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117B1 -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117B1
KR102025117B1 KR1020180095568A KR20180095568A KR102025117B1 KR 102025117 B1 KR102025117 B1 KR 102025117B1 KR 1020180095568 A KR1020180095568 A KR 1020180095568A KR 20180095568 A KR20180095568 A KR 20180095568A KR 102025117 B1 KR102025117 B1 KR 102025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mbustible waste
combustible
incinerator
flam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바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바코
Priority to KR102018009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65G21/2081Laterial guidance means for bulk material, e.g.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2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conveyors
    • F23G2205/124Chain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4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hopper or b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상 소각로의 완전연소를 위해 소각로의 내부로 가연성 폐기물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이송부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1차로 정량하고, 연속적으로 가연성 폐기물을 로터리밸브를 통해 2차로 정량함은 물론, 소각로의 불꽃이 역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전열로 인해 장치의 열팽창을 상쇄시킬 수 있어 장치의 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A QUANTITATIVE FEEDING APPARATUS FOR COMBUSTIBILITY WASTE}
본 발명은 유동상 소각로의 완전연소를 위해 소각로의 내부로 가연성 폐기물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부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1차로 정량하고, 연속적으로 가연성 폐기물을 로터리 밸브를 통해 2차로 정량함은 물론, 소각로의 불꽃이 역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전열로 인해 장치의 열팽창을 상쇄시킬 수 있어 장치의 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이란 비지니스 산업, 상점 및 서비스 등의 공공건물 등에서 배출되는 산업폐기물과, 가정, 아파트, 상가,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을 통칭한다.
이러한 폐기물은 분리수거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장소에서 수거되도록 하고 있다.
수거된 폐기물은 굴삭기 집게를 이용하여 콘베이어에 공급되며, 콘베이어에 얹혀진 폐기물은 선별기 에 공급된다.
콘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산업 폐기물은 가연성 폐기물과 비가연성 폐기물이 분리되도록 하면서 일정 사이즈 이하로 파쇄되도록 한다.
특히 최근에는 폐기물 중 가연성 폐기물들은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보다 정밀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가연성 폐기물에는 건축 폐기물이나 금속 등이 포함될 폐기물의 경우, 가연성물질을 따로 선별하여 연료로 재활용하는 이른바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상기한 재활용된 연료는 폐지나 폐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가연성 폐기물을 가공하여 만든 것으로서, 고가의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대체에너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연소시 공해발생량이 적어 친환경적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등록된 특허로 "가연성 쓰레기 정량 공급장치(특허등록 제1551625호)"(이하 종래기술로 칭하기로 한다.)가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어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드럼부를 다수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정량의 쓰레기만 공급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이물질이 투입될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가 구성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또한 소각로에 사용할 경우, 소각로의 역화로부터 가연성 쓰레기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본체에 이송컨베이어와, 회전드럼부와 스크류가 내장되어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투입될 경우 부품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516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유동상 소각로의 완전연소를 위해 소각로의 내부로 가연성 폐기물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이송부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1차로 정량하고, 연속적으로 가연성 폐기물을 로터리밸브를 통해 2차로 정량함은 물론, 소각로의 불꽃이 역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전열로 인해 장치의 열팽창을 상쇄시킬 수 있어 장치의 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챔버하우징으로 낙하되는 가연성 폐기물은 이송부로 재공급하고, 광석이나 금속같이 비중이 큰 이물질은 관성에 의해 개폐판으로 유도 배출시킬 수 있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일정크기로 파쇄된 가연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와, 상기 투입호퍼의 하부에 연통되고, 상기 투입호퍼에서 낙하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연설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높이로 1차 정량하는 레벨드럼;과,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연설되어 소각로의 불꽃 역화를 방지하고, 상기 이송부에서 낙하되는 가연성 폐기물 2차 정량하는 로터리밸브;와, 상기 로터리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로로 안내하는 배출호퍼; 및 상기 소각로의 전열에 의한 이음부위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로터리밸브와 배출호퍼의 사이에 개재되는 익스펜션 조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둘레에 설치되어 낙하충격 및 비중에 의해 비산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챔버하우징를 갖고, 상기 레벨드럼의 방사상으로는 다수의 산과 골로 이루어진 파형부가 형성되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높이로 균일하게 정렬하고,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는 전열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는 주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와 배출호퍼의 사이에는 장치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되는 열화판이 내장된 슬라이드 게이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이송부는 35° 내지 40°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자중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낙하지 못하도록 기능하는 논슬립 채널과,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양측에 다수 설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이 체인컨베이어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가림막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레벨드럼은 체인컨베이어의 경사부 타단에 설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경사부의 하부로 안내도록 유도하되, 상기 경사부의 중단에 복수 설치되고, 상기 각 레벨드럼의 파형부 산과 골은 상호간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재차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로터리밸브는 원형챔버와, 상기 원형챔버의 내부 중심에 배치된 회전샤프트에 축설되어 회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블레이드와,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원형챔버의 내주면에 선접촉되는 보조블레이드와, 상기 보조블레이드가 마모시에도 항시적으로 원형챔버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고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는 2개로 분리구성되어 상호 간 요철 결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측면에 연결되는 고탄성스프링에 의해 상호 간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배출호퍼의 상단에는 전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풍을 공급하는 에어자켓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챔버하우징의 일단에는 이물질의 내부충격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개폐판이 결합되고, 상기 챔버하우징의 내부 일측에는 낙하된 잔량의 가연성 폐기물은 회동에 의해 이송부로 재공급하고, 비중이 큰 이물질은 관성에 의해 개폐판으로 유도 배출시키는 아치형태의 회동버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에 따르면,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1차로 정량하고, 연속적으로 가연성 폐기물을 로터리밸브를 통해 2차로 정량할 수 있어 소각로의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각로의 불꽃은 로터리밸브를 통해 역화됨이 방지되고, 배출호퍼를 통해 전열되는 열기는 에어자켓을 통해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열적변화는 익스펜션 조인트를 통해 상쇄시킬 수 있어 장치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이나 광석으로 이루어진 비중이 큰 이물질은 외부로 수거하여 재활용하거나 손쉽게 폐기할 수 있으며, 잔량이 가연성 폐기물은 별도의 수거 없이 완벽히 연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가 소각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이송부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이송부의 배출측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2 또는 도 3에서 발췌된 2개의 레벨드럼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2에서 발췌된 레벨드럼을 확대한 확대 구성도,
도 7은 이송부의 개폐판과 회동버켓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가 소각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이송부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이송부의 배출측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 또는 도 3에서 발췌된 2개의 레벨드럼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발췌된 레벨드럼을 확대한 확대 구성도이고, 도 7은 이송부의 개폐판과 회동버켓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동상 소각로(200)의 완전연소를 위해 소각로(200)의 내부로 SRF(Solid Refuse Fule)와 같은 가연성 폐기물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100)는 이송부(20)로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1차로 정량하고, 연속적으로 가연성 폐기물을 로터리밸브(40)를 통해 2차로 정량함은 물론, 소각로(200)의 불꽃이 역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전열로 인해 장치의 열팽창을 상쇄시킬 수 있어 장치의 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100)는 크게 6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투입호퍼(10)와, 이송부(20)와, 레벨드럼(30)과, 로터리밸브(40)와, 배출호퍼(50)와, 익스펜션 조인트(6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앞서 가연성 폐기물은 파쇄기를 통해 선택적으로 100mm ~ 50mm 크기로 파쇄되어 투입호퍼(10)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재질에 따라 입자 크기를 한정하지 아니하고 달리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후술되는 체인컨베이어(21)에 설치되는 논슬립 채널(211)에 높이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투입호퍼(10)를 통해 공급되는 가연성 폐기물은 하부에 연통된 이송부(20)에 낙하되어 이송된다.
상기 이송부(20)는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체인컨베이어(21)와, 상기 체인컨베이어(21)의 둘레에 설치되는 챔버하우징(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챔버하우징(22)은 체인컨베이어(21)의 둘레에 설치되어 낙하충격 및 비중에 의해 비산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체인컨베이어(21)는 도 3와 같이, 35° 내지 40°로 경사지게 상향 설치되는 경사부(21a)와, 상기 경사부(21a)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부(21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인컨베이어(21)는 경사부(21a)의 각도가 35°이하일 경우에는 가연성 폐기물의 불규칙하게 쌓이거나, 가연성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관성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40°이상일 경우에는 경사면의 경사도에 의해 가연성 폐기물의 정량 이송이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상기 체인컨베이어(21)의 면상에는 가연성 폐기물이 자중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낙하하지 못하도록 폭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논슬립 채널(211)과, 체인컨베이어(21)의 양측에 다수 설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이 체인컨베이어(2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가림막판(212)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챔버하우징(22)의 상부에는 가연성 폐기물이 가림막판(212)의 높이 보다 높게 쌓여 체인컨베이어(2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챔버하우징(22)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 가림막판(212)의 내측까지 하향 연장되는 스커트(22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스커트(221)는 체인컨베이어(21)를 따라 이송하는 가연성 폐기물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겸한다.
상기 레벨드럼(30)은 상기 이송부(20)의 상부에 연설되고,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 높이로 1차 정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레벨드럼(30)의 방사상으로는 도 5와 같이, 다수의 산과 골로 이루어진 파형부(31)가 형성되어 이송부(20)를 따라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높이로 균일하게 정렬 정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형부(31)는 산에 의해 가연성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제거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한다.
이러한 상기 레벨드럼(30)은 도 3와 같이, 체인컨베이어(21)의 경사부(21a) 타단에 설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경사부(21a)의 하부로 안내도록 유도하되, 상기 경사부(21a)의 중단에 복수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레벨드럼(30)의 파형부(31)는 산과 골이 상호 간 엇갈리도록 배치시켜 가연성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재차 제거하여 소각로(200)의 완전 연소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드럼(30)은 상하로 승강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연성 폐기물의 정량 역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로터리밸브(40)는 상기 이송부(20)의 타단에 연설되어 소각로(200) 내의 불꽃 역화를 방지하고, 상기 이송부(20)에서 낙하되는 가연성 폐기물 2차 정량하여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로터리밸브(40)는 도 6과 같이, 원형챔버(41)와, 상기 원형챔버(41)의 내부 중심에 배치된 회전샤프트에 축설되어 회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블레이드(42)와,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42)의 단부에 결합되어 원형챔버(41)의 내주면에 선 접촉되는 쐐기(431)가 형성된 보조블레이드(43)와, 상기 보조블레이드(43)가 마모시에도 항시적으로 원형챔버(41)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42)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고탄성스프링(4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42)는 2개로 분리구성되어 상호 간 요철 결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측면에 연결되는 고탄성스프링(44)에 의해 상호 간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로터리밸브(40)는 회전블레이드(42)를 통해 소각로(200)의 열기를 차단함은 물론, 회전블레이드(42)의 사이로 가연성 폐기물을 2차로 정량할 수 있는 구조이다. 더불어 로터리밸브(40)의 회전속도에 따라 가연성 폐기물의 투입량 역시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블레이드(43)는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원형챔버(41)의 내주면에 선접촉되는 쐐기(431)을 형성하고, 고탄성스프링(44)을 통해 상기 쐐기(431)가 마모될 경우에는 항시적으로 보조블레이드(43)가 원형챔버(41)의 내주면에 선접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60)는 상기 소각로(200)의 전열에 의한 이음 부위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로터리밸브(40)와 배출호퍼(50)의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60)는 전열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는 스텐인레스 주름관(60)으로 이루어져 진동 흡수 및 이음부의 열적 변형을 완충하고 방열의 기능을 겸한다.
상기 배출호퍼(50)는 상기 로터리밸브(40)를 통해 배출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로(200)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배출호퍼(50)의 상단에는 전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풍을 공급하는 에어자켓(80)이 더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에어자켓(80)에는 에어유입구(81)와 에어배출구(82)가 형성되며, 에어배출구(82)로 배출되는 공기는 투입호퍼(10)로 공급시켜 투입호퍼(10) 내의 가연성 폐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상기 챔버하우징(22)의 일단에는 이물질의 내부충격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개폐판(2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챔버하우징(22)의 내부 일측에는 낙하된 잔량의 가연성 폐기물을 회동에 의해 이송부(20)로 재공급하는 회동버켓(223)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회동버켓(223)은 아치 형태로 구성되어 비중이 큰 이물질은 관성에 의해 개폐판(222)으로 유도 배출하고, 비중이 작은 가연성 폐기물은 일시저장시켜 회동에 의해 이송부(20)로 재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금속이나 광석으로 이루어진 비중이 큰 이물질은 외부로 수거하여 재활용하거나 손쉽게 폐기할 수 있으며, 잔량이 가연성 폐기물은 별도의 수거 없이 완벽히 연소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60)와 배출호퍼(50)의 사이에는 장치의 가동을 멈출 경우, 소각로(200)의 열기를 차단할 수 있는 열화판(71)이 내장된 슬라이드 게이트(70)가 더 설치되어 장치를 소각로로 연소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정 크기로 파쇄된 가연성 폐기물은 그리퍼와 같은 집게발로 투입호퍼(10)에 투입시킨다.
투입호퍼(10)로 투입된 가연성 폐기물은 이송부(20)의 체인컨베이어(21) 상부로 낙하된다.
상기 체인컨베이어(21)로 낙하된 가연성 폐기물은 경사부(21a)를 통해 이송되는데, 이 때 상시 가연성 폐기물은 논슬립 채널(211)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이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논슬립 채널(211)은 스프링(211a)에 의해 탄설시켜 가연성 폐기물에 포함된 금속이나 석재와 같은 이물질은 그 무게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경사부(21a)의 경사도에 의해 하부로 유도될 수 있다.
체인컨베이어(21)를 통해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은 체인컨베이어(21)의 중단과 끝단에 복수 설치되는 레벨드럼(30)에 의해 쌓인 높이가 일정하게 1차로 정렬 정량된다.
이 때 상기 레벨드럼(30)의 파형부(31)에 의해 가연성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거되고, 제거된 이물질(석재, 금속 등)은 자체 관성과, 탄설된 논슬립 채널의 회동과, 경사부(21a)의 경사도에 의해 하부로 유도 배출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은 최종적으로 챔버하우징(22)에 힌지 결합된 개폐판(222)을 통해 외부로 자동 반출된다.
그리고 잔량의 일부 가연성 폐기물은 회동버켓(223)에 일시 저장되어, 이 때 상기 가연성 폐기물은 회동버켓(223)의 회동에 의해 이송부(20)로 재공급된다.
이송부(20)를 통해 1차 정량된 가연성 폐기물은 로터리밸브(40)로 낙하되어 2차로 정량된다.
2차로 정량된 가연성 폐기물은 익스펜션 조인트(60)를 거쳐 배출호퍼(50)로 낙하되고, 배출호퍼(50)로 낙하된 가연성 폐기물은 최종적으로 소각로(200)로 공급되어 완전 연소된다.
이 때 소각로(200)의 불꽃은 로터리밸브(40)를 통해 역화됨이 방지되고, 배출호퍼(50)를 통해 전열되는 열기는 에어자켓(80)을 통해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열적변화는 익스펜션 조인트(60)를 통해 상쇄시킬 수 있어 장치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투입호퍼
20: 이송부 21: 체인컨베이어 21a: 경사부
21b: 수평부 211: 논슬립 채널
211a: 스프링 212: 가림막판
22: 챔버하우징 221: 스커트
222: 개폐판 223: 회동버켓
30: 레벨드럼 31: 파형부
40: 로터리밸브 41: 원형챔버 42: 회전블레이드
43: 보조블레이드 431: 쐐기
44: 고탄성스프링
50: 배출호퍼
60: 익스펜션 조인트, 주름관
70: 슬라이드 게이트 71: 열화판
80: 에어자켓 81: 에어유입구 82: 에어배출구
100: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200: 소각로

Claims (7)

  1. 일정크기로 파쇄된 가연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10);
    상기 투입호퍼(10)의 하부에 연통되고, 상기 투입호퍼(10)에서 낙하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20);
    상기 이송부(20)의 상부에 연설되고,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높이로 1차 정량하는 레벨드럼(30);
    상기 이송부(20)의 타측에 연설되어 소각로(200)의 불꽃 역화를 방지하고, 상기 이송부(20)에서 낙하되는 가연성 폐기물 2차 정량하는 로터리밸브(40);
    상기 로터리밸브(40)를 통해 배출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로(200)로 안내하는 배출호퍼(50); 및
    상기 소각로(200)의 전열에 의한 이음부위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로터리밸브(40)와 배출호퍼(50)의 사이에 개재되는 익스펜션 조인트(60);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20)는 둘레에 설치되어 낙하충격 및 비중에 의해 비산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챔버하우징(22)를 갖고,
    상기 레벨드럼(30)의 표면 방사상으로는 다수의 산과 골로 이루어진 파형부(31)가 형성되어 이송부(20)를 따라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일정높이로 균일하게 정렬하고,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60)는 전열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는 주름관(6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호퍼(50)의 상단에는 전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풍을 공급하는 에어자켓(8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는 30° 내지 45°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부(21a)와, 상기 경사부(21a)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부(21b)로 이루어지는 체인컨베이어(21)와, 상기 체인컨베이어(21)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이송되는 가연성 폐기물이 자중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낙하지 못하도록 기능하는 논슬립 채널(211)과, 상기 체인컨베이어(21)의 양측에 다수 설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이 체인컨베이어(2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가림막판(2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드럼은 체인컨베이어(21)의 경사부 타단에 설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경사부의 하부로 안내도록 유도하되,
    상기 경사부(21a)의 중단에 복수 설치되고, 상기 각 레벨드럼(30)의 파형부(31) 산과 골은 상호간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재차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밸브(40)는 원형챔버(41)와, 상기 원형챔버(41)의 내부 중심에 배치된 회전샤프트에 축설되어 회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블레이드(42)와,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42)의 단부에 결합되어 원형챔버(41)의 내주면에 선 접촉되는 쐐기(431)가 형성된 보조블레이드(43)와, 상기 보조블레이드(43)가 마모시에도 항시적으로 원형챔버(41)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42)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고탄성스프링(44)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42)는 2개로 분리구성되어 상호 간 요철 결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측면에 연결되는 고탄성스프링(44)에 의해 상호 간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60)와 배출호퍼(50)의 사이에는 장치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되는 열화판(71)이 내장된 슬라이드 게이트(7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하우징(22)의 일단에는 이물질의 내부충격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개폐판(222)이 결합되고,
    상기 챔버하우징(22)의 내부 일측에는 낙하된 잔량의 가연성 폐기물은 회동에 의해 이송부(20)로 재공급하고, 비중이 큰 이물질은 관성에 의해 개폐판(222)으로 유도 배출시키는 아치형태의 회동버켓(22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KR1020180095568A 2018-08-16 2018-08-16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KR102025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68A KR102025117B1 (ko) 2018-08-16 2018-08-16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68A KR102025117B1 (ko) 2018-08-16 2018-08-16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117B1 true KR102025117B1 (ko) 2019-09-25

Family

ID=6806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568A KR102025117B1 (ko) 2018-08-16 2018-08-16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1167A (zh) * 2020-07-27 2020-10-09 单秋立 一种混凝土生产中粉料取样设备
KR102451035B1 (ko) 2022-02-28 2022-10-06 부성정밀(주) 생활폐기물 전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625B1 (ko) 2014-04-01 2015-09-09 주식회사 슈레텍 가연성 쓰레기 정량 공급장치
KR101583532B1 (ko) * 2015-09-23 2016-01-08 (유) 씨엠에스이엔지 폐기물 정량공급기
KR101722560B1 (ko) * 2015-04-02 2017-04-03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온도유지장치가 구비된 골재 투입호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625B1 (ko) 2014-04-01 2015-09-09 주식회사 슈레텍 가연성 쓰레기 정량 공급장치
KR101722560B1 (ko) * 2015-04-02 2017-04-03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온도유지장치가 구비된 골재 투입호퍼
KR101583532B1 (ko) * 2015-09-23 2016-01-08 (유) 씨엠에스이엔지 폐기물 정량공급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1167A (zh) * 2020-07-27 2020-10-09 单秋立 一种混凝土生产中粉料取样设备
CN111751167B (zh) * 2020-07-27 2023-10-24 宜昌弘林商品砼有限公司 一种混凝土生产中粉料取样设备
KR102451035B1 (ko) 2022-02-28 2022-10-06 부성정밀(주) 생활폐기물 전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4083B2 (ja) 底灰排出装置
US4419330A (en) Thermal reactor of fluidizing bed type
KR102025117B1 (ko) 가연성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KR101214017B1 (ko) 황화철광 및 석탄 분말용 건조식 기계적 컨베이어 플랜트
KR20080081875A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RU2455567C1 (ru)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тилизаци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US3317202A (en) Incinerator
CZ2013266A3 (cs) Rošt pro spalovací zařízení zejména pro spalování pelet na bázi biomasy
JPS62286585A (ja) 廃棄物処理設備
KR100917928B1 (ko) 쌍방향 투입 연소 복합형 소각로
KR102257068B1 (ko) 소성로와 로더밀 선별 및 멀티싸이클론을 이용한 고강도 몰탈용 모래 제조장치와 그 방법
NO154557B (no) Anlegg for forbrenning av tungtforbrennelig gummi- og plastavfall.
US7494079B1 (en) Refuse recycling plant
US4987837A (en) Siftings removal device
KR100743641B1 (ko) 준연속식 소각시스템
EP1001217A1 (en) Waste feeder
JPH0861623A (ja) 廃棄物焼却炉用給じん装置
JPH09170733A (ja) 廃棄物処理設備
KR20200062035A (ko) 고체 연료 공급 장치 및 방법 및 분쇄기, 보일러
JP7245144B2 (ja) ストーカ式焼却炉
CN215997564U (zh) 未燃物的分选装置
JPH08327041A (ja) 焼却装置
Balchunas et al. IMPROVED DEWATERING AND INCINERATION FACILITIES AT THE FIELD'S POINT WWTF
Boley et al. Start-up and Operations of the Mid-Connecticut Resource Recovery Project
KR101300397B1 (ko) 공기공급장치가 연소실의 내부로 설치된 연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