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169B1 - 밀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퍼백 - Google Patents

밀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퍼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169B1
KR102077169B1 KR1020180120309A KR20180120309A KR102077169B1 KR 102077169 B1 KR102077169 B1 KR 102077169B1 KR 1020180120309 A KR1020180120309 A KR 1020180120309A KR 20180120309 A KR20180120309 A KR 20180120309A KR 102077169 B1 KR102077169 B1 KR 102077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oupling surface
key
groov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교
Original Assignee
김영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교 filed Critical 김영교
Priority to KR102018012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B65D33/25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 B65B61/18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by applying or incorporating profile-strips, e.g. for reclosable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는 서로 교합되어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밴드 및 제2 밴드를 포함하는 밀폐장치로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밀폐 장치의 단면에서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 사이에 상호 교차하는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면은 상기 밀폐 장치의 단면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면은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수직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마련된다.

Description

밀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퍼백{SHUTTER APPARATUS AND ZIPPER BAG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밀폐 장치와 관련된다.
소정의 물질을 밀폐된 공간에 수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지퍼백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지퍼백은 체결부의 암수가 수평방향으로만 결합되어, 상하의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체결부의 결합이 유지되지만, 수평방향으로의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체결부의 결합이 쉽게 분리되어 밀폐력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및 수평방향 모두의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밀폐력을 쉽게 잃지 않는 밀폐 장치의 구성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669661호 (2016. 10. 20)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체결부의 결합이 쉽게 깨지지 않아 밀폐력이 강화된 밀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는 서로 교합되어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밴드 및 제2 밴드를 포함하는 밀폐장치로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밀폐 장치의 단면에서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 사이에 상호 교차하는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면은 상기 밀폐 장치의 단면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면은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수직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 밴드는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결합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상기 제1 결합면을 향하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키 및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결합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1 키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키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결합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상기 제1 결합면을 향하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키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키홈에 끼움 삽입 가능한 제2 키 및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결합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2 키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키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키가 끼움 삽입되는 제2 키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는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2 키의 갈고리 형태의 끝 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이 상기 제1 키홈의 내면보다 상기 제2 연장선과 가깝게 마련되는 제1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키의 갈고리 형태의 끝 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이 상기 제2 키홈의 내면보다 상기 제2 연장선과 가깝게 마련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 장치는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의 결합 시,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의 양 옆 외부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양 단이 상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 각각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양 단 각각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더홈 및 제2 슬라이더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는 하단에 상기 제1 결합면과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보조 절곡부 및 상단에 상기 제1 결합면과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보조 절곡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상단에 상기 제1 보조 절곡홈과 교합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결합면과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보조 절곡부 및 하단에 상기 제1 보조 절곡부와 교합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결합면과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보조 절곡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퍼백은 상기 과제 해결 수단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밀폐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의 장력에도 결합체 각각이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밀폐 장치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 각각이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 사이의 사선 방향의 면을 맞대며, 맞닿은 면과 수직하며 서로 대응하는 키와 키홈을 포함함에 따라, 체결부가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를 구비하는 지퍼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결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를 구비하는 지퍼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결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밀폐 장치(100) 제1 밴드(101) 및 제2 밴드(102)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 장치(100)는 내용물을 내부에 수납하고 상단을 밀폐시킬 수 있는 지퍼백에서 밀폐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밀폐 장치(100)는 지퍼백에서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용공간의 상단에, 제1 밴드(101) 및 제2 밴드(102)가 서로 마주보고, 수용공간 상단의 모서리 길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밴드(101) 및 제2 밴드(102)는 서로 교합되어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밴드(101)와 제2 밴드(102)는 서로 수평 방향(y)(제1 축 방향)(즉, 밀폐 장치(100)의 단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 밴드(101)와 제2 밴드(102)의 결합 및 분리에 따라, 제1 밴드(101) 및 제2 밴드(102)의 하방에 마련된 수용공간(예를 들어, 지퍼백의 비닐 주머니 공간)에 물체를 상하 방향(z)(제1 축 방향과 수직한 제2 축 방향)(즉, 밀폐 장치(100)의 단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넣고 밀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폐 장치(100)의 동작은 주로 수평 방향(y) 및 상하 방향(z)과 연관되어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 밴드(101)와 제2 밴드(102)가 서로 맞닿는 제1 결합면(S1) 및 제2 결합면(S2)는 수평 방향(y)과 상하 방향(z)사이의 방향(a)(제1 축과 제2 축을 포함하는 면에서 제1축과 제2축 사이의 대각선 방향)(이하, 밴드 결합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은 상호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면은 밀폐 장치(100)의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을 향하는 대각선 방향(제1 대각선 방향)으로 마련되고, 제2 결합면은 밀폐 장치(100)의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을 향하는 대각선 방향(제2 대각선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밴드(101)와 제2 밴드(102) 각각은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예를 들어, 제1 키(111), 제1 키홈(112), 제2 키(121) 및 제2 키홈(122))이 밴드 결합 방향(a)과 수직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여 밴드 결합 방향(a)과 수직한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 제1 밴드(101) 및 제2 밴드(102)가 결합을 잘 유지함에 따라, 일반적인 밀폐 수단(예를 들어, 지퍼백 상단의 체결부) 보다 밀폐력이 증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1 밴드(101) 및 제2 밴드(102)의 구성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밴드(101)의 구성과 제2 밴드(102)의 각각 대응되는 구성은 서로 원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점은 제1 결합면(S1)과 제2 결합면(S2)가 교차하는 지점일 수 있다. 제1 밴드(101)의 구성과 제2 밴드(102)의 구성이 대칭되며 작용 또한 동일함으로, 이하에서는 제1 밴드(101)의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밴드(101) 및 제2 밴드(102)의 결합구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구조의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길이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밴드(101)는 제2 밴드(102)의 왼편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밴드(101)는 제1 키(111), 제1 키홈(112), 제1 홀더(113), 제1 홀더홈(114), 제1 보조 절곡부(115), 제1 보조 절곡홈(116) 및 제1 슬라이더홈(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키(111)는 제2 밴드(102)와 맞닿는 제1 결합면(S1)의 중심에서 제1 결합면(S1)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키(111)은 제1 결합면(S1)을 기준으로, 중심보다 아래쪽에서 오른쪽 하단을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키(111)는 제2 밴드(102)의 제2 키홈(122)에 끼움 삽입될 수 있다.
제1 키(111)는 왼쪽 하단을 향하는 갈고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키(111)의 갈고리 형태의 끝단은 제2 밴드(102)의 제2 홀더(123)에 감싸이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홀더(123)가 갈고리 형태 끝단을 감싸며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키(111)의 끝 단의 상방에 제2 홀더(123)와 교합되는 형태의 제1 홀더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키홈(112)은 제2 밴드(102)와 맞닿는 제1 결합면(S1)에서 밴드 결합 방향(a)과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키홈(112)는 제1 결합면(S1)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 키(11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키홈(112)은 제1 결합면(S1)을 기준으로, 중심보다 위쪽에서 왼쪽 상단을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 키홈(112)은 제2 밴드(102)의 제2 키(12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키홈(112)에 삽입되는 제2 키(121)는 오른쪽 상단을 향하는 갈고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113)는 제2 키(121)가 제1 키홈(112)로부터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2 키(121)의 오른쪽 상단을 향하는 끝 단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더(113)는 제2 키(121)보다 오른쪽 하단에서 제2 결합면(S2)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형성된 제1 홀더(113)의 외면이 제1 키홈(112)의 내면보다 제2 결합면(S2)과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제2 키(121)가 오른쪽 하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홀더홈(114)은 제2 밴드(102)의 제2 홀더(123)와 교합되도록, 제1 키(111)의 끝단의 왼쪽 상단에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123)는 제1 키(111)가 제2 밴드(102)의 제2 키홈(1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더홈(114)은 제1 키(111)의 왼쪽 하단에서 제2 결합면(S2)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 형성된 제1 홀더홈(114)의 내면이 제1 키(111)의 외면보다 제2 결합면(S2)과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제1 키(111)가 왼쪽 상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보조 절곡부(115)는 밀폐 장치(100)의 하단에 마련된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제1 밴드(101)과 제2 밴드(102)사이의 제1 결합면(S1)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밴드(101)의 하단에 제1 결합면(S1)과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꺽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 절곡홈(116)은 제1 밴드(101)의 상단에 제2 밴드(102)의 제2 보조 절곡부(미도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보조 절곡홈(116)은 제1 밴드(101)의 상단에서, 제2 밴드(102)의 제2 보조 절곡부(미도시)와 대응되도록 제1 결합면(S1)과 절곡되어 꺽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홈(118)은 제1 밴드(101)와 제2 밴드(102)가 결합된 경우, 제1 밴드(101) 및 제2 밴드(102)의 양 옆 외부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는 슬라이더(118-1)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더(118-1)는 뒤집어진 알파벳 U자 형상으로, 양 단이 제1 밴드(101) 및 제2 밴드(102)의 양 옆 외부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18-1)는 지퍼백 상단에 마련된 밀폐 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슬라이더홈(118) 및 제2 슬라이더홈(미도시)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118-1)의 레일일 수 있다. 제1 슬라이더홈(118)은 입구부분의 지름보다 내측에 마련된 부분의 지름이 더 커서, 슬라이드 삽입됨 슬라이더(118-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100)를 구비하는 지퍼백은, 사용자가 의도하여 밴드 결합 방향(a)과 수직한 방향으로 장력을 뒤틀어서 가하지 않는 경우, 제1 밴드(101) 및 제2 밴드(102)가 결합을 잘 유지함에 따라, 일반적인 지퍼백보다 밀폐력이 증진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밀폐 장치
101 : 제1 밴드
102 : 제2 밴드
111 : 제1 키
112 : 제1 키홈
113 : 제1 홀더
114 : 제1 홀더홈
115 : 제1 보조 절곡부
116 : 제1 보조 절곡홈
118 : 제1 슬라이더홈
118-1 : 슬라이더

Claims (6)

  1. 서로 교합되어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밴드 및 제2 밴드를 포함하는 밀폐장치로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밀폐 장치의 단면에서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 사이에 상호 교차하는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면은 상기 밀폐 장치의 단면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면은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수직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밴드는,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결합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상기 제1 결합면을 향하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키; 및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결합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1 키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키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결합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상기 제1 결합면을 향하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키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키홈에 끼움 삽입 가능한 제2 키; 및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결합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2 키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키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키가 끼움 삽입되는 제2 키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밴드는,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2 키의 갈고리 형태의 끝 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이 상기 제1 키홈의 내면보다 상기 제2 결합면과 가깝게 마련되는 제1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키의 갈고리 형태의 끝 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이 상기 제2 키홈의 내면보다 상기 제2 결합면과 가깝게 마련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밴드는,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2 홀더와 교합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고, 내면이 상기 제1키의 외면보다 제2 결합면과 가깝게 마련되는 제1 홀더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제1 결합면에서 상기 제1 홀더와 교합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고, 내면이 상기 제2 키의 외면보다 제2 결합면과 가깝게 마련되는 제2 홀더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밴드는,
    하단에 상기 제1 결합면과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보조 절곡부; 및
    상단에 상기 제1 결합면과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보조 절곡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상단에 상기 제1 보조 절곡홈과 교합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결합면과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보조 절곡부; 및
    하단에 상기 제1 보조 절곡부와 교합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결합면과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보조 절곡홈을 포함하는, 밀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 장치는,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의 결합 시,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의 양 옆 외부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양 단이 상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 각각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양 단 각각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더홈 및 제2 슬라이더홈을 포함하는, 밀폐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밀폐 장치를 구비하는 지퍼백.
KR1020180120309A 2018-10-10 2018-10-10 밀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퍼백 KR102077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309A KR102077169B1 (ko) 2018-10-10 2018-10-10 밀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퍼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309A KR102077169B1 (ko) 2018-10-10 2018-10-10 밀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퍼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169B1 true KR102077169B1 (ko) 2020-02-13

Family

ID=6951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309A KR102077169B1 (ko) 2018-10-10 2018-10-10 밀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퍼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1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6436A (ko) * 2006-11-19 2009-08-12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직물 및/또는 다른 재료 사이에 폐쇄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085554B2 (ja) * 2005-11-01 2012-11-28 レイノルズ コンシューマー プロダクツ、インク. パッケージ封緘具及び封緘方法
JP5466972B2 (ja) * 2009-07-17 2014-04-09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帯状嵌合部材、帯状嵌合具、および帯状嵌合具付包装袋
KR101669661B1 (ko) 2016-03-07 2016-10-27 주식회사 대명폴리텍 멀티락 구조를 갖는 지퍼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5554B2 (ja) * 2005-11-01 2012-11-28 レイノルズ コンシューマー プロダクツ、インク. パッケージ封緘具及び封緘方法
KR20090086436A (ko) * 2006-11-19 2009-08-12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직물 및/또는 다른 재료 사이에 폐쇄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466972B2 (ja) * 2009-07-17 2014-04-09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帯状嵌合部材、帯状嵌合具、および帯状嵌合具付包装袋
KR101669661B1 (ko) 2016-03-07 2016-10-27 주식회사 대명폴리텍 멀티락 구조를 갖는 지퍼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6214B (zh) 线缆保护引导装置
US8864389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US10082230B2 (en) Corrugated tube for protecting a cable, fastener for coupling a housing on the corrugated tube and seal element for sealing the corrugated tube against the housing
US10782444B2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US10309827B2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comprising a light transmissive plate disposed to straddle the body housing and a pair of caps
US20200044389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1884453B2 (en) Child safety zipper and child safety zipper bag with the same
KR102077169B1 (ko) 밀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퍼백
JP2018535721A (ja) 接続クランプ装置
US2013012275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Wafer Having Inwardly Biasing Dovetail
KR101220436B1 (ko) 반도체 공정용 파이프의 연결 구조
US10473186B2 (en) Coupling structure
US20180017434A1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US9698526B2 (en) Connector with aligning plate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US9594227B2 (en) Sealing block with stackable sealing elements
KR101001582B1 (ko) 광접속함체
US20200207292A1 (en) Binding member and engaging member
US6769813B2 (en) Universal optical fiber plug
KR102212320B1 (ko) 플러그 커넥터 모듈용 가이드 요소를 갖는 지지 프레임
CN106486871B (zh) 连接器
CN219515482U (zh) 绳索扣具
KR200323612Y1 (ko) 비닐백용 지퍼의 결합구조
KR102211620B1 (ko)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CN103229363B (zh) 插座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