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088B1 -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 Google Patents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088B1
KR102078088B1 KR1020190045994A KR20190045994A KR102078088B1 KR 102078088 B1 KR102078088 B1 KR 102078088B1 KR 1020190045994 A KR1020190045994 A KR 1020190045994A KR 20190045994 A KR20190045994 A KR 20190045994A KR 102078088 B1 KR102078088 B1 KR 102078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
descending
facility
ped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길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승환 filed Critical 길승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2Chutes; Helter-skelters with special cars, e.g. hors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발지점부터 도착지점까지 설치된 공중시설을 이용하여 중력하강하는 하강장치의 하강속도를 체험자가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도착지점으로의 안전한 진입과 함께 공중시설 내에 하강장치가 정지할 시, 체험자가 페달링을 실시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중력하강에 따른 체험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안전사고로부터 체험자 스스로 탈출 및 제어하여 도착지점에 대한 미도착 또는 과진입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AERIAL MOBILITY EXPERIENCE FACILITY CAPABLE OF GRAVITY DESCENT AND ASCENDING PEDALING}
본 발명은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장소나 고층 시설물로 구성된 출발지점으로부터 낮은 장소나 저층 시설물로 구성된 도착지점까지 설치된 와이어 케이블 또는 트랙레일을 이용하여, 체험자의 탑승장치가 중력에너지로 인해 경사면을 내려오는 체험과 함께 탑승장치의 페달링에 의해 도착지점까지 이동함으로써 공중 이동체험 시설에서의 재미와 스릴의 체험이 가능한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에 관한 것이다.
고층 시설물에서 저층 시설물로 이동가능 하도록 와이어 또는 트랙라인이 공중에 설치되며, 중력에 의해 위치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을 이용하여 체험자가 탑승장치에 탑승하거나 하네스(harness)와 같은 안전장치에 의해 이동하여 체험하는 것이 가능한 체험시설이 존재한다.
이러한 체험시설은 공중에 설치되는 장치에 그 종류가 달라지는데 스틸구조물인 트랙라인으로 구성되는 롤러코스터 형식의 플라이라인, 롤러코스터 짚라인, 아바타원과, 케이블 또는 와이어어로 구성되는 짚라인, 짚와이어로 구성된다.
또한 시설이 설치되는 장소나 케이블, 파이프 등의 공중시설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시설들이 존재한다.
상기 시설물의 공통점으로는 출발지점이 도착지점보다 높은 지형 또는 시설물로 구성되어, 공중에 설치된 공중시설을 따라 한 명 또는 다수 명이 탑승 가능한 장치에 탑승하여, 공중시설의 경사구간을 따라 도착지점까지 중력 하강하여 이동하게 되며, 도착지점에 다다르게 되면 적절한 제동 시스템을 거쳐 체험자가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는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시설을 통하여 중력하강하게 되는 체험자는 케이블이나 파이프와 같은 공중시설을 따라 이동할 시에 스릴감이 발생됨과 동시에 안전한 하강체험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최근까지 수많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즉 공중시설을 통해 하강체험하는 체험자가 도착지점에 진입할 시에 하강속도를 감속시켜야 하지만, 체험자의 조작실수로 인해 적절한 시점에서의 감속이 이루어지지 않아 도착지점에서 체험자가 충돌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공중시설의 경사구간을 따라 중력하강 시에 적절한 하강속도가 발생하지 못하여 도착지점에 도착하지 못한 채, 체험자가 공중시설에 정지하여 매달린 채 구조를 기다려야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기온변화가 큰 국내의 날씨특성으로 인해 공중시설이 수축 또는 팽창하게 되어 도착지점에 진입하지 못하거나 과진입하게 되어 체험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중시설을 이용하여 중력하강하게 되는 체험자는 중력하강되는 동안 스스로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써, 체험자는 중력하강 중에 발생되는 문제점으로부터 능동적으로 상황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까지 설치된 공중시설을 따라 중력하강하게 되는 체험자가 안전하게 도착지점까지 진입하여 정지할 수 있으며, 체험자가 중력하강 중에 공중시설에 정지되어 매달리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기온변화에 따라 공중시설의 텐선(tension)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858441호 (2018.07.31. 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험자가 공중시설을 통하여 중력하강 시에 하강장치의 제동장치를 이용하여 임의제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하강장치의 페달링에 의해 공중시설 내 자력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체험자의 자력에 의한 속도조절을 통하여 도착지점까지 안전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발지점의 체험 시설부(100a)가 도착지점의 체험 시설부(100b) 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성되는 체험 시설부(100)와, 상기 출발지점의 체험 시설부(100a)와 도착지점의 체험 시설부(100b)를 연결하며, 복수개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공중 시설부(200)와, 상기 체험 시설부(100)에 구성되며, 공중 시설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공중 시설부(200)의 텐션(tension)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제어장치부(300)와, 체험자가 탑승하여 상기 공중 시설부(200)에 의해 출발지점으로부터 도착지점까지 중력하강 하는 것이 가능한 하강장치부(400) 및 일측단부는 상기 하강장치부(400)에 탑승한 체험자의 신체에 결속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공중 시설부(200)에 결속되어지는 안전장치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중 시설부(200)는 상부에 상기 하강장치부(400)가 안착되어지는 메인 와이어(210)와, 상기 제1 와이어(210)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상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는 제2 와이어(220) 및 상기 제2 와이어(220)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상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는 제3 와이어(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2, 3 와이어(210, 220, 230)는 출발지점의 체험 시설부(100a)와 도착지점의 체험 시설부(100b)를 직선으로 연결하며, 좌우양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메인 케이블(211, 221, 231)과, 좌우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메인 케이블(211, 221, 231)의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평면의 형상이 반원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 케이블(212, 222, 2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제어장치부(300)는 체험 시설부(1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수직 구조물(110)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되, 좌우양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한쌍으로 설치되는 브라켓부(310)와, 상기 한쌍의 브라켓부(310)의 사이에 구성되는 수평유지 브라켓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 구조물(110)의 수직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으로 돌출되는 브라켓 몸체부(311)와, 상기 브라켓 몸체부(311)의 좌우면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성되는 관통공(312)과,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312) 중 하나에 결합되며, 장력조절부(314)의 전후방향에 각각 결합되어 한쌍으로 구성되는 U형 브라켓부(313)와, 상기 브라켓 몸체부(311)의 소정의 위치에는 수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ㄱ자 형상의 회전구간 진입 브라켓부(315) 및 상기 회전구간 진입 브라켓부(315)에 구성되어 공중 시설부(200)의 제2 와이어(220)의 진행방향을 수직으로 변경하는 복수개의 도르래부(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와이어(220)의 끝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장력조절부(314)에 의해 상기 제2 와이어(220)의 텐션(tension)이 조절되어지는 장력조절 와이어부(317)와, 상기 제2 와이어(220)의 끝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일측단부는 상기 제2 와이어(220)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체험 시설부(100)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철판(319)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고정부(3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강장치부(400)는 제1 와이어(210)에 안착되어지며 전후방향으로 위치되어 한쌍으로 구성되도록 휠 부재(410)와, 상기 한쌍의 휠 부재(410)를 연결하는 프레임부재(420)와, 상기 프레임부재(42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어 체험자에 의해 조작되어지는 하강장치 조작부(430)와, 상기 프레임부재(420)의 하측단부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 체험자에 의한 상기 휠 부재(410)의 조작이 가능한 페달링부(440)와, 상기 프레임부재(420)의 타측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 와이어(220)와 결합되며, 상기 하강장치부(400)의 좌우균형이 유지되어지는 균형유지부(450) 및 상기 균형유지부(45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제2 와이어(220)를 따라 이동가능한 와이어 이동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휠 부재(410)는 원판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재(411)와, 상기 몸체부재(411)의 둘레부에는 내부에 제1 와이어(210)가 안착되어지는 U형 형상의 오목홈으로 형성된 와이어 안착부(412)와, 상기 휠 부재(410)의 하측단부와 제1 와이어(210)를 내부에 감싸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이탈방지 브라켓부(413)와, 상기 휠 부재(410)의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 하강장치부(400)의 하강속도가 제어되는 제동장치 디스크부(414) 및 상기 휠 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되어 자가발전이 가능한 자가발전부(4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강장치 조작부(430)는 체험자의 양손이 지지되는 손잡이부(431)와, 제동장치 디스크부(414)의 작동을 제어하여 하강장치부(400)의 하강속도가 제어되는 제동장치부(432)를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하강장치부(400)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경고음 발생부(433) 및 조명 발생부(434)와, 후방으로 접근하는 다른 하강장치부(400)의 위치를 확인하는 사이드 미러부(4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이동부(460)는 제2 와이어(220)를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한쌍의 몸체부(461) 및 상기 한쌍의 몸체부(461)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2 와이어(220)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되어지는 회전롤러(4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장치부(500)는 체험자의 신체에 결속되어지는 안전조끼부(510)와, 상기 안전조끼부(5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2 와이어(220)에 안착되어지는 와이어 이동부(460)의 하측단부에 결합되되, 체험자의 신체크기에 대응되어 길이조절부(521)를 이용하여 길이조절 가능한 제1 안전 백업장치부(520) 및 상기 안전조끼부(5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3 와이어(230)에 안착되어지는 와이어 이동부(460)의 하측단부에 결합되되, 체험자의 신체크기에 대응되어 길이조절부(531)를 이용하여 길이조절 가능한 제2 안전 백업장치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강장치부(400)의 하측단부에는 상기 공중 시설부(200)로부터 균형유지를 위한 균형유지 발생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균형유지 발생부(600)는 양측단부가 상기 하강장치부(400)에 구성된 한쌍의 휠 부재(410)의 와이어 이탈방지 브라켓부(413)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균형유지 프레임부(610)와, 상기 균형유지 프레임부(610)의 소정의 위치에는 균형유지 프레임부(610)와 수직으로 구성되어 회전가능한 회전핀(620)과, 자가발전부(415)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회전핀(620)을 중심으로 회전 디스크(631)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체험자의 탑승이 가능하며, 공중 시설부(200)에 의해 출발지점으로부터 도착지점까지의 중력하강 및 페달링이 가능한 라이더형 하강장치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더형 하강장치부(700)는 강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그늘막(711)이 구성되는 프레임부(710)와, 체험자가 안착하여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21) 및 이동속도를 감속하는 제동장치(722)로 구성되어 시트부(720)와, 체험자에 의해 회전되는 페달(731)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동력전달부(732)로 전달되는 페달링부(730)와, 상기 동력전달부(732)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제2 와이어(220)를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장치부(74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장치부(740)는 상기 프레임부(710)의 상측단부에 지지고정되는 몸체부(741)와, 상기 몸체부(741)의 소정의 위치에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와이어(220)의 상측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한쌍의 회전바퀴부(742)와, 상기 한쌍의 회전바퀴부(74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도록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링크부(7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출발지점부터 도착지점까지 설치된 공중시설을 이용하여 중력하강하는 하강장치의 하강속도를 체험자가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도착지점으로의 안전한 진입과 함께 공중시설 내에 하강장치가 정지할 시, 체험자가 페달링을 실시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중력하강에 따른 체험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안전사고로부터 체험자 스스로 탈출 및 제어하여 도착지점에 대한 미도착 또는 과진입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의 케이블 제어장치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도 3에 따른 케이블 제어장치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의 하강장치부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의 하강장치부의 정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의 하강장치부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의 라이더형 하강장치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공중 이동체험 시설은 체험 시설부(100), 공중 시설부(200), 케이블 제어장치부(300), 하강장치부(400) 및 안전장치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체험 시설부(100)는 수직 구조물(110)과 수평 구조물(120)로 구성되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체험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험 시설부(100)는 체험자가 출발하는 출발지점과 체험자의 체험이 완료되어 도착하는 도착지점에 각각 구성되어지는데, 출발지점에 구성된 체험 시설부(100a)는 도착지점에 구성된 체험 시설부(100b) 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험 시설부(100)는 출발지점의 체험 시설부(100a)와 도착지점의 체험 시설부(100b)는 공중 시설부(200)가 연결되어진다.
상기 공중 시설부(200)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구성되며, 일측단부는 출발지점의 체험 시설부(100a)에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도착지점의 체험 시설부(100b)에 연결되어진다. 이때 상기 출발지점의 체험 시설부(100a)의 높이가 도착지점의 체험 시설부(100b) 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성되어짐으로써 상기 공중 시설부(200)는 소정의 경사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중 시설부(200)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구성되어지는데, 체험자가 탑승하는 하강장치부(400)가 안착되어지는 제1 와이어(210)와, 상기 제1 와이어(210)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와이어(220) 및 상기 제2 와이어(220)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와이어(2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2, 3 와이어(210, 220, 230)는 좌우양측에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어지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지점의 체험 시설부(100a)와 도착지점의 체험 시설부(100b)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메인 케이블(211, 221, 23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케이블(211, 221, 231)의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평면에서의 형상이 반원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 케이블(212, 222, 232)로 구성된다.
상기 공중 시설부(2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제어장치부(300)에 의해 체험 시설부(100)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케이블 제어장치부(300)는 한쌍의 브라켓부(310)와 수평유지 브라켓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한쌍의 브라켓부(310)는 체험 시설부(1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수직 구조물(110)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지는데, 좌우양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수평유지 브라켓부(320)는 한쌍으로 구성된 브라켓부(310)의 사이에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부(310)는 상기 수직 구조물(110)의 수직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으로 돌출되어지는 브라켓 몸체부(311)가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 몸체부(311)에는 좌우면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312)이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312) 중 하나에는 U자 형상의 U형 브라켓부(313)가 결합되어지는데, 상기 U형 브라켓부(313)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력조절부(314)의 전후방향에 각각 결합되어 한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력조절부(314)는 사용 목적에 따라 회전식 턴버클 와이어로 구성되거나, 전자식 장치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U형 브라켓부(313)와 결합되어지는 장력조절부(314)는 회전식 턴버클 와이어로 구성되어지며, 와이어에 단독으로 결합되어지는 장력조절부(314)는 전자식 장치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장력조절부(314)의 전후방향에 결합된 U형 브라켓부(313) 중에서 후방 방향에 구성된 U형 브라켓부(313)는 관통공(312)에 결합되어지고, 전방 방향에 구성된 U형 브라켓부(313)는 공중 시설부(200)의 일측단부와 결합되어진다.
즉 상기 장력조절부(314)와 한쌍의 U형 브라켓부(313)는 일체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한쌍의 U형 브라켓부(313) 중에서 전방 방향에 구성된 U형 브라켓부(313)는 공중 시설부(200)와 결합되어짐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314)를 이용하여 공중 시설부(200)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브라켓 몸체부(311)의 소정의 위치에는 브라켓 몸체부(311)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ㄱ자 형상의 회전구간 진입 브라켓부(315)가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부(315)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됨, 상기 관통공에는 도르래부(316)가 복수개로 구성되어 결합된다.
상기 도르래부(316)는 공중 시설부(200)의 제2 와이어(220)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와이어(220)의 진행방향을 수직방향으로 변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진행방향이 수직방향으로 변경된 제2 와이어(220)의 끝단부는 자유단부로 구성되는데,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와이어(220)의 끝단부에는 장력조절 와이어(317) 및 복수개의 와이어 고정부(318)가 결합되어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체험 시설부(100)의 바닥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고정철판(319)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철판(319)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317) 및 복수개의 와이어 고정부(318)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317)의 소정의 위치에는 전자식 장치로 구성된 장력조절부(314)가 구성된다. 그러나 발명의 사용환경 및 실시예에 따라 회전식 턴버클 와이어로 변경하여 사용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고정부(318)는 쇠사슬로 구성되어짐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220)가 안정적으로 체험 시설부(100)에 결합되어진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블 제어장치부(300)는 공중 시설부(200)의 양측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공중 시설부(200)가 기온의 변화에 따라 변경되는 텐션(tension)에 대응되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항상 일정한 텐션(tension)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유지 브라켓부(320)은 일측단부는 상기 수직 구조물(110)의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연결 케이블(212, 222, 232)이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수평유지 브라켓부(320)는 상기 연결 케이블(212, 222, 232)이 안정적으로 수평유지가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부(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하강장치부(400)는 제1 와이어(210)에 안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한쌍의 휠 부재(410)가 구성된다.
상기 휠 부재(410)는 원판 디스크 형상의 몸체부재(411)가 구성된다. 이때 휠 부재(410)의 자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관통공이 추가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재(411)의 둘레면에는 제1 와이어(210)에 안착되어지도록 오목홈이 형성되어지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와이어(21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U형 형상의 와이어 안착부(41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휠 부재(410)의 하측단부에는 제1 와이어(210)를 내부에 감싸도록 와이어 이탈방지 브라켓부(413)가 구성되어짐에 따라, 하강장치부(400)가 상기 제1 와이어(210)로부터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휠 부재(410)에는 제1 와이어(210)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장치부(400)의 하강속도가 제어되도록 제동장치 디스크부(414)가 구성되며, 상기 휠 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되어 자가발전됨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자가발전부(415)를 추가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동장치 디스크부(414)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며, 체험자의 조작에 따라 중심방향로 조여지듯 이동되어 상기 휠 부재(410)의 몸체부재(411)를 양쪽에서 가압하게 됨에 따라 휠 부재(4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한쌍의 휠 부재(410)는 프레임부재(420)의 하측단부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재(420)의 일측부에는 하강장치부(400)에 탑승한 체험자에 의해 조작되어지도록 하강장치 조작부(430)가 구성된다.
상기 하강장치 조작부(430)는 체험자의 양손이 지지되는 손잡이부(431)가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431)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제동장치 디스크부(414)를 제어하는 제동장치부(43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강장치 조작부(430)에는 이상상황 발생시 하강장치부(400)의 위치를 외부로 알리기 위하여 경고음이 발생되는 경고음 발생부(433)와 함께 조명 발생이 가능한 조명 발생부(434)를 구성한다.
즉 이상상황 발생으로 인해 상기 하강장치부(400)가 공중 시설무(200)의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게 되면, 상기 경고음 발생부(433)와 조명 발생부(434)를 이용하여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여 신속한 상황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체험자가 탑승하게된 하강장치부(400)의 후방으로 접근하게 되는 또 다른 하강장치부(400)의 위치를 가능한 사이드 미러부(435)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공중시설물(200)을 따라 하강하는 복수개의 하강장치부(400)의 안전거리의 유지가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부재(420)의 하측단부 소정의 위치에는 휠 부재(41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체험자로 의해 작동 가능한 페달링부(440)가 구성된다.
상기 페달링부(440)는 공중 시설부(200)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장치부(400)에 적절한 하강속도가 발생하지 못하여 도착지점에 도착하지 못하고 정지하였거나, 도착지점에서 출발지점으로 형성된 오르막 경사로를 따라 이동할 경우, 체험자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페달링부(440)로 인해 휠 부재(410)가 함께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여 하강장치부(400)가 체험자에 의해 스스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체험자에 의해 하강장치부(400)가 공중 시설부(200)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하강장치부(400)가 도착지점에 미도착하거나 오르막이 형성된 상행구간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420)의 타측단부에는 하강장치부(400)의 좌우균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균형유지부(450)가 구성된다.
상기 균형유지부(450)의 일측단부는 상기 프레임부재(420)에 결합되어지고, 타측단부에는 와이어 이동부(460)가 구성되어 상기 제2 와이어(220)와 결합되어진다.
상기 와이어 이동부(46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와이어(220)를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한쌍의 몸체부(461)가 구성되며, 상기 한씽의 몸체부(461) 사이에는 상기 제2 와이어(220)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회전롤러(462)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롤러(462)는 제2 와이어(22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도록 오목한 U형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제2 와이어(22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진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이동부(460)를 통하여 구성된 균형유지부(450)는 제1 와이어(220)에 안착된 하강장치부(400)의 좌우균형을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체험자가 공중 시설무(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균형을 유지하며 공중 이동체험 시설을 체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부(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안전장치부(500)는 체험자의 신체에 결속되는 안전조끼부(510)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전조끼부(510)를 조끼 형상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발명이 실시되는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조끼, 안전벨트, 하네스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전조끼부(510)는 제1 안전 백업장치부(520) 및 제2 안전 백업장치부(530)를 통하여 제2, 3 와이어(220, 230)에 구성된 와이어 이동부(460)와 각각 결합되어짐으로써 안전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제1, 2 안전 백업장치부(520, 530)는 상기 안전조끼부(5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 와이어(220)와 제3 와이어(230)에 각각 안착된 와이어 이동부(460)의 하측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체험자의 신체크기에 대응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2 안전 백업장치부(520, 530)의 소정의 위치에는 길이조절부(521, 531)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전장치부(500)로 인해 체험자는 하강장치부(400)로부터 이탈하여도 공중 시설부(200)에 지지됨에 따라, 바닥으로 추락하지 않아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하강장치부(400)의 하측단부에는 균형유지 발생부(60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균형유지 발생부(600)는 균형유지 프레임부(610), 회전핀(620) 및 회전모터(6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균형유지 프레임부(610)는 양측단부가 상기 하강장치부(400)에 구성된 한쌍의 휠 부재(410)의 와이어 이탈방지 브라켓부(413)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강장치부(400)의 무게중심에 해당하는 위치, 즉 균형유지 프레임부(610)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균형유지 프레임부(610)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630)에 의해 회전가능한 회전핀(620)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모터(630)는 상기 자가발전부(415)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공급받게되며, 상기 회전핀(6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631)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회전 디스크(631)가 회전모터(630)에 의해 회전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하강장치부(400)는 공중 시설부(200)로부터 균형유지가 가능하여 체험자가 공중 이동체험 시설을 더욱 안전하게 이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중 이동체험 시설을 통하여 체험자에 의해 하장장치부(400)의 하강속도가 제어됨으로써, 체험자의 공중 이동 체험시간을 조절하여 주변경관의 조망을 즐기는 것이 가능하며, 도착지점으로부터 하강장치부(400)가 미진입하거나 과진입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하게 공중 이동체험 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정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형 하강장치부(7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라이더형 하강장치부(700)는 1인 또는 2인으로 구성되어 탑승가능하며, 제2 와이어(220)의 상면에 안착되어 중력을 이용해 하강되거나 탑승자의 페달링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와이어(220)는 하강장치부(700)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금속의 레일로 대체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라이더형 하강장치부(700)는 강관 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부(710)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탑승한 체험자에게 그늘을 제공하는 그늘막(711)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710)에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시트부(720)가 구성되어 체험자가 탑승하게 되며, 체험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신체고정용 안전벨트가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부(72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는 체험자가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721)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721)의 소정의 위치에는 체험자에 의해 라이더형 하강장치부(700)의 이동속도가 저감되도록 조절가능한 제동장치(722)를 구성한다.
상기 시트부(720)에 탑승한 체험자는 상기 프레임부(710)의 상측부에 구성된 페달링부(730)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동장치(722)를 통해 체험자가 원하는 적절한 이동속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동장치(722)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페달링부(730)는 자전거 페달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동력이 발생하게 되며, 프레임부(710)의 상측단부에 구성된 이동장치부(74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페달링부(730)에는 체험자에 의해 회전되는 페달(731)이 구성되며, 상기 페달(731)이 회전되어 동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페달(731)과 연결된 동력전달부(732)로 해당 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732)는 링크체인 또는 밴드와 같은 원형의 띠로 구성되며, 외부에 노출될 경우 체험자의 의류나 신체, 낙엽과 같은 오염물질로 인한 끼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 커버를 추가로 구성한다.
상기 동력전달부(732)는 일측단부가 페달링부(730)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이동장치부(740)에 결합된다. 상기 페달(731)이 체험자에 의해 회전되면 동력전달부(732)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동력전달부(7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부(740)에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2 와이어(220)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장치부(740)는 하측단부가 프레임부(710)의 상측단부에 결합되는 몸체부(741)를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741)의 소정의 위치에는 복수개의 회전바퀴부(742)를 구성한다.
상기 회전바퀴부(742)는 제2 와이어(220)의 상측에 안착되어 회전되어지는데, 이때 밴드 형상의 링크부(743)에 의해 복수개의 회전바퀴부(742)가 서로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페달(731)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동력은 동력전달부(732)를 통해 이동장치부(740)로 전달되는데, 상기 이동장치부(740)에 구성된 복수개의 회전바퀴부(742) 중 하나 이상의 회전바퀴부(742)를 회전시키게 되며, 링크부(743)에 의해 복수개로 구성된 회전바퀴부(742)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되며, 제2 와이어(220)를 따라 라이더형 하강장치부(700)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장치부(740)에는 상기 제동장치(722)로부터 발생되는 제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바퀴부(742)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브레이크부(미도시)가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부는 체험자가 제동장치(722)를 작동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면, 브레이크부의 디스크 패드가 상기 회전바퀴부(742)의 양측단부를 내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바퀴부(742)의 회전속도를 서서히 감속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레이크부를 가압식 패드를 이용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유압식 브레이크, 마그네틱 브레이크 등 다양한 제동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라이더형 하강장치부(700)를 통하여 체험자는 제2 와이어(220)를 따라 중력을 이용하여 하강하게 되거나, 페달링을 통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동장치(722)를 통해 체험자가 원하는 적절한 이동속도 조절이 가능하여 주변의 경치를 감상하게 공중 이동체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체험 시설부 200 : 공중 시설부
300 : 케이블 제어장치부 400 : 하강장치부
500 : 안전장치부 600 : 균형유지 발생부
700 : 라이더형 하강장치부

Claims (8)

  1. 수직 구조물(110)과 수평 구조물(120)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며, 출발지점의 체험 시설부(100a)가 도착지점의 체험 시설부(100b) 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성되는 체험 시설부(100)와, 상기 출발지점의 체험 시설부(100a)와 도착지점의 체험 시설부(100b)를 연결하며, 소정의 경사각도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공중 시설부(200)와, 상기 체험 시설부(100)에는 공중 시설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공중 시설부(200)의 텐션(tension)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제어장치부(300)와, 체험자가 탑승하여 공중 시설부(200)에 의해 출발지점으로부터 도착지점까지 중력하강이 가능한 하강장치부(400) 및 체험자의 신체에 결속되는 안전장치부(500)를 포함하는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에 있어서,
    상기 공중 시설부(200)는
    상부에 하강장치부(400)가 안착되는 제1 와이어(210)와, 상기 제1 와이어(210)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상부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와이어(220) 및 상기 제2 와이어(220)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상부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와이어(2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 3 와이어(210, 220, 230)는
    출발지점의 체험 시설부(100a)와 도착지점의 체험 시설부(100b)를 서로 연결하며, 좌우양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메인 케이블(211, 221, 231)과, 상기 메인 케이블(211, 221, 231)의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평면의 형상이 반원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 케이블(212, 222, 232)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제어장치부(300)는
    체험 시설부(11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수직 구조물(110)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되, 좌우양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한쌍으로 설치되는 브라켓부(310)와, 상기 한쌍의 브라켓부(310)의 사이에 구성되어 연결 케이블(212, 222, 232)의 수평유지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평유지 브라켓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부(310)는
    상기 수직 구조물(110)의 수직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으로 돌출되는 브라켓 몸체부(311)와, 상기 브라켓 몸체부(311)에는 좌우면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따라 복수개로 구성되는 관통공(312)과,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312) 중 하나에 결합되며, 장력조절부(314)의 전후방향에 각각 결합되어 한쌍으로 구성되는 U형 브라켓부(313)와, 상기 브라켓 몸체부(311)의 소정의 위치에는 수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ㄱ자 형상의 회전구간 진입 브라켓부(315)와, 상기 회전구간 진입 브라켓부(315)에 구성되며, 상기 제2 와이어(220)가 삽입되어 제2 와이어(220)의 진행방향을 수직으로 변경하는 복수개의 도르래부(316)와, 상기 제2 와이어(220)의 끝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장력조절부(314)에 의해 상기 제2 와이어(220)의 텐션이 조절되어지는 장력조절 와이어부(317) 및 상기 제2 와이어(220)의 끝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일측단부는 상기 제2 와이어(220)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체험 시설부(100)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철판(319)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고정부(318)를 포함하며,
    하강장치부(400)의 하측단부에는 상기 공중 시설부(200)에 안착된 하강장치부(400)의 균형유지를 위한 균형유지 발생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균형유지 발생부(600)는
    양측단부가 상기 하강장치부(400)에 구성된 한쌍의 휠 부재(410)의 와이어 이탈방지 브라켓부(413)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균형유지 프레임부(610)와, 상기 균형유지 프레임부(610)의 소정의 위치에는 균형유지 프레임부(610)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 회전가능한 회전핀(620)과, 자가발전부(415)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회전핀(620)을 중심으로 회전 디스크(631)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장치부(400)는
    제1 와이어(210)의 상부에 안착되어지며 전후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한쌍의 휠 부재(410)와, 상기 한쌍의 휠 부재(410)를 연결하는 프레임부재(420)와, 상기 프레임부재(42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어 체험자에 의해 조작되는 하강장치 조작부(430)와, 상기 프레임부재(420)의 하측단부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 체험자에 의한 휠 부재(410)의 조작이 가능한 페달링부(440)와, 상기 프레임부재(420)의 타측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 와이어(220)와 결합되며, 하강장치부(400)의 좌우균형이 유지되는 균형유지부(450)와, 상기 균형유지부(45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제2 와이어(220)를 따라 이동가능한 와이어 이동부(460)를 포함하며,
    상기 휠 부재(410)는
    원판 디스크 형상의 몸체부재(411)와, 상기 몸체부재(411)의 둘레부에는 제1 와이어(210)가 안착되어 지도록 제1 와이어(21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U형 형상의 오목홈으로 형성된 와이어 안착부(412)와, 상기 휠부재(410)의 하측단부에는 제1 와이어(210)를 내부에 위치하도록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와이어 이탈방지 브라켓부(413)와, 상기 휠 부재(410)의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 하강장치부(400)의 하강속도가 제어되는 제동장치 디스크부(414) 및 상기 휠 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되어 자가발전이 가능한 자가발전부(415)를 포함하며,
    상기 하강장치 조작부(430)는
    체험자의 양손이 지지되는 손잡이부(431)와, 상기 손잡이부(431)의 소정의 위치에는 제동장치 디스크부(414)를 제어하여 하강장치부(400)의 하강속도가 제어되는 제동장치부(432)와, 외부로부터 하강장치부(400)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경고음 발생부(433) 및 조명 발생부(434)와, 체험자가 탑승한 하강장치부(400)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또 다른 하강장치부(4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사이드 미러부(4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이동부(460)는
    제2 와이어(220)를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한쌍의 몸체부(461) 및 상기 한쌍의 몸체부(461) 사이에 구성되어 제2 와이어(220)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제2 와이어(22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오목한 U형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회전롤러(4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부(500)는
    체험자의 신체에 결속되어지는 안전조끼부(510)와, 상기 안전조끼부(5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2 와이어(220)에 안착되어지는 와이어 이동부(460)의 하측단부에 결합되되, 체험자의 신체크기에 대응되어 길이조절부(521)를 이용하여 길이조절 가능한 제1 안전 백업장치부(520) 및 상기 안전조끼부(5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2 와이어(230)에 안착되어지는 와이어 이동부(460)의 하측단부에 결합되되, 체험자의 신체크기에 대응되어 길이조절부(531)를 이용하여 길이조절 가능한 제2 안전 백업장치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5. 제 1 항에 있어서,
    체험자의 탑승이 가능하며, 공중 시설부(200)에 의해 출발지점으로부터 도착지점까지의 중력하강 및 페달링이 가능한 라이더형 하강장치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형 하강장치부(700)는
    상부에 그늘막(711)을 구성하는 프레임부(710)와, 체험자가 안착하여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21) 및 이동속도를 감속하는 제동장치(722)로 구성되는 시트부(720)와, 체험자에 의해 회전되는 페달(731)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동력전달부(732)로 전달되는 페달링부(730)와, 상기 동력전달부(732)에 의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제2 와이어(220)를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장치부(74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장치부(740)는
    프레임부(10)의 상측단부에 지지고정되는 몸체부(741)와, 상기 몸체부(741)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2 와이어(220)의 상단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한쌍의 회전바퀴부(742)와, 상기 한쌍의 회전바퀴부(74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도록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링크부(7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7. 삭제
  8. 삭제
KR1020190045994A 2018-09-20 2019-04-19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KR102078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623 2018-09-20
KR20180112623 2018-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088B1 true KR102078088B1 (ko) 2020-04-07

Family

ID=7029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994A KR102078088B1 (ko) 2018-09-20 2019-04-19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0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644B1 (ko) * 2021-01-26 2021-05-28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사이클의 타워 구조
KR102402956B1 (ko) * 2021-11-24 2022-05-30 (주)신흥이앤지 안장 회전 방향에 따라 주행방향이 선택되는 양방향 하늘 자전거
KR102517846B1 (ko) * 2022-07-07 2023-04-05 어드벤처 주식회사 직선형 및 곡선형 혼합 구조의 연속빌레이 시스템
KR102598990B1 (ko) 2023-01-13 2023-11-06 어드벤처 주식회사 에코라이더의 텐션 조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912A (ja) * 2000-12-13 2002-06-26 Nikkari Co Ltd 吊架式自転車
KR101260591B1 (ko) * 2011-05-04 2013-05-06 김성훈 셔틀의 만곡부위 통과장치
CN203281021U (zh) * 2013-05-28 2013-11-13 诸暨市新飞娱乐设备制造厂 一种用于游乐的休闲脚踏车
KR101627291B1 (ko) *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CN107472260A (zh) * 2017-09-05 2017-12-15 上海鹿釜科技发展有限公司 索道自行车
KR101839530B1 (ko) * 2017-02-16 2018-03-16 최재영 보드형 짚라인
KR101858441B1 (ko) 2010-07-01 2018-05-17 알리손 트랜스미션, 인크. 하이브리드 전기 장치를 냉각하는 모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912A (ja) * 2000-12-13 2002-06-26 Nikkari Co Ltd 吊架式自転車
KR101858441B1 (ko) 2010-07-01 2018-05-17 알리손 트랜스미션, 인크. 하이브리드 전기 장치를 냉각하는 모드
KR101260591B1 (ko) * 2011-05-04 2013-05-06 김성훈 셔틀의 만곡부위 통과장치
CN203281021U (zh) * 2013-05-28 2013-11-13 诸暨市新飞娱乐设备制造厂 一种用于游乐的休闲脚踏车
KR101627291B1 (ko) *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KR101839530B1 (ko) * 2017-02-16 2018-03-16 최재영 보드형 짚라인
CN107472260A (zh) * 2017-09-05 2017-12-15 上海鹿釜科技发展有限公司 索道自行车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644B1 (ko) * 2021-01-26 2021-05-28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사이클의 타워 구조
KR102402956B1 (ko) * 2021-11-24 2022-05-30 (주)신흥이앤지 안장 회전 방향에 따라 주행방향이 선택되는 양방향 하늘 자전거
KR102517846B1 (ko) * 2022-07-07 2023-04-05 어드벤처 주식회사 직선형 및 곡선형 혼합 구조의 연속빌레이 시스템
KR102598990B1 (ko) 2023-01-13 2023-11-06 어드벤처 주식회사 에코라이더의 텐션 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088B1 (ko) 중력하강 및 상행 페달링이 가능한 공중 이동체험 시설
US4934277A (en) Mobile aerial rapid rescue system
US7966941B1 (en) Rider controlled zip line trolley brake
US10604162B2 (en) Multidirectional transport system
JP3429771B2 (ja) タワーに沿って高度可変にガイドされる乗客支持台を備えた娯楽装置
US20020162477A1 (en) Dual cable zipline having mechanical ascension and braking systems
US10213700B2 (en) Emergency-egress, zip-line system and method
US20140311376A1 (en) Rider Controlled Zip Line Trolley Brake System
JP2000225937A (ja) 個体移動装置
KR910008307Y1 (ko) 빌딩용 비전동 자동 강하 도피사다리
KR102075864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JP6181735B2 (ja) 安全装置、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
JP2006502795A (ja) 複数定員娯楽乗物
US10406386B2 (en) Recovery device for an amusement ride
GB2319232A (en) Free fall simulator
JP2003285985A (ja) 非常時脱出装置
JPH09505230A (ja) 振り子制振手段付き揺動式娯楽乗物装置
CA1317904C (en) Mobile aerial rapid rescue system
JP2015000784A (ja) 避難用移動装置及びその移動方法
KR102051565B1 (ko) 구조용 트롤리
CN208916604U (zh) 一种高层建筑消防救援系统
JPH08103510A (ja) 救助装置
KR102517846B1 (ko) 직선형 및 곡선형 혼합 구조의 연속빌레이 시스템
CN106621089B (zh) 一种社区住宅火灾逃生装置及其使用方法
WO2005099847A1 (en) Amusement r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