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413A -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 Google Patents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413A
KR20240045413A KR1020220124144A KR20220124144A KR20240045413A KR 20240045413 A KR20240045413 A KR 20240045413A KR 1020220124144 A KR1020220124144 A KR 1020220124144A KR 20220124144 A KR20220124144 A KR 20220124144A KR 20240045413 A KR20240045413 A KR 20240045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al storage
indoor coal
mist
platform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영
하승우
유태우
이상완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4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413A/ko
Priority to PCT/KR2023/013857 priority patent/WO2024071767A1/ko
Publication of KR2024004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4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dust or loosely-baled or loosely-piled materials, e.g. in silos, in chimn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02Apparatus for mixing extinguishants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옥내 저탄장 내에 배치되어 이동되며 저탄장 내의 화재 발생 위험을 감지하여 발화 전 선방재함과 동시에 실제 화재 발생시 소화를 위한 물 및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는 옥내 저탄장 내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드라이 포그를 분사하는 미스트 캐논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미스트 캐논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제1탱크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미스트 캐논부로 공급하기 위한 소화약재가 저장되는 제2탱크부, 상기 베이스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미스트 캐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레일의 주변에 설치된 온도 센서, 화재감지센서 및 불꽃감지센서와 연동되어 기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Apparatus for firefighting machine in coal yard}
본 발명은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옥내 저탄장 내에 배치되어 이동되며 저탄장 내의 화재 발생 위험을 감지하여 발화 전 선방재함과 동시에 실제 화재 발생시 소화를 위한 물 및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화력발전소의 석탄은 석탄 야적장, 즉 저탄장에서 이송, 운반을 위해 리클레이머로 퍼 올려져 컨베이어를 따라 사일로와 같은 저장 공간에 저장된 후 볼밀 등으로 파쇄되어 보일러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많은 분진 등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많은 환경적 불이익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저탄장을 옥내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저탄장 옥내화는 대기환경 개선 측면에서 옥외형 대비 효과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분진 폭발 및 자연발화 발생 위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진압이 어렵다는 맹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옥내 저탄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및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라 규정된 소방설비가 설치되어야 하지만 석탄 분진, 탄진 등에 의한 소화설비 오동작과 스프링 쿨러 헤드에서 방출되는 소화수의 미도달 등이 큰 문제가 되어 현장 여건 상 효율적 화재 예방 및 진압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한편, 옥내 저탄장은 실내라는 환경적 특성상 공기의 순환이 외부에 비하여 원활하지 못하여 공기의 머무름에 의한 열축적으로 인해 자연 발화의 위험성이 더욱 높으며, 옥내에 석탄을 쌓아둘 경우 자연상태에서 온도가 하루 약 2.6도씩 상승하게 되며, 20여일이 지나면 자연발화 임계치인 80도를 넘어 120도까지 달하는 경우가 있어 석탄의 자연발화를 방지하고 발화시 소화를 위한 소방설비 플랫폼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078111호
본 발명은 옥내 저탄장 내에 배치되어 이동되며 저탄장 내의 화재 발생 위험을 감지하여 발화 전 선방재함과 동시에 실제 화재 발생시 소화를 위한 물 및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는 옥내 저탄장 내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드라이 포그를 분사하는 미스트 캐논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미스트 캐논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제1탱크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미스트 캐논부로 공급하기 위한 소화약재가 저장되는 제2탱크부, 상기 베이스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미스트 캐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레일의 주변에 설치된 온도 센서, 화재감지센서 및 불꽃감지센서와 연동되어 기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제어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값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미스트 캐논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되, 어느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취득하는 온도값을 Ta, 다른 어느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취득하는 온도값을 Tb라고 할 때, 상기 온도값(Ta, Tb)에 대해 각각 가중치(Wa, Wb)를 부여하며, 상기 옥내 저탄장 내에 보관되는 물질의 발화 온도가 Tc,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설정값을 Td라고 할 때, Td = (Ta x Wa) + (Tb x Wb) (0 ≤ Wa ≤ 1, 0 ≤ Wb ≤ 1, Wa + Wb = 1) 에 따라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설정값(Td)를 산출하며, Tc ≤ Td 인 경우 상기 상기 옥내 저탄장 내에 보관되는 물질이 발화 직전 상태 또는 발화가 시작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온도값(Ta, Tb)에 대해 각각 가중치(Wa, Wb)를 부여할 때, 두 온도값 중 높은 온도를 Ta, 낮은 온도를 Tb로 설정하며, Wa > Wb가 되도록 상기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는 리클레이머와 동일한 레일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리클레이머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스트 캐논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드라이 포그를 분사하는 분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드라이 포그의 분사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탱크부의 물과 상기 제2탱크부의 소화약재가 혼합되며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탱크부 및 제2탱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레일 상에서 상기 리클레이머의 전후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옥내 저탄장 내에서 리클레이머와 동일한 레일을 사용하는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레일 또는 구조의 설치 없이 종래 옥내 저탄장의 구성을 변경시키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인 소방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값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날씨, 계절 등의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가하여 연산한 값을 기준으로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전 미리 물 등을 분사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 캐논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물 및 소화약재의 분사 방향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제2제어부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물과 소화약재의 비율을 제어하여 드라이 포그의 조성비를 제어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유연한 소방 활동이 가능하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의 구성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의 구성도이며, 이하 본 발명의 구성, 효과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옥내 저탄장 내에 배치되어 이동되며 저탄장 내의 화재 발생 위험을 감지하여 발화 전 선방재함과 동시에 실제 화재 발생시 소화를 위한 물 및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는 베이스부(100), 미스트 캐논부(200), 제1탱크부(300), 제2탱크부(400), 제1제어부(510) 및 제2제어부(520)를 포함한다.
각 구성에 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베이스부(100)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미스트 캐논부(200), 제1탱크부(300), 제2탱크부(400), 제1제어부(510) 및 제2제어부(520)가 탑재되기 위한 몸체를 구성한다.
미스트 캐논부(200)는 발화 방지 및/또는 소화를 위한 드라이 포그 및 물 등을 분사하는 역할을 하며, 제1탱크부(300)에는 이러한 분사를 위한 물이 저장되고, 제2탱크부(400)에는 소화약재가 저장된다.
제1제어부(510)는 베이스부(100)의 이동을 제어하고, 제2제어부(520)는 제1탱크부(300), 제2탱크부(400) 및 미스트 캐논부(200)의 분사를 제어한다.
이하, 이러한 내용을 기초로 각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부(100)는 옥내 저탄장 내 설치되며, 이때 옥내 저탄장 내에 기설치된 레일에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00)는 하측에 레일 상에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부(6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동부(600)는 레일 상에 안착되는 휠(도면부호 없음)과 이를 구동시킬 수 있는 모터(도면부호 없음)를 포함하며, 모터의 작동에 의해 휠이 상기 레일 상에서 회전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0)가 이동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리클레이머가 이동되는 레일과 동일한 레일 상에 배치되며, 이때 소방 활동의 사각 지대 최소화를 위하여 리클레이머의 전후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이동은 제1제어부(510)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때 제1제어부(510)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리클레이머와의 충돌 방지를 위하여 위치 감지 센서 또는 거리 센서 등을 통해 리클레이머와 베이스부(100)가 소정 간격을 유지할 있도록 베이스부(100)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화재 감지시 화재 발생 장소와 가까운 위치로의 베이스부(100)의 이동 또한 제1제어부(510)가 제어한다.
미스트 캐논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 상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예방 또는 이미 화재 발생시 소화를 위하여 물 또는 소화약재 또는 소화약재와 물의 혼합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물 또는 소화약재 또는 소화약재와 물의 혼합물을 통칭하여 드라이 포그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미스트 캐논부(200)는 소방활동을 위해 드라이 포그를 분사하는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스트 캐논부(200)는 베이스부(1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도면부호 없음)와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드라이포그를 분사하는 분사부재(도면부호 없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따라서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연결부재가 회전됨으로써 분사 부재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미스트 캐논부(200)의 작동은 제2제어부(520)에 의해 제어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탱크부(300)는 베이스부(100)상에 설치되며, 미스트 캐논부(200)로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탱크부(300) 내부에는 유량 감지 센서 등이 설치되어 탱크부 내의 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의 잔량이 일정 수위 이하인 경우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제1제어부(510)의 제어에 의해 베이스부(100)가 충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탱크부(300)는 미스트 캐논부(2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펌프(도면부호 없음)을 포함하며, 이러한 물펌프에 의해 제1탱크부(300) 내의 물이 미스트 캐논부(200)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펌프는 후술하겠지만 제2제어부(5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탱크부(400)는 베이스부(100)상에 설치되며, 미스트 캐논부(200)로 공급하기 위한 소화약재가 저장된다. 이러한 제2탱크부(400) 또한 제1탱크부(300)와 동일하게 유량 감지 센서 등이 설치되며, 따라서 소화약재의 잔량에 따라 이를 보충하기 위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탱크부(400)는 미스트 캐논부(200)로 소화약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소화약재펌프(도면부호 없음)을 포함하며, 이러한 소화약재펌프에 의해 제2탱크부(400) 내의 소화약재가 미스트 캐논부(200)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화약재펌프는 제2제어부(5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탱크부(300) 및 제2탱크부(400)에서 미스트 캐논부(200)로의 물 및 소화약재의 공급 제어는 제2제어부(520)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에 관하여는 이하 설명한다.
우선, 저탄장 내 상황에 따라 분사되는 드라이포그의 조성비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말해, 물만 분사하면 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소화약재만을 분사하면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한편, 물과 소화약재가 혼합되어 분사되어야 효율적인 소방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에도 물과 소화약재의 조성비, 즉 배합 배율에 따라 효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배합 배율 또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 물만 분사할 것인지 또는 소화약재만 분사할 것인지 또는 물과 소화약재를 혼합하여 분사할 것인지, 물과 소화약재를 혼합시에는 어떠한 비율로 혼합할 것인지를 제2제어부(520)가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제어부(520)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2제어부(520)가 저탄장 내 온도센서로부터 취득한 온도값에 기초하여 저탄장 내 특정 영역이 발화 직전 상태, 즉 아직 화재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화재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 그 영역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물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아직 화재가 발생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소화약재까지 분사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물펌프만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제어부(520)가 저탄장 내 온도센서로부터 취득한 온도값에 기초하여 저탄장 내 특정 영역이 이미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그 영역을 향해 물과 소화약재를 혼합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물펌프 및 소화약재펌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불꽃의 온도가 매우 높은 경우 소화약재의 비율을 물의 비율보다 높게 설정하는 등 상황에 따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조성비가 달라지도록 물펌프 및 소화약재펌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제어부(520)는 미스트 캐논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전술한바와 같이 미스트 캐논부(200)의 연결부재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드라이포그를 분사할지 말지에 대한 판단 또한 제2제어부(520)가 수행한다. 다시말해, 제2제어부(520)는 레일의 주변에 설치된 온도 센서, 화재감지센서 및 불꽃감지센서로부터 온도값 정보를 취득하여 이와 연동하여 기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 화재 발생 직전인지, 이미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등을 판단하여 미스트 캐논부(200)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2제어부(5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센서로부터 온도값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취득한 온도값 정보를 기초로 화재 발생 직전인지 여부 또는 이미 화재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제2제어부(5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센서로부터 취득한 온도값 정보(Ta, Tb)에 각각 가중치(Wa, Wb)를 할당한다.
이때 저탄장 내 환경, 즉 날씨, 계절, 습도 등의 환경적 요인에 따라 가중치 Wa, Wb는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겨울에는 여름보다 저탄장 내 환경이 건조하고 온도가 낮기 때문에 측정되는 온도값에 이를 보정하기 위한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한편 온도 센서의 메이커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가중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중치는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제2제어부(520)에 별도로 빅데이터 관리 모듈을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가 설치되는 옥내 저탄장의 실제 화재가 발생한 데이터를 모으고,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빅데이터 관리 모듈이 상기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제어부(520)는 취득되는 온도값 중 높은 온도를 Ta로 설정하고, 이에 가중치 Wa를 부여하며, 낮은 온도를 Tb로 설정하고 이에 가중치 Wb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Wa > Wb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온도값이 높은 곳의 발화 위험 정도를 더 높게 보아 가중치를 더 높게 부여함으로써 화재 발생 전 예방하기 위함이다.
제2제어부(520)는 상기 가중치(Wa, Wb)가 부여된 온도값(Ta, Tb)로부터 다음 알고리즘을 통해 화재 발생 여부 또는 화재 발행 위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말해, 제2제어부(5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값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미스트 캐논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취득하는 온도값을 Ta, 다른 어느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취득하는 온도값을 Tb라고 할 때, 상기 온도값(Ta, Tb)에 대해 각각 가중치(Wa, Wb)를 부여하며, 옥내 저탄장 내에 보관되는 물질의 발화 온도가 Tc,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설정값을 Td라고 할 때,
Td = (Ta x Wa) + (Tb x Wb)
(0 ≤ Wa ≤ 1, 0 ≤ Wb ≤ 1, Wa + Wb = 1)
에 따라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설정값(Td)를 산출하며,
Tc ≤ Td
인 경우 상기 상기 옥내 저탄장 내에 보관되는 물질이 발화 직전 상태 또는 발화가 시작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미스트 캐논부(200)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Tc는 석탄의 발화 온도가 되겠지만, 만약 저탄장에 석탄이 아닌 다른 에너지 물질이 저장되는 경우에는 해당 물질의 발화온도에 따라 상기 Tc값이 변화되는 것을 당연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를 적용시킴으로써 옥내 저탄장 내에서 리클레이머와 동일한 레일을 사용하는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레일 또는 구조의 설치 없이 종래 옥내 저탄장의 구성을 변경시키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인 소방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값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날씨, 계절 등의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가하여 연산한 값을 기준으로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전 미리 물 등을 분사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 캐논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물 및 소화약재의 분사 방향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제2제어부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물과 소화약재의 비율을 제어하여 드라이 포그의 조성비를 제어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유연한 소방 활동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베이스부
200 : 미스트 캐논부
300 : 제1탱크부
400 : 제2탱크부
510 : 제1제어부
520 : 제2제어부

Claims (7)

  1.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옥내 저탄장 내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드라이 포그를 분사하는 미스트 캐논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미스트 캐논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제1탱크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미스트 캐논부로 공급하기 위한 소화약재가 저장되는 제2탱크부;
    상기 베이스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미스트 캐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레일의 주변에 설치된 온도 센서, 화재감지센서 및 불꽃감지센서와 연동되어 기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값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미스트 캐논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되,
    어느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취득하는 온도값을 Ta, 다른 어느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취득하는 온도값을 Tb라고 할 때,
    상기 온도값(Ta, Tb)에 대해 각각 가중치(Wa, Wb)를 부여하며,
    상기 옥내 저탄장 내에 보관되는 물질의 발화 온도가 Tc,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설정값을 Td라고 할 때,
    Td = (Ta x Wa) + (Tb x Wb)
    (0 ≤ Wa ≤ 1, 0 ≤ Wb ≤ 1, Wa + Wb = 1)
    에 따라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설정값(Td)를 산출하며,
    Tc ≤ Td
    인 경우 상기 상기 옥내 저탄장 내에 보관되는 물질이 발화 직전 상태 또는 발화가 시작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미스트 캐논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온도값(Ta, Tb)에 대해 각각 가중치(Wa, Wb)를 부여할 때,
    두 온도값 중 높은 온도를 Ta, 낮은 온도를 Tb로 설정하며,
    Wa > Wb
    가 되도록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는 리클레이머와 동일한 레일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리클레이머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캐논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드라이 포그를 분사하는 분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드라이 포그의 분사 방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탱크부 및 제2탱크부는 각각 상기 미스트 캐논부로 물 및 소화약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물펌프 및 소화약재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탱크부의 물과 상기 제2탱크부의 소화약재가 상기 미스트 캐논부로 제공되는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미스트 캐논부에서 분사되는 드라이 포그의 조성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물펌프 및 소화약재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레일 상에서 상기 리클레이머의 전후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KR1020220124144A 2022-09-29 2022-09-29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KR20240045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144A KR20240045413A (ko) 2022-09-29 2022-09-29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PCT/KR2023/013857 WO2024071767A1 (ko) 2022-09-29 2023-09-15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144A KR20240045413A (ko) 2022-09-29 2022-09-29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413A true KR20240045413A (ko) 2024-04-08

Family

ID=9047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144A KR20240045413A (ko) 2022-09-29 2022-09-29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5413A (ko)
WO (1) WO202407176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11B1 (ko) 2019-09-04 2020-02-17 (주)타이가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1963B2 (ja) * 2007-04-06 2013-08-1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加熱炉の板温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070188B1 (ko) * 2010-09-07 2011-10-06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화력발전소 미분기 화재감시시스템
KR101413290B1 (ko) * 2012-10-31 2014-06-3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저탄장의 자연발화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271066B1 (ko) * 2019-09-18 2021-07-01 주식회사 나브텍 포소화약제의 정량 비례 혼합이 가능한 비례혼합장치
KR102194524B1 (ko) * 2020-08-10 2020-12-23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레일 이동식 살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11B1 (ko) 2019-09-04 2020-02-17 (주)타이가 화석연료의 비산방지용 에어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767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1657A (e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050260B1 (ko) 미분무수 분사장치가 탑재된 소형 소방차
US20190001170A1 (en) Hydro fire mitigation system
US6167971B1 (en) Fire Protection system
RU2124376C1 (ru) Система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в ограниченных пространствах, сопло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системе с низким давлением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с помощью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US20190299038A1 (en) Mobile Sprinkler System
US9186532B2 (en) Extinguishing device,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for local firefighting
KR20240045413A (ko) 옥내 저탄장 소방설비 탑재용 플랫폼 장치
US7104334B2 (en) Deployable automatic foaming fire protection system
AU2022202542A1 (en) Preserving Buildings and Other Assets from Bushfires
US20210379429A1 (en) Air Mover Device And Method For Firefighting
KR102194524B1 (ko) 레일 이동식 살수장치
KR102163178B1 (ko) 옥내 저탄장의 비산 먼지 저감 및 화재 예방 시스템
ES2679393T3 (es) Procedimiento para recubrir un panel solar
JP6844843B2 (ja) 放水型泡消火装置及び放水型泡消火方法
CN107929992A (zh) 古建筑防火安全系统
US3669191A (en) Method of fighting a fire
JP2846993B2 (ja) 消火装置
JPH07323094A (ja) 消火用放水機
KR101267421B1 (ko) 드렌처 및 미분무 겸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
ES2342459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extincion de incendios.
WO20231961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ldfire mitigation
US11944856B1 (en) Exterior fire suppression system
JPH10155927A (ja) 防火装置
KR20200074614A (ko) 화재경계지구 타워형 스프링클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