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570B1 -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 Google Patents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570B1
KR102076570B1 KR1020157001600A KR20157001600A KR102076570B1 KR 102076570 B1 KR102076570 B1 KR 102076570B1 KR 1020157001600 A KR1020157001600 A KR 1020157001600A KR 20157001600 A KR20157001600 A KR 20157001600A KR 102076570 B1 KR102076570 B1 KR 102076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njector
outer cylinder
fluid
microneedle device
protrud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011A (ko
Inventor
도모야 스미다
유미꼬 야마다
마사끼 고노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5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e.g. vacuum cylinders, vein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3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having a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Abstract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로 피내 주사할 경우, 용이하고 확실하게 단시간에 원하는 양의 유체를 피부 조직에 주입할 수 있는 조작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조작 기구(14)는 일단부 개구(16a)와 타단부 개구(16b)와의 사이를 연장하여 상기 주입기(12)를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수용 공간(16c)을 가진 외통(16); 외통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중에서 상기 주입기를, 상기 니들 디바이스의 본체(10b)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을 일단부 개구 내에 인입한 초기 위치,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거리까지 외부 돌출시킨 제1 돌출 위치,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까지 외부 돌출시킨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는 기구(18)를 구비하고, 제2 돌출 위치에서 상기 주입기로부터 상기 니들 디바이스의 상기 니들을 통해 유체가 유출된다.

Description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INSTRUMENT FOR OPERATING FLUID INJECTOR USING MULTI-MICRONEEDLE DEVICE}
본 발명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의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는, 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의 이러한 유체 주입기는 주사기로서 알려져 있다.
유체 주입기는, 소정량의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예를 들어 약액)를 유지가능한 가늘고 긴 유체 유지 공간과, 유체 유지 공간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배치되어 유체 유지 공간으로부터의 유체가 유출가능한 유체류 출구와, 그리고, 유체 유지 공간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배치된 유체 유지 공간 입구 개구를 가진 유체 유지통(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을 구비하고 있다. 유체 주입기는 또한, 유체 유지통의 유체 유지 공간에 유체 유지 공간 입구 개구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피스톤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의료 분야에 있어서 잘 알려져 있는 1개의 주사 바늘 대신에 종래의 주사기 주사통의 유체류 출구에 설치되어서 피내 주사하는 것에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주사통의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약액)의 유체류 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출구 설치구와, 주사기의 피스톤 부재의 가압에 의해 주사통의 유체류 출구로부터 유출구 설치구에 유출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체 유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또한, 본체에 있어서 유출구 설치구와는 유체 유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평면 상에 복수 배치된 마이크로니들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의 상기 평면은 피부 접촉 표면으로서 기능하고,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각각은 상기 평면 상의 기단부와 상기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선단과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갖고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선단과의 사이의 길이(즉, 개개의 마이크로니들 높이)는 사용 대상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을 가진 생물(예를 들어, 모든 인간)의 상기 피부 조직의 두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주사기에 의해 피내 주사를 놓을 경우에는, 미리 주사기의 주사통 내에 주사통의 유체류 출구를 통해 피내 주사에 사용하는 유체(예를 들어, 약액)를 도입해 둔다. 이어서, 주사통의 유체류 출구에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유출구 설치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 후, 주사기의 피스톤 부재를 조금 눌러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유체 유지 공간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의 각각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 중의 공기를 주사통으로부터의 유체에서 외부 공간으로 압출하고,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유체 유지 공간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의 각각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 중을 유체로 채워 둔다.
이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을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에 누른다. 이 누름에 의해 피부 접촉 표면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찔러진다. 그리고 다음에 주사기의 피스톤을 누르면, 주사통으로부터의 유체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유체 유지 공간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각각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통해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내에 주입된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주사기에 의해 피내 주사를 놓을 경우에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을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에 누른 채 주사기의 피스톤 부재를 누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에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으로부터의 압력에 추가하여 주사기의 피스톤을 누르는 힘이 부하되어서, 상기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이 압축되어, 어느 정도 탄력성을 상실한다. 이것에 의해,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주사기에 의해 피내 주사를 놓을 경우에 상기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의 유체(예를 들어, 약액) 모두를 주입할 수 없고, 상기 원하는 개소의 피부 표면에 상기 유체가 누출되어버리거나, 또는 원하는 양의 유체 모두를 상기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주입하는 데도 비교적 많은 시간이 걸렸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 하에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예를 들어 주사기와 같은, 유체 주입기에 의해,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피내 주사를 놓을 경우에, 누구나 용이하게 확실하게 단시간에 유체 주입기 중의 원하는 양의 유체 모두를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주입할 수 있는 조작 기구, 즉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개념을 따른,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의 조작 기구는,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와,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와의 사이를 연장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를 유체 주입기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을 가진 외통과,
외통에 설치되어 있고,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중에 인입한 초기 위치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1 돌출 위치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는 선택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통해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하나의 개념을 따른,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에 있어서는,
외통의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와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중에, 유체 주입기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를, 외통에 설치되어 있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중에서 인입한 초기 위치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1 돌출 위치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고,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통해 유체가 유출된다.
제1 돌출 위치에서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상기 원하는 위치의 피부 조직에 대하여 충분히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을 생물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 충분히 누를 수도 있다.
이 때에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생물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를 가압하는 힘이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의 탄력성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이 경향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이 생물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 전술한 것 같이 충분히 눌러지는 것에 의해 더욱 높아진다.
이어서, 제2 돌출 위치에서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생물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를 가압하는 힘을 완화할 수 있다. 즉,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의 피부 조직의 탄력성이 회복한다. 그리고, 이 경향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이 전술한 것 같이 생물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 접촉하고 있을 경우에는 더 강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통해 유체가 유출됨으로써, 복수의 마이크로니들로부터 유출된 유체는 생물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의 피부 조직내에 빠르게 주입될 수 있다.
게다가, 외통에 대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의 초기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로의 이동 및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제2 돌출 위치로의 이동은, 외통에 설치되어 있는 선택 이동 기구를 조작함으로써, 누구나 용이하게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을 따른,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예를 들어 주사기와 같은, 유체 주입기에 의해,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피내 주사를 놓을 경우에, 누구나 용이하게 확실하게 단시간에 유체 주입기 중의 원하는 양의 유체 모두를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주입할 수 있다.
도 1a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종단면과 직각이 되게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개략적인 또 하나의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조작 기구의 외통 주위벽 착탈 가능한 일부 및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중에 유체 주입기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한 유체 주입기 착탈 가능 유지체에 있어서의 외통의 주위벽 착탈 가능한 일부에 대응한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도 2a는,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기 구에 의해 생물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내에서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치 결정한 상태를, 상기 조작 기구의 상기 외통, 그리고 상기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가 생물의 피부의 노출된 원하는 부위에 도 2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위치 결정되어 있는 사이에, 상기 조작 기구의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조작 기구의 상기 외통 내에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가 도 2a의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상기 조작 기구의 상기 외통, 그리고 상기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가 생물의 피부의 노출된 원하는 부위에 도 2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위치 결정되어 있는 사이에, 상기 조작 기구의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조작 기구의 상기 외통 내에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가 도 2b의 상기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제2 돌출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상기 조작 기구의 상기 외통, 그리고 상기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d는,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가 생물의 피부의 노출된 원하는 부위에 도 2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위치 결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조작 기구의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조작 기구의 상기 외통 내에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가 도 2c 중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제2 돌출 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사이에, 상기 유체 주입기의 유체 유지통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유체 주입기로부터 상기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통해 상기 생물의 피부의 노출된 원하는 부위의 피부 조직내에 주입되는 상태를, 상기 조작 기구의 상기 외통, 그리고 상기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내에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b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내에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제1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c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내에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제2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제1 변형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내에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제2 변형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내에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제1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12)를 위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의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에 의해 조작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12)는 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 있어서 주사기로서 사용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유체 주입기(12)는 소정량의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예를 들어 약액)를 유지가능한 가늘고 긴 유체 유지 공간과 유체 유지 공간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배치되어 유체 유지 공간으로부터의 유체가 유출가능한 유체류 출구(12a)와 유체 유지 공간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배치된 유체 유지 공간 입구 개구를 가진 유체 유지통(1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을 구비하고 있다. 유체 주입기(12)는 또한, 유체 유지통(12b)의 유체 유지 공간에 유체 유지 공간 입구 개구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피스톤 부재(12c)를 구비하고 있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는, 의료 분야에 있어서 잘 알려져 있는 1개의 주사 바늘 대신에 종래의 주사기 주사통의 유출구에 설치되어서 피내 주사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는,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1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의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약액)의 유체류 출구(12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출구 설치구(10a)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0b)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0b)에는 또한, 유체 주입기(12)의 피스톤 부재(12c)의 가압에 의해 유체 유지통(12b)의 유체류 출구(12a)로부터 유출구 설치구(10a)에 유출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체 유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는, 본체(10b)에 있어서 유출구 설치구(10a)와는 유체 유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평면 상에 복수 배치된 마이크로니들(10c)을 구비하고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실리콘 기판에 공지된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한 에칭 가공을 적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당해 실리콘제의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원판으로 해서, 전주법에 의해 반전 형상의 복제판을 제작하고, 복제판으로부터 수지제의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도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적어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이 생체 적합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전체가 생체 적합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생체 적합성 재료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망간 등을 포함하는 금속, 예를 들어 의료용 실리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수지, 그리고 예를 들어 실리콘 등의 무기 재료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 같은 생체 적합성 수지 재료는, 사출 성형, 임프린트, 핫 엠보싱, 캐스팅 등의 공지된 성형 기술에 의해,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적어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 또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전체에 가공될 수 있다.
본체(10b)의 상기 평면은 피부 접촉 표면(10d)으로서 기능하고,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 각각은 상기 평면 상의 기단부와 상기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선단과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갖고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선단과의 사이의 길이, 즉 개개의 마이크로니들(10c)의 높이는, 사용 대상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을 가진 생물(예를 들어 모든 인간)의 상기 피부 조직의 두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신경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피부 조직의 두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니들(10c)의 높이는 100 내지 2000㎛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 각각의 전체 형상은, 원추 및 각뿔을 포함하는 뿔체 형상, 또는 원추 형상 또는 각뿔 형상의 선단부를 수반한 원기둥 또는 각기둥이면 된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 각각에 대한 미소한 유체 유출로의 형성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드릴, 레이저 광선 등을 사용한 공지된 미소 펀칭 가공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본체(10b)의 상기 평면 상에 있어서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의 배열은, 사용 목적에 따라, 격자 형상, 동심원 형상, 랜덤 형상 등일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는 일단부 개구(16a)와, 타단부 개구(16b)와, 일단부 개구(16a)와 타단부 개구(16b) 사이를 연장한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을 가진 외통(16)을 구비하고 있다.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12)를 유체 주입기(12)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는 외통(16)에 설치되어 있고,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유체 주입기(12)를 초기 위치와, 제1 돌출 위치와,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는 선택 이동 기구(1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의 선택 이동 기구(18)는 또한,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유체 주입기(12)를 제2 돌출 위치의 다음에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초기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12)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a)의 피부 접촉 표면(10d)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과 함께,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 인입되어 있다.
제1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12)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a)의 피부 접촉 표면(10d)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과 함께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12)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a)의 피부 접촉 표면(10d)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과 함께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상술한 제1 소정 거리보다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에서는,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12)로부터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의 유체 주입로를 통해 유체가 유출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의 선택 이동 기구(18)는 외통(16)의 외주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18a)와, 조작 부재(18a)의 조작에 종동하는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는 조작 부재(18a)의 조작에 의해,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유체 주입기(12)를 초기 위치와, 제1 돌출 위치와,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킨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의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는 또한, 조작 부재(18a)의 조작에 의해 제2 돌출 위치로 이동되고 있는 유체 주입기(12)를 조작 부재(18a)의 다음 조작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의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18a)는 외통(16)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통(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조작 부재(18a)는 한쪽의 연장 단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다른 쪽의 연장 단부가 외통(16)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위치(도 1a 참조)와 다른 쪽의 연장 단부가 돌출 위치보다 외통(16)의 외주면에 접근한 인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유체 주입기(12)가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조작 부재(18a)는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 위치의 조작 부재(18a)가 먼저 돌출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는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유체 주입기(12)를 초기 위치에서 제1 돌출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조작 부재(18a)가 인입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는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유체 주입기(12)를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제2 돌출 위치로 이동시킴과 함께 제2 돌출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 실시 형태의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는 또한,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유체 주입기(12)가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사이에 조작 부재(18a)가 돌출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로 다시 이동됨으로써,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유체 주입기(12)를 제2 돌출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조작 부재(18a)가 인입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다시 복귀됨으로써,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는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유체 주입기(12)를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은 초기 위치를 향해 이동시킴과 함께 초기 위치에 유지시킨다.
선택 이동 기구(18)는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유체 주입기(12)를 초기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유닛(20)을 포함하고 있다.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 있어서의 유체 주입기(12)의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초기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로의 이동은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행하여지고,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제2 돌출 위치로의 이동은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의해 행하여지고, 제2 돌출 위치에의 유지는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행하여진다.
이 실시 형태의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에서는 또한,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 있어서의 유체 주입기(12)의 제2 돌출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를 향하는 이동은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행하여지고, 제1 돌출 위치로부터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은 초기 위치로 향하는 이동은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의해 행하여지게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에 있어서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12)는 조작 기구(14)의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외통(16)의 외주위벽의 일부(16d)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일부(16d)가 외통(16)의 외주위벽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사이에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에 대하여 유체 주입기(12)가 탈착가능해진다. 또한, 도 1a 및 도 1b 중에서는, 외통(16)의 외주위벽의 착탈 가능한 일부(16d)와 상기 외주위벽의 나머지 부분과의 분할선이 참조 부호(16e)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12)는 유체 유지통(12b)이 유지하고 있는 유체의 양을 외부로부터 알 수 있는 유체량 확인 구조를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통(16)의 외주위벽의 상기 일부(16d)가 외통(16)의 외주위벽의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에 유체 주입기(12)의 유체량 확인 구조를 시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계속하여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의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통(16)은 제1 외통 부분(22) 및 제1 외통 부분(22)의 내강에 고정된 제2 외통 부분(24)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외통 부분(22)의 외주면이 외통(16)의 외주면을 제공하고, 제2 외통 부분(24)의 내주면이 외통(16)의 내주면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외통 부분(24)의 내구멍이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을 제공하고 있다.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에 대응하는 측의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는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에 대응하는 측의 제1 통부분(22)의 일단부보다 제1 외통 부분(22)의 내강으로부터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에 대응하는 측의 제2 외통 부분(24)의 타단부(24b)는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에 대응하는 측의 제1 통부분(22)의 타단부보다 제1 외통 부분(22)의 내강내에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인입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외통 부분(24)의 내주면에 있어서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에 대응하는 측의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에 분리 접촉한 부분이,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제1 외통 부분(22)의 내주면에 있어서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에 대응하는 측의 제1 외통 부분(22)의 타단부에 분리 접촉한 부분이,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를 제공하고 있다.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의 내주면에 있어서 타단부에 분리 접촉한 부분은 착탈 가능한 덮개(25)에 의해 덮여 있다.
제1 외통 부분(22)의 주위벽 내주면에 있어서 타단부 개구(16b)에 가까운 부분의 일부는 직경 확장되어 있고, 제2 외통 부분(24)의 주위벽 외주면에 있어서 타단부 개구(16b)에 가까운 부분의 일부와의 사이에, 원환상의 간극(22a)를 제공하고 있다. 이 간극(22a)에는, 제2 외통 부분(24)의 주위벽 외주면에 있어서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에 가까운 부분의 상기 일부에 권장된 압축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에 있어서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로부터 먼 단부가, 간극(22a)의 바닥에 적재되어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은,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 유닛(20)으로서 기능한다.
외통(16)이 구비하고 있는 제1 외통 부분(22)의 주위벽 및 제2 외통 부분(24)의 주위벽 각각에 있어서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에 가까운 부분은, 외통(16)의(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외통(16)(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이 2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선이 참조 부호(16e)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제1 외통 부분(22)의 주위벽 및 제2 외통 부분(24)의 주위벽 각각에 있어서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에 가까운 부분의 분할된 일부는, 상기 부분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공지된 착탈 자재 구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일부가, 투명한 재료, 예를 들어 투명한 합성 수지에 보다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의 내부를 시인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제1 외통 부분(22)의 주위벽에 있어서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에 가까운 부분의 일부에는,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18a)가 배치되는 조작 부재 배치 개구(22b)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 배치 개구(22b)는 1쌍의 폭 방향 변과 1쌍의 길이 방향 변으로 4각형 형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1쌍의 폭 방향 변은, 상기 주위벽에 있어서 제1 외통 부분(22)의 내강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대면하고 있음과 함께 각각이 상기 주위벽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 연장하고 있다. 1쌍의 길이 방향 변은, 상기 주위벽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폭 방향 변의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각각이 제1 외통 부분(22)의 내강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조작 부재 배치 개구(22b)는 제2 외통 부분(24)의 주위벽 외주면에 있어서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에 가까운 부분에 간극(22a)을 통해 대면하고 있다.
조작 부재(18a)는 제1 외통 부분(22)의 내강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어서,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로부터 이격된 한쪽의 연장 단부와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에 가까운 다른 쪽의 연장 단부를 갖고 있다. 조작 부재(18a)는 상기 한쪽의 연장 단부가 제1 외통 부분(22)의 조작 부재 배치 개구(22b)의 1쌍의 길이 방향 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부재(18a)의 이 회동은, 조작 부재(18a)의 상기 다른 쪽의 연장 단부가 외통(16)의 제1 외통 부분(22)의 주위벽 조작 부재 배치 개구(22b)로부터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돌출되어 있는 돌출 위치와, 인입 위치 사이에서 행하여질 수 있다. 인입 위치에서는, 조작 부재(18a)의 상기 다른 쪽의 연장 단부가 상기 돌출 위치보다 외통(16)의 제1 외통 부분(22)의 주위벽 조작 부재 배치 개구(22b) 내를 향해 눌리고, 외통(16)의 제1 외통 부분(22)의 주위벽 외주면에 접근하고 있다.
조작 부재(18a)의 상기 다른 쪽의 연장 단부로부터는, 조작 부재 배치 개구(22b)의 상기 1쌍의 길이 방향 변을 따라 간극(22a) 내를 제2 외통 부분(24)의 주위벽 외주면 직경 방향 양측에 1쌍의 팔(18c)이 돌출되어 있다. 1쌍의 팔(18c)의 돌출단은,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한 갈고리부(18d)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외통 부분(24)의 주위벽의 외주면의 상기 직경 방향 양측에는, 1쌍의 가늘고 긴 구멍(24c)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가늘고 긴 구멍(24c) 각각은, 제2 외통 부분(24)의 주위벽에 있어서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에 인접한 타단부로부터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간극(22a)의 상기 바닥에 접근한 위치까지 연장하고 있다.
제2 외통 부분(24)의 주위벽의 내주면은,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부터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에 인접한 타단부의 단부면까지 직경 확장되어 있다.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을 제공하고 있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의 상술한 것과 같은 직경 확장되어 있는 영역에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배치되어 있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12)를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제2 외통 부분(24)에 1쌍의 가늘고 긴 구멍(24c)을 통해 제2 외통 부분(24)의 외주면과 제1 외통 부분(22)의 내주면의 전술한 직경 확장된 영역 사이의 간극(22a) 중에 돌출된 1쌍의 돌기(26a)를 갖고 있다. 1쌍의 돌기(26a)는 제2 외통 부분(24)의 외주면에 감겨져 간극(22a) 중에 전술한 것 같이 배치되어 있고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 유닛(20)으로서 기능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있어서 외통(16)의 타단부 개구(16b)에 가까운 단부에 적재되어 있다. 즉, 압축 코일 스프링은,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1쌍의 돌기(26a)와 간극(22a)의 전술한 바닥 사이에서 압축가능하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 외통(16)(이 경우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의 타단부 개구(16b)를 향하고 있는 타단부에는, 전술한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는 제2 외통 부분(24)에 1쌍의 가늘고 긴 구멍(24c)을 통해 제2 외통 부분(24)의 외주면과 제1 외통 부분(22)의 내주면의 전술한 직경 확장된 영역과의 사이의 간극(22a) 중에 돌출된 1쌍의 돌기(18e)를 갖고 있다.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의 1쌍의 돌기(18e)에,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조작 부재(18a)의 1쌍의 팔(18c)의 돌출단의 갈고리부(18d)가 걸려 있다. 이 결과,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를 통해 제2 외통 부분(24)의 내주면에 있어서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에 대응하는 측의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에 인접한 부분을 향하여 눌리고 있다. 그리고,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1쌍의 돌기(26a)에 의해 가압 유닛(20)을 압축한 상태, 즉 가압 유닛(20)에 축적된 가압력에 저항한 상태에서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를 향한 단부면(26b)은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상기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의 내주면의 직경 확장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에 가까운 바닥으로부터, 상기 일단부(24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도 또한, 분할선에 의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2분할되어 있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상기 분할선은,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상기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외통(16)(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의 분할선(16e)을 따른다. 그리고 이 사이에,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일부가 다른 부분에 대하여 공지된 착탈 자재 구조에 의해 탈착가능하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이 일부는, 투명한 재료(예를 들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통(16)의(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의) 2분할 부분의 전술한 일부가 투명한 재료(예를 들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의 내부를 시인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이 투명한 일부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유지하고 있는 유체 주입기(26)를 시인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의 조작 기구(14)에 있어서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상기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외통(16)(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에 있어서 분할선(16e)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투명한 재료의 일부 및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 분할선(16e)을 따른 전술한 분할선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투명한 재료의 일부를 통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를 시인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12b)도 또한 투명한 재료(예를 들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로서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12b)은 유체 유지통(12b)이 유지하고 있는 유체의 양을 외부로부터 알 수 있는 유체량 확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내부에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동심원상으로 유체 주입기(12)를 유지하기 위한 유체 유지통 유지 홈(26b)이 형성되어 있다. 유체 유지통 유지 홈(26b)은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12b)에 있어서 피스톤 부재(12c)에 가까운 부분의 외주면과 같은 내주면을 갖는다. 유체 유지통 유지 홈(26b)은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전술한 분할선을 따라 2분할되어 있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내부에는 또한, 외통(16)의 제1 외통 부분(22)의 타단부 개구(16b) 측에서 유체 유지통 유지 홈(26b)에 연속하여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c)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c)은 유체 유지통 유지 홈(26b)에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 유지 홈(26b)이 유지되어 있는 사이에, 피스톤 부재(12c)를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12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의 조작 기구(14)에 있어서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상기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외통(16)(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에 있어서 분할선(16e)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투명한 재료의 일부 및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 분할선(16e)을 따른 전술한 분할선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투명한 재료의 일부를, 외통(16)(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에 있어서 분할선(16e)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다른 부분 및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 분할선(16e)을 따른 전술한 분할선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다른 부분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상기 다른 부분의 유체 유지통 유지 홈(26b)의 절반 및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c)의 절반에,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12b) 및 피스톤 부재(12c)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유체 유지통(12b)은 차양(12d)을 갖고 있으므로, 유체 유지통(12b)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유체 유지통 유지 홈(26b)에 유지됨으로써 유체 유지통(12b)은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대하여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할 수는 없다.
도 1a 및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외통(16)(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서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는, 유체 주입기(12)의 유체류 출구(12a)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는, 그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과 함께, 외통(16)(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으로 인입되어 있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에는, 외통(16)(이 경우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의 타단부 개구(16b)를 덮고 있는 덮개(25)의 외부로부터, 유체 주입기(12)의 피스톤 부재(12c)를 가압하기 위한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가 돌입되어 있다.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는 외통(16)(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 그리고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의 측 단부를 관통하고,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까지 연장하고 있다.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는 외통(16)(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덮개(25),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 그리고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 내에서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는 길이 미세 조절 기구(28a)를 수반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길이 미세 조절 기구(28a)는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 내의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내단부에 나사 결합된 길이 미세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길이 미세 조절 부재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내단부로부터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더 내측으로 연장하고 있고,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내단부에 대하여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길이 방향 중심선의 주위로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한쪽 및 다른쪽으로 이동한다.
길이 미세 조절 부재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 내에서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반경 방향으로 직경 확장된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28b)을 포함한다. 길이 미세 조절 부재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 내에 배치된 부가압 유닛(28c)에 의해,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와 함께 덮개(25)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가압 유닛(28c)은 길이 미세 조절 부재에 감겨져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는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28b)에 접촉하고, 타단부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의 내주면에 있어서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내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에 접촉하고 있다.
부가압 유닛(28c)의 가압력에 의한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28b)을 수반한 길이 미세 조절 부재의 덮개(25)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방향으로의 이동은, 도 1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28b)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의 내주면에 있어서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 측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에 접촉함으로써 정지되어 있다. 이때의,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대한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위치는, 돌출 위치이다.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주위벽에는, 돌출 위치의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28b)의 외주면의 일부에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도달 가능한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 조작 창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상기 길이 미세 조절 부재의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28b)에 의한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길이 미세 조절은, 이하와 같이 행하여진다.
먼저, 외통(16)의,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의, 타단부 개구(16b)로부터 덮개(25)를 제거한다. 이어서,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의 돌기(18e)에 대한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18a)의 1쌍의 팔(18c)의 돌출단의 갈고리부(18d)의 걸림 멈춤을 해제한다. 그 후,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를 수반한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를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와 함께,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으로부터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의) 타단부 개구(16b)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인출한다. 그리고, 외부 공간으로 인출된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주위벽의 전술한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 조작 창을 개재하고, 전술한 것 같이 상기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상기 길이 미세 조절 부재의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28b)의 외주면을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28b)의 둘레 방향의 한쪽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가 관통하고 있는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 외통(16)의(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1 외통 부분(22)의) 타단부 개구(16b)를 향하고 있는 타단부에 적재된 공지된 구성의 회전 캠(RC)과, 회전 캠(RC)에 대하여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상기 타단부와는 반대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공지된 구성의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를 포함한다.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에는 전술한 1쌍의 돌기(18e)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 캠(RC)은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에 대하여 동심원상으로 회전가능하다.
조작 부재(18a)가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인입 위치로 가압됨으로써, 조작 부재(18a)의 1쌍의 팔(18c)의 돌출단의 갈고리부(18d)가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의 1쌍의 돌기(18e)에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하는 가압력을 부하한다.
이 가압력은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을 통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전달된다. 그 결과,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 그리고 이것 등을 관통하고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를 수반하고,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에 있어서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해 이동한다.
조작 부재(18a)에 대한 전술한 억지가 해제되면, 조작 부재(18a)의 1쌍의 팔(18c)의 돌출단의 갈고리부(18d)에 의한,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의 1쌍의 돌기(18e)에 대한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하는 가압력도 해제된다.
이 결과,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 그리고 이것 등을 관통하고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를 수반하여,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에 있어서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의해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의) 타단부 개구(16b)를 향해 이동한다.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은, 조작 부재(18a)가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인입 위치에 1회 가압됨으로써,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을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를 통해 부하되고 있는 회전 캠(RC)이,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에 의해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주위에서 소정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각도를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의 구조는 공지이다.
조작 부재(18a)가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는, 조작 부재(18a)의 1쌍의 팔(18c)의 돌출단의 갈고리부(18d)가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의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의 1쌍의 돌기(18e)에 걸려 있어서,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 그리고 이것 등을 관통하고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를 수반하여,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에 있어서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전술한 것 같이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마이크로니들(10c)은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 중에 인입되어 있다.
이어서, 조작 부재(18a)가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인입 위치에 가압됨으로써, 조작 부재(18a)의 1쌍의 팔(18c)의 돌출단의 갈고리부(18d)가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의 1쌍의 돌기(18e)에,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하는 가압력을 부하한다.
이 가압력은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을 통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전달된다. 이 결과,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 그리고 이것 등을 관통하고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를 수반하여,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에 있어서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사이에,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는 회전 캠(RC)을, 초기 위치 유지 위치로부터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주위에 전술한 소정의 둘레 방향으로 전술한 소정의 회전각을 통해 제2 돌출 위치 유지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때,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전술한 것 같이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마이크로니들(10c)은 외통(16)의(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제1 돌출 위치에 배치된다.
조작 부재(18a)에 대한 전술한 억지가 해제되면, 조작 부재(18a)의 1쌍의 팔(18c)의 돌출단의 갈고리부(18d)에 의한,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의 1쌍의 돌기(18e)에 대한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하는 가압력도 해제된다. 이 결과로서,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 그리고 이것 등을 관통하고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를 수반하여,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에 있어서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의해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의) 타단부 개구(16b)를 향해 이동한다. 그러나,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의 조합의 작용에 의해, 전술한 초기 위치까지는 복귀하지 않고, 전술한 초기 위치의 앞에서 상기 이동이 정지되고, 그 정지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전술한 것 같이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마이크로니들(10c)은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제2 돌출 위치에 배치되고,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의 조합의 작용에 의해,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조작 부재(18a)가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인입 위치로 다시 가압됨으로써, 조작 부재(18a)의 1쌍의 팔(18c)의 돌출단의 갈고리부(18d)가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의 1쌍의 돌기(18e)에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하는 가압력을 부하한다.
이 가압력은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을 통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전달된다. 이 결과,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 그리고 이것 등을 관통하고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를 수반하여,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에 있어서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해 이동된다. 이 사이에,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는 회전 캠(RC)을 전술한 제2 돌출 위치 유지 위치로부터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주위에 전술한 소정의 둘레 방향으로 전술한 소정의 회전각을 통해 전술한 초기 위치 유지 위치까지 더 회전시킨다.
이때,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전술한 것 같이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마이크로니들(10c)은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제1 돌출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또한 다음으로 조작 부재(18a)에 대한 전술한 억지가 해제되었을 때, 조작 부재(18a)의 1쌍의 팔(18c)의 돌출단의 갈고리부(18d)에 의한,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의 1쌍의 돌기(18e)에 대한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하는 가압력도 해제된다. 이 결과,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DM) 및 회전 캠(RC), 그리고 이것 등을 관통하고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를 수반하여,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에 있어서 가압 유닛(20)의 가압력에 의해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의) 타단부 개구(16b)를 향해(즉,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초기 위치를 향해) 이동되고, 전술한 초기 위치까지 복귀된다. 그리고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는 전술한 초기 위치 유지 위치의 회전 캠(RC)에 의해 전술한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이때,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전술한 것 같이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마이크로니들(10c)은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외통(1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내강) 중에 인입되어져 있다.
이 이후,
조작 부재(18a)의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인입 위치로의 이동과 전술한 인입 위치로부터 전술한 돌출 위치로의 이동의 1회째의 조합에 의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전술한 것 같이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마이크로니들(10c)은 전술한 초기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1 돌출 위치로의 이동 및 전술한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2 돌출 위치로의 이동과 전술한 제2 돌출 위치에의 유지가 행하여지고;
이것에 이어서, 조작 부재(18a)의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인입 위치로의 이동과 전술한 인입 위치로부터 전술한 돌출 위치로의 이동의 2회째의 조합에 의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전술한 것 같이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마이크로니들(10c)은 전술한 제2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1 돌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그리고 전술한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초기 위치를 향하는 이동이 행하여져 전술한 초기 위치로의 유지가 행하여지는;
것이 순차 반복된다.
이어서, 도 1a 및 도 1b 외에, 도 2a, 도 2b, 도 2c, 그리고 도 2d를 참조하면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에 의해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12)를 조작하여 생물(이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유체 주입기(12)가 유지하고 있는 유체(예를 들어, 약액)를 주입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14)의 사용자는,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18a)가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가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외통(16)(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에 있어서 분할선(16e)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투명한 재료의 일부 및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 분할선(16e)을 따른 전술한 분할선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투명한 재료의 일부를, 외통(16)(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에 있어서 분할선(16e)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다른 부분 및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 분할선(16e)을 따른 전술한 분할선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다른 부분에서 제거한다.
이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가 설치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12b) 및 피스톤 부재(12c)를 전술한 것 같이 하여 외부 공간에 노출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의 상기 다른 부분의 유체 유지통 유지 홈(26b)의 절반 및 피스톤 부재 수용 홈(26c)의 절반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시킨다(도 1b 참조).
이때,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 조직에 주입하기 위한 유체(예를 들어, 약액)의 원하는 양이, 유체 유지통(12b) 및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a)의 유체 유지 공간 및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에 이미 채워져 있다.
이어서,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 분할선(16e)을 따른 전술한 분할선에 의해 분할되어 전술한 것 같이 제거되어 있는 투명한 재료의 일부를 다른 부분에 원래대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 상기 투명한 재료의 일부 및 상기 다른 부분에 의해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12b) 및 피스톤 부재(12c)를 덮게 한다.
또한, 외통(16)(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에 있어서 분할선(16e)에 의해 분할되어 전술한 것 같이 제거되어 있는 투명한 재료의 일부를 다른 부분에 원래대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도 1a 참조).
이때, 전술한 것 같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은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16c) 중에 인입되어 있다.
이후, 사용자는 외통(16)의 외주면(이 경우에서는, 제1 외통 부분(22)의 외주면)을 선택 이동 기구(18)의 전술한 돌출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18a)에 닿지 않도록 하여 쥐고, 이어서,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누른다.
이때,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는, 외통(16)의 일단부 개구(16a)의 주변(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단부면)에 의해 피부(SK)의 내측으로 눌려 일단부 개구(16a)로 둘러싸인 영역만이 피부(SK)의 탄력성에 의해 피부(SK)의 외측을 향해 어느 정도 부풀어 오른다(도 2a 참조).
이어서,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18a)를 눌러서 전술한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인입 위치로 이동시킨다. 조작 부재(18a)의 이 이동은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에 전달된다. 이 결과,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를 외통(16)의(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을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1 돌출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 개구(16a)로 둘러싸인 영역을 강하게 가압하고, 피부 접촉 표면(10d) 상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을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에 확실하게 찌른다(도 2b 참조).
이때,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의 탄력성은 어느 정도 상실된다.
이어서,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18a)에 부하하고 있는 가압력을 해방하여, 조작 부재(18a)를 전술한 인입 위치로부터 전술한 돌출 위치로 복귀시킨다. 조작 부재(18a)의 이 이동은,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를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해(즉, 전술한 초기 위치를 향해)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 이동은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에 의해, 전술한 초기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이 외통(16)의(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제2 돌출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정지되어, 이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제2 돌출 위치로 이동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 개구(16a)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한 가압력을 약화시킨다. 상기 영역의 탄력성이 회복함으로써 상기 영역이 피부 접촉 표면(10d)에 추종하고, 그 결과로서 피부 접촉 표면(10d)은 상기 영역에 계속하여 접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영역에 대한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의 찌르기도 유지된다(도 2c 참조).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가 상술한 것 같이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사이에, 사용자는 조작 기구(14)의 전술한 것 같이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외부 노출 단부를 가압하고,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내측 단부 길이 미세 조절 기구(28a)를 통해 유체 주입기(12)의 피스톤 부재(12c)를 가압한다. 이 결과,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12b),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a)의 유체 유지 공간, 그리고 다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에 전술되어 있는 것 같이 채워져 있던 유체를, 상기 가압의 거리에 따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다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통해,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전술한 것 같이 탄력성이 회복되어 있는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내로, 도 2d 중에 복수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 같이 피부(SK)의 밖으로 새는 일 없이 용이하고 빠르게 주입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유체의 주입량을, 조작 기구(14)의 외통(16)(즉, 제1 외통 부분(22) 및 제2 외통 부분(24) 각각)에 있어서 분할선(16e)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투명한 재료의 일부 및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있어서 분할선(16e)을 따른 전술한 분할선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투명한 재료의 일부를 통해, 유체 주입기(12)의 유체 유지통(12b)을 시인함으로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유체 주입기(12)로부터의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다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을 통한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내로의 주입이 종료한 후에는, 조작 기구(14)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으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조작 기구(14)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이하의 조작을 행해도 된다.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18a)를 다시 눌러서 전술한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인입 위치로 다시 이동시킨다. 조작 부재(18a)의 이 이동은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에 전달되고,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18b)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를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유체 주입기 유지체(26)에 유지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12)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의 본체(10b)의 피부 접촉 표면(10d)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을 전술한 제2 돌출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1 돌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어서, 선택 이동 기구(18)의 조작 부재(18a)에 부하되어 있던 가압력을 해방하여, 조작 부재(18a)를 전술한 인입 위치로부터 전술한 돌출 위치로 복귀시킨다. 조작 부재(18a)의 이 이동은,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를 외통(16)의(이 경우에서는, 제2 외통 부분(24)의 일단부(24a)의) 일단부 개구(16a)를 향해(즉, 전술한 초기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고, 유체 주입기 유지체(26)가 전술한 초기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정지되어, 유체 주입기 유지체(26)를 전술한 초기 위치에 유지시킨다(도 2a 참조).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10)가 도 2c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사이에, 사용자가 조작 기구(14)의 전술한 것 같이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외부 노출 단부를 가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사이에 조작 기구(14)의 전술한 것 같이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외부 노출 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도 1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30)에 의해 행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30)은 외통(16)의 외주면에 있어서 타단부 개구(16)의 근방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전술한 것 같이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외부 노출 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외부 노출 단부에 접촉시킨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와, 이 구동 부재에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28)의 외부 노출 단부를 향하는 가압력을 발휘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과,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에 의한 가압력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행하게 하는 스위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으로서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 또는 탄성 재료 또는 압축 공기를 포함하는 압축 가스의 공급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기구로서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를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을 정지시켜 두는 공지된 빗장 기구 또는 방아쇠 기구 또는 누름쇠 기구, 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에 대한 압축 공기를 포함하는 압축 가스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 가스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수동 또는 전자 구동 온-오프 밸브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52)를 위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에 의해 조작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52)는 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 있어서 주사기로서 사용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유체 주입기(52)는 소정량의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예를 들어 약액)를 유지가능한 가늘고 긴 유체 유지 공간과 유체 유지 공간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배치되어 유체 유지 공간으로부터의 유체가 유출가능한 유체류 출구(52a)와 유체 유지 공간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배치된 유체 유지 공간 입구 개구를 가진 유체 유지통(5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을 구비하고 있다. 유체 주입기(52)는 또한, 유체 유지통(52b)의 유체 유지 공간에 유체 유지 공간 입구 개구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피스톤 부재(52c)를 구비하고 있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는, 의료 분야에 있어서 잘 알려져 있는 1개의 주사 바늘 대신에 종래의 주사기 주사통의 유출구에 설치되어 피내 주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는,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의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약액)의 유체류 출구(52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출구 설치구(50a)와 유체 주입기(52)의 피스톤 부재(52c)의 가압에 의해 유체 유지통(52b)의 유체류 출구(52a)로부터 유출구 설치구(50a)에 유출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체 유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50b)와, 본체(50b)에 있어서 유출구 설치구(50a)와는 유체 유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평면 상에 복수 배치된 마이크로니들(50c)을 구비하고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실리콘 기판에 공지된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한 에칭 가공을 적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당해 실리콘제의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원판으로 해서, 전주법에 의해 반전 형상의 복제판을 제작하고, 복제판으로부터 수지제의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도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적어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이 생체 적합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전체가 생체 적합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생체 적합성 재료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망간 등을 포함하는 금속, 예를 들어 의료용 실리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수지, 그리고 예를 들어 실리콘 등의 무기 재료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 같은 생체 적합성 수지 재료는, 사출 성형, 임프린트, 핫 엠보싱, 캐스팅 등의 공지된 성형 기술에 의해,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적어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 또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전체에 가공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 각각은 상기 평면 상의 기단부와 상기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선단과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갖고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선단과의 사이의 길이, 즉 개개의 마이크로니들(50c)의 높이는, 사용 대상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을 가진 생물(예를 들어 모든 인간)의 상기 피부 조직의 두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신경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피부 조직의 두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니들(50c)의 높이는 100 내지 2000㎛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 각각은 상기 평면 상의 기단부와 상기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선단과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갖고 있으며, 상기 기단부와 상기 선단과의 사이의 길이, 즉 개개의 마이크로니들(50c)의 높이는 사용 대상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을 가진 생물(예를 들어 모든 인간)의 상기 피부 조직의 두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신경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피부 조직의 두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니들(50c)의 높이는 100 내지 2000㎛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 각각의 전체 형상은, 원추 및 각뿔을 포함하는 뿔체 형상, 또는 원추 형상 또는 각뿔 형상의 선단부를 수반한 원기둥 또는 각기둥이면 좋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 각각에 대한 미소한 유체류 출로의 형성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드릴, 레이저 광선, 등을 사용한 공지된 미소 펀칭 가공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본체(50b)의 상기 평면 상에 있어서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배열은, 사용 목적에 따라 격자 형상, 동심원 형상, 랜덤 형상 등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는 일단부 개구(56a)와, 타단부 개구(56b)와, 일단부 개구(56a)와 타단부 개구(56b)와의 사이를 연장하여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52)를 유체 주입기(52)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을 가진 외통(56)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는 외통(56)에 설치되어 있고,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중에서 유체 주입기(52)를 초기 위치와, 제1 돌출 위치와,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는 선택 이동 기구(5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선택 이동 기구(58)는 또한,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중에서 유체 주입기(52)를 제2 돌출 위치의 다음에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초기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도 3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중에 인입되어 있다.
제1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도 3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상술한 제1 소정 거리보다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에서는,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로부터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통해 유체가 유출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는 외통(56)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벽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 직경의 개구이며,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외표면은 피부 접촉 표면(56d)으로서 기능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선택 이동 기구(58)는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와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내표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 주입기(52)를 도 3a중에 도시되어 있는 전술한 것 같은 초기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유닛(58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 유닛(58a)은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가압됨으로써 반발력이 축적되는 판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 재료일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선택 이동 기구(58)는 또한, 외통(56)의 외주위벽에 있어서 상기 단벽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위치에 있어서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토퍼(58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토퍼(58b)는 외통(56)의 외주위벽의 제1 위치에, 예를 들어 공지된 미끄럼 이동 기구 또는 공지된 회전 기구에 의해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선택 이동 기구(58)는 또한, 외통(56)의 외주위벽에 있어서 상기 단벽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내측에 제1 위치보다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위치에 있어서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스토퍼(58c)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스토퍼(58c)는 외통(56)의 외주위벽의 제2 위치에, 예를 들어 공지된 미끄럼 이동 기구 또는 공지된 회전 기구에 의해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선택 이동 기구(58)는 또한, 유체 주입기(52)의 외주위벽에 있어서 외통(56)의 외주위벽을 향해 돌출된 걸림 결합부(58d)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 이동 기구(58)는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를 갖고 있어서 외통(56)의 외주위벽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수반한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의 외주위벽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통 형상의 중간 부재(58e)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부재(58e)의 일단부 개구에는 유체 주입기(52)의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외주면이 고정되어 있어서, 중간 부재(58e)의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와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기둥 형상 공간 내에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52)가 수용되어 있다. 중간 부재(58e)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수반한 유체 주입기(52)와 함께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b) 중에서 외통(56)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중간 부재(58e)의 외주위벽에 걸림 결합부(58d)가 형성되어 있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와 중간 부재(58e)는 서로 따로따로 형성된 후에 예를 들어 접착제나 스냅 걸림 결합을 포함하는 공지된 고정 구조에 의해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중간 부재(58e)에 고정하면 되고, 또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와 중간 부재(58e)는 동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중간 부재(58e)와 걸림 결합부(58d)도 서로 따로따로 형성된 후에 예를 들어 접착제나 스냅 걸림 결합을 포함하는 공지된 고정 구조에 의해 걸림 결합부(58d)에 고정하면 되고, 또는 중간 부재(58e)와 걸림 결합부(58d)는 동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즉, 이 실시 형태의 걸림 결합부(58d)는 중간 부재(58e) 및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통해 유체 주입기(52)의 외주위벽으로부터 외통(56)의 외주위벽을 향해 붙어 있다.
도 3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 스토퍼(58b) 및 제2 스토퍼(58c)가 외통(56)의 외통(56)으로부터 인입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52)는 가압 유닛(58a)의 가압력에 의해 중간 부재(58e)와 함께 전술한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의 걸림 결합부(58d)는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에 대하여 외통(56)의 외주위벽의 제1 스토퍼(58b) 및 제2 스토퍼(58c)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 부재(58e)의 외주위벽에 있어서 타단부 개구를 갖는 타단부는, 유체 주입기(52)가 도 3a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전술한 것 같은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외통(56)의 타단부 개구(56b)로부터 외부 공간중에 돌출되어 있다. 중간 부재(58e)의 외주위벽의 타단부에는, 사용자가 중간 부재(58e)를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b) 중에서 외통(56)에 대하여 외통(56)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중간 부재 조작 돌출부(58f)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부재(58e)의 타단부 개구로부터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의 타단부 및 피스톤 부재(52c)가 외부 공간중에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통(56), 중간 부재(58e), 그리고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 각각은, 유체 유지통(52b)이 유지하고 있는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약액)의 양을 외통(56)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56) 및 중간 부재(58e) 각각은, 각각의 외주위벽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에 대응한 부위만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어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에 의해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52)를 조작하여 생물(이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유체 주입기(52)가 유지하고 있는 유체(예를 들어, 약액)를 주입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사용자는, 선택 이동 기구(58)의 제1 스토퍼(58b) 및 제2 스토퍼(58c)가 도 3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인입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수반한 중간 부재(58e)가 가압 유닛(58a)의 가압력에 의해 도 3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의 유체류 출구(52a)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유출구 설치구(50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전술한 것 같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은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b) 중에 인입되어 있다.
또한,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 조직에 주입하기 위한 유체(예를 들어, 약액)가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에 이미 채워져 있어서, 피스톤 부재(52c)를 조금 누르는 것에 의해 유체 유지통(52b)이 유지하고 있는 유체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의 유체 유지 공간 및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0c)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에 유입시켜서, 이것 등을 상기 유체로 채운다.
이후, 사용자는 외통(56)의 외주면을, 선택 이동 기구(58)의 전술한 인입 위치에 있는 제1 스토퍼(58b) 및 제2 스토퍼(58c)에 닿지 않도록 하여 쥐고, 이어서,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 외통(56)의 일단부 단벽의 단부면 외표면 피부 접촉 표면(56d)을 누른다.
이때,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는,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피부 접촉 표면(56d)에 의해 피부(SK)의 내측으로 눌린다.
이어서, 중간 부재(58e)의 중간 부재 조작 돌출부(58f)를 누르고, 중간 부재(58e)를 가압 유닛(58a)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외통(56)의 상기 단벽을 향해,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가 인입 위치의 제2 스토퍼(58c) 및 제1 스토퍼(58b)를 통과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그 후, 제2 스토퍼(58c) 및 제1 스토퍼(58b)를 도 3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돌출 위치로 이동시켜서, 중간 부재(58e)의 중간 부재 조작 돌출부(58f)에 대한 억지를 해제한다. 이 결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는 가압 유닛(58a)의 가압력에 의해 도 3a 중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고 하는데,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가 돌출 위치의 제1 스토퍼(58b)에 도 3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걸림 결합하므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는 가압 유닛(58a)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1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3a 중에 도시되어 있는 초기 위치로부터 도 3b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은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외부로 제1 소정 거리 돌출된다. 이때,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은 외통(56)의 단벽의 피부 접촉 표면(56d)으로 눌리고 있는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외통(56)의 단벽의 일단부 개구(56a)로 둘러싸인 영역에, 도 3b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확실하게 찔러진다.
이때,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의 탄력성은 어느 정도 상실된다.
이어서, 선택 이동 기구(18)의 제1 스토퍼(58b)를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인입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는 가압 유닛(58a)의 가압력에 의해 도 3a 중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고 하는데,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가 돌출 위치의 제2 스토퍼(58c)에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걸림 결합하므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는 가압 유닛(58a)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3b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돌출 위치로부터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돌출 위치로 이동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은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 짧은 제2 소정 거리 돌출된다.
제2 돌출 위치로 이동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외통(56)의 일단부 개구(16a)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한 가압력을 약화시키지만 상기 영역의 탄력성이 회복함으로써 상기 영역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에 추종하고, 그 결과로서,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영역에 대한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찌르기도 유지된다.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상술하는 것 같이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사이에, 사용자는 유체 주입기(52)의 피스톤 부재(52c)를 가압한다. 이 결과,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의 유체 유지 공간, 그리고 다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에 전술된 것 같이 채워진 유체를, 상기 가압의 거리에 따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다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통해,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전술한 것 같이 탄력성이 회복되고 있는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내에, 도 3c 중에 복수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 같이 피부(SK)의 밖으로 새는 일 없이 용이하고 빠르게 주입시킬 수 있다.
조작 기구(54)의 외통(56), 중간 부재(58e), 그리고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이 전술한 것 같이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유체의 주입량을 조작 기구(54)의 외통(56), 중간 부재(58e), 그리고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을 통해 시인함으로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유체 주입기(52)로부터의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다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통한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내에의 주입이 종료한 후에는, 조작 기구(54)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으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조작 기구(54)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로부터 분리되기 전 또는 분리된 후에, 제2 스토퍼(58c)를 인입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는 가압 유닛(58a)의 가압력에 의해 도 3a 중의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다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이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사이에, 사용자가 유체 주입기(52)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피스톤 부재(52c)를 가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사이에 피스톤 부재(52c)를 가압하는 것을, 도 3a 중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60)에 의해 행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60)은 중간 부재(58e)의 외주면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와는 반대인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전술한 것 같이 피스톤 부재(52c)의 외부 노출 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피스톤 부재(52c)의 외부 노출 단부에 접촉시킨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와, 이 구동 부재에 피스톤 부재(52c)의 외부 노출 단부를 향하는 가압력을 발휘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과,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에 의한 가압력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행하게 하는 스위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으로서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 또는 탄성 재료 또는 압축 공기를 포함하는 압축 가스의 공급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기구로서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를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을 정지시켜 두는 공지된 빗장 기구 또는 방아쇠 기구 또는 누름쇠 기구, 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에 대한 압축 공기를 포함하는 압축 가스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 가스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수동 또는 전자 구동 온-오프 밸브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도 3a 내지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1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의 대부분의 구성은 도 3a 내지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구성 대부분과 같다. 따라서, 도 4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에 있어서, 도 3a 내지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구성 부재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이것 등의 구성 부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변형예의 조작 기구(54')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와 상이한 것은,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내에 있어서의 가압 유닛(58'a)의 배치이다. 제1 변형예에 있어서 가압 유닛(58'a)은,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에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와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내표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도 4 중에는, 가압 유닛(58'a)이 압축 코일 스프링일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 측에 위치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단부는 중간 부재(58e)의 외주면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58d) 측의 단부 상에 권장되어 있어서, 압축 코일 스프링의 양단이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와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내표면에 접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도 3a 내지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2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의 대부분의 구성은 도 3a 내지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구성 대부분과 같다. 따라서, 도 4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에 있어서, 도 3a 내지 도 3c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구성 부재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이것 등의 구성 부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변형예의 조작 기구(54")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와 상이한 것은,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내에 있어서의 가압 유닛(58'a)의 배치와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일단부 개구(56'a)의 치수이다.
제2 변형예의 가압 유닛(58'a)은, 도 4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의 가압 유닛(58'a)과 같다. 즉, 이 가압 유닛(58'a)은,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에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와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내표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도 5 중에는, 가압 유닛(58'a)이 압축 코일 스프링일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 측에 위치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단부는 중간 부재(58e)의 외주면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58d) 측의 단부 상에 감겨 있어서, 압축 코일 스프링의 양단이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와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내표면에 접하고 있다.
제2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의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일단부 개구(56'a)에 있어서의 외통(56)의 직경 방향의 치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에 있어서의 외통(56)의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피부 접촉 표면(56d)으로부터의 외통(56)의 외주위벽에 있어서의 제1 스토퍼(58b)의 거리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피부 접촉 표면(56d)으로부터의 외통(56)의 외주위벽에 있어서의 제1 스토퍼(58b)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로서, 제2 변형예에 있어서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가 외통(56)의 외주위벽에 있어서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스토퍼(58b)에 걸림 결합하고, 가압 유닛(58'a)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다수의 멀티마이크로니들(50c)을 제1 돌출 위치에 유지했을 때,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가 조작 기구(54")의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일단부 개구(56'a) 중에 돌입하여, 본체(50b)의 외측 단부면이 조작 기구(54")의 외통(56)의 상기 단벽의 피부 접촉 표면(56d)과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된다.
10…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10a… 유출구 설치구
10b… 본체
10c… 마이크로니들
10d… 피부 접촉 표면
12… 유체 주입기
12a… 유체류 출구
12b… 유체 유지통
12c… 피스톤 부재
12d… 차양
14… 조작 기구
16… 외통
16a… 일단부 개구
16b… 타단부 개구
16c…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16d… 일부
16e… 분할선
18… 선택 이동 기구
18a… 조작 부재
18b…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
18c… 팔
18d… 갈고리부
18e… 돌기(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
20… 가압 유닛(압축 코일 스프링)
22… 제1 외통 부분
22a… 간극
22b… 조작 부재 배치 개구
24… 제2 외통 부분
24a… 일단부
24b… 타단부
24c… 가늘고 긴 구멍
25… 덮개
26… 유체 주입기 유지체
26a …돌기
26b… 유체 주입기 유지 홈
26c… 피스톤 부재 수용 홈
28… 피스톤 부재 가압 막대
28a… 길이 미세 조절 기구
28b… 길이 미세 조절 다이얼
28c… 부가압 수단(압축 코일 스프링)
RC… 회전 캠(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
DM…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
30…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
50…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50a… 유출구 설치구
50b… 본체
50c… 마이크로니들
52… 유체 주입기
52a… 유체류 출구
52b… 유체 유지통
52c… 피스톤 부재
54… 조작 기구
56… 외통
56a… 일단부 개구
56b… 타단부 개구
56c…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56d… 피부 접촉 표면
58… 선택 이동 기구
58a… 가압 유닛
58b… 제1 스토퍼
58c… 제2 스토퍼
58d… 걸림 결합부
58e… 중간 부재
58f… 중간 부재 조작 돌출
60…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
54'… 조작 기구
58'a… 가압 유닛
54"… 조작 기구
56'a… 일단부 개구

Claims (17)

  1.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의 조작 기구이며,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와,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와의 사이를 연장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를 유체 주입기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을 가진 외통과,
    외통에 설치되어 있고,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안에 인입한 초기 위치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1 돌출 위치와,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고, 제2 돌출 위치의 다음에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선택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로부터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통해 유체가 유출되고,
    상기 선택 이동 기구는, 외통의 외주면에 대하여 돌출 위치와 인입 위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와, 제1 돌출 위치와, 제2 돌출 위치와, 초기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는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는, 유체 주입기를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여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 유지체와, 유체 주입기 유지체에 있어서 외통의 타단부 개구를 향하고 있는 타단부에 배치된 회전 캠과, 회전 캠에 대하여 유체 주입기 유지체의 상기 타단부와는 반대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인입 위치에 1회 가압됨으로써 상기 회전 캠을 소정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인입 위치로의 이동과 상기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의 이동의 1회째의 조합에 의해, 상기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는 상기 회전 캠을 상기 소정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유체 주입기 유지체는 상기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와 상기 회전 캠의 조합의 작용에 의해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 및 회전 캠을 수반하여 상기 유체 주입기의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돌출 위치로의 이동 및 상기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돌출 위치로의 이동과 상기 제2 돌출 위치에서의 유지를 행하고,
    이것에 이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인입 위치로의 이동과 상기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의 이동의 2회째의 조합에 의해, 상기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는 상기 회전 캠을 상기 소정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유체 주입기 유지체는 상기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와 상기 회전 캠의 조합의 작용에 의해 회전 캠 회전 구동 부재 및 회전 캠을 수반하여 상기 유체 주입기의 상기 제2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돌출 위치로의 이동 및 상기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의 이동과 상기 초기 위치에서의 유지를 행하고,
    이후, 이들 상기 1회째의 조합과 상기 2회째의 조합이 순차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이동 기구는,
    상기 초기 위치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과 함께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으로 인입하고,
    상기 제1 돌출 위치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과 함께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과 함께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선택 이동 기구는 외통의 외주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와, 제1 돌출 위치와,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는 조작 부재 조작 종동(從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는 외통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어서 한쪽의 연장 단부를 회동(回動) 중심으로 하여 다른 쪽의 연장 단부가 외통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위치와 다른 쪽의 연장 단부가 돌출 위치보다 외통의 외주면에 접근한 인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가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조작 부재는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돌출 위치의 조작 부재가 먼저 돌출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는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조작 부재가 인입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는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제2 돌출 위치로 이동시킴과 함께 제2 돌출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 이동 기구는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유닛(forcing unit)을 포함하고 있고,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 있어서의 유체 주입기의 초기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로의 이동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행하여지고,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제2 돌출 위치로의 이동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의해 행하여지고, 제2 돌출 위치에의 유지는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는 외통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어서 한쪽의 연장 단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다른 쪽의 연장 단부가 외통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위치와 다른 쪽의 연장 단부가 돌출 위치보다 외통의 외주면에 접근한 인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가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조작 부재는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돌출 위치의 조작 부재가 최초로 돌출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는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조작 부재가 인입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는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제2 돌출 위치로 이동시킴과 함께 제2 돌출 위치에 유지시키고, 다음에 돌출 위치의 조작 부재가 돌출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로 다시 이동됨으로써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는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제2 돌출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고, 다음에 조작 부재가 인입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다시 복귀됨으로써 조작 부재 조작 종동 기구는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를 향해 이동시킴과 함께 초기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선택 이동 기구는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서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중에 있어서의 유체 주입기의 초기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로의 이동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행하여지고,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제2 돌출 위치로의 이동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의해 행하여지고, 제2 돌출 위치에의 유지는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행하여지고, 제2 돌출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로 향하는 이동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행하여지고, 제1 돌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향하는 이동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는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외통의 외주위벽의 일부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일부가 외통의 외주위벽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동안에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유체 주입기가 착탈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는 유체 유지통이 유지하고 있는 유체의 양을 외부로부터 알 수 있는 유체량 확인 구조를 갖고 있고,
    외통의 외주위벽의 상기 일부는, 외통의 외주위벽의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에 유체 주입기의 유체량 확인 구조를 시인(observation)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는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외통의 외주위벽의 일부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일부가 외통의 외주위벽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동안에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유체 주입기가 착탈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는 유체 유지통이 유지하고 있는 유체의 양을 외부로부터 알 수 있는 유체량 확인 구조를 갖고 있고,
    외통의 외주위벽의 상기 일부는, 외통의 외주위벽의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에 유체 주입기의 유체량 확인 구조를 시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16. 제1항에 있어서,
    선택 이동 기구는,
    외통과 유체 주입기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유닛과,
    외통의 외주위벽에 있어서,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된 제1 위치에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출몰(disposed or withdrawn)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토퍼와,
    외통의 외주위벽에 있어서,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내측으로 제1 위치보다 소정의 거리 이격된 제2 위치에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스토퍼와,
    유체 주입기의 외주위벽에 있어서 외통의 외주위벽을 향해 돌출된 걸림 결합부(engagement portion)를 구비하고 있고,
    외통의 외주위벽의 제1 및 제2 스토퍼가 인입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는 제1 및 제2 스토퍼에 걸림 결합하지 않고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의해 초기 위치에 배치되고,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후에 제1 스토퍼가 돌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가 제1 스토퍼에 걸림 결합하여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1 돌출 위치에 유지되고,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후에 제1 스토퍼가 인입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제2 스토퍼가 돌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가 제2 스토퍼에 걸림 결합하여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17. 제1항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유체 주입기가 유지하고 있는 유체를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통해 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KR1020157001600A 2012-06-26 2013-06-20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KR102076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2936 2012-06-26
JPJP-P-2012-142936 2012-06-26
JP2012164702 2012-07-25
JPJP-P-2012-164702 2012-07-25
PCT/JP2013/066979 WO2014002872A1 (ja) 2012-06-26 2013-06-20 マルチマイクロニードルデバイス使用流体注入器操作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011A KR20150022011A (ko) 2015-03-03
KR102076570B1 true KR102076570B1 (ko) 2020-02-13

Family

ID=4978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600A KR102076570B1 (ko) 2012-06-26 2013-06-20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89076B2 (ko)
EP (1) EP2865401B1 (ko)
JP (1) JP6222091B2 (ko)
KR (1) KR102076570B1 (ko)
CN (1) CN104321098B (ko)
WO (1) WO2014002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762259T3 (pl) 2005-09-12 2011-03-31 Unomedical As Urządzenie wprowadzające, przeznaczone do zestawu infuzyjnego, z pierwszą i drugą jednostką sprężynową
MX2012011085A (es) 2010-03-30 2012-10-10 Unomedical As Dispositivo medico.
WO2012123274A1 (en) 2011-03-14 2012-09-20 Unomedical A/S Inserter system with transport protection
CN103957962B (zh) 2011-10-05 2017-07-07 犹诺医药有限公司 用于同时插入多个经皮部分的插入物
EP2583715A1 (en) 2011-10-19 2013-04-24 Unomedical A/S Infusion tube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e
CN104684610B (zh) * 2012-10-17 2017-10-03 凸版印刷株式会社 使用多微针构件的流体注入器操作器具
US11478583B2 (en) * 2014-10-03 2022-10-25 Enable Injections, Inc. Medical fluid transfer and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010708B2 (en) * 2014-12-20 2018-07-03 Esthetic Education LLC Microneedle cartridge and nosecone assembly
CN104689466B (zh) * 2015-03-31 2018-02-16 苏州纳通生物纳米技术有限公司 一种通道型纳米美容仪及其使用方法
JP2017023404A (ja) * 2015-07-22 2017-02-0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用インパクト付加型アプリケータ及び先端部材
CN108778370B (zh) 2016-01-19 2021-10-08 优诺医疗有限公司 套管和输液装置
US11266344B2 (en) 2016-09-21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18060023A1 (en) * 2016-09-27 2018-04-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101898473B1 (ko) * 2016-11-01 2018-09-13 (주)에보소닉 음파진동을 이용한 마이크로니들 미용장치
CN110300608B (zh) 2016-12-16 2021-10-19 索伦托治疗有限公司 具有抽气机构的流体递送装置及其使用方法
EP3554620A4 (en) 2016-12-16 2020-07-15 Sorrento Therapeutics, Inc. APPLICATION DEVICE FOR LIQUID DISPENSER AND METHOD FOR USE
AU2017376503B2 (en) 2016-12-16 2023-08-31 Sorrento Therapeutics, Inc. A fluid delivery apparatus having a controll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10603478B2 (en) 2016-12-16 2020-03-31 Sorrento Therapeutics, Inc. Fluid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EP3554618B1 (en) 2016-12-16 2023-02-01 Sorrento Therapeutics, Inc. Fluid delivery apparatus including a microneedle assembly suitable for treating a migraine or cluster headache
KR20190088073A (ko) 2016-12-16 2019-07-25 소렌토 쎄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유체 전달 장치용 부착 밴드 및 그 이용 방법
CN106693159B (zh) * 2017-01-24 2023-12-22 北京欧扬医疗美容门诊部有限公司 一种注射式美容仪
CN109833562B (zh) * 2017-11-27 2024-03-15 苏州纳通生物纳米技术有限公司 一种一次性自毁式振动头组件以及应用该组件的促渗仪
CN108245775A (zh) * 2017-12-25 2018-07-06 中山大学 可控力度和深度的便携式微针经皮给药辅助装置
US10945759B2 (en) 2017-12-28 2021-03-16 Refine Usa, Llc Microneedle device
CN108324289B (zh) * 2018-04-17 2020-12-11 青岛市市立医院 一种医学检验用的血液采集装置
WO2019222486A1 (en) * 2018-05-16 2019-11-21 Richard Ford Hydro needle system
KR102148447B1 (ko) * 2018-08-14 2020-08-26 주식회사 브리텍 마이크로 니들 피부미용기기
SG11202111673SA (en) 2019-05-20 2021-11-29 Unomedical As Rotatable infusion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20240082483A1 (en) * 2019-11-01 2024-03-14 Yong Hyun Kim Medicinal liquid pushing apparatus and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including same
US20240026291A1 (en) * 2020-12-01 2024-01-25 Cutiss A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a cell suspen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5358A1 (en) * 2002-03-04 2005-07-28 Yehoshua Yeshuru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fluid across a biological barrier
US20090312707A1 (en) * 2005-06-21 2009-12-17 Steven Bishop Needled pharmaceutical delivery device with triggered automatic needle insertion and manually controlled pharmaceutical inj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0561A (en) * 1993-10-28 1996-07-30 Sims Deltec, Inc. Reservoir enclosure arrangements
US5415645A (en) * 1994-04-29 1995-05-16 Friend; John M. Retractable sheath for hypodermic needle
SE9901736D0 (sv) * 1999-05-12 1999-05-12 Pharmacia & Upjohn Ab Injectino devic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GB2374014A (en) 2001-04-02 2002-10-09 Cambridge Consultants Biological sealant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ES2305031T3 (es) * 2001-04-13 2008-11-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yector intradermico pre-rellenable.
US20050137525A1 (en) * 2003-06-04 2005-06-23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Drilling microneedle device
US20080200863A1 (en) 2005-12-02 2008-08-21 Cabochon Aesthetic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lysing cells
JP2008027384A (ja) * 2006-07-25 2008-02-07 Brother Ind Ltd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端末装置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US9233206B2 (en) * 2006-08-30 2016-01-12 Arthur Harris Continuous feed hypodermic syringe with self contained cartridge dispenser
US7935086B2 (en) * 2006-12-14 2011-05-03 L M M Global Innovations, Inc. Multiple drug injection apparatus
EP2460553A1 (fr) 2010-12-02 2012-06-06 Debiotech S.A. Dispositif pour l'insertion d'aiguil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5358A1 (en) * 2002-03-04 2005-07-28 Yehoshua Yeshuru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fluid across a biological barrier
US20090312707A1 (en) * 2005-06-21 2009-12-17 Steven Bishop Needled pharmaceutical delivery device with triggered automatic needle insertion and manually controlled pharmaceutical inj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21098A (zh) 2015-01-28
JP6222091B2 (ja) 2017-11-01
US10589076B2 (en) 2020-03-17
KR20150022011A (ko) 2015-03-03
EP2865401A4 (en) 2016-02-17
EP2865401B1 (en) 2020-01-15
CN104321098B (zh) 2017-03-08
EP2865401A1 (en) 2015-04-29
US20150112269A1 (en) 2015-04-23
WO2014002872A1 (ja) 2014-01-03
JPWO2014002872A1 (ja)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570B1 (ko)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KR102139966B1 (ko)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US10926072B2 (en) Operation tool for fluid injector using multi microneedle device
US20130296824A1 (en) Microneedle based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20080287978A1 (en) Medical mapping device
KR20090037471A (ko) 삽입장치
JP2005537058A (ja) 回転マイクロ剥離面による物質送達
KR20120038457A (ko) 랜스가 후퇴되는 란셋 장치
KR20140042901A (ko) 주사 장치용 재충전 모듈
KR20160025569A (ko) 자동 주입기를 위한 활성화기
US20120123324A1 (en) Device for injecting a solid
KR101692941B1 (ko) 피부용 액체 주입장치
CN108472450B (zh) 自动注射器装置
KR200465168Y1 (ko) 두피관리용 머리빗
EP3037124A1 (en) Drug delivery device with microneedles
JP5954011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刺し込み量規制器具
KR102016559B1 (ko) 피부용 약물 주입기
JP5954014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刺し込み量規制器具
WO2020169443A1 (en) Pencil for inserting micro-implants inside upper skin 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