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954B1 - 첩부제 - Google Patents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954B1
KR102077954B1 KR1020187022248A KR20187022248A KR102077954B1 KR 102077954 B1 KR102077954 B1 KR 102077954B1 KR 1020187022248 A KR1020187022248 A KR 1020187022248A KR 20187022248 A KR20187022248 A KR 20187022248A KR 102077954 B1 KR102077954 B1 KR 102077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mass
adhesive layer
adhesiv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862A (ko
Inventor
유스케 다나카
마사히로 사토
야스히사 고세
다카아키 요시나가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9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와,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갖는 첩부제로서, 점착제층이,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01 질량% ∼ 0.026 질량% 의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및 0.85 질량% ∼ 3 질량% 의 황백말을 함유하고, 노닐산바닐릴아미드와 황백말의 질량비가 1 : 42.5 ∼ 1 : 170 이다. 이러한 첩부제는, 장시간 첩부해도 불쾌취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첩부제
본 발명은,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온감 자극제를 함유하는 온감 타입의 소염 진통 첩부제가 알려져 있다. 온감 타입의 소염 진통 첩부제는, 첩부 부위의 혈류를 향상시킴으로써, 어깨 결림, 요통 및 근육통 등의 증상을 치료 또는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온감 자극제로서, 고추 추출 성분 (캡사이신류) 및 노닐산바닐릴아미드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79564호
본 발명자들은, 노닐산바닐릴아미드를 함유하는 첩부제는, 장시간 첩부함으로써 불쾌취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장시간 첩부해도 불쾌취가 잘 발생하지 않는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점착제층에 황백말을 배합하면, 노닐산바닐릴아미드에서 기인되는 불쾌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지지체와,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갖는 첩부제로서, 점착제층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01 질량% ∼ 0.026 질량% 의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및 0.85 질량% ∼ 3 질량% 의 황백말을 함유하고, 노닐산바닐릴아미드와 황백말의 질량비가 1 : 42.5 ∼ 1 : 170, 바람직하게는 1 : 42.5 ∼ 1 : 150 인, 첩부제를 제공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소염 진통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 상기 점착제층은, 고무계 점착 기제, 아크릴계 점착 기제 및 실리콘계 점착 기제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점착 기제를 함유해도 되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및 테르펜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은, 장시간 첩부해도 불쾌취를 잘 발생시키지 않는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는, 지지체와,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갖는다.
지지체는, 점착제층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층이다. 지지체의 재질로는 첩부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등의 폴리올레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나일론,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지지체의 성상은, 필름, 시트, 시트상 다공질체, 시트상 발포체, 직포 (織布), 편포 (編布), 부직포 또는 이것들의 적층체여도 된다. 부직포는 신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부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은,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및 황백말을 함유한다. 노닐산바닐릴아미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01 질량% ∼ 0.026 질량% 이고, 0.02 질량% ∼ 0.024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황백말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85 질량% ∼ 3 질량% 이다. 또, 노닐산바닐릴아미드와 황백말의 질량비는 1 : 42.5 ∼ 1 : 170 이고, 1 : 42.5 ∼ 1 : 150 이 바람직하다. 노닐산바닐릴아미드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가려움을 억제하면서 적당한 온감 자극을 피부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황백말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하고, 또한 노닐산바닐릴아미드와 황백말을 상기 범위 내의 질량비로 함으로써, 노닐산바닐릴아미드에서 기인되는 불쾌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부의 가려움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노닐산바닐릴아미드의 함유량은 0.018 질량% ∼ 0.026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반응을 보다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황백말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7 질량% ∼ 3 질량% 가 바람직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노닐산바닐릴아미드와 황백말의 질량비는, 1 : 70.9 ∼ 1 : 150 또는 1 : 85.1 ∼ 1 : 15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황백은,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또는 Phellodendronchinense Schneider (Rutaceae) 의 주피 (周皮) 를 제거한 수피 (樹皮) 이며, 황백말은 황백을 분말로 한 것이다. 황백말에 의한 불쾌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의 기전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이하와 같이 추찰하고 있다. 첩부제에 포함되는 노닐산바닐릴아미드에 의해 첩부 부위의 발한이 촉진된다. 땀은 피부와 첩부제 사이에 머무르기 쉽고, 그 땀에 의해 피부 상재균 (常在菌) 등의 세균이 증식하여 불쾌취가 발생한다. 황백말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혹은 냄새나는 성분을 흡착, 불활성화 또는 마스킹함으로써, 불쾌취의 발생을 억제한다.
점착제층은,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및 황백말에 더하여, 점착 기제, 약물 및 그 밖의 성분 (점착 부여 수지, 가소제, 충전제, 안정화제, 약물의 경피 흡수 촉진제, 향료, 착색료, 약물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성분 등) 도 함유해도 된다. 점착제층은, 부착성 및 적당한 온감 자극의 관점에서, 비수계 (예를 들어,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5 % 이하의 수분 함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기제로는, 첩부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고무계 점착 기제, 아크릴계 점착 기제, 및 실리콘계 점착 기제를 들 수 있다.
고무계 점착 기제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주체로 하는 고분자이면 되고, 예를 들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또는 스티렌-이소프렌 고무이다.
아크릴계 점착 기제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중합체 또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코모노머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의미한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및 (메트)아크릴산데실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코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아세트산비닐, N-비닐피롤리돈, 및 (메트)아크릴산아미드를 들 수 있다. 코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 기제로는, 구체적으로는,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메타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 종류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DURO-TAK 87-2097, 87-2194, 87-2196, 87-2287, 87-2516, 및 87-2852 (상품명, 헨켈), 그리고 닛세츠 KP-77 및 AS-370 (상품명, 닛폰 카바이드 공업 (주)) 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 기제로서,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과 실리케이트 수지의 축합 반응물 등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 기제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우·코닝사의 BIO-PSA X7-4201, BIO-PSA Q7-4501, 360Medical fluid 1000CS, 및 MDX4-4210 을 들 수 있다.
약물로는, 경피 흡수되고, 투여 대상에 치료 효과를 초래하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세트아미노펜, 페나세틴, 메페남산, 디클로페낙나트륨, 플루페남산, 아스피린, 살리실산나트륨,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아미노피린, 알클로페나크,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플루르비프로펜, 케토프로펜, 암페낙나트륨, 메피리졸, 인도메타신, 피록시캄, 록소프로펜, 티아프로펜, 아세메타신, 펠비낙, 설린닥, 에토돌락, 톨메틴, 암피록시캄, 아자프로파존, 발데콕시브, 로페콕시브 등의 소염 진통제를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 예를 들어,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에스테르 수지, 수소 첨가 로진에스테르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및 석유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는, 온감 자극을 빨리 발생시키는 관점에서, 테르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르펜 수지는 수소 첨가되어 있어도 있지 않아도 되지만, 수소 첨가된 테르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르펜 수지로서, 예를 들어, α-피넨 수지, β-피넨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및 테르펜페놀 수지를 들 수 있다.
가소제로서, 예를 들어, 파라핀 오일 (유동 파라핀 등), 스쿠알란, 스쿠알렌, 식물유류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톨유, 땅콩유, 스피어민트유, 유칼리유, 호호바유, 장뇌백 (樟腦白) 유, 해바라기유, 오렌지유 등), 유지류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등), 및 액상 고무 (액상 폴리부텐, 액상 이소프렌 고무 등) 를 들 수 있다.
충전제로는, 예를 들어, 금속 화합물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티탄, 탄산칼슘 등), 세라믹스 (탤크,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합성 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등) 또는 유기 화합물 (셀룰로오스 분말, 스테아르산염 등) 의, 분말 또는 이것들을 포함하는 수지의 단섬유를 들 수 있다.
약물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전분 등의 흡수성 화합물, 기능성 수지, 계면 활성 화합물, 냉감 성분 (멘톨,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및 진양 (鎭痒) 성분 (크로타미톤, 항히스타민약 (디펜히드라민, 클로르페니라민, 프로메타진 등) 등) 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은, 노닐산바닐릴아미드에 부분적으로 바꾸어 배합되는 온감 부여 성분, 즉, TRP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채널 온도 수용체 패밀리에 작용하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피페린, 산쇼올, 쇼가올 (진저올), 진게롤, 알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머스터드, 고추냉이 등의 매운맛 성분), 캠퍼, 티몰, 오이게놀, 카르바크롤, 신남알데히드, 또는 니코틴산벤질을 함유해도 된다.
이상의 성분 외에, 점착제층은, pH 조정을 위해서 무기 또는 유기의 성분 (예를 들어, 시트르산 등의 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염기), 염화나트륨 등의 염, 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틸아민 등), 또는 킬레이트제 (아스코르브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등) 를 함유해도 된다.
점착제층은, 지지체와는 반대측의, 피부에 접하는 면 상에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는, 첩부제를 사용할 때에 제거되는 라이너이고, 첩부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박리 라이너의 재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및 셀룰로오스 화합물 (종이 등) 을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는, 상기 재질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시트상이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의 표면은, 실리콘 또는 불소화폴리올레핀 등에 의해 이형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 점착제층의 성분을 칭량하여 취하고, 필요에 따라 가온 및 용매 첨가를 실시하고, 혼합하여, 균일화한다.
2)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의 이형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켜 용매 성분을 제거하고,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3) 점착제층 상에 지지체를 적층한다.
4) 소정의 형상 (예를 들어, 단변이 3 ㎝ ∼ 14 ㎝ 또한 장변이 7 ㎝ ∼ 20 ㎝ 인 장방형, 또는 직경이 1 ㎝ ∼ 5 ㎝ 인 원형) 으로 재단한다.
실시예
시험예 1 : 온감 자극의 평가
표 1 의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칭량하여 취하고, 가온에 의해 용융시키면서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형 처리한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라이너에 약 320 ㎛ 의 두께가 되도록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점착제 조성물의 층 상에 PET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를 적층하였다. 이 적층체를 직경 2.5 ㎝ 의 원형으로 재단하여, 비교예 1 ∼ 2 및 실시예 1 ∼ 16 의 첩부제를 얻었다. 또한, 표 1 중, 노닐산 VA 는 노닐산바닐릴아미드를 나타내고, SIS 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그 밖의 성분은 충전제 등이다.
Figure 112018076144667-pct00001
각 첩부제의 온감 자극의 강도를 관능 시험 (n = 60 ∼ 105) 에 의해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피험자의 어깨에 첩부제를 1 장 첩부하고, 첩부 1 시간 후에 있어서의 온감 자극의 강도에 대해 하기 기준에 따라 스코어화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온감 자극이 지나치게 강함 … 100
온감 자극이 강함 … 80
적당한 강도의 온감 자극 … 60
온감 자극이 약함 … 40
온감 자극이 지나치게 약함 … 20
온감 자극이 없음 … 0
각 첩부제의 가려움의 강도를 관능 시험 (n = 60 ∼ 105) 에 의해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피험자의 어깨에 첩부제를 1 장 첩부하고, 첩부 4 시간 후에 있어서의 가려움의 강도에 대해 하기 기준에 따라 스코어화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매우 강한 가려움을 느끼며, 허용할 수 없음 … 100
매우 강한 가려움을 느끼며, 허용 한계임 … 80
강한 가려움을 느낌 … 60
분명하게 가려움을 느낌 … 40
가려움을 느낌 … 20
약간 가려움을 느끼지만, 그다지 신경이 쓰이지 않음 … 15
근소하게 가려움을 느끼지만, 거의 신경이 쓰이지 않음 … 10
매우 근소하게 가려움을 느끼지만, 전혀 신경이 쓰이지 않음 … 5
가려움을 느끼지 않음 … 0
비교예 1, 실시예 1 ∼ 8 의 첩부제의 시험 결과를 표 2 및 표 3 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8076144667-pct00002
Figure 112018076144667-pct00003
표 2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노닐산바닐릴아미드의 함유량이 0.01 질량% 이상이면, 온감 자극의 강도가 적당하였다. 표에는 결과를 나타내지 않지만, 노닐산바닐릴아미드의 함유량이 0.03 질량% 이상에서는 첩부제의 온감 자극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피부가 얼얼하여 첩부제의 사용감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었다.
표 3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의외로, 노닐산바닐릴아미드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첩부제에 의한 피부의 가려움은 약해지는 경향이 확인되며, 노닐산바닐릴아미드의 함유량이 0.01 질량% 이상이면, 거의 신경이 쓰이지 않는 정도의 가려움밖에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9 ∼ 16 의 첩부제는, 실시예 1, 3, 5, 및 8 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SIS 의 함유량을 변화시킨 것이지만, 온감 자극 및 가려움의 강도의 시험 결과는, 실시예 1, 3, 5, 및 8 의 첩부제와 동일한 평가였다. 이것으로부터, 온감 자극 및 가려움의 강도는 점착 기제의 조성에 영향을 잘 받지 않는 것이 시사되었다.
시험예 2 : 불쾌취의 억제 효과 및 피부 반응의 평가
표 4 의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칭량하여 취하고, 가온에 의해 용융시키면서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형 처리한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라이너에 약 320 ㎛ 의 두께가 되도록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점착제 조성물의 층 상에 PET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를 적층하였다. 이 적층체를 직경 2.5 ㎝ 의 원형으로 재단하여, 비교예 3 ∼ 6 및 실시예 17 ∼ 21 의 첩부제를 얻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 기제로서 DURO-TAK 87-2097 을 사용하고, 실리콘계 점착 기제로서 BIO-PSA X7-4201 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8076144667-pct00004
상기 첩부제 및 시험예 1 의 첩부제의 불쾌취의 강도를 관능 시험 (n = 6) 에 의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전완 (前腕) 또는 상완 (上腕) 에 첩부제를 1 장 첩부하고, 8 시간 후에 첩부제를 박리하였다. 첩부 부위로부터 발해지는 피부의 냄새를 하기 기준에 따라 스코어화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불쾌취를 느낌 … 2
불쾌취를 조금 느낌 … 1
불쾌취를 느끼지 않음 … 0
상기 첩부제 및 시험예 1 의 첩부제의 피부 반응의 강도를 관능 시험 (n = 6) 에 의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전완 또는 상완에 첩부제를 1 장 첩부하고, 8 시간 후에 첩부제를 박리하였다. 첩부 부위의 피부 반응 (부종 및 발적) 의 강도를 하기 기준에 따라 스코어화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부종이 생겼음 … 3
분명한 발적 … 2
근소한 발적 … 1
발적 없음 … 0
비교예 3 ∼ 4, 실시예 17 ∼ 19 의 첩부제의 시험 결과 (불쾌취의 강도) 를 표 5 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8076144667-pct00005
표 5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황백말의 함유량이 높아짐에 따라 불쾌취가 약해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특히, 황백말의 함유량이 0.85 질량% 이상 또한 노닐산바닐릴아미드 : 황백말의 비율이 1 : 42.5 이상일 때에는 불쾌취의 발생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표에는 결과를 나타내지 않지만, 노닐산바닐릴아미드의 함유량이 0.01 질량%, 황백말의 함유량이 0.85 질량% (양자의 비율은 1 : 85) 인 첩부제에서도 불쾌취의 발생은 억제되었다.
실시예 5, 7, 20 ∼ 21 및 비교예 2 의 첩부제의 시험 결과 (불쾌취의 강도) 를 표 6 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8076144667-pct00006
표 6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어느 첩부제에 있어서도 불쾌취의 발생이 억제되었다. 실시예 20 ∼ 21 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점착 기제에 아크릴계 점착 기제 또는 실리콘계 점착 기제를 사용한 첩부제여도, 불쾌취의 발생은 억제되었다. 또, 실시예 13 ∼ 14, 비교예 5 ∼ 6 의 첩부제는, 실시예 5, 비교예 2 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SIS 의 함유량을 변화시킨 것이지만, 불쾌취의 강도의 시험 결과는, 실시예 5, 비교예 2 의 첩부제와 동일한 평가였다. 이것으로부터, 불쾌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는 점착 기제의 조성에 영향을 잘 받지 않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5, 7, 17, 18 및 비교예 2 ∼ 4 의 첩부제의 시험 결과 (피부 반응) 를 표 7 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8076144667-pct00007
표 7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황백말의 함유량이 높아짐에 따라 피부 반응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Claims (5)

  1. 지지체와,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갖는 첩부제로서,
    점착제층이,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01 질량% ∼ 0.026 질량% 의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및 0.85 질량% ∼ 3 질량% 의 황백말을 함유하고, 노닐산바닐릴아미드와 황백말의 질량비가 1 : 42.5 ∼ 1 : 170 인,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노닐산바닐릴아미드와 황백말의 질량비가 1 : 42.5 ∼ 1 : 150 인, 첩부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소염 진통제를 함유하는, 첩부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고무계 점착 기제, 아크릴계 점착 기제 및 실리콘계 점착 기제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점착 기제를 함유하는, 첩부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및 테르펜 수지를 함유하는, 첩부제.
KR1020187022248A 2016-02-25 2017-02-22 첩부제 KR102077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4695 2016-02-25
JP2016034695 2016-02-25
PCT/JP2017/006585 WO2017146096A1 (ja) 2016-02-25 2017-02-22 貼付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862A KR20180099862A (ko) 2018-09-05
KR102077954B1 true KR102077954B1 (ko) 2020-02-14

Family

ID=5968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248A KR102077954B1 (ko) 2016-02-25 2017-02-22 첩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6516917B2 (ko)
KR (1) KR102077954B1 (ko)
CN (1) CN108697658B (ko)
HK (1) HK1258590A1 (ko)
MY (1) MY174283A (ko)
SG (1) SG11201806281UA (ko)
TW (1) TWI660751B (ko)
WO (1) WO2017146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4544B2 (ja) * 2018-01-24 2020-09-30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SG11202007131UA (en) 2018-01-24 2020-08-2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Patch
TW202200156A (zh) * 2020-03-31 2022-01-01 日商日絆股份有限公司 貼附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770A (ja) 2005-02-28 2006-09-07 Kanebo Ltd 外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9885B2 (ko) * 1974-03-22 1977-10-07
JPS5640609A (en) * 1979-09-08 1981-04-16 Taisho Pharmaceut Co Ltd Cataplasm containing phellodendri cortex
JPS5753404A (en) * 1980-09-17 1982-03-30 Kao Corp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obtained by blending plant extract
JPS5855417A (ja) * 1981-09-27 1983-04-01 Nitto Electric Ind Co Ltd 医薬組成物
JPH06279256A (ja) * 1993-03-30 1994-10-04 Club Kosumechitsukusu:Kk 皮膚外用剤
JP2002167335A (ja) * 2000-12-01 2002-06-11 Sekisui Chem Co Ltd 肌荒れ治療用製剤及び肌荒れ治療用貼付剤
JP4590418B2 (ja) 2007-01-25 2010-12-01 ニチバン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US20160199315A1 (en) * 2013-08-23 2016-07-14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patch
CN105997604A (zh) * 2016-05-05 2016-10-12 广州丹奇日用化工厂有限公司 一种祛狐臭湿巾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770A (ja) 2005-02-28 2006-09-07 Kanebo Ltd 外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096A1 (ja) 2017-08-31
KR20180099862A (ko) 2018-09-05
JPWO2017146096A1 (ja) 2018-09-06
TW201733571A (zh) 2017-10-01
HK1258590A1 (zh) 2019-11-15
MY174283A (en) 2020-04-01
CN108697658B (zh) 2021-04-13
JP6516917B2 (ja) 2019-05-22
SG11201806281UA (en) 2018-09-27
CN108697658A (zh) 2018-10-23
TWI660751B (zh) 201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875B2 (ja) 身体の部位に治療をもたらすための互いに取外し可能に固定された2つのパッチの経皮システム
RU2442610C2 (ru) Расслаиваемый материал кожного пластыря
KR102077954B1 (ko) 첩부제
BRPI0411032A (pt) composição adesiva hidrófila, artigo médico,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a composição adesiva, e, dispositivo de administração transdérmica
CN102858379A (zh) 粘合剂组合物
JP4596751B2 (ja) 消炎鎮痛貼付剤
AU2003215657A1 (en) Hormone-containing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with an active substance reservoir based on vinylacetate-vinylpyrrolidone copolymer with improved cohesion.
Czech et al.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US20160045634A1 (en) Analgesic Formulation and Delivery Bandage
JP2011012015A (ja) 貼付剤
JP6867210B2 (ja) 貼付剤
EP3744321B1 (en) Patch
RU2592369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наружного согревающего и обезболивающего средства
JP2004298474A (ja) 貼付剤
CN201171749Y (zh) 一种治疗脚气用的创可贴
TW201636009A (zh) 貼附劑
JP3220025U (ja) ダイエット用パッチ
KR102562583B1 (ko) 통기성 패치
JP2014125483A (ja) 貼付剤
KR102240211B1 (ko) 첩부제
WO1999059509A1 (fr) Fomentations chaudes
AU2009353789A1 (en)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MX2009008545A (es) Sistema terapeutico transdermico para administrar ingredientes activos solubles en agua.
CN203060352U (zh) 防渗药物膜
JP3192761U (ja) 足裏専用発熱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