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060B1 - 바리스터 모듈 - Google Patents

바리스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060B1
KR102078060B1 KR1020160044411A KR20160044411A KR102078060B1 KR 102078060 B1 KR102078060 B1 KR 102078060B1 KR 1020160044411 A KR1020160044411 A KR 1020160044411A KR 20160044411 A KR20160044411 A KR 20160044411A KR 102078060 B1 KR102078060 B1 KR 10207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stor
terminal
external terminal
insulating
electro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529A (ko
Inventor
최재우
이재욱
오성엽
문지우
류지황
조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6004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06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02Varistor boundary, e.g. surfac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01C1/142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the terminals or tapping points being coated on the resis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2Overvoltage protection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8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stacked between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4Physical layout,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바리스터 모듈은 바리스터 모듈의 일면에 입력 단자 및 내부 단자를 연결하는 외장형 퓨즈를 형성하도록 한 바리스터 모듈을 제시한다. 제시된 바리스터 모듈은 제1전극 패턴 및 제2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바리스터 적층체,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1측면에 형성되는 제1절연 단자, 제1절연 단자에 형성되는 제1외부 단자,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2측면에 형성되어 제1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2외부 단자,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3측면에 형성되어 제2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3외부 단자 및 제1절연 소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퓨즈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리스터 모듈{Varistor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자제품 등에 사용되는 바리스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열, 과전압 등에 의한 바리스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바리스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산업의 급격한 발전은 단위소자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를 위한 초고집적화 시대를 가속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 등의 동작전압은 점점 낮아지는 추세에 있는 반면에, 서지(surge) 전압의 유입으로 전자부품 등을 태울 정도의 큰 열에너지를 발산하여 반도체의 에너지 수용능력이 급속히 떨어지게 되어 서지에 대한 대처능력이 현격히 떨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반도체소자를 내장한 장비들은 과도전압에 매우 약해 수십 ms의 짧은 과도전압 유입시에도 소자를 파괴시키거나 열화시켜 수명 단축, 기능 저하 등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미소전압에서 동작하는 바리스터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바리스터란 높은 비선형 전류-전압 특성을 가진 반도체 소자로서, 전기적 특성은 정전압 특성인 제너다이오드의 동작과 유사하나 보다 큰 전류와 에너지 용량을 가진 복합 세라믹 장치이다.
바리스터의 비선형 특성은 낮은 전압에서 매우 큰 전기저항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저항은 소자의 미세구조와 크기에 의존하는 어떤 영역의 전압(threshold voltage) 이상에서는 급격히 떨어지는 비선형 특성을 나타내는 그레인(grain) 경계현상을 갖는다. 비선형 저항 동작은 그레인 경계에서 발생하는 과정에 의해 제어되는데, 맞접속(back-to-back) 제너다이오드에서 관찰되는 항복(break down) 현상과 유사하나 보다 큰 에너지를 흡수하는 능력이 있다.
일반적으로, 바리스터는 과열, 과전류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 소체(이하, PTC)를 포함하여 하나의 바리스터 모듈로 구성된다. 이때, PTC는 바리스터로 전달되는 과열, 과전류 등을 차단하기 위해 입력단자 측에 배치된다. 즉, PTC가 입력단자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과열, 과전류를 차단하여 바리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PTC는 바리스터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저항값이 올라가게 되어 바리스터의 부하를 줄여서 바리스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최근의 전자기기는 소형화 및 저전압화와 더불어 직접회로(IC)의 내성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어, ESD(Electro Static Discharge), EOS(Electric Shock Stress) 등에 취약한 상태이다.
특히, 전자기기로 유입되는 EOS의 경우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보호 소자를 적용하는 경우 보호 소자 자체를 파괴시켜 쇼트 모드(Short Mode)로 전환되거나, 최악의 경우 전자기기의 파손이나 화재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서지(Surge)의 경우 발생 유형에 따라 파형을 정의하는데, EOS(Electric Over Stress)와 같은 세트의 조립 라인 및 통신 라인 등 인덕턴스(Inductance)가 큰 환경에서 발생하는 서지의 경우 파형이 길게 나타난다.
이러한, 파미장(Peak치 후반에 지속되는 파형)이 긴 서지의 경우 에너지가 커서 실제 세트에 데미지를 많이 주게 된다.
TVS Diode의 경우 반도체 구조로 전류 통과 영역이 적어 반복 Surge 및 내량은 적은 편이며 반면 바리스터의 경우 다결정 구조의 멀티레이어 구조로 반복적 서지 및 에너지 흡수 용량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처럼, 바리스터는 에너지 흡수 능력이 기존 TVS 다이오드에 비해 크기 때문에 서지(Surge) 등의 장파미 파장의 흡수에 적합하여 보호 소자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바리스터는 기준 이상의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 쇼트되어 보호 소자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바리스터는 열적 스트레스(Stress) 또는 전류 특성의 제한을 위해 PTC 소자를 적용하거나, 써멀 퓨즈(Thermal Fuse) 소자를 적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바리스터에 PTC 소자 또는 써멀 퓨즈 소자를 적용함에 있어 이종 접합 공정상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경박단소화 추세에 따라 실장 공간이 줄어들고 있는데 PCT 소자 또는 써멀 퓨즈 소자를 적용하는 경우 바리스터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동일 사이즈에서 기능을 구현하기 어렵게 되어 실제 제품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리스터는 써멀 퓨즈 소자를 적용하는 경우 낮은 사용온도로 인해 바리스터 소자와 써멀 퓨즈 소자를 동시에 소성하는 경우 써멀 퓨즈 소자가 높은 소성 온도에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리스터는 오픈 모드(Open Mode)를 구현한 PTC 소자를 적용하는 경우 바리스터의 쇼트시 지속적인 전력 소모 및 발열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2005호(명칭: 써미스터-바리스터 복합칩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바리스터 모듈은 바리스터 모듈의 일면에 입력 단자 및 내부 단자를 연결하는 외장형 퓨즈를 형성하도록 한 바리스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바리스터 소체에 적층된 제1절연 소체의 상면에 입력 단자인 제3외부 단자와 내부 단자인 제2외부 단자를 연결하는 퓨즈 패턴을 형성하여 외장형 퓨즈가 형성된 바리스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단자가 형성되는 바리스터 모듈의 일측면에 절연 단자를 형성하여 입력 단자와 내부 단자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도록 한 바리스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바리스터 소체의 양측면에 터미네이션 공정으로 통해 제1절연 단자를 형성한 후 입력 단자인 제3외부 단자를 형성하여 인접한 측면에 형성되는 내부 단자인 제2외부 단자와의 절연성을 확보하도록 한 바리스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리스터 모듈은 제1전극 패턴 및 제2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바리스터 적층체,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1측면에 형성되는 제1절연 단자, 제1절연 단자에 형성되는 제1외부 단자,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2측면에 형성되어 제1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2외부 단자,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3측면에 형성되어 제2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3외부 단자 및 제1절연 소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퓨즈 패턴을 포함한다.
바리스터 적층체는 제1전극 패턴이 형성된 바리스터 시트 및 제2전극 패턴이 형성된 바리스터 시트가 적층된 바리스터 소체, 바리스터 소체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1절연 소체 및 바리스터 소체의 하면에 적층되는 제2절연 소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외부 단자는 퓨즈 패턴을 통해 제2외부 단자와 연결되고, 제2외부 단자는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2측면으로 노출된 제1돌출부와 연결되어 제1전극 패턴과 연결되고, 제3외부 단자는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3측면으로 노출된 제2돌출부와 연결되어 제2전극 패턴과 연결될 수도 있다.
바리스터 모듈은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4측면에 형성되는 제2절연 단자 및 제2절연 단자에 형성되는 제4외부 단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퓨즈 패턴은 일단이 제1외부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외부 단자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제2측면은 바리스터 적층체의 측면들 중에서 제1전극 패턴이 노출된 측면이고, 제3측면은 제2전극 패턴이 노출되고, 제2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이고, 제1측면은 제2측면 및 제3측면에 인접한 측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리스터 모듈은 바리스터 소체에 적층된 제1절연 소체의 상면에 제2외부 단자 및 제3외부 단자를 연결하는 퓨즈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과전압에 따른 바리스터 모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리스터 모듈은 바리스터 소체에 적층된 제1절연 소체의 상면에 퓨즈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PCT 소자 또는 써멀 퓨즈 소자를 추가한 종래의 바리스터 모듈에 비해 크기에 대한 자유도가 높고, 복합화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바리스터 모듈은 제1절연 단자 및 제2절연 단자를 터미네이션 공정으로 통해 형성함으로써, 양산성을 고려하여 좌우 상하의 구분이 없는 바리스터 모듈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리스터 모듈은 제1절연 단자 및 제2절연 단자를 터미네이션 공정으로 통해 형성함으로써, 내부 단자 형성을 위한 비아홀 공정을 제외하여 보다 저가의 바리스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리스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바리스터 소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퓨즈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제2외부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제3외부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리스터 모듈의 절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리스터 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리스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바리스터 소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퓨즈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제2외부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제3외부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리스터 모듈의 절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리스터 모듈(100)은 바리스터 소체(110), 제1절연 소체(120), 퓨즈 패턴(130), 제2절연 소체(140), 제1절연 단자(150), 제2절연 단자(160), 제1외부 단자(170), 제2외부 단자(180), 제3외부 단자(190), 제4외부 단자(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리스터 소체(110)는 복수의 바리스터 시트(111)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즉, 바리스터 소체(110)는 산화 아연(Zn-O)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복수의 바리스터 시트(111)들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바리스터 소체(110)는 제1전극 패턴(113)이 형성된 바리스터 시트(111) 및 제2전극 패턴(117)이 형성된 바리스터 시트(111)가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전극 패턴(113)은 소정 형상(예를 들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또는 일측변)에서 연장되어 제2외부 단자(180)와 연결되는 제1돌출부(115)가 형성된다. 제2전극 패턴(117)은 소정 형상(예를 들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타측(또는 타측변)에서 연장되어 제3외부 단자(190)와 연결되는 제2돌출부(119)가 형성된다. 바리스터 소체(110)는 복수의 바리스터 시트(111)가 적층됨에 따라 바리스터 내부에 제1전극 패턴(113) 및 제2전극 패턴(117)이 교대로 적층되고,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되어 중첩된다. 여기서, 바리스터 소체(110)의 최상층과 최하층에는 제1전극 패턴(113) 및 제2전극 패턴(117)이 형성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바리스터 시트(111)가 적층될 수도 있다.
제1절연 소체(120)는 하나 이상의 절연 시트로 구성되어, 바리스터 소체(110)의 상면에 적층된다. 즉, 제1절연 소체(12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절연 시트가 하나 이상 적층되어 구성된다. 물론, 제1절연 소체(120)는 절연 테이프로 구성되어 바리스터 소체(110)의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퓨즈 패턴(130)은 제1절연 소체(120)의 상면에 형성된다. 퓨즈 패턴(130)은 바리스터 소체(110) 및 제1절연 소체(120)를 소성한 후에 인쇄 공정을 통해 제1절연 소체(120)의 상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퓨즈 패턴(130)은 대략 150~300℃ 정도의 영역 녹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리스터와 동시 소결이 불가능하다. 이에, 퓨즈 패턴(130)은 바리스터 모듈(100)의 소성 후에 바리스터 모듈(100)의 상면(즉, 제1절연 소체(120)의 상면)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패턴(130)은 일단이 제1외부 단자(17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외부 단자(180)와 연결된다. 즉, 퓨즈 패턴(130)은 일단이 입력 단자로 동작하는 제1외부 단자(170)와 연결되고, 타단이 입력된 전압 또는 전류를 바리스터 소체(110)의 내부로 인가하는 내부 단자로 동작하는 제2외부 단자(180)에 연결된다.
제2절연 소체(140)는 하나 이상의 절연 시트로 구성되어, 바리스터 소체(110)의 하면에 적층된다. 즉, 제2절연 소체(14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절연 시트가 하나 이상 적층되어 구성된다. 물론, 제2절연 소체(140)는 절연 테이프로 구성되어 바리스터 소체(110)의 하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1절연 단자(150)는 유리(Glass) 등의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바리스터 소체(110)와 제1절연 소체(120) 및 제2절연 소체(14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제1절연 단자(150)는 바리스터 소체(110)에 제1절연 소체(120) 및 제2절연 소체(140)가 적층된 상태에서 터미네이션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제1절연 단자(150)는 제1외부 단자(170)와 제3외부 단자(190) 간의 간격을 확보하여 절연성을 확보한다.
제2절연 단자(160)는 유리(Glass) 등의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바리스터 소체(110)와 제1절연 소체(120) 및 제2절연 소체(140)의 타측면(즉, 제1절연 단자(150)가 형성된 측면에 대향되는 일측면)에 형성된다. 제1절연 단자(150)는 바리스터 소체(110)에 제1절연 소체(120) 및 제2절연 소체(140)가 적층된 상태에서 터미네이션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때. 제2절연 단자(160)는 제4외부 단자(200)가 더미(Dummy) 단자이므로 생략될 수도 있지만, 바리스터 모듈(100)의 양산성을 고려하여 좌우 상하의 구분이 없는 바리스터 모듈(100)을 구현하기 위해 형성된다. 여기서, 제2절연 단자(160)는 제1외부 단자(170) 및 제2외부 단자(180)와의 절연성이 문제되지 않기 때문에 구현되지 않아도 바리스터 모듈(100)의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1외부 단자(170)는 외부 회로(즉, 바리스터 모듈(100)이 실장된 전자기기의 회로)와 연결되어 외부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입력받는다. 제1외부 단자(170)는 제1절연 단자(15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퓨즈 패턴(130)을 통해 제2외부 단자(180)와 연결된다. 제1외부 단자(170)는 외부 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퓨즈 패턴(130)을 통해 제2외부 단자(180)로 인가한다. 여기서, 제1외부 단자(170)는 외부 회로의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로 구동한다.
제2외부 단자(180)는 바리스터 소체(110), 제1절연 소체(120) 및 제2절연 소체(14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제1전극 패턴(113)과 연결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외부 단자(180)는 제1전극 패턴(113)의 제1돌출부(115)가 노출된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1돌출부(115)를 통해 제1전극 패턴(113)과 연결된다. 이때, 제2외부 단자(180)는 퓨즈 패턴(130)을 통해 제1외부 단자(170)와 연결되고, 제1외부 단자(170)를 통해 인가된 전압을 제1전극 패턴(113)을 통해 바리스터 소체(110) 내부로 인가하는 내부 단자로 구동한다.
제3외부 단자(190)는 바리스터 소체(110), 제1절연 소체(120) 및 제2절연 소체(14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2전극 패턴(117)과 연결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외부 단자(190)는 제2전극 패턴(117)의 제2돌출부(119)가 노출된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2돌출부(119)를 통해 제2전극 패턴(117)과 연결된다. 이때, 제3외부 단자(190)는 제1외부 단자(170) 및 제2외부 단자(180)를 통해 바리스터 소체(110)로 인가된 전압을 그라운드로 인가하는 출력 단자로 구동한다.
제4외부 단자(200)는 더미(Dummy) 단자로, 제2절연 단자(16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제4외부 단자(200)는 바리스터 소체(110)에 형성된 제1전극 패턴(113) 및 제2전극 패턴(117)과 연결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여 바리스터 모듈(100)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을 설명하면, 바리스터 모듈(100)은 바리스터 내부에 복수의 제1전극 패턴(113) 및 복수의 제2전극 패턴(117)이 교대로 형성된 바리스터 소체(110)를 중심으로 상면 및 하면에 제1절연 소체(120) 및 제2절연 소체(140)가 각각 적층된다. 바리스터 모듈(100)은 바리스터 소체(110)를 중심으로 좌측에 제1절연 단자(150) 및 제1외부 단자(170)가 형성되고, 우측에 제2절연 단자(160) 및 제4외부 단자(200)가 형성된다. 이때, 제1절연 소체(120)의 상면에 형성된 퓨즈 패턴(130)은 제1외부 단자(170) 및 제2외부 단자(180)에 연결된다.
바리스터 모듈(100)은 내부 쇼트(Short)로 인해 퓨즈가 오픈(Open)되는 경우 제3외부 단자(190; 즉, 입력 단자) 및 제2외부 단자(180; 즉, 내부 단자)가 형성되는 부분(즉, 도 6의 A)에서 바리스터 특성이 발현되어 쇼트 모드(Short Mode)를 형성한다.
이 경우, 완전한 오픈(Open)형 제품 구현이 어렵기 때문에, 바리스터 모듈(100)은 제1외부 단자(170) 및 제2외부 단자(180)가 형성되는 부분(즉, 도 6의 A)의 절연성을 확보하며 양산에서의 딥 터미네이션(Dip Termination)을 고려하여 얇은 글라스(Glass) 재질의 제1절연 단자(150) 및 제2절연 단자(160)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리스터 모듈은 바리스터 소체에 적층된 제1절연 소체의 상면에 제2외부 단자 및 제3외부 단자를 연결하는 퓨즈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과전압에 따른 바리스터 모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리스터 모듈은 바리스터 소체에 적층된 제1절연 소체의 상면에 퓨즈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PCT 소자 또는 써멀 퓨즈 소자를 추가한 종래의 바리스터 모듈에 비해 크기에 대한 자유도가 높고, 복합화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바리스터 모듈은 제1절연 단자 및 제2절연 단자를 터미네이션 공정으로 통해 형성함으로써, 양산성을 고려하여 좌우 상하의 구분이 없는 바리스터 모듈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리스터 모듈은 제1절연 단자 및 제2절연 단자를 터미네이션 공정으로 통해 형성함으로써, 내부 단자 형성을 위한 비아홀 공정을 제외하여 보다 저가의 바리스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바리스터 모듈 110: 바리스터 소체
111: 바리스터 시트 113: 제1전극 패턴
115: 제1돌출부 117: 제2전극 패턴
119: 제2돌출부 120: 제1절연 소체
130: 퓨즈 패턴 140: 제2절연 소체
150: 제1절연 단자 160: 제2절연 단자
170: 제1외부 단자 180: 제2외부 단자
190: 제3외부 단자 200: 제4외부 단자

Claims (8)

  1. 제1전극 패턴 및 제2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바리스터 적층체;
    상기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1측면에 형성되는 제1절연 단자;
    상기 제1절연 단자에 형성되는 제1외부 단자;
    상기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2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2외부 단자;
    상기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3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3외부 단자;
    상기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4측면에 형성되는 제2절연 단자;
    상기 제2절연 단자에 형성되는 제4외부 단자; 및
    상기 바리스터 적층체 상면에 형성되는 퓨즈패턴;을 포함하는 바리스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리스터 적층체는,
    제1전극 패턴이 형성된 바리스터 시트 및 제2전극 패턴이 형성된 바리스터 시트가 적층된 바리스터 소체;
    상기 바리스터 소체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1절연 소체; 및
    상기 바리스터 소체의 하면에 적층되는 제2절연 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터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부 단자는 상기 퓨즈 패턴을 통해 상기 제2외부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터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부 단자는,
    상기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2측면으로 노출된 제1돌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터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외부 단자는,
    상기 바리스터 적층체의 제3측면으로 노출된 제2돌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터 모듈.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패턴은,
    일단이 상기 제1외부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외부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터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상기 바리스터 적층체의 측면들 중에서 상기 제1전극 패턴이 노출된 측면이고, 상기 제3측면은 상기 제2전극 패턴이 노출되고, 상기 제2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이고, 상기 제1측면은 상기 제2측면 및 제3측면에 인접한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터 모듈.
KR1020160044411A 2016-04-11 2016-04-11 바리스터 모듈 KR10207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411A KR102078060B1 (ko) 2016-04-11 2016-04-11 바리스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411A KR102078060B1 (ko) 2016-04-11 2016-04-11 바리스터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240A Division KR20190084026A (ko) 2019-07-08 2019-07-08 바리스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529A KR20170116529A (ko) 2017-10-19
KR102078060B1 true KR102078060B1 (ko) 2020-02-17

Family

ID=6029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411A KR102078060B1 (ko) 2016-04-11 2016-04-11 바리스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0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416B1 (ko) * 2006-11-21 2007-12-17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칩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31B1 (ko) * 2007-08-27 2009-10-27 주식회사 아모텍 서지 흡수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73058B1 (ko) 2008-04-23 2010-07-29 한국세라믹기술원 써미스터-바리스터 복합칩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4798A (ko) * 2008-08-26 2010-03-08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복합 칩 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416B1 (ko) * 2006-11-21 2007-12-17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칩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529A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7395B2 (e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and ignition element for a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US7612648B2 (en) Disc var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75943B2 (en) Tri-phase surge prot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222926B1 (ko) 바리스터 모듈
KR100848194B1 (ko) 칩형 서지 흡수기
KR102078060B1 (ko) 바리스터 모듈
US6498715B2 (en) Stack up type low capacitance overvoltage protective device
KR20190084026A (ko) 바리스터 모듈
KR101977018B1 (ko) 바리스터 모듈
JP3149095U (ja) バリスタ
US20140211355A1 (en) Surge protector
CN113272922B (zh) 压敏电阻集合体
JP6595562B2 (ja) サージ保護回路及びサージ保護デバイス
US20050024800A1 (en) Voltage protection device
KR102609147B1 (ko) 복합 전자 부품
CN111446691B (zh) 暂态电压抑制元件
US10706994B2 (en) Varistor
KR102063673B1 (ko) 오픈모드 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JP2001223061A (ja) 電子部品及び電子装置
US10652982B2 (en) Open-mode prot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JP2011077234A (ja) 電子部品およびプリント基板
US6853527B2 (en) Over-current protection apparatus for high voltage
CN105957788B (zh) 一种复合气体放电管
TWM578001U (zh) 壓敏電阻結構改良
KR100300225B1 (ko) 서지 압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2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08

Effective date: 201912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