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150B1 -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 - Google Patents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150B1
KR102078150B1 KR1020180093650A KR20180093650A KR102078150B1 KR 102078150 B1 KR102078150 B1 KR 102078150B1 KR 1020180093650 A KR1020180093650 A KR 1020180093650A KR 20180093650 A KR20180093650 A KR 20180093650A KR 102078150 B1 KR102078150 B1 KR 102078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ultrasonic
obstacle
weight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하
Original Assignee
김동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하 filed Critical 김동하
Priority to KR102018009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가 개시된다. 상기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는 지게차 차체의 후방프레임 상에 복수로 설치되는 후방감지센서; 상기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부저; 및 상기 후방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후방감지센서로부터 장애물감지가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장애물감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부저를 작동시키는 콘트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FORKLIFT WITH REAR SENSOR}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운행할 수 있는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토목, 건설 분야 등 산업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 고중량의 화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화물을 각종 운반차량에 적재 또는 그로부터 하차시키는 데 사용된다. 또한, 지게차는 엔진이나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동력으로 유압력을 발생시켜 화물을 들어올려 옮기는 작업을 하는 기계 장치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한 쌍의 포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높이로 리프트시켜 운송하는 차량으로서, 동력원에 따라 디젤 또는 LPG를 이용하는 엔진식, 전동식으로도 나누고, 형식에 따라서는 카운터 밸런스 타입(counter balance type)과 리치 타입(leach type)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지게차는 이러한 특수한 용도 때문에 화물의 하역 상태에 따라 주행 안정성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화물을 옮길 때 주행 안정성은 화물의 무게, 화물을 적재한 포크의 높이 등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지게차의 운전자는 지게차의 운행 상황에 부합되도록 지게차를 운행하여, 안전운전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지게차를 후진하는 경우 지게차 후방에 있는 작업자를 포함한 장애물을 인식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백미러를 보거나 직접 뒤를 돌아보아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때, 지게차는 차고가 높기 때문에, 근처의 작업자가 앉거나 숙인 상태에서 작업하는 경우, 또는 장애물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지게차 운전자가 후방의 장애물을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10-1423842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게차의 후진 주행시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는 지게차 차체의 후방프레임 상에 복수로 설치되는 후방감지센서; 상기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부저; 및 상기 후방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후방감지센서로부터 장애물감지가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장애물감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부저를 작동시키는 콘트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감지센서는, 상기 후방프레임 주변으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발진부; 및 장애물에 부딪힌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장치는 상기 초음파수신부로 초음파가 수신되면 상기 부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는 지면에 수직한 상기 후방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는 차량감속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감속장치는, 상기 배면에 장착되고, 신장 및 복귀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린더장치; 및 상기 각각의 실린더장치의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연결되고, 평상시 상기 후방프레임의 높이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면 지면을 향해 하강되는 차량감속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장치는 상기 초음파수신부로 초음파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실린더장치의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도록 상기 복수의 실린더장치를 제어하되, 상기 피스톤로드가 일정 시간 동안 신장된 후 복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에 의하면, 지게차의 후진 주행시 지게차의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것을 인지하여 후방의 장애물과의 충돌하지 않도록 지게차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게차의 후진 주행시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이 사람인 경우 지게차의 후진 주행시 사람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감속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감속장치의 차량감속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100)는 후방감지센서(110), 부저(120), 및 콘트롤장치(130)를 포함한다.
후방감지센서(110)는 지게차(100)의 차체(101)의 후방프레임(1011) 상에 복수로 설치된다. 이때, 후방감지센서(110)는 후방프레임(1011)의 상면에 복수로 배열되어 180도 범위 내의 지게차(100)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후방감지센서(110)는 6개일 수 있다. 이러한 후방감지센서(110)는 차량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게차(100)가 후진 주행될 때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후방감지센서(110)는 초음파발진부(111) 및 초음파수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발진부(111)는 후방프레임(1011)의 주변으로 초음파를 발진시킨다. 발진되는 초음파는 지게차(100)의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장애물에 부딪힌 후 후방프레임(1011)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초음파수신부(112)는 장애물에 부딪힌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한다.
부저(120)는 지게차(100)의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것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부저(120)는 차체(101)의 일측에 설치되며, 콘트롤장치(130)에 의해 작동된다.
콘트롤장치(130)는 후방감지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방감지센서(110)로부터 장애물감지가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장애물감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부저(12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콘트롤장치(130)는 후방감지센서(110)의 초음파수신부(112)에 장애물에 부딪힌 후 반사되는 초음파가 수신되면 이를 인지하여 부저(120)를 작동시킨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가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지게차(100)의 운전자가 후진 주행을 시작하면 각각의 후방감지센서(110)의 초음파발진부(111)는 후방프레임(1011)의 주변으로 초음파를 발진한다.
지게차(100)의 후방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 발진된 초음파는 장애물에 부딪힌 후 후방감지센서(110) 방향으로 반사된다.
반사된 초음파는 각각의 후방감지센서(110)의 초음파수신부(112)로 수신되며, 초음파수신부(112)로 초음파가 수신되면 콘트롤장치(130)는 이를 감지하여 부저(120)를 작동시킨다.
부저(120)가 작동되어 알람음이 울리면 지게차(100)의 운전자는 지게차(100)의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100)는 지게차(100)의 후진 주행시 지게차(100)의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것을 인지하여 후방의 장애물과의 충돌하지 않도록 지게차(10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게차(100)의 후진 주행시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이 사람인 경우 지게차(100)의 후진 주행시 사람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감속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감속장치의 차량감속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200)는 후방감지센서(210), 부저(220), 콘트롤장치(130) 및 차량감속장치(240)를 포함한다.
후방감지센서(210) 및 부저(2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100)의 후방감지센서(110) 및 부저(12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감속장치(240)는 지면에 수직한 지게차(200)의 후방프레임(2011)의 배면(2011a)에 장착된다. 차량감속장치(240)는 복수의 실린더장치(241) 및 차량감속패드(242)를 포함한다.
복수의 실린더장치(241)는 지게차(200)의 후방프레임(2011)의 배면(2011a)에 장착되고, 각각 신장 및 복귀하는 피스톤로드(2411)를 포함한다.
차량감속패드(242)는 각각의 실린더장치(241)의 피스톤로드(24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평상시 후방프레임(2011)의 높이 범위, 즉 지면에 닿지 않게 위치하며, 피스톤로드(2411)가 신장되면 지면을 향해 하강된다.
일 예로, 차량감속패드(242)는 피스톤로드(2411)의 단부에 연결되는 패드프레임부(2421) 및 패드프레임부(2421)에 결합되는 패드부(2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프레임부(2421)는 사각의 테두리(2421a)를 가져서 패드부(2422)를 수용할 수 있고, 패드부(2422)는 패드프레임부(2421)의 사각의 테두리(2421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패드프레임부(2421)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패드부(2422)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콘트롤장치(130)는 후방감지센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방감지센서(210)로부터 장애물감지가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장애물감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부저(22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콘트롤장치(130)는 후방감지센서(210)의 초음파수신부(212)에 장애물에 부딪힌 후 반사되는 초음파가 수신되면 이를 인지하여 부저(220)를 작동시킨다.
또한, 콘트롤장치(130)는 각각의 후방감지센서(210)의 초음파수신부(212)로 초음파가 수신되면 복수의 실린더장치(241)의 피스톤로드(2411)가 신장되도록 복수의 실린더장치(241)를 제어하되, 피스톤로드(2411)가 일정 시간 동안 신장된 후 복귀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콘트롤장치(130)는 타이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타이머의 시간 카운팅 동작을 통해 피스톤로드(2411)의 신장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피스톤로드(2411)의 신장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5초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200)의 후진 주행시 장애물 감지 및 장애물 감지에 따른 지게차의 감속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지게차(200)의 운전자가 후진 주행을 시작하면 각각의 후방감지센서(210)의 초음파발진부(211)는 후방프레임(2011)의 주변으로 초음파를 발진한다.
지게차(200)의 후방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 발진된 초음파는 장애물에 부딪힌 후 후방감지센서(210) 방향으로 반사된다.
반사된 초음파는 각각의 후방감지센서(210)의 초음파수신부(212)로 수신되며, 초음파수신부(212)로 초음파가 수신되면 콘트롤장치(130)는 이를 감지하여 부저(220)를 작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콘트롤장치(130)는 각각의 실린더장치(241)를 제어하여 피스톤로드(2411)가 하강되도록 한다.
각각의 실린더장치(241)의 피스톤로드(2411)가 하강되면 차량감속패드(242)의 패드프레임부(2421) 및 패드부(2422)는 지면을 향해 하강되어 패드부(2422)가 지면에 맞닿게 된다.
패드부(2422)가 지면에 맞닿게 됨에 따라 지게차(200)의 후진 주행은 각각의 실린더장치(241)의 피스톤로드(2411)의 하강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동안 제한된다.
부저(220)가 작동되어 알람음이 울리면 지게차(200)의 운전자는 지게차(200)의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저(220)가 작동되어 알람음이 울리면 지게차(200)의 운전자는 지게차(200)의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것을 인지하게 되고, 또한 차량감속장치(240)가 지게차(200)의 후진 주행을 제한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후방의 장애물이 있는 것을 더욱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200)는 차량감속장치(240)가 더 설치되어 지게차(200)의 후방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 운전자의 의사와 상관 없이 후진 주행을 제한하여, 운전자가 부저(220)의 알림음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부저(220)의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도 지게차(200)의 후진 주행시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실린더장치(241)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메트캅토트리아졸 20중량%, 페트롤륨술포네이트 15중량%, 머캅토벤조티아졸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메트캅토트리아졸, 페트롤륨술포네이트 및 머캅토벤조티아졸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후방감지센서(110)(210)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차체(101)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체(101)를 살균 처리하고, 탑승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 비율은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 50중량%,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의 주 화학성분은 palmic aldehyde, enanthic acid 등이며, 향이 좋으며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은 주 화학성분은 bornyl acetate, pinene 등이며, 혈압강하작용과 더불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불안,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차체(101)에 코팅되므로 차체(101)를 살균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탑승자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또한, 패드부(2422)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패드부(2422)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패드부(2422)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패드부(2422)의 수명이 증대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 후방감지센서 120, 220 : 부저
130, 230 : 콘트롤장치 240 : 차량감속장치

Claims (3)

  1. 지게차(100, 200) 차체(101)의 후방프레임(1011, 2011) 상에 복수로 설치되는 후방감지센서(110, 210);
    상기 차체(101)의 일측에 설치되는 부저(120, 220); 및
    상기 후방감지센서(110, 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후방감지센서(110, 210)로부터 장애물감지가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장애물감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부저(120, 220)를 작동시키는 콘트롤장치(130, 230)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감지센서(110, 210)는,
    상기 후방프레임(1011, 2011) 주변으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발진부(111, 211); 및 장애물에 부딪힌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수신부(112, 212)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장치(130, 230)는 상기 초음파수신부(112, 212)로 초음파가 수신되면 상기 부저(120, 220)를 작동시키며;
    지면에 수직한 상기 후방프레임(1011)의 배면(2011a)에 장착되는 차량감속장치(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감속장치(240)는,
    상기 배면(2011a)에 장착되고, 신장 및 복귀하는 피스톤로드(2411)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린더장치(241); 및 상기 각각의 실린더장치(241)의 피스톤로드(24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평상시 상기 후방프레임(1011)의 높이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피스톤로드(2411)가 신장되면 지면을 향해 하강되는 차량감속패드(242)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장치(130)는 상기 초음파수신부(112)로 초음파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실린더장치(241)의 피스톤로드(2411)가 신장되도록 상기 복수의 실린더장치(241)를 제어하되, 상기 피스톤로드(2411)가 일정 시간 동안 신장된 후 복귀되도록 제어하며;
    실린더장치(241)에는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메트캅토트리아졸 20중량%, 페트롤륨술포네이트 15중량%, 머캅토벤조티아졸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되고;
    후방감지센서(110)(210)에는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
  2. 삭제
  3. 삭제
KR1020180093650A 2018-08-10 2018-08-10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 KR102078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650A KR102078150B1 (ko) 2018-08-10 2018-08-10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650A KR102078150B1 (ko) 2018-08-10 2018-08-10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150B1 true KR102078150B1 (ko) 2020-02-17

Family

ID=6967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650A KR102078150B1 (ko) 2018-08-10 2018-08-10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1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474A (ko) * 2020-06-16 2021-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CN114235114A (zh) * 2021-12-06 2022-03-25 河南嘉晨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超声波测重方法
KR102517660B1 (ko) 2023-02-17 2023-04-06 주식회사 파트넷 운반장비의 충돌 방지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236U (ko) * 1997-03-08 1998-11-05 김영귀 자동차의 노면 마찰식 브레이크
KR200223395Y1 (ko) * 2000-08-22 2001-05-15 소닉스텍주식회사 지게차의 안전장치
KR20070058242A (ko) * 2005-12-01 2007-06-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후방 장애물 감지 제어장치
KR20120084868A (ko) * 2011-01-21 2012-07-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감지센서를 구비한 지게차
KR101423842B1 (ko) 2011-12-16 2014-07-25 이재명 지게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236U (ko) * 1997-03-08 1998-11-05 김영귀 자동차의 노면 마찰식 브레이크
KR200223395Y1 (ko) * 2000-08-22 2001-05-15 소닉스텍주식회사 지게차의 안전장치
KR20070058242A (ko) * 2005-12-01 2007-06-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후방 장애물 감지 제어장치
KR20120084868A (ko) * 2011-01-21 2012-07-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감지센서를 구비한 지게차
KR101423842B1 (ko) 2011-12-16 2014-07-25 이재명 지게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474A (ko) * 2020-06-16 2021-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KR102360395B1 (ko) 2020-06-16 2022-0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CN114235114A (zh) * 2021-12-06 2022-03-25 河南嘉晨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超声波测重方法
CN114235114B (zh) * 2021-12-06 2024-03-29 河南嘉晨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超声波测重方法
KR102517660B1 (ko) 2023-02-17 2023-04-06 주식회사 파트넷 운반장비의 충돌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150B1 (ko)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
CN104960509B (zh) 用于基于碰撞置信度最小化自动制动侵扰的方法
CN102745080B (zh) 酒驾控制系统及酒驾控制方法
US8459396B2 (en) Building machine comprising a presence detection system
US11104367B2 (en) Steering wheel unit
US5132662A (en) Vehicle safety system
EP3002248A1 (en) Safety device
US20060087414A1 (en) Obstacl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particularly for systems for assisting the parking of vehicles
EP1982898A3 (en) Steering assist system and vehicle mounted with the same
CN107662873B (zh) 传感器组件、安全系统以及乘客运送装置
EP1640746A2 (en) Obstacl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particularly for systems for assisting the parking of vehicles
WO2014192247A1 (ja) 緊急通報システム
CN104260667B (zh) 车辆告警方法及装置
KR20120084868A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지게차
KR20070058242A (ko) 지게차의 후방 장애물 감지 제어장치
CN201544854U (zh) 一种车门开启示警装置
CA2806065A1 (en) Rfid safety system and method
CN103754722A (zh) 一种电梯振动检测报警方法
AU2010201626A1 (en) Vehicle Control Safety System
US2008030075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elt Pretensioner and Safety Arrangement Comprising a Belt Pretensioner
EP1839961A1 (en)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CN113500982A (zh) 一种主动式制动踏板控制系统和方法
Sanjana et al. Automated anti-collision system for automobiles
CN103323852A (zh) 一种大型车超声波障碍物侦测系统
RU2002102538A (ru) Новый элемент пассив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