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576A - 오일 및 유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 및 유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576A
KR20220148576A KR1020210055826A KR20210055826A KR20220148576A KR 20220148576 A KR20220148576 A KR 20220148576A KR 1020210055826 A KR1020210055826 A KR 1020210055826A KR 20210055826 A KR20210055826 A KR 20210055826A KR 20220148576 A KR20220148576 A KR 20220148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rganic
aminopropyltrimethoxysilane
oil
amino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정
유재원
정하진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1005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576A/ko
Priority to CN202210469406.9A priority patent/CN115252461A/zh
Publication of KR2022014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3Coating mediated by organosilicon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4Coated by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굴절률, 비중, 점도 등을 특정한 오일 및 다당류가 코팅된 무기분체를 함께 포함하여, 수분 보유력이 우수하면서도, 피부 윤기를 지속시킬 수 있고, 균일한 화장막 구현이 가능하며, 미끌거림이 없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균일한 화장막을 구현함으로써, 밀착력이 향상되어 화장막 무너짐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및 유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MPOSITION INCLUDING OIL AND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WDER}
본 명세서에는 오일 및 유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기존의 메이크업 제형에서 윤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굴절률(RI; Refractive Index)이 높은 오일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굴절률이 높은 오일들은 대부분 두꺼운 느낌으로, 끈적임과 잔여감이 심하여 그 사용감이 좋지 않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피지와 만나 지속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윤기를 높이는 다른 방법으로는 보습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일반 보습제를 단순 혼합하는 경우 또한 미끌거림과 잔여감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세리사이트, 펄 등의 윤기가 있는 파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의 수분 유지력이 저하되어 건조감이 심하고, 장기적으로 피부의 윤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윤기와 보습감을 유지하면서, 끈적임이 적고 피지에 대한 지속성이 좋은 조성물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미국특허 9,616,002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수분 보유력이 우수하면서도, 피부 도포시 미끌거리지 않고 끈적임이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수분 보유력이 우수하면서도, 윤기와 지속력이 향상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유무기 복합분체;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는 무기분체 및 상기 무기 분체 상의 음이온성 다당류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음이온성 다당류가 코팅된 유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여, 수분 보유력이 우수하면서, 피부 도포시 미끌거리지 않고 끈적임이 거의 없다.
다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굴절율과 비중, 점도가 다소 낮은 편인 오일을 포함하여, 수분 보유력이 우수하면서도, 피부에 윤기 및 이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지의 지속성 실험 결과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된 유무기 복합분체의 개략도이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에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유무기 복합분체; 및 오일;를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는 무기분체 및 상기 무기 분체 상의 음이온성 다당류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비중이 비교적 낮은 오일을 포함하고, 음이온성 다당류가 코팅된 유무기 복합분체를 함유하여, 끈적임이 적으면서도 보습력이 충분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오일과 유무기 분체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피부 윤기 밀 이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화장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메이크업후 시간이 흐르더라도 화장막 무너짐 현상이 감소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무기분체는 마이카, 알루미나, 이산화티탄,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무기분체는 마이카일 수 있고, 상기 마이카는 천연 마이카 또는 합성 마이카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카르복실기(COO-) 또는 황산기(OSO3 -)를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히알루론산, 펙틴, 푸코이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카라기난, 카르복시알킬셀룰로오스 및 그의 염, 아라비아검(아카시아검), 알긴산, 알긴산 소디움, 잔탄검 및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히알루론산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무기분체는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개질된 것일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기분체 상에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로 인해 양이온기를 가지고, 여기에 음이온성 다당류의 음이온기가 코팅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기분체 표면에 양이온성을 부여할 수 있는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로 1차 코팅 또는 표면개질을 수행하고(Step 1), 표면개질된 무기분체 상에 음이온성 다당류를 2차 코팅하여(Step 2) 더욱 안정적으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은 아미노기(NH3 +)를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hen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비닐벤질)-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하이드로클로라이드(N-(Vinylbenzyl)-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HC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과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서로 이온 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무기분체 상에 존재하는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이 음이온성 다당류와 이온결합에 의하여 결합함으로써, 단순히 무기분체 상에 음이온성 다당류를 단순 코팅하는 것과 비교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유지되는 안정적인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예컨대, 0.5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1.9 중량% 이상, 2.1 중량% 이상, 2.3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2.7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또는 9 중량% 이상일 수 있고,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보습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 파우더에 의한 무겁고 텁텁한 사용감. 안정도가 안좋아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은 하기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1.38 내지 1.47의 굴절률, 0.8 내지 1.1의 비중, 및 0 내지 30 cps의 점도.
기존에는 윤기를 높이기 위해서 1) 굴절률이 높은(1.5에 가까운) 오일과 보습제, 2) 윤기가 있는 마이카, 세리사이트 등의 파우더를 사용하였는데, 굴절률 높은 오일과 보습제의 경우, 피부 도포시 잔여감(끈적임)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상의 피지와 결합하여 지속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윤기가 있는 파우더를 많이 넣을 경우에는 파우더의 답답함과 무거움이 느껴질 수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건조함으로 인해 피부의 윤기가 떨어질 수 있으며, 제형적으로 안정도가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1)에 대한 해결책으로 굴절률을 특정 범위(1.38 내지 1.47)로 조정하고, 비중과 점도도 낮은 오일을 선별하고, 함량을 조절하여 윤기는 유지하면서 잔여감과 지속성을 보완하였다.
또한, 2)에 대한 해결책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카와 같은 무기분체에 히알루론산과 같이 보습 기능을 가지는 음이온성 다당류를 코팅하여, 윤기가 좋아지고, 건조감을 개선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오일의 특성을 한정할 뿐만 아니라, 무기 분체를 코팅함으로써, 제형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끈적임 또는 잔여감 없이 피부의 윤기를 장시간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굴절율만 높은 오일을 쓰면 잔여감, 피지에 의한 지속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굴절율을 다소 낮추더라도 비중과 점도를 고려하여 가벼운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윤기가 좋으면서도, 잔여감을 줄이고 지속력도 좋다.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은 카프릴릴메티콘, 메틸트라이메티콘,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페닐트리메티콘,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나노에이트, 디메티콘, 트리메틸실록시페닐 디메티콘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메티콘은 5~6cs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일의 함량은 0.5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20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일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끈적임이 느껴질 수 있고, 오일이 피지와 뭉쳐 윤기의 지속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보습제이며, 상기 조성물은 보습용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 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티슈,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파운데이션, 액상 파운데이션, 립스틱, 립글로스, 리퀴드 아이섀도우, 아이브라우, 컨실러, 리퀴드 컨실러, 리퀴드 블러셔 등의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펀지 침적 로션, 쿠션, 에어쿠션 등의 메이크업용 조성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윤기 및 이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유무기 복합분체;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는 무기분체 및 상기 무기분체 상의 음이온성 다당류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 상에 도포하여, 피부 보습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유무기 복합분체;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는 무기분체 및 상기 무기분체 상의 음이온성 다당류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피부 윤기 및 이의 지속성 향상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유무기 복합분체;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는 무기분체 및 상기 무기분체 상의 음이온성 다당류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피부 보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무기 복합분체;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는 무기분체 및 상기 무기분체 상의 음이온성 다당류 코팅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비치료적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피부 윤기 및 이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무기 복합분체;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는 무기분체 및 상기 무기분체 상의 음이온성 다당류 코팅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비치료적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에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먼저, 하기 방법에 따라, 유무기 복합분체를 제조하였다.
(Step 1) 무기분체를 아미노기를 가지는 실란으로 코팅하는 단계
- 무기분체(마이카)를 용매에 넣고 교반한다. Mearmica Treated SVA, Mearlmica DD 8302, Mearmica MMCF, Mica 8, Mica W, Sericite 300 S, Sericite SL, NK-8G, mica Y-1800 등을 사용하였다.
- 여기에 아미노기를 가지는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적가하고 가열하여 환류시킨다.
- 코팅이 종결된 후 여과하고 용매로 세척한다.
(Step 2) 음이온성 다당류로 다시 코팅하는 단계
- (Step 1)에서 얻어진 무기분체를 물에 분산한다.
- 물에 녹인 다당류(Polysaccharide)(히알루론산)을 천천히 적가하고 교반한다. 여기서, 다당류 함량은 히알루론산을 별도로 첨가하는 비교예 4와 같은 양으로 이용하였다.
- 코팅이 종결된 후 여과하고 물로 충분히 세척해 준다.
- 에탄올 또는 아세톤으로 세척한다.
그 후,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KS펄社의 NK-8G를 현대바이오랜드의 히알루론산을 이용해 코팅하였다. 하기 표 1 및 2에서는 모두 NK-8G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코팅된 마이카
특정 오일
코팅된 마이카
특정 오일 조합2
코팅된 마이카
특정 오일 조합3
호모살레이트 7 7 7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3.5 3.5 3.5
피이지-10디메치콘 1.5 1.5 1.5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1.2 1.2 1.2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3 8 3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 -
사이클로헥사실록산 - - -
C12-15 ALKYL BENZOATE - - -
DIISOSTEARYL MALATE - - -
TRIDECYL TRIMELLITATE - - -
Hydrogenated Polyisobutene - - -
카프릴릴메티콘 5 - -
메틸트라이메티콘 10 7 -
octyldodecyl neopentanoate - 3 -
PHENYL TRIMETHICONE - - 5
dimethicone 5cs - - 3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 - 7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1.7 1.7 1.7
티타늄디옥사이드 10.05 10.05 10.05
황색 산화철 0.46 0.46 0.46
적색 산화철 0.17 0.17 0.17
흑색 산화철 0.05 0.05 0.05
시판 논코팅(non-coating) 마이카 - - -
코팅된 마이카 2 2 2
to 100 to 100 to 100
히알루론산 (HA) - - -
프로판다이올 5 5 5
염화나트륨 0.5 0.5 0.5
디소듐 EDTA 0.05 0.05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2 0.2 0.2
1,2-헥산디올 0.5 0.5 0.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논코팅(non-coating) 마이카
일반 오일
논코팅(non-coating) 마이카
특정 오일
코팅된 마이카
일반 오일
논코팅(non-coating) 마이카
+HA 별도
특정 오일
코팅된 마이카
일반 오일 조합 2
코팅된 마이카
일반 오일 조합 3
호모살레이트 7 7 7 7 7 7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5 5 5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3.5 3.5 3.5 3.5 3.5 3.5
피이지-10디메치콘 1.5 1.5 1.5 1.5 1.5 1.5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1.2 1.2 1.2 1.2 1.2 1.2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3 3 3 3 3 3
사이클로펜타실록산 6.4 - 6.4 - 6.4 5.76
사이클로헥사실록산 3.6 - 3.6 - 3.6 3.24
C12-15 ALKYL BENZOATE 5 - 5 -   -
DIISOSTEARYL MALATE - - - - 5 -
TRIDECYL TRIMELLITATE - - - - - 3
Hydrogenated Polyisobutene - - - - - 3
카프릴릴메티콘 - 5 - 5 - -
메틸트라이메티콘 - 10 - 10 - -
octyldodecyl neopentanoate - - - - - -
PHENYL TRIMETHICONE - - - - - -
dimethicone 5cs - - - - - -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 - - - - -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1.7 1.7 1.7 1.7 1.7 1.7
티타늄디옥사이드 10.05 10.05 10.05 10.05 10.05 10.05
황색 산화철 0.46 0.46 0.46 0.46 0.46 0.46
적색 산화철 0.17 0.17 0.17 0.17 0.17 0.17
흑색 산화철 0.05 0.05 0.05 0.05 0.05 0.05
시판 논코팅(non-coating) 마이카 2 2 - 2 - -
코팅된 마이카 - - 2 - 2 2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히알루론산 (HA) - - - 0.04 - -
프로판다이올 5 5 5 5 5 5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디소듐 EDTA 0.05 0.05 0.05 0.05 0.05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2 0.2 0.2 0.2 0.2 0.2
1,2-헥산디올 0.5 0.5 0.5 0.5 0.5 0.5
상기 표 1 및 2에서 사용된 오일의 스펙은 다음과 같고, 이 중 실시예와 비교하여 굴절률, 점도 또는 비중이 벗어나는 경우, 해당 수치에 밑줄로서 표시하였다.
원료 상표명 (INCI) R.I 휘발도(Flash point, °C) 점도 비중
Dermofeel BGC(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1.442~1.444 191 N/A ~0.91
DC 556(PHENYL TRIMETHICONE ) 1.4549-1.4626(@25℃) 97/150.7 15-30(@25℃) 0.97-0.99
SeraSense SF PTM A(PHENYL TRIMETHICONE) 1.455~1.46(@25℃) 101 20~28 0.97-0.99
Elefac I-205(octyldodecyl neopentanoate) 1.43-1.45(@25℃) 185 - 0.835-0.855(25도)
Salacos 99(Isononyl isononanoate) 1.434~1.436(@25℃) 136 7(@20℃) 0.849~0.855(25도)
TMF 1.5(METHYL TRIMETHICONE ) 1.385~1.386(@25℃) 61 1.4~1.9(@25℃) 0.91 (20도)
dimethicone 5CS (PF1)KF-96A-5CS 1.3945-1.3975 (@25℃) 102 4.5~5.5 mm2/s 0.910~0.920
DOWSIL™ SH 200 C Fluid 6 cSt(DIMETHICONE) 1.396~1.4 100~153 5~7 0.918~0.928
DOWSIL FZ-3196 Fluid(CAPRYLYL METHICONE) 1.4105-1.4145 100~120 2~4 0.834
Belsil PDM 20 (TRIMETHYLSILOXYPHENYL DIMETHICONE ) 1,4280~1,4460 170 18,0~22,0 mm²/s 1.0 g/cm³ at 25 °C
CSA(Caprylic/Capric Triglyceride) 1.440-1.452(@20℃) 250 N/A 0.930-0.96(20도)
PMX-0345SILOXANEBLEND(Cyclopentasiloxane*Cyclohexasiloxane) 0.954~0.961(@25℃) 77 4~8(@25℃) 0.954 - 0.961
COSMOL 222 (DIISOSTEARYL MALATE ) 1.445~1.465   1600~2200 0.910~0.915
Panalane L-14E(Hydrogenated Polyisobutene) 0.8307(@20℃) 115 65(@25℃)  
liponate TDTM (TRIDECYL TRIMELLITATE ) N/A 277 230~260 cst (@화씨100도) 0.97
FINSOLV TN-O(NEW) C12-15 ALKYL BENZOATE*C12-15 ALCOHOLS 1.4830 - 1.4870 < 50 N/A 0.915 - 0.935
실험예 1 - 윤기 평가
인조가죽에 도포용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포 5분 후에 글로스미터(BYK-Gardner 4563)를 이용하여 윤기를 측정하였다. 글로스미터는 보통 20도, 60도, 85도 앵글에서 각각 반사된 빛을 측정하는데, 본 실험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시료를 측정하는 값인 60도에서의 값을 선택하여 비교하였다. 60도 값을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내어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윤기(GU) 12.4 12.7 13.1 9.1 9.7 11.2 10.2 11.2 11.3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3의 조성물의 윤기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지속력 평가
각 샘플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인조피혁에 균일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포 후 1시간 건조한 다음, 인공피지를 마이크로파이펫으로 시료 위에 동량 도포하였다. 그 후, 인공피지 도포 전, 후의 균일도(roughness, Sa)값을 비교 하여, 그 갭(△Sa )을 측정하였다. 갭이 작은 것이 지속성이 좋은 것을 의미하며,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하기 표 5 및 도 1a-1e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Sa 0.96 0.99 1.01 5.68 1.43 4.77 1.65 4.78 4.82
이미지 1a 1b 1c 1d 1e 1f 1g 1h 1i
상기 표 5 및 도 1a-1i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갭(△Sa)이 최대 5배 이상 지속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끈적임 센서리 평가
센서리 패널 20명의 얼굴에 시료를 도포 후, 끈적임 정도를 총 4단계로 평가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끈적임 X X X
끈적임 없음: X<△<○<◎ : 강한 끈적임
상기 표 6를 참조하면, 특히 굴절율 범위를 초과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비교예 1 및 3의 경우 강한 끈적임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 보습력 평가
실시예의 처방에 대하여, 하기 방법을 이용하여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손등 피부에 제형을 도포하였으며, 전박 세정 후 5분 이상 대기한 후, 도포 전 수분 측정하였다.
- 2 cm x 2 cm 공간에 제형 0.01g 도포하였다.
- 10분 건조 후(직후), 3시간 후 및 6시간 후 각각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 수분 측정 기기(KR10-1789627 등에 개시된 스킨터치(아모레퍼시픽社))를 활용하였으며, 제형 도포 전과 비교한 수분 변화량 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도포 직후 26.8 27.01 27.18 11.15 13.00 20.44 15.44 15.36 15.57
3시간 후 6.63 6.75 6.81 2.13 3.33 7.33 3.78 3.83 3.82
6시간 후 5.50 5.76 5.86 0.64 0.78 4.00 1.44 1.56 1.60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와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수분 변화량(감소 폭)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예
구체예 1: 유무기 복합분체;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는 무기분체 및 상기 무기분체 상의 음이온성 다당류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성물.
구체예 2: 구체예 1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체는 마이카, 알루미나, 이산화티탄,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조성물.
구체예 3: 구체예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카르복실기(COO-) 또는 황산기(OSO3 -)를 가지는, 조성물.
구체예 4: 구체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히알루론산, 펙틴, 푸코이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카라기난, 카르복시알킬셀룰로오스 및 그의 염, 아라비아검(아카시아검), 알긴산, 알긴산 소디움, 잔탄검 및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구체예 5: 구체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체는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개질된 것인, 조성물.
구체예 6: 구체예 5 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은 아미노기(NH3 +)를 가지는, 조성물.
구체예 7: 구체예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hen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비닐벤질)-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하이드로클로라이드(N-(Vinylbenzyl)-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HC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구체예 8: 구체예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과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서로 이온 결합에 의하여 결합된, 조성물.
구체예 9: 구체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인, 조성물.
구체예 10: 구체예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하기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조성물:
1.38 내지 1.47의 굴절률, 0.8 내지 1.1의 비중, 및 0 내지 30 cps의 점도.
구체예 11: 구체예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카프릴릴메티콘, 메틸트라이메티콘,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페닐트리메티콘,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나노에이트, 디메티콘, 트리메틸실록시페닐 디메티콘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
구체예 12: 구체예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오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인, 조성물.
구체예 13: 구체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보습제이며,
상기 조성물은 보습용인, 조성물.
구체예 14: 구체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조성물.
구체예 15: 구체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구체예 16: 구체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윤기 및 이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Claims (16)

  1. 유무기 복합분체;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는 무기분체 및 상기 무기분체 상의 음이온성 다당류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체는 마이카, 알루미나, 이산화티탄,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카르복실기(COO-) 또는 황산기(OSO3 -)를 가지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히알루론산, 펙틴, 푸코이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카라기난, 카르복시알킬셀룰로오스 및 그의 염, 아라비아검(아카시아검), 알긴산, 알긴산 소디움, 잔탄검 및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체는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개질된 것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은 아미노기(NH3 +)를 가지는,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hen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비닐벤질)-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하이드로클로라이드(N-(Vinylbenzyl)-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HC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실란계 화합물과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서로 이온 결합에 의하여 결합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분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하기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조성물:
    1.38 내지 1.47의 굴절률, 0.8 내지 1.1의 비중, 및 0 내지 30 cps의 점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카프릴릴메티콘, 메틸트라이메티콘,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페닐트리메티콘,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나노에이트, 디메티콘, 트리메틸실록시페닐 디메티콘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다당류는 보습제이며,
    상기 조성물은 보습용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윤기 및 이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210055826A 2021-04-29 2021-04-29 오일 및 유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148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826A KR20220148576A (ko) 2021-04-29 2021-04-29 오일 및 유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202210469406.9A CN115252461A (zh) 2021-04-29 2022-04-28 包含有机-无机复合粉体以及油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826A KR20220148576A (ko) 2021-04-29 2021-04-29 오일 및 유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576A true KR20220148576A (ko) 2022-11-07

Family

ID=8375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826A KR20220148576A (ko) 2021-04-29 2021-04-29 오일 및 유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48576A (ko)
CN (1) CN1152524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6002B2 (en) 2014-02-17 2017-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biodegradable abrasive p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6002B2 (en) 2014-02-17 2017-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biodegradable abrasive 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52461A (zh)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7049B2 (en) Long-wearing glossy lipstick
US8591924B2 (en) High-coverage and natural-look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3223775B1 (fr) Gel aqueux ou hydroalcoolique de phyllosilicates synthetiques a titre d&#39;agent viscosant, matifiant et/ou homogeneisant d&#39;application
KR20180005159A (ko) 무광택 화장품 조성물
AU2011200440B2 (en) Silicone elastomer exfoliating compositions
JP2010507671A (ja) ポリアルキルシルセスキオキサン粉末エマルションを含んだ水系スキンケア組成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WO2014151720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titanate silicone networks
CN111132735B (zh) 个人护理组合物
KR20230061310A (ko) 즉각적인 결점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US20130302385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a water-based gel and a water-in-oil emulsion
US9333161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alkoxysilane and hyaluronic acid
US8357355B2 (en) Silicone elastomer exfoliating compositions
EP2011542A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luidized-particles
KR20220148576A (ko) 오일 및 유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094532A (ko)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메이크업 밀착 평가 방법
KR20220148575A (ko) 유무기 복합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230190613A1 (en) Skin perfect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23118065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articulate cellulosic compound, hydrophobic silica aerogel particles, a semicrystalline polymer and a wax of plant origin
WO2023118067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articulate cellulosic compound, hydrophobic silica aerogel particles, and a semicrystalline polymer
WO2024115621A1 (en) Retinol-based cosmetic composition
FR3111810A1 (fr) Composition comprenant une association de charges
CN111163748A (zh) 包含颜料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2370935A (ja) メークアップコート剤
JPH0324007A (ja) 外用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