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111B1 -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 Google Patents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111B1
KR102078111B1 KR1020190109540A KR20190109540A KR102078111B1 KR 102078111 B1 KR102078111 B1 KR 102078111B1 KR 1020190109540 A KR1020190109540 A KR 1020190109540A KR 20190109540 A KR20190109540 A KR 20190109540A KR 102078111 B1 KR102078111 B1 KR 10207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ssil fuel
hopper
frame
unit membran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주)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타이가 filed Critical (주)타이가
Priority to KR102019010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15/2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supported by air pressure inside the 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65G2812/08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 E04H2015/203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supported by a non-inflatable structure or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에 관한 것으로, 가루 형태인 화석연료의 야적을 위해 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지붕틀을 이루고 정해진 크기의 개방부를 개방되게 구비하는 프레임, 개방부 각각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져 각 개방부를 덮어 막는 단위멤브레인, 대공간 내부로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단위멤브레인의 처짐을 방지하는 외기공급부, 및 적어도 단위멤브레인과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 지지되고 화석연료의 이송을 위해 일측과 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화석연료의 미이송시 내기의 유출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이송허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지붕을 이루는 프레임을 통해 내부에 대공간을 형성하고 프레임에 설정 크기로 형성된 개방부 각각을 멤브레인으로 덮은 후 대공간 내부로 외기를 불어넣음으로써 석탄 등 분말 상태의 화석연료로 인한 분진과 악취의 배출을 방지하여 화석연료의 집하장 주변과 인근 주민들이 분진과 악취로부터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특정 개방부를 막는 멤브레인에 호퍼를 설치하며 해당 호퍼를 통한 내기의 배기를 방지하면서 화석연료의 공급 이송을 허용함으로써 에어돔을 설치한 상태로 화석연료의 야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AIR-DOME FOR ANTI-LACERATIVE OF FOSSIL FUEL}
본 발명은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을 이루는 프레임을 통해 내부에 대공간을 형성하고, 프레임에 설정 크기로 형성된 개방부 각각을 멤브레인으로 덮은 후 대공간 내부로 외기를 불어넣음으로써 멤브레인의 형태를 유지함에 따라 석탄 등 분말 상태의 화석연료를 보관시 및 대공간 내부로 차량을 진입시켜 필요한 곳으로 이송 가능하여 분진과 악취의 배출을 방지하 수 있음에 따라 화석연료의 집하장 주변과 인근 주민들이 분진과 악취로부터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특정 개방부를 막는 멤브레인에 호퍼를 설치하며 해당 호퍼를 통한 내기의 배기를 방지하면서 화석연료의 공급 이송을 허용함으로써 에어돔을 설치한 상태로 화석연료의 야적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미세먼지 발생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심각한 대기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미세먼지는 차량 등에서도 발생되지만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는 보일러에서 석탄이 연소된 후 발생되는 석탄회 미세먼지와 석탄분진의 2 종류가 있다. 석탄회는 탈황, 탈질, 전기집진시설 등을 이용하여 포집 제거하고 있지만 석탄분진에 대한 발생을 저감하는 기술은 미비한 실정이다.
석탄 화력발전소의 석탄은 석탄 야적장에서 이송, 운반을 위해 리클레이머(reclaimer)로 퍼 올려져 컨베이어를 따라 사일로와 같은 저장 공간에 저장된 후 볼밀 등으로 파쇄되어 보일러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첫째, 리클레이머의 버킷으로 석탄을 퍼올릴 때, 둘째, 석탄이 리클레이머에서 벨트 컨베이어로 떨어질 때 석탄 분진이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비산되는 석탄 분진은 작업자의 건강을 해할 뿐 만 아니라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전국의 화력발전소의 저탄장과 컨베이어 이송장치 등에서 발생되는 석탄분진은 약 400톤/연 정도이다. 한편, 석탄을 하역하는 시설부터 연소설비까지는 굉장히 긴 구간으로 석탄 하역기, 석탄 저탄구간, 저탄장, 상탄 구간에서 석탄이 이송, 운반되는 과정에서 석탄 분진이 비산하고 있다. 이들 시설 중 일부는 밀폐되지 않은 설비이므로 석탄의 이송과정에서 대량의 석탄 분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이송, 분류, 상탄, 분쇄 등의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대량의 석탄 분진이 발생한다.
발전소 옥외에서 발생되는 석탄 분진은 인근 지역의 대기 환경오염에 영향을 끼치게 되고, 발전소의 옥내에서 발생되는 석탄 분진은 작업환경의 악화로 초래하여 작업효율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석탄 분진은 운송되는 전 과정에서 대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석탄이 산소와 결합하면서 방출되는 산화열의 축적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화할 수도 있다. 즉 석탄분진은 저장, 이송, 미분과정에서 공기와 접촉함에 따라 대기 중으로 비산되거나 산화열에 의해 자연발화 할 수 있다.
관련기술로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894호(공고일: 2004.05.10. 공고)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에 야적장에서 비산되는 석탄 분진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호스 등을 이용하여 야적된 석탄의 상층부에 물을 뿌리는 방법이 적용되지만, 물을 뿌리는 경우 석탄이 물에 젖어 덩어리가 생기고, 물을 뿌리는 과정이나 물이 증발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비산될 수도 있으며, 물의 사용량이 너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에 야적장에 야적된 석탄 가루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석탄 가루는 덮개막으로 덮여 있는데, 석탄 가루를 추가 야적하거나 필요한 곳으로 이송시, 덮개막이 제거됨에 따라, 석탄 가루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붕을 이루는 프레임을 통해 내부에 대공간을 형성하고, 프레임에 설정 크기로 형성된 개방부 각각을 멤브레인으로 덮은 후 대공간 내부로 외기를 불어넣음으로써 멤브레인의 형태를 유지함에 따라, 석탄 등 분말 상태의 화석연료를 보관시 및 대공간 내부로 차량을 진입시켜 필요한 곳으로 이송 가능하여 분진과 악취의 배출을 방지하 수 있음에 따라 화석연료의 집하장 주변과 인근 주민들이 분진과 악취로부터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특정 개방부를 막는 멤브레인에 호퍼를 설치하며 해당 호퍼를 통한 내기의 배기를 방지하면서 화석연료의 공급 이송을 허용함으로써 에어돔을 설치한 상태로 화석연료의 야적이 가능함에 따라 분진과 악취의 외부 유출을 최대한 방지하고자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은: 가루 형태인 화석연료의 야적을 위해 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지붕틀을 이루고, 정해진 크기의 개방부를 개방되게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개방부 각각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져, 각 개방부를 덮어 막는 단위멤브레인; 상기 대공간 내부로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처짐을 방지하는 외기공급부; 및 적어도 상기 단위멤브레인과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 지지되고, 화석연료의 이송을 위해 일측과 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화석연료의 미이송시 내기의 유출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이송허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멤브레인은 연결부에 의해 상기 대공간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허용부는, 일측이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외측에서 개방되고, 상기 대공간 내측에 위치한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화석연료의 이동을 허용하는 호퍼; 및 상기 호퍼를 상기 단위멤브레인과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화석연료는, 대공간 내부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의 미작동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서 상기 호퍼 내부로 퇴적됨으로써 내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허용부는, 일측이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외측에서 개방되고, 상기 대공간 내측에 위치한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화석연료의 이동을 허용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개방측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석연료의 이송시에 개방되는 덮개; 및 상기 호퍼를 상기 단위멤브레인과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허용부는, 일측이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외측에서 개방되고, 상기 대공간 내측에 위치한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화석연료의 이동을 허용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내측에 구비되어, 화석연료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호퍼를 통한 내기의 누출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화석연료의 이송을 안내하는 공급개폐부; 및 상기 호퍼를 상기 단위멤브레인과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개폐부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상기 호퍼의 대응되는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리브샤프트; 및 상기 슬리브샤프트의 둘레면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호퍼의 내측면에 접하고, 공급되는 상기 화석연료에 의해 상기 슬리브샤프트와 함께 자연 회전되는 개폐윙을 포함한다.
상기 호퍼는 축 방향을 따라 양쪽의 개방측에 상기 화석연료의 이송을 허용하는 크기의 지지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개폐부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지지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리샤프트; 및 상기 로터리샤프트의 둘레면에 나선 궤적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호퍼의 내측면에 접한 채 공급되는 상기 화석연료에 의해 상기 로터리샤프트와 함께 자연 회전되는 나선윙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측과 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평판의 플레이트; 및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호퍼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 상측에 배치되는 하부완충마찰패드; 가장자리가 포개진 상태로 상기 하부완충마찰패드에 놓여진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상측에 면접되는 상부완충마찰패드; 상기 상부완충마찰패드의 상측에 면접되어 가압하는 경질의 상부누름블록; 상기 상부누름블록, 상기 상부완충마찰패드, 상기 단위멤브레인, 상기 하부완충마찰패드 및 상기 플랜지를 결속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단위멤브레인이 장력의 발생 방향으로 상기 상부완충마찰패드와 상기 하부완충마찰패드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포개진 부위 내부에 삽입되는 걸림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호퍼는 덮개막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은 종래 기술과 달리 지붕을 이루는 프레임을 통해 내부에 대공간을 형성하고, 프레임에 설정 크기로 형성된 개방부 각각을 멤브레인으로 덮은 후 대공간 내부로 외기를 불어넣음으로써 멤브레인의 형태를 유지함에 따라, 석탄 등 분말 상태의 화석연료를 보관시 및 대공간 내부로 차량을 진입시켜 필요한 곳으로 이송 가능하여 분진과 악취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화석연료의 집하장 주변과 인근 주민들이 분진과 악취로부터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을 H-빔(beam)으로 제작하여 단위멤브레인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프레임 내측을 차폐막으로 막음으로써 프레임 내부에 화석연료의 분진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특정 개방부를 막는 멤브레인에 호퍼를 설치하며 해당 호퍼를 통한 내기의 배기를 방지하면서 화석연료의 공급 이송을 허용함으로써 에어돔을 설치한 상태로 화석연료의 야적이 가능함에 따라 분진과 악취의 외부 유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요부 확대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부로 외기가 공급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호퍼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기가 호퍼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부로 화석연료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기가 호퍼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부로 화석연료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기가 호퍼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부로 화석연료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기가 호퍼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부로 화석연료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요부 확대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부로 외기가 공급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호퍼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기가 호퍼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부로 화석연료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5)의 비산방지용 에어돔(10)은 서포트빔(20), 프레임(30), 사이드커버(40), 단위멤브레인(50), 외기공급부(60) 및 이송허용부(100)를 포함한다.
서포트빔(20)은 석탄과 같은 가루 상태의 화석연료(5)를 야적하기 위해 적어도 필요한 면적만큼의 설정된 평면 궤적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다. 이때, 서포트빔(20)은 화석연료(5)를 퍼올리거나 이송하기 위한 리클레이머(reclaimer,도시하지 않음)와 이송컨베이어(7) 등의 설치 높이 이상으로 구비된다.
아울러, 특정한 이웃한 서포트빔(20)은 화석연료(5)를 실어 옮기기 위한 차량의 진출입이 가능한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서포트빔(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프레임(30)은 모든 서포트빔(20)에 지지되게 연결되어 설정된 평면 궤적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화석연료(5)의 야적을 위해 대공간(33)을 형성하기 위한 지붕틀을 이루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프레임(30)은 정해진 크기의 개방부(31)를 개방되게 구비한다. 이때, 개방부(31)는 동일한 크기 또는 대략 크기가 유사하게 형성된다. 물론, 개방부(31)의 평면적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사이드커버(40)는 설정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서포트빔(20) 전체를 감싸 서포트빔(20) 간의 공간을 막음으로써 둘레면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이드커버(40)는 공기가 통하지 않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이드커버(40)는 다양한 방식으로 서포트빔(2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사이드커버(40)는 단위멤브레인(50)이 프레임(30)에 연결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서포트빔(2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단위멤브레인(50)은 개방부(31) 각각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져, 각 개방부(31)를 덮어 막는 역할을 한다.
특히, 단위멤브레인(50)이 프레임(30) 전체를 덮지 않고 개방부(31) 각각을 막는 이유는, 단위멤브레인(50)이 비교적 작은 크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처지더라도 대공간(33) 내부에서 리클레이머 등을 이용하여 화석연료(5)의 처리를 위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10)은, 서포트빔(20)과 프레임(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대공간(33)을 사이드커버(40)와 단위멤브레인(50)으로 막아 밀폐함에 따라, 대공간(33)에 야적되는 화석연료(5)의 비산이 방지되고, 악취의 외부 유출이 최대한 차단된다.
단위멤브레인(50)은 방수 가능하고, 내기(內氣)와 외기(外氣)의 통과가 불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기공급부(60)는 대공간(33) 내부로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단위멤브레인(50)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밀폐된 에어돔(10) 내부에 적재된 화석연료(5)는 악취가 발생된다. 이로써, 작업자 대공간(33) 내부에서 화석연료(5)의 처리 과정 중에 질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악취를 필터링 처리한 내기가 배기되도록, 프레임(30) 또는 서포트빔(20)은 연통(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그래서, 외기공급부(60)는 대공간(33) 내부로 외기를 공급함에 따라 내기의 배기를 유도하고, 단위멤브레인(5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외기공급부(60)는 블로워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일 예로, 프레임(30)은 플레이트(36) 및 브릿지(38)를 포함한다.
플레이트(36)는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브릿지(38)는 상하 한 쌍의 플레이트(36)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30)은 대략 'H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30)은 단위멤브레인(50)을 견고하기 지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단위멤브레인(50)은 연결부(70)에 의해 대공간(33)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프레임(30)에 연결된다.
연결부(70)는 로어러버(71), 어퍼러버(72), 프레스패드(73), 결속부재(74) 및 에지로프(75)를 포함한다.
로어러버(71)는 개방부(31)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의 플레이트(36)에 면접되게 놓인다. 이때, 단위멤브레인(50)은 가장자리를 따라 포개진 채 대응되는 로어러버(71)에 놓인다. 특히, 단위멤브레인(50)은 가장자리가 포개진 채 레이저빔 등에 의해 융착된다.
그리고, 어퍼러버(72)는 단위멤브레인(50)의 가장자리 상측에 면접되게 놓인다.
로어러버(71)와 어퍼러버(72)는 단위멤브레인(50) 각각의 상측과 하측에 접하게 배치되고, 단위멤브레인(50)과 마찰력이 큰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장력이 발생되는 단위멤브레인(50)을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로어러버(71)와 어퍼러버(72)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가압시 완충되며 단위멤브레인(50)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어퍼러버(72)와 로어러버(7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프레스패드(73)는 어퍼러버(72)의 상측에 면접되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스패드(73)는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프레임(30)의 상측의 플레이트(36), 로어러버(71), 단위멤브레인(50), 어퍼러버(72) 및 프레스패드(73)가 순서대로 적층된다.
결속부재(74)는 적층된 프레스패드(73), 어퍼러버(72), 단위멤브레인(50), 로어러버(71) 및 플레이트(36)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장력이 발생되는 단위멤브레인(50)은 로어러버(71)와 어퍼러버(72)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결속부재(74)는 볼트와 너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에지로프(75)는 단위멤브레인(50)이 장력의 발생 방향으로 어퍼러버(72)와 로어러버(71)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위멤브레인(50)의 포개진 부위 내부에 삽입된다.
즉, 에지로프(75)가 포개진 단위멤브레인(50)의 가장자리 내부에 삽입되어 결속부재(74)에 의해 결속된 로어러버(71)와 어퍼러버(72)에 접함으로써, 단위멤브레인(50)의 가장자리가 견고하게 프레임(3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에지로프(75)에 의해 단위멤브레인(50)이 상측의 플레이트(36)에 접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기나 물기가 대공간(3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화석연료(5) 또는 화석연료(5)의 분진이 하측의 플레이트(36) 상에 퇴적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대공간(33) 내부 상측으로 전달되는 열기에 의해, 퇴적된 화석연료(5)는 자연 발화되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향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36)는 대응되는 가장자리끼리 차폐막(80)으로 연결된다.
상세히, 단위멤브레인(50)과 동일한 재질의 차폐막(80)은 상측이 단위멤브레인(50)과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도록 융착부(82)를 형성한다.
그리고, 차폐막(80)의 하측은 프레임(30)과 체결된다. 다시 말해서, 하측의 플레이트(36)는 체결블록(85)을 용접 등으로 고정하고, 체결부(84)가 차폐막(80)을 체결블록(85)에 체결한다. 이때, 체결부(84)는 볼트나 스크류인 것으로 하고, 하측의 플레이트(36)에 차폐막(80)을 체결할 수도 있다.
한편, 이송허용부(100)는 적어도 단위멤브레인(50)과 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 지지되고, 화석연료(5)의 이송을 위해 일측과 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화석연료(5)의 미이송시 내기의 유출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이송허용부(100)는 호퍼(11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호퍼(110)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된다. 다시 말해서, 호퍼(11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단위멤브레인(50)의 외측에서 개방되고, 대공간(33) 내측에 위치한 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호퍼(110)는 화석연료(5)의 이동을 허용한다.
특히, 호퍼(110)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10) 외부에서 내부로 화석연료(5)의 공급(야적)을 허용한다. 물론, 호퍼(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해당 단위멤브레인(50)은 호퍼(110)를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홀(114)을 통공한다. 물론, 호퍼(110)의 설치를 위해, 특정 단위멤브레인(50)이 개방부(31)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부(140)는 호퍼(110)를 단위멤브레인(50)과 프레임(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호퍼(110)는 고정부(140)에 의해 단위프레임과 연결됨으로써 설치홀(114) 내부에서 호퍼(110)의 둘레면과 단위멤브레인(50) 사이의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부(140)에 의해 프레임(30)과 연결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이때, 대공간(33)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7)는 호퍼(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호퍼(110)로부터 낙하하는 화석연료(5)를 받아 이송한다. 이때, 이송컨베이어(7)의 일측은 호퍼(110)의 하측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그래서, 화석연료(5)는, 대공간(33)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7)의 미작동시, 이송컨베이어(7)에서 호퍼(110) 내부로 퇴적됨으로써(쌓임으로써), 호퍼(110)는 대공간(33) 내부의 내기(內氣)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10) 외부에서 공급컨베이어(90)를 통해, 화석연료(5)가 호퍼(110)로 공급된다.
화석연료(5)가 공급컨베이어(90)를 통해 호퍼(110)로 공급시, 이송컨베이어(7)는 작동되며 화석연료(5)를 이송함으로써, 호퍼(110) 내부의 화석연료(5)가 하부로 배출됨에 따라 호퍼(110)의 상부로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고정부(140)는 플랜지(141), 하부완충마찰패드(142), 상부완충마찰패드(143), 상부누름블록(144), 결합부재(145), 걸림와이어(146), 제 1브라켓(147), 제 2브라켓(148) 및 죄임부(149)를 포함한다.
플랜지(141)는 호퍼(11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141)는 호퍼(110)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완충마찰패드(142)는 플랜지(141)의 상측면 전체 또는 설정 위치에 면접되게 놓인다. 이때, 단위멤브레인(50)은 가장자리를 따라 포개진 채 대응되는 하부완충마찰패드(142) 상에 놓인다. 특히, 단위멤브레인(50)은 가장자리가 포개진 채 레이저빔 등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포개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부완충마찰패드(143)는 단위멤브레인(50)의 가장자리 상측에 면접되게 놓인다.
하부완충마찰패드(142)와 상부완충마찰패드(143)는 해당 단위멤브레인(50)의 상측과 하측에 접하게 배치되고, 단위멤브레인(50)과 마찰력이 큰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장력이 발생되는 단위멤브레인(50)을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하부완충마찰패드(142)와 상부완충마찰패드(143)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가압시 완충되며 단위멤브레인(50)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하부완충마찰패드(142)와 상부완충마찰패드(14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상부누름블록(144)은 상부완충마찰패드(143)의 상측에 면접되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누름블록(144)은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플랜지(141), 하부완충마찰패드(142), 단위멤브레인(50), 상부완충마찰패드(143) 및 상부누름블록(144)이 순서대로 적층된다.
결합부재(145)는 적층된 플랜지(141), 하부완충마찰패드(142), 단위멤브레인(50), 상부완충마찰패드(143) 및 상부누름블록(144)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장력이 발생되는 단위멤브레인(50)은 하부완충마찰패드(142)와 상부완충마찰패드(143)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결합부재(145)는 볼트와 너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걸림와이어(146)는 단위멤브레인(50)이 장력의 발생 방향으로 상부완충마찰패드(143)와 하부완충마찰패드(142)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단위멤브레인(50)의 포개진 부위 내부에 삽입된다.
즉, 걸림와이어(146)가 포개진 단위멤브레인(50)의 가장자리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부재(145)에 의해 결속된 하부완충마찰패드(142)와 상부완충마찰패드(143)의 테두리에 접함으로써, 단위멤브레인(50)의 가장자리가 견고하게 프레임(3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 1브라켓(147)은 호퍼(110)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 2브라켓(148)은 제 1브라켓(147)에 대응되는 프레임(30)에 구비된다.
죄임부(149)는 제 1브라켓(147)과 제 2브라켓(148)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호퍼(110)는 프레임(30)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물론, 제 1브라켓(147)과 제 2브라켓(148)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화석연료(5)의 공급을 허용하기 위해 상측이 단위멤브레인(50)의 외측으로 노출된 호퍼(110)의 상부로, 빗물 등 이물질이 대공간(3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위멤브레인(50)의 외측으로 노출된 호퍼(110)의 상부는 덮개막(150)으로 덮인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공급컨베이어(90)는 호퍼(110)로 이송되는 화석연료(5)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92)를 설치한다.
덮개막(150)은 커버(92)와 단위멤브레인(50)에 융착 등으로 연결 고정됨으로써, 호퍼(110)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 채 화석연료(5)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0은 내기의 유출을 방지한 채, 화석연료(5)가 호퍼(110)로 공급되도록, 공급컨베이어(90)가 우선적으로 화석연료(5)를 호퍼(110) 내부로 공급하여 내부를 막은 상태로 이송컨베이어(17)가 화석연료(5)를 야적하기 위해 옮기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기가 호퍼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부로 화석연료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5)의 비산방지용 에어돔(10)은 서포트빔(20), 프레임(30), 사이드커버(40), 단위멤브레인(50), 외기공급부(60) 및 이송허용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서포트빔(20), 프레임(30), 사이드커버(40), 단위멤브레인(50), 외기공급부(6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이송허용부(100)는 호퍼(110), 덮개(12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호퍼(11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고정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 하부완충마찰패드, 상부완충마찰패드, 상부누름블록, 결합부재 및 걸림와이어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덮개(120)는 호퍼(110)의 개방측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석연료(5)의 이송시에 개방된다.
즉, 덮개(120)는 이송컨베이어 측인 호퍼(110)의 하부 개방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덮개(120)는 호퍼(110)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고, 토션스프링(122)에 의해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호퍼(110)의 하측을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대공간 내부의 내기가 호퍼(110)를 통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화석연료(5)가 호퍼(110)로 공급시, 덮개(120)는 화석연료(5)의 미는 힘에 의해 개방되며 화석연료(5)를 공급컨베이어 측으로 이송 허용한다. 이때, 화석연료(5)가 호퍼(110) 내부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덮개(120)를 밀어 개방 후 공급컨베이어로 이송된다. 따라서, 덮개(120)가 열림 상태가 되더라도, 호퍼(110)를 통한 내기의 유출이 방지된다.
화석연료(5)가 설정 압력 이상으로 덮개(120)를 미는 외력이 미작용시, 덮개(120)는 토션스프링(1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호퍼(110)의 하측을 막는다.
물론, 토션스프링(122)은 덮개(120)의 닫힘과 열림이 가능한 다른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다.
도 12는 내기의 유출을 방지한 채, 화석연료(5)가 호퍼(110)로 공급되도록, 공급컨베이어(90)가 우선적으로 화석연료(5)를 호퍼(110) 내부로 공급하여 내부를 막은 상태로 이송컨베이어(17)가 화석연료(5)를 야적하기 위해 옮기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기가 호퍼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부로 화석연료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5)의 비산방지용 에어돔(10)은 서포트빔(20), 프레임(30), 사이드커버(40), 단위멤브레인(50), 외기공급부(60) 및 이송허용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서포트빔(20), 프레임(30), 사이드커버(40), 단위멤브레인(50), 외기공급부(6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이송허용부(100)는 호퍼(110), 공급개폐부(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호퍼(110)와 고정부(1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공급개폐부(130)는 호퍼(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화석연료(5)의 공급 여부에 따라 호퍼(110)를 통한 내기의 누출을 방지하거나 또는 화석연료(5)의 이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공급개폐부(130)는 슬리브샤프트(131) 및 개폐윙(133)을 포함한다.
슬리브샤프트(131)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호퍼(110)의 대응되는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개폐윙(133)은 슬리브샤프트(131)의 둘레면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호퍼(1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고, 공급되는 화석연료(5)의 미는 힘에 의해 슬리브샤프트(131)와 함께 자연 회전됨으로써 화석연료(5)의 이송을 허용 안내한다.
특히, 개폐윙(133) 각각은 항상 호퍼(110)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원주 방향을 회전됨으로써, 내기나 외기의 흐름은 최대한 방지된다.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개폐윙(133) 및 이에 대응되는 호퍼(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슬리브샤프트(131)는 샤프트를 슬리브에 축 삽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4는 내기의 유출을 방지한 채, 화석연료(5)가 호퍼(110)로 공급되도록, 공급컨베이어(90)가 우선적으로 화석연료(5)를 호퍼(110) 내부로 공급하면서 이송컨베이어(17)가 화석연료(5)를 야적하기 위해 옮기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기가 호퍼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의 내부로 화석연료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5)의 비산방지용 에어돔(10)은 서포트빔(20), 프레임(30), 사이드커버(40), 단위멤브레인(50), 외기공급부(60) 및 이송허용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서포트빔(20), 프레임(30), 사이드커버(40), 단위멤브레인(50), 외기공급부(6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이송허용부(100)는 호퍼(110), 공급개폐부(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호퍼(110)와 고정부(1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호퍼(110)는 축 방향을 따라 양쪽의 개방측에 화석연료(5)의 이송을 허용하는 크기의 지지블록(112)을 형성한다. 즉, 지지블록(112) 각각은 호퍼(11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호퍼(110)의 양쪽 개방측의 평면적보다 작은 평면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화석연료(5)는 호퍼(110)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공급개폐부(130)는 로터리샤프트(134) 및 나선윙(136)을 포함한다.
로터리샤프트(134)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대응되는 지지블록(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나선윙(136)은 로터리샤프트(134)의 둘레면에 나선 궤적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어, 호퍼(110)의 내측면에 접한 채 공급되는 화석연료(5)의 미는 힘에 의해 로터리샤프트(134)와 함께 자연 회전된다.
즉, 나선윙(136)이 호퍼(110)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내기와 외기가 호퍼(110)를 통해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호퍼(110)로 낙하한 화석연료(5)의 미는 힘에 의해, 나선윙(136)과 로터리샤프트(134)가 회전됨에 따라, 화석연료(5)는 이송컨베이어 측으로 공급된다.
도 16은 내기의 유출을 방지한 채, 화석연료(5)가 호퍼(110)로 공급되도록, 공급컨베이어(90)가 우선적으로 화석연료(5)를 호퍼(110) 내부로 공급하면서 이송컨베이어(17)가 화석연료(5)를 야적하기 위해 옮기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에어돔 20: 서포트빔
30: 프레임 31: 개방부
33: 대공간 36: 플레이트
38: 브릿지 40: 사이드커버
50: 단위멤브레인 60: 외기공급부
70: 연결부 71: 로어러버
72: 어퍼러버 73: 프레스패드
74: 결속부재 75: 에지로프
100: 이송허용부 110: 호퍼
120: 덮개 130: 공급개폐부
140: 고정부 150: 덮개막

Claims (9)

  1. 가루 형태인 화석연료의 야적을 위해 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지붕틀을 이루고, 정해진 크기의 개방부를 개방되게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개방부 각각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져, 각 개방부를 덮어 막는 단위멤브레인; 상기 대공간 내부로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처짐을 방지하는 외기공급부; 및 적어도 상기 단위멤브레인과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 지지되고, 화석연료의 이송을 위해 일측과 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화석연료의 미이송시 내기의 유출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이송허용부를 포함하고,
    이송컨베이어가 상기 대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허용부는, 일측이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외측에서 개방되고, 상기 대공간 내측에 위치한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화석연료의 이동을 허용하는 호퍼; 및 상기 호퍼를 상기 단위멤브레인과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측과 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평판의 플레이트; 및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호퍼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 상측에 배치되는 하부완충마찰패드;
    가장자리가 포개진 상태로 상기 하부완충마찰패드에 놓여진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상측에 면접되는 상부완충마찰패드;
    상기 상부완충마찰패드의 상측에 면접되어 가압하는 경질의 상부누름블록;
    상기 상부누름블록, 상기 상부완충마찰패드, 상기 단위멤브레인, 상기 하부완충마찰패드 및 상기 플랜지를 결속하는 결합부재;
    상기 단위멤브레인이 장력의 발생 방향으로 상기 상부완충마찰패드와 상기 하부완충마찰패드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포개진 부위 내부에 삽입되는 걸림와이어;
    상기 호퍼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구비되는 제 1브라켓;
    상기 제 1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2브라켓; 및
    대응되는 제 1브라켓과 제 2브라켓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호퍼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지지하는 죄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멤브레인은 연결부에 의해 상기 대공간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3. 제 1항에 있어서,
    화석연료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미작동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서 상기 호퍼 내부로 퇴적됨으로써 내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허용부는, 상기 호퍼의 개방측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석연료의 이송시에 개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허용부는, 상기 호퍼의 내측에 구비되어, 화석연료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호퍼를 통한 내기의 누출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화석연료의 이송을 안내하는 공급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개폐부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상기 호퍼의 대응되는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리브샤프트; 및
    상기 슬리브샤프트의 둘레면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호퍼의 내측면에 접하고, 공급되는 상기 화석연료에 의해 상기 슬리브샤프트와 함께 자연 회전되는 개폐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축 방향을 따라 양쪽의 개방측에 상기 화석연료의 이송을 허용하는 크기의 지지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개폐부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지지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리샤프트; 및
    상기 로터리샤프트의 둘레면에 나선 궤적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호퍼의 내측면에 접한 채 공급되는 상기 화석연료에 의해 상기 로터리샤프트와 함께 자연 회전되는 나선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멤브레인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호퍼는 덮개막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KR1020190109540A 2019-09-04 2019-09-04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KR10207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40A KR102078111B1 (ko) 2019-09-04 2019-09-04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40A KR102078111B1 (ko) 2019-09-04 2019-09-04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111B1 true KR102078111B1 (ko) 2020-02-17

Family

ID=6967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540A KR102078111B1 (ko) 2019-09-04 2019-09-04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1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78B1 (ko) 2020-06-11 2020-10-12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옥내 저탄장의 비산 먼지 저감 및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194524B1 (ko) 2020-08-10 2020-12-23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레일 이동식 살수장치
KR20240045413A (ko) 2022-09-29 2024-04-08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3194A1 (en) * 2001-12-17 2003-06-19 Stafford Brian T. Arcuate bulk storage facility
KR101276652B1 (ko) * 2013-03-13 2013-06-19 장성준 에어돔용 막구조
JP2014080280A (ja) * 2012-10-17 2014-05-0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粉体供給装置及び粉体供給量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3194A1 (en) * 2001-12-17 2003-06-19 Stafford Brian T. Arcuate bulk storage facility
JP2014080280A (ja) * 2012-10-17 2014-05-0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粉体供給装置及び粉体供給量の制御方法
KR101276652B1 (ko) * 2013-03-13 2013-06-19 장성준 에어돔용 막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78B1 (ko) 2020-06-11 2020-10-12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옥내 저탄장의 비산 먼지 저감 및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194524B1 (ko) 2020-08-10 2020-12-23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레일 이동식 살수장치
KR20240045413A (ko) 2022-09-29 2024-04-08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111B1 (ko)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JP2604083B2 (ja) 底灰排出装置
US4452155A (en) Method for incinerating material
KR101214017B1 (ko) 황화철광 및 석탄 분말용 건조식 기계적 컨베이어 플랜트
ITRM20090488A1 (it) Sistema di estrazione e trasporto di ceneri leggere mediante trasportatore a nastro in acciaio.
CN106269520B (zh) 一种生活垃圾分选装置
CN204769555U (zh) 一种生活垃圾分选装置
KR102115275B1 (ko)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WO2019039576A1 (ja) 燃料供給配管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燃料粉砕供給システムならびに燃料供給配管構造の運用方法
EP1495188B1 (en) System units for treatment of aggregate material
KR102025117B1 (ko)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US7494079B1 (en) Refuse recycling plant
US6896213B2 (en) Device for supplying a material
JPS5987016A (ja) 溶鉱炉除塵器
EP0763179B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ash products and energy from refuse waste
KR101837172B1 (ko) 발전용 보일러에 고형연료의 공급 및 분류시스템
KR100414533B1 (ko) 전기집진기의 더스트 컨베이어 시스템
ITMI961114A1 (it) Procedimento di ricircolo di ceneri prodotte da caldaie per la produzione di vapore
Boley Turning Waste into Watts
Boley et al. Start-up and Operations of the Mid-Connecticut Resource Recovery Project
WASTE ENERGY TECHNOLOGY CORP BEDFORD MA The Concept and Economics of RDF-3 (Refuse Derived Fuel) Utilization in a Navy Size Pulverized Coal Boiler.
Plant Installation Permit Application for the Proposed C Battery Project
JPH0730900B2 (ja) 生活系廃棄物焼却プラント
Zakaria et al. The SEMASS Shred-and-Burn Technology: A Well Proven Resource Recovery System
Bauer Preliminary coal grinding tests for the design of coal grinding systems in coal gasification plants. Series No. II: B-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