 회수용 흡입기
KR101244262B1 (ko) 원형 브러쉬를 구비한 청소기용 헤드
KR101629300B1 (ko) 진공청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