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644B1 -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644B1
KR102077644B1 KR1020130063472A KR20130063472A KR102077644B1 KR 102077644 B1 KR102077644 B1 KR 102077644B1 KR 1020130063472 A KR1020130063472 A KR 1020130063472A KR 20130063472 A KR20130063472 A KR 20130063472A KR 102077644 B1 KR102077644 B1 KR 102077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composite coating
coating powder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412A (ko
Inventor
박병덕
김윤
권대혁
심지훈
Original Assignee
(주)네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팜 filed Critical (주)네오팜
Priority to KR102013006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64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는 무기분체 80~98중량%와, 지질 복합체 0.1~10중량%와, 실리콘 오일 또는 알킬 실란 1.9~10중량%로 구성되며; 상기한 지질 복합체가 지질 복합체 전 중량 기준으로 천연 세라마이드 1~5중량%, 알카놀아마이드 4~15중량%,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5~10중량%, 지방산 20~40중량% 및, 알코올 30~50중량%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는 우수한 발수성 및 윤활성을 가지나 보습성이 열등한 실리콘 화합물 또는 알킬 실란 화합물에, 다층라멜라 구조를 통한 수분 흡수 및 보유에 의한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내나 발수성이 열등하고 응집성을 가지며 타성분과의 상용성(相溶性)이 부족한 지질 복합체를 상용화시킴으로써 피부 장벽 강화 및 개선 효과는 물론, 부드러운 사용감, 우수한 피부 보호 효과, 높은 발수력 및 우수한 분산성을 보유하며, 따라서 상기한 화장료용 기능성 복합 코팅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민감성 피부나 건조성 피부, 또는 아토피 피부염 등과 같이 피부 장벽 기능의 손상으로 인하여 일반 메이크업 화장품의 사용이 곤란한 피부에 대하여도 피부친화적으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MPLEX COATING POWDER FOR COSMETICS AND THE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 분체 표면에 피부장벽강화 성분으로서 우수한 보습력을 가지는 지질 복합체와 우수한 발수성 및 윤활성을 가지는 실리콘 및 실란계 성분으로 구성되는 코팅재를 적용하여 표면을 개질(modifying)함으로써, 화장료용 무기 분체 고유의 피부색 보정효과에 더하여 보습성을 강화함과 아울러,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 및 강화에 의한 피부 보호 효과를 부여한 화장료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은 주로 안면에 적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눈이나 눈썹, 입술 등에 적용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파우더 및, 액체, 크림, 또는 스틱 타입의 파운데이션으로 제형화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은 안면 전체의 피부색을 자연스럽고 균일하게 정돈하여 입체감 및 볼륨감 또는 투명감을 연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고, 아이쉐도우, 마스카라, 눈썹먹, 아이라인, 또는 립스틱과 같은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국소적으로 색채를 주거나 음영을 주어 입체감을 연출하여 인상을 돋보이게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메이크업 화장품은 컬러텔레비젼과 스마트폰의 일상화에 따라 메이크업 화장품의 색조도 다양하게 확대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는 색상환(色相還)의 거의 전영역이 사용되고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에 대하여 부연하면, 피부에 대한 유수분 공급으로 피부 건조를 방지하고 유연성을 부여하여 매끄럽고 촉촉한 건강한 피부를 가꾸기 위한 기초 화장품 사용 후, 안면 등에 도포하여 색채감을 부여함으로써 피부색을 아름답게 표현함과 아울러, 기초 화장품으로는 커버할 수 없는 기미나 주근깨 등과 같은 피부의 결점을 보이지 않게 가꾸기 위한 화장품이다.
따라서 메이크업화장품은 피부에 얇게 도포되어 피부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높은 피부색보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하므로, 메이크업화장품에 사용되는 무기 분체는 양호한 퍼짐성 및 피부 친화성, 양호한 피부 감촉성 및 피부 부착성, 매끈한 사용감, 물이나 기름에 대한 내수성 및 내유성이 요구된다.
전형적인 화장료용 분체로서는 탈크, 마이카(백운모), 세리사이트(견운모), 카올린,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과 같은 무기 분체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2종 이상의 혼합 분체로 사용되거나 또는 표면을 개질하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무기분체를 2종 이상 혼합한 종래의 화장료용 혼합 분체는 피부에 대한 밀착감이 열등하여 도포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들뜨게 되고 땀이나 수분에 의해 탈락되거나 또는 분체들이 서로 응집하여 뭉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화장을 자주 고쳐야 한다는 불편함과 함께 분체가 피부 모공을 막아 피부 질환을 유발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화장료용 표면 개질 분체는 피부 적합 성능 개선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실리콘, 실란, 레시틴, 왁스, 아미노산, 금속 비누 등을 처리하여 얻어지나,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은 메치콘, 하이드로젠 디메치콘, 디메치콘, 분기형 디메치콘, 아크릴화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 화합물과, 옥틸 실란 등과 같은 알킬 실란 화합물이다.
상기한 실리콘 화합물과 알킬 실란 화합물은 우수한 발수성(water repellency property)과 윤활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피부에서의 보습성이 부족하다는 것이 최대의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어 메이크업 화장품의 품질 개선에 일정한 한계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종래의 표면 개질 방법이 적용된 무기분체는 실제로 피부 도포시 보습성, 피부 친화성 및 지속성 등에 문제가 있어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민감성 피부이거나 피부 장벽 기능이 손상되어 약화된 피부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메이크업 화장품에 요구되어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기능 내지 물성을 충족하면서도 만족스러운 피부보호 기능을 보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개발이 당업계에 요청되어 왔다.
이러한 피부 보호 기능에 대하여 언급하면,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일차적인 장벽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피부의 최외층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피부를 통한 수분 및 전해질의 손실을 제어함과 아울러, 외부의 유해 인자가 인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는 피부 장벽 기능을 수행한다.
각질층의 구조는 각질 세포(corneocytes)와 각질세포 간 영역을 채우고 있는 각질 세포 간 지질로 구성되며, 각질층 내 각질 세포 간 지질은 세라마이드, 지방산,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그 주요 구성성분으로써, 각질 세포 사이에 다중라멜라(multilamellar) 구조를 형성하며, 이러한 다중 라멜라 구조는 피부의 장벽 기능 수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세라마이드의 조성 및 그 상대적 조성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건강한 피부의 유지를 위해서는 정상적인 피부 장벽 기능이 필요하며, 상기한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은 건선, 급성 자극성 접촉성피부염, 급성 직업성 피부염, 기저귀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만성 직업성 피부염, 건선, 비대성 반흔(hypertrophic scar), 켈로이드성 반흔(keloid scar), 구순염(cheilitis), 층판성 어린선(lamellar ichthyosis) 등에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감성 피부나 건조 피부 등과 같은 비정상적 상태의 피부에 있어서도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피부 질환이나 민감성 또는 건조성의 비정상적인 피부에 있어 피부 장벽 기능의 정상화 또는 피부 장벽 기능의 강화는 피부 질환의 치료나 피부 기능의 정상화에 중요하다.
상기한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이 동반된 피부는 비병변부의 건강한 피부와 비교하여 외관상 차이를 나타내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 균질한 피부색 보정을 위하여 메이크업 화장품의 사용이 효과적이지만, 피부 장벽 기능에 이상이 있는 민감성 또는 건조성 피부이거나 전술한 바와 같은 피부 질환이 있는 경우, 메이크업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은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을 오히려 악화시킬 우려가 크므로 그 사용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종래, 본 출원인은 무기분체에 유사세라마이드와 디메치콘 같은 실리콘 오일을 코팅하거나, 무기분체에 유사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지질 복합체를 코팅함으로써, 피부 보습력, 내수성, 피부 부착성, 사용감이 우수한 표면처리 분체를 얻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수행하였으나, 유사세라마이드의 응집성 및 실리콘 오일과의 비상용성으로 인하여 제형화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비록 세라마이드의 결핍이 피부장벽 기능의 이상을 초래하는 주요한 원인이기는 하지만, 유사세라마이드만으로는 피부장벽 기능의 개선이나 강화에 효과가 낮다는 사실로부터, 기존 메이크업 화장품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 및 강화시킬 수 있는 제형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메이크업 화장료의 주요 구성 성분의 하나인 무기분체 자체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지질 복합체에 의한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 및 강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용 기능성 복합 코팅 분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우수한 발수성 및 윤활성을 가지나 보습성이 열등한 실리콘 화합물 또는 알킬 실란 화합물에, 다층라멜라 구조를 통한 수분 흡수 및 보유에 의한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내는 지질 복합체를 혼합한 화장료용 기능성 복합 코팅 분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부드러운 사용감, 우수한 피부 보호 효과, 높은 발수력 및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는 화장료용 기능성 복합 코팅 분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상기한 화장료용 기능성 복합 코팅 분체를 함유하며, 민감성 피부나 건조성 피부, 또는 아토피 피부염 등과 같이 피부 장벽 기능의 손상으로 인하여 일반 메이크업 화장품의 사용이 곤란한 피부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피부 친화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 aspect)에 따르면, 무기분체 80~98중량%와, 지질 복합체 0.1~10중량%와, 실리콘 오일 또는 알킬 실란 1.9~10중량%로 구성되며, 상기한 지질 복합체가 지질 복합체 전 중량 기준으로 세라마이드 5~20중량%,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5~10중량%, 지방산 20~40중량% 및, 알코올 30~50중량%로 구성되는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가 제공된다.
상기한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 1~5중량% 및 알카놀아마이드 4~15중량%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알카놀아마이드는 미리스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미리스틸 아라키드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팔미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팔미틸 아라키드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한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 아세테이트,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팔미테이트, 콜레스테릴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소이빈스테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한 지방산은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아라키딘산, 베헤닌산(behenic acid), 팔미톨레인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리놀레닌산, 아라키돈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알코올은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발수성 및 윤활성 향상을 위한 상기한 실리콘 오일은 메틸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디메틸 폴리실록산, 디메틸 실록산, 메틸 페닐 폴리실록산, 메틸 페닐 실록산,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 시클로 테트라 실록산, 데카 메틸 시클로 펜타실록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알킬 실란은 옥틸 실란일 수 있다.
상기한 무기 분체는 이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활석, 백운모, 세리사이트(sericite:絹雲母),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카올린, 황산바륨, 탄산바륨, 보론나이트라이드, 규조토,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군청, 감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한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가 화장료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1~99중량%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주요 구성 성분의 하나인 무기분체 자체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지질 복합체에 의한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 및 강화 효과를 가지며, 특히 우수한 발수성 및 윤활성을 가지나 보습성이 열등한 실리콘 화합물 또는 알킬 실란 화합물에, 다층라멜라 구조를 통한 수분 흡수 및 보유에 의한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내나 발수성이 열등하고 응집성을 가지며 타성분과의 상용성(相溶性)이 부족한 지질 복합체를 상용화시킴으로써 피부 장벽 강화 및 개선 효과와 아울러, 부드러운 사용감, 우수한 피부 보호 효과, 높은 발수력 및 우수한 분산성을 보유하며, 따라서 상기한 화장료용 기능성 복합 코팅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민감성 피부나 건조성 피부, 또는 아토피 피부염 등과 같이 피부 장벽 기능의 손상으로 인하여 일반 메이크업 화장품의 사용이 곤란한 피부에 대하여도 피부친화적으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복합 코팅 피대상물로서의 무기분체로서는 메이크업 화장료에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활석, 백운모, 세리사이트(sericite:絹雲母),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카올린, 황산바륨, 탄산바륨, 보론나이트라이드, 규조토,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군청, 감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탈크, 마이카, 카올린은 피부에 대한 사용감이 우수하여 다양한 고체 화장료나 색조 화장료의 베이스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 분체의 구성은 무기분체 80~98중량%와, 지질 복합체 0.1~10중량%와, 실리콘 오일 또는 알킬 실란 1.9~10중량%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지질 복합체는 지질 복합체 전 중량을 기준으로 세라마이드 5~20중량%와,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5~10중량%와, 지방산 20~40중량%와, 알코올 30~50중량%로 구성되며, 상기한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 1~5중량%와 알카놀아마이드 4~15중량%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선택적이다.
상기한 천연 세라마이드 및 유사 세라마이드로서의 알카놀아마이드는 소수층과 친수층의 규칙적인 교대 배열을 하는 구조를 가져 친수층에는 다량의 수분을 보유하며 소수층은 수분의 이동을 막아 줌으로써 피부 내에 보습력을 유지함과 아울러 물 이외의 물질에 대한 이동을 조절해 줌으로써 각질세포와 함께 보호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한 천연 세라마이드는 미생물 등으로부터 추출된 다양한 것들을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으며, 상기한 유사 세라마이드로서의 알카놀아마이드는 미리스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미리스틸 아라키드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팔미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팔미틸 아라키드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들 역시 본 출원인이 판매하는 것을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천연 세라마이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상기한 유사 세라마이드로서 알카놀아마이드 만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유사 세라마이드로서의 알카놀아마이드는 본 출원인에 의한 미국특허 6,221,371에 개시된 하기의 화학식 (I) 및 (II)의 것이 바람직하며, 하기의 화학식(I)은 알킬 케텐다이머와 에탄올아민을 반응시켜 합성한 것이고 하기의 화학식(II)는 화학식(I)을 환원 반응시켜 제조한 것이다.
R1COCHR2CONR3R4 (Ⅰ)
R1CH(OH)CHR2CONR3R4 (Ⅱ)
(상기 식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22의 직쇄 혹은 분지형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H, CH3, C2H5, C3H7, 또는 1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수 2~6의 직쇄 혹은 분기형 알킬기 또는 단당류이다)
상기의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NR3R4 부분이 -NHCH2CH(OH)CH2OH, -NHCH(CH2OH)2, -NHCH2(CH(OH))4CH2OH, -NHC(CH3)(CH2OH)2, -NHCH2CH2OH 인 것이다.
표피 지질과 유사한 상태를 구성하기 위한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 아세테이트,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팔미테이트, 콜레스테릴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소이빈스테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 성분은 스킨 컨디셔닝 및 피부보호효과를 나타내며, 상기한 세라마이드 및 후술하는 지방산 성분과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한 비율로 혼합되었을 때 다중라멜라 액정구조 형성에 기여하게 한다.
또한 표피 지질 성분과 유사한 상태를 구성하기 위한 지방산으로서는,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아라키딘산, 베헤닌산(behenic acid), 팔미톨레인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리놀레닌산, 아라키돈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형태의 각종 식물유도 동일한 목적으로 배합 가능하며, 그 예로써는 팜유, 팜커넬유, 코코넛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아카다미아오일, 해바라기씨유, 캐스터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단, 사슬길이가 8 이하인 지방산이나 글리세라이드는 피부자극이 있고 다중라멜라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한 성분 외의 기타 성분으로서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과 같은 고급 알코올을 다중라멜라 액정상을 더욱 안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활용목적에 따라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과 같은 윤활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리콘 오일 및 알킬 실란이 발수성 및 윤활성과 사용감 향상을 위하여 첨가되며, 상기한 실리콘 오일로서는 메틸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디메틸 폴리실록산, 디메틸 실록산, 메틸 페닐 폴리실록산, 메틸 페닐 실록산,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 시클로 테트라 실록산, 데카 메틸 시클로 펜타실록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한 알킬 실란으로서는 옥틸 실란을 전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라멜라 구조의 지질 복합체와, 실리콘계 오일 또는 알킬 실란을 이용하여 무기 분체의 표면을 복합 코팅 처리함으로써, 분체가 가지는 피부 보정 효과 이외에, 세라마이드의 우수한 보습력과 실리콘계 오일 또는 알킬 실란의 강한 내수성 및 양호한 사용감, 그리고 우수한 지속성을 상호 상승적으로 조화시킴과 아울러, 세라마이드의 뭉침성 및 열등한 사용감과, 실리콘계 오일 또는 알킬 실란의 부족한 보습성을 상호 보완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세라마이드 특유의 피부장벽기능 개선 및 강화 효과는 물론, 피부친화력과 피부부착력이 우수하며, 양호한 사용감, 지속성, 발수성을 가지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질 복합체를 이루는 성분들의 조성비는 피부의 각질세포간 지질이 나타내는 다중 라멜라 구조와 유사한 다중 라멜라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 중요하며, 이러한 유사 다중라멜라 구조의 형성에 필요한 상기한 조성비는 인체 피부의 각질세포간 지질 성분의 구성 성분비와는 전혀 다르며, 이는 유사세라마이드와 천연세라마이드가 작용 기전은 유사하나 분자 구조적으로는 서로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믿어진다.
여기서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거나 단독으로 사용되면 상호 간 응집 경향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다중라멜라 구조가 잘 형성되지 않게 될 염려가 있으며, 사용감을 저하시키게 될 우려가 있으며, 전술한 범위에 미달하는 양으로 사용되면 피부장벽 강화 내지 개선 효과가 미약하게 될 우려가 있음과 아울러, 보습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지방산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중라멜라 구조의 원활한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어 보습성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알코올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세라마이드의 용해가 원활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으며, 역으로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중라멜라 구조의 원활한 형성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수성 및 사용감, 그리고 지속성 증진 목적으로 첨가되는 실리콘 오일 또는 알킬 실란의 첨가량은 세라마이드의 첨가와 관련하여 중요하며, 그 첨가량이 복합 코팅 분체 전 중량기준으로 1.9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효과의 발현이 미비하게 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세라마이드 성분의 상호 응집 현상이 발생하게 될 염려가 있음은 물론, 사용감 및 발수성 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역으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습성 및 피부장벽 기능 강화 내지 개선 효과가 미흡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 분체에 있어서의 분체 자체의 중량은 복합 코팅 분체 전 중량 기준으로 80~98중량%이며, 9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 코팅에 의한 개질 효과가 미흡하게 될 우려가 있고, 역으로 8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복합 코팅 분체의 화장료에의 함량은 제형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1~99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의 제형으로서는, 파우더 및, 액체, 크림, 또는 스틱 타입의 파운데이션으로 제형화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 또는 아이쉐도우, 마스카라, 눈썹먹, 아이라인, 또는 립스틱과 같은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을 들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 분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 분체는 습식법과 건식법의 그 어느 것으로도 제조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습식법은 안정적으로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는 반면, 건식법은 분체가 물리력 및 직접 열을 받게 되게 되는 단점은 있지만 비용이 덜 들고 공정이 간단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세라마이드는 융점이 100℃ 이상이므로 분체에 코팅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용매와 높은 온도 조건이 요구되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특정한 지질 복합체의 형태로 적용하여 다중라멜라 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상전이 온도가 약 48℃ 정도로 저하되므로 사용 용매의 양을 저감 가능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분체 코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천연 세라마이드, 또는 유사 세라마이드로서의 알카놀아마이드인 미리스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미리스틸 아라키드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팔미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팔미틸 아라키드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과,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와 지방산 및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지질 복합체는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실리콘계 오일 또는 알킬 실란과 함께 혼합하여, 분체 표면에 동시에 표면 코팅 처리하거나, 또는 임의의 순서로 표면 코팅 처리함으로써 분체 표면에 피복될 수 있다.
습식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 분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지질 복합체를 이소프로판올 등과 같은 알코올 용액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분체를 넣고 교반하여 분체 표면에 코팅한 다음, 건조시키고, 일정한 입자 크기로 분쇄한다.
구체적으로는 항온수조 내에 중탕법에 의해 약 50℃의 온도로 유지된 알코올류에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지질 복합체를 가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교반하면서 무기분체를 서서히 가하면서 잘 섞이도록 충분히 교반한 후, 진공 펌프 등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건조시킨 후, 햄머 밀 등으로 파쇄하는 것에 의하여 복합 코팅 분체를 얻는다.
여기서, 실리콘계 오일 또는 알킬 실란은 지질 복합체와 함께 용해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용해시킨 다음, 지질 복합체의 코팅 전 또는 후에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습식법에 의하면 상당히 안정적인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지만 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어서, 건식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 분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지질 복합체 등을 용제에 용해시킨 후 균일하게 스프레이 코팅한 다음, 열처리하여 코팅을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무기분체를 메틸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또는 디메틸 폴리실록산 등과 같은 실리콘계 오일 또는 옥틸 실란과 상기한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지질 복합체를 이소프로필 알코올이나 아세톤 등과 같은 용제에 용해시킨 다음, 스프레이 분사 등에 의하여 분체 표면에 균일하게 복합 코팅 처리한 후, 약 80∼200℃로 가열하여 코팅층을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실리콘계 오일 또는 알킬 실란은 상기한 지질 복합체와 함께 용해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용해시켜 지질 복합체의 코팅 전 또는 후,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형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 코팅 분체의 제조
천연세라마이드(상품명 LA MENTE Ceramide Ext. 100+: Japan Natural Laboratories Co., Ltd. 제)와, 미리스틸/팔미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과 미리스틸/팔미틸 아라키드아미드의 유사세라마이드 혼합물(상품명 PC-9S: 한국 ㈜네오팜 제)와, 콜레스테롤과, 스테아린산과, 스테아릴 알코올을 중량% 기준으로 2:8:5:35:50의 비율로 정량하여 지질 복합체 성분을 준비한 다음, 지질 복합체와 등중량의 이소프로판올을 가하여 지질 복합체를 용해시켰다.
이어서, 헨셀 믹서에 세리사이트(FSE: 일본 SANSHIN 광업 제) 500g을 넣고 고속교반하면서, 65℃로 유지시킨 지질복합체 용해 이소프로판올 용액 2.8g과, 디메틸 폴리실록산 3.5g 및 옥틸 실란 1.0g의 혼합물을 스프레이 코팅하였다. 다시 교반한 후, 이소프로판올을 감압 하 제거하여 복합 코팅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복합 코팅 분체의 제조
상기한 실시예 1에서 세리사이트 대신에 탈크(JA-46R: 일본 ASADA 제분사 제)를 사용하고, 천연세라마이드의 사용 없이 미리스틸/팔미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과 미리스틸/팔미틸 아라키드아미드의 유사세라마이드 혼합물(상품명 PC-9S: 한국 ㈜네오팜 제)만을 사용하고, 유사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과, 스테아린산과, 스테아릴 알코올을 중량% 기준으로 10:5:35:50의 비율로 정량하여 지질 복합체 성분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절차 및 조건에 의하여 복합 코팅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복합 코팅 분체의 제조
상기한 실시예 2에서의 탈크 대신에 운모(Y-2200: 일본 산일운모 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 및 조건에 의하여 복합 코팅 분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복합 코팅 분체의 제조
미리스틸/팔미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과 미리스틸/팔미틸 아라키드아미드의 유사세라마이드 혼합물(상품명 PC-9S: 한국 ㈜네오팜 제)와, 콜레스테롤과, 스테아린산과, 스테아릴 알코올을 중량% 기준으로 10:5:35:50의 비율로 정량하여 지질 복합체 성분을 준비한 다음, 지질 복합체와 등중량의 이소프로판올을 가하여 지질 복합체를 용해시켰다.
이어서, 헨셀 믹서에 탈크(JA-46R: 일본 ASADA 제분사 제) 500g을 넣고 고속교반하면서, 65℃로 유지시킨 지질복합체 용해 이소프로판올 용액 4.5g을 스프레이 코팅하고, 이소프로판올을 감압 제거하여 복합 코팅 분체를 제조하였다.
디메틸 폴리실록산 또는 알킬 실란을 일체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 복합 코팅 분체의 제조
헨셀 믹서에 탈크(JA-46R: 일본 ASADA 제분사 제) 500g을 넣고 고속교반하면서, 전술한 유사세라마이드 PC-9S(한국 ㈜네오팜 제)만을 용해시킨 이소프로판올 용액 4.5g(70℃로 유지)과, 디메틸 폴리실록산 3.5g 및 옥틸 실란 1.0g의 혼합물을 스프레이 코팅하고, 이소프로판올을 감압 제거하여 복합 코팅 분체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유사세라마이드 외에, 실시예 2에서의 콜레스테롤, 지방산,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지질 복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절차 및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시험예 1: 다중라멜라 구조의 관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2의 지질복합체를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중라멜라 구조의 형성 여부 및 정도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다중라멜라 구조 형성으로 인한 액정상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한 반면,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이러한 액정은 발견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사용감 평가
20~30세의 여성패널 30인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2의 표면 코팅 분체를 적용하여 사용감, 부착성, 퍼짐성, 발수성, 매끈한 느낌에 대하여 매우 양호함 5점, 양호함 4점, 보통 3점, 다소 열등함 2점, 열등함 1점의 5점 척도 평가법으로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평균점수 4.6 4.5 4.3 3.8 4.1
시험예 3: 지속성 평가
20~30세의 여성패널 30인에 대해 도포 후 일정시간 경과 후 파우더가 뭉치지 않고 안정하게 유지되는지의 지속성 및 보습성에 대한 평가를 상기한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조성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평균점수 4.6 4.4 4.5 4.2 3.6
시험예 4: 피부 기능 개선 효과
20~30세의 여성패널 30인에 대해 양쪽 팔 상완부 내측의 세 부위에 있어 피부 각질층 내 수분량 (skin hydration)과 경피수분손실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피부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5, Courage&Khazaka, Koln, Germany)와 수분증발량측정기(Tewameter, TM300, Courage&Khazaka, Koln, Germany)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급성 피부 장벽 손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동일 부위에 D-Squame tape (Cu-Derm Corporation, Dallas, USA)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테이프 스트리핑(tape-stripping)을 수행하였다. 급성 피부장벽 손상 후 장벽이 손상된 세 부위의 피부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과 비교예 2를 각각 1회씩 즉시 도포하고, 이후 매일 1회씩 도포하도록 하여 시간에 따른 피부의 기능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 코팅 분체의 경우, 비교예 1과는 특별한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비교예 2에 비하여는 각질층 내 수분 함유량의 회복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2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경피수분손실 회복율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W/O 유화형 파운데이션
하기의 표 3과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로 W/O 유화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복합 코팅 분체 10중량%
카올린 3중량%
이산화티탄 5중량%
옐로우 산화철 1중량%
블랙 산화철 0.15중량%
옥틸 도데칸놀 10중량%
정제수 잔부
1,3-부틸렌 글리콜 5중량%
글리세린 5중량%
메틸 파라핀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와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메틸 파라핀의 혼합물을 70℃로 가열 교반 후 분체를 첨가하고 호모 믹서로 혼합 교반한 다음, 70℃로 가열된 옥틸 도데칸올 및 적량의 실리콘 오일을 가하고 다시 호모 믹서로 교반 혼합한 후, 40℃로 냉각한 상태에서 향료를 가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제형예 2: 유성 파운데이션
하기의 표 4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로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의 복합코팅 분체 잔부
카올린 12중량%
이산화티탄 10중량%
레드 산화철 1중량%
옐로우 산화철 2중량%
블랙 산화철 0.5중량%
파라핀 왁스 3중량%
카나우바 왁스 12중량%
미결정질 왁스 3중량%
밀랍 6중량%
스쿠알란 4중량%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12중량%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5중량%
토코페롤 아세테이트(산화방지제) 2중량%
향료 적량
상기한 표 4의 조성성분을 85℃에서 용해하고 충분히 혼합한 다음, 분체를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고 콜로이드 밀을 이용하여 분쇄 분산시킨 다음, 향료를 가하고 탈포한 다음, 냉각시켰다.

Claims (9)

  1. 무기분체 80~98중량%와, 지질 복합체 0.1~10중량%와, 실리콘 오일 또는 알킬 실란 1.9~10중량%로 구성되며;
    상기한 지질 복합체가 지질 복합체 전 중량 기준으로 세라마이드 5~20중량%,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5~10중량%, 지방산 20~40중량% 및, 알코올 30~50중량%로 구성되는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로서,
    상기한 세라마이드가 천연 세라마이드 1~5중량%와 알카놀아마이드 4~15중량%로 구성되는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알카놀아마이드가 미리스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미리스틸 아라키드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팔미틸 옥소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및, 팔미틸 아라키드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群)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알카놀아마이드인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가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 아세테이트,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팔미테이트, 콜레스테릴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및, 소이빈스테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방산이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아라키딘산, 베헤닌산, 팔미톨레인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리놀레닌산 및, 아라키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지방산인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알코올이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알코올인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리콘 오일이 메틸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디메틸 폴리실록산, 디메틸 실록산, 메틸 페닐 폴리실록산, 메틸 페닐 실록산,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 시클로 테트라 실록산 및, 데카 메틸 시클로 펜타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무기 분체가 이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활석, 백운모, 세리사이트(sericite:絹雲母),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카올린, 황산바륨, 탄산바륨, 보론나이트라이드, 규조토,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군청, 감청, 산화크롬 및, 수산화크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무기 분체인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9.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한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를 화장료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1~99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63472A 2013-06-03 2013-06-03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7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472A KR102077644B1 (ko) 2013-06-03 2013-06-03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472A KR102077644B1 (ko) 2013-06-03 2013-06-03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412A KR20140142412A (ko) 2014-12-12
KR102077644B1 true KR102077644B1 (ko) 2020-02-17

Family

ID=5245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472A KR102077644B1 (ko) 2013-06-03 2013-06-03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8905A1 (ko) * 2014-12-01 2016-06-09 (주)네오팜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8097B1 (ko) * 2015-06-30 2022-07-08 (주)아모레퍼시픽 라멜라 구조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17771B1 (ko) * 2015-10-30 2022-07-06 (주)아모레퍼시픽 수분산성 이산화티탄 복합 분체
KR102453889B1 (ko) * 2017-09-29 2022-10-11 (주)아모레퍼시픽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429033B1 (ko) 2017-11-10 2022-08-04 (주)아모레퍼시픽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9867B1 (ko) * 2019-10-18 2021-08-17 이스트힐(주) 화장품용 실리콘 프리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686B1 (ko) 2001-12-08 2008-01-21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표면 처리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007A (ko) * 2000-03-28 2001-10-27 김광수 세라마이드 및/또는 유사 세라마이드의 복합체가 표면처리된 메이컵용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46500B1 (ko) * 2007-11-30 2014-10-06 (주)네오팜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KR101262037B1 (ko) * 2010-10-04 2013-05-08 주식회사 선진화학 자외선 차단제의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복합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686B1 (ko) 2001-12-08 2008-01-21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표면 처리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412A (ko) 2014-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644B1 (ko)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896684B2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skin contact and makeup persiste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969181B1 (ko) 신체 표면 보호용 조성물
FR2830759A1 (fr) Composition sous forme d'emulsion huile-dans-eau contenant un copolymere silicone et ses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DE112014001299T5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BRPI1006024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emulsificada para cuidado da pele
KR101794555B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L185239B1 (pl) Zasadniczo bezwodna kompozycja kosmetyczna do miejscowego stosowania oraz sposób jej wytwarzania
EP3226831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n autoassociative polyurethane, a fatty alcohol or acid, a nonionic surfactant, and a pigment
KR101446500B1 (ko)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KR20130122549A (ko) Mq 실리콘 레진 및 프로필실세스퀴옥산 수지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2017733A1 (ja) 皮膚化粧料
BR112021011123A2 (pt) Composição, uso da mesma, processo cosmético para o cuidado de um material de queratina, notavelmente a pele, e mais particularmente a pele do rosto e processo para tornar a pele do rosto opaca e/ou para reduzir o seu brilho
KR102269198B1 (ko) 피부 각질 박리용 배니싱 크림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68226A (ko) 피부 결함을 예방, 감소 또는 제거하고 피부 장애를 치료하고 두피의 과지루성 상태를 예방, 치료 및 퇴치하기 위한 석신산을 포함하는 메이크업을 제거하고/하거나 클렌징하기 위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KR20130042918A (ko)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80049961A1 (en) Long-wear cosmetic composition
JP2023553098A (ja) スクロースエステル及び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2023552814A (ja) スクロースエステル及び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4177420A (ja) 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WO2016088905A1 (ko)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BR112021010721A2 (pt) Composições cosméticas compreendendo uma ciclodextrina tendo uma distribuição de tamanho de partícula
KR100858626B1 (ko) 세라마이드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3890A (ko)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