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020B1 - 부하시 탭 절환기 - Google Patents

부하시 탭 절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020B1
KR102076020B1 KR1020147031515A KR20147031515A KR102076020B1 KR 102076020 B1 KR102076020 B1 KR 102076020B1 KR 1020147031515 A KR1020147031515 A KR 1020147031515A KR 20147031515 A KR20147031515 A KR 20147031515A KR 102076020 B1 KR102076020 B1 KR 10207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r
load tap
selector
contact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799A (ko
Inventor
알프레드 비에르린거
크리스티안 하머
마틴 판코페르
롤프 스트렘펠
안드레아스 스토케르
Original Assignee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03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1Combination with other type of switch, e.g. for 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4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having provision for tap-changing without interrupting the load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27Opera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38Tap change devices making use of 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Protection Of Transformer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중단없는 스텝 변압기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스위칭을 위한 부하시 탭 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개념은 셀렉터 컨택 유닛과 중단없는 부하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 수단 사이에 에너지 저장부를 연결하지 않고서도 셀렉터 컨택 유닛과 스위칭 수단 둘 모두를 공통의 모터 드라이브를 통해 작동시키는데 있다.

Description

부하시 탭 절환기{ON-LOAD TAP CHANG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탭부착 변압기(tapped transformer)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부하시 탭 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부하시 탭 절환기는 탭부착 변압기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해 여러 해 동안 전세계에 걸쳐 대규모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북아메리카에 널리 확산된 소위 리액터 스위치(reactor switch)는 저속의 연속적인 스위칭 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스위칭 오버 리액턴스(switching-over reactance)를 갖는다. 저항 고속 스위칭 원리(resistance fast switching principle)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는 일반적으로 스위칭 오버될 탭부착 변압기의 각자의 권선 탭의 파워-프리 선택(power-free selection)을 위한 셀렉터와, 이전의 사전 선택된 권선 탭으로부터 새로운 사전 선택된 권선 탭으로의 실제의 전환을 위한 부하 전환 스위치(load changeover switch)를 포함한다. 이러한 용도의 부하 전환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스위치 컨택 및 저항 컨택을 포함한다. 그 경우의 스위치 컨택은 부하 다이버터(load diverter)와의 각자의 권선 탭의 직접 연결을 위해 제공되며, 저항 컨택은 일시적인 연결, 즉 하나 이상의 스위치 오버 저항을 통한 브리징 오버(bridging over)를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최근의 개발품들은 부하 전환 스위치와 기계식 스위치 컨택을 절연 오일 내에서 떨어뜨려놓고 있다. 그 대신, 스위칭 요소로서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를 채용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진공 인터럽터를 갖는 이러한 종류의 부하시 탭 절환기는 예컨대 독일 특허 DE 10 2009 043 171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에서, 부하 전환 스위치는 하나 이상의 캠 디스크(cam disc)를 갖는, 에너지 저장부(energy store)에 의해 구동 가능한, 구동 샤프트를 갖고 있다. 캠 디스크는 복수의 캠을 가지며, 이중 캠 디스크의 끝에 배치된 2개의 캠은, 원형의 형상과는 동떨어진, 로브(lobe) 형태의 프로파일(profile)을 가지며, 이 로브에서는, 로커 암(rocker arm)을 통해 진공 인터럽터와 연결되고 각자의 캠의 프로파일된 윤곽을 스캔하는 각각의 롤러(roller)가, 유지된 컨택으로 안내된다.
한 가지 특정한 카테고리의 부하시 탭 절환기에서, 즉 소위 부하 셀렉터에서, 새로운 권선 탭의 선택을 위한 전술한 수단과 실제 부하 전환을 위한 수단은 구조상으로 합쳐지고, 공통으로 작동된다. 탭부착 변압기에서의 하나의 권선 탭으로부터 또 다른 권선 탭으로의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저항 고속 스위칭의 원리에 따른 탭 절환기는, 일반적으로는, 탭 권선의 출력 라인과 전기 접속된 각자의 고정된 탭 컨택이 절연 재료 프레임 또는 실린더에서의 하나 이상의 수평 평면에 원형으로 배열되고, 동심의 구동 샤프트에 의해 작동된 회전 가능 컨택 브리지에 의해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탭 선택과 실제 부하 스위칭 오버가 조합되어 있는 부하 셀렉터의 경우에, 그 경우에서의 컨택 브리지의 작동은 스위치의 구동 샤프트에 의해 드로우 업된(drawn up), 대개는 스프링력 저장부인, 에너지 저장부의 트리거링 후에 급작스럽게 발생한다.
이들 보편적인 구성과는 달리, 선형의 컨택 작동을 갖는 탭 절환기가 독일 특허 DE 42 37 165 C1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특허에서는 고정된 탭 컨택이 스위치의 내부에 있는 트랙을 따라 연장하고,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변위 가능한 스위칭 기구에 의해 연결 가능하다. 그 경우에서의 수직으로 변위 가능한 스위칭 기구는 드로우-업 캐리지(draw-up carriage)와 구동 출력부를 포함한다. 드로우-업 캐리지는 구동 샤프트에 의해 지속적으로 구동 가능하고, 새로운 고정된 탭 컨택을 사전에 선택한다. 구동 출력부는 에너지 저장부를 통해 드로우-업 캐리지에 의해 드로우 업될 수 있고, 트리거링 후에는 드로우-업 캐리지 다음에 급작스럽게 작동되고, 그 경우 탭부착 권선의 이전의 탭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새로운 탭으로의 실제 부하 전환을 수행한다. 이 용도를 위해 요구되는 스위칭 요소는 출력 구동부의 부품이다.
선형으로 배열된 셀렉터 컨택을 갖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다른 부하시 탭 절환기가 독일 특허 DE 198 47 745 C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실제의 급격한 부하 전환을 위해 각각의 상(phase)의 각자의 셀렉터 컨택에 연관되는 정지 상태 진공 인터럽터가 셀렉터 컨택 위에 배치되고 국부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부하시 탭 절환기의 작동을 위해서는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가 필요하며, 이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는 그 급격한 구동 출력 이동에 의해 진공 스위칭 요소뿐만 아니라 그 드로우 업 이동 동안의 셀렉터 컨택을 작동시킨다.
부하시 탭 절환기의 구조적 형태, 즉 회전하는 컨택 시스템을 갖거나 또는 선형으로 이동 가능한 컨택 시스템을 갖는 것에 상관없이, 종래 기술로 공지된 부하시 탭 절환기에는 컨택 시스템을 통한 급격한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가 요구된다. 종래 기술로 공지된 에너지 저장부는 구동 샤프트에 의한 부하시 탭 절환기의 각각의 작동의 개시 시에 드로우 업, 즉 스트레스(stress)되어야 한다. 공지의 에너지 저장부는 근본적으로 드로우 업 캐리지와 점프 캐리지(jump carriage)를 포함하며, 그 사이에는 에너지 저장부로서의 힘 저장 스프링(force-storage spring)이 배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에너지 저장부는 예컨대 DE 198 55 860 C1 및 DE 28 06 282 B1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점프 캐리지의 병진 운동을 다시 구동 출력 샤프트의 주된 회전 운동(rotational main movement) 및 그와 연결된 실제 컨택 작동으로 순차적으로 변환하도록 드로우 업 캐리지를 병진 운동식으로 드로우 업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의 초기의 저속 회전 운동이 채용된다.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러한 복잡한 변환 과정은 부하시 탭 절환기 내의 에너지 저장부 구성을 위한 많은 양의 공간 및 복수의 복합적인 개별 서브어셈블리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저장부의 복잡한 구조를 제거하고 그에 따라 현저하게 간략화된 형태의 구조를 제공하는 동시에 증가된 작동 신뢰성을 제공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를 갖는 탭부착 변압기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부하시 탭 절환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 경우의 하위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특히 이로운 개발예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발상은 에너지 저장부의 중재(interposition)없이 공통의 모터 드라이브를 통해 셀렉터 컨택 유닛뿐만 아니라 중단없는 부하 전환을 위한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예에 따라, 이것은 모터 드라이브에 의해 발생된 회전 운동이 트랜스미션 모듈을 통해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에 제공되는 스핀들 너트와의 결합으로 배치된 나사 스핀들(threaded spindle)에 전달되고, 이로써 가이드 로드(guide rod)를 따른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middle slide carriage)의 길이 방향 변위가 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한편, 나머지 슬라이드 캐리지가 유사하게 길이 방향의 변위 가능 가이드 링크를 통해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와 작동식의 연결로 배치되며, 이 가이드 링크가 지지판의 제2 측면에 배치되고,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와 기계식으로 결합되며, 이로써 나머지 슬라이드 캐리지가 가이드 링크를 통해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와 기계식으로 결합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셀렉터 컨택 유닛뿐만 아니라 중단없는 부하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 또한 이에 의해 동시에 작동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진공 인터럽터의 작동이 셀렉터 컨택 유닛의 선형 이동으로부터 직접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예에 따라, 부하시 탭 절환기는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하며, 이 트랜스미션 모듈이 변압기 커버의 밑면에 고정되고, 변압기 커버의 반대쪽 외측에 배치된 모터 드라이브와 함께 작동한다. 트랜스미션 모듈은 이러한 용도를 위해 플랜지형 실링 모듈(flange-like sealing module)을 포함하며, 이 실링 모듈은 변압기 커버의 밑면에 직접 배치되고, 모터 드라이브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 구체적으로 스크루(screw) 연결된다. 이에 부가하여, 부하 전환 스위치 전체가 트랜스미션 모듈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트랜스미션 모듈은 부하시 탭 절환기를 장착하는 태스크뿐만 아니라 실링 모듈을 통해 변압기의 외측에 대하여 밀봉하는 태스크를 갖는다. 그러므로, 변압기의 수송 동안의 변압기 커버의 비틀림(twisting)이 부하시 탭 절환기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부가하여, 변압기 커버에서의 가공된 밀봉 표면(milled-over sealing surface)을 갖는 연결 플랜지가 제거될 수 있다. 그 외에, 이 형태의 제안된 고정은 변압기 제조업체에게는 변압기 베젤 내에의 부하시 탭 절환기의 간편한 장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예에 따라, 유전체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의 지지판이 제공되며, 그 제1 측면에 셀렉터 컨택 유닛이 배치되고, 제2 측면에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이 제공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판이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해 필요한 지면으로부터의 공간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라, 스위칭 오버 동안의 하나 이상의 셀렉터 컨택 유닛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가이드 로드를 따라 이동되며, 이 가이드 로드가 적어도 하나의 셀렉터 컨택 유닛의 선형 안내를 보장하고, 지지판에 배치된 복수의 크로스 부재에 의해 장착된다. 그 경우의 셀렉터 컨택 유닛은 고정 셀렉터 컨택과 함께 작동하는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을 수용하기 위한 컨택 캐리어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각자의 슬라이드 캐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이 컨택 캐리어에 각각 수용되고, 지지판에 배치되는 고정 셀렉터 컨택과 함께 작동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 고정 셀렉터 컨택이 가이드 로드를 따르는 슬라이드 캐리지를 포함한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 즉 셀렉터 컨택 유닛의 길이 방향 변위에 의해 연결 가능하게 된다. 개별 고정 셀렉터 컨택으로의 및/또는 개별 고정 셀렉터 컨택으로부터의 셀렉터 컨택 유닛의 이동에 의해, 개별 고정 셀렉터 컨택가 연결되고, 그러므로 부하시 탭 절환기의 조정 범위를 통해 이동한다. 가이드 로드에 장착되는 복수의 크로스 부재는, 특히 간편한 방식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을 위한 기계적 맞대기부(mechanical abutment)를 형성하며, 이로써 조정 범위가 이에 의해 기계식으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이 대응하는 셀렉터 컨택 유닛의 각자의 슬라이드 캐리지에 직접 배치된다. 이 형태의 실시예에서는, 모터 드라이브가 다이버터 트랜스미션을 통해 중앙 나사 스핀들을 구동하고, 이 스핀들이 다시 회전 운동을 슬라이드 캐리지의 길이 방향 변위로 변환하며, 그 결과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뿐만 아니라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셀렉터 컨택 유닛에 배치되는, 스위칭 수단 또한 작동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뿐만 아니라 셀렉터 컨택 유닛 또한 에너지 저장부의 중재없이 공통의 모터 드라이브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예에 따라, 일부분이 셀렉터 컨택 유닛과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나사 스핀들뿐만 아니라,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을 작동 가능하게 하는 캠샤프트(camshaft) 또한 모터 드라이브에 의해 구동된다. 이것은, 특히 이로운 방식으로,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에 의해 셀렉터 컨택 유닛의 간략한 독립적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장점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의 한 가지 형태의 실시예의 개략 투시도이다.
도 2a는 셀렉터 컨택이 배치되는 도 1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의 제1 측면 투시도이다.
도 2b는 중단없는 부하 전환을 위한 스위칭 수단이 배치되는, 도 1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의 제2 측면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의 가이드 로드의 상세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의 셀렉터 컨택 유닛의 추가의 상세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의 셀렉터 컨택 유닛의 추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의 컨택 스트립(sontact strip)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측면 투시도의 상세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의 제1 측면 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따른 다른 형태의 실시예의 제2 측면 투시도이다.
탭부착 변압기(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의 변압기 커버(2) 바로 아래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1)가 도 1에 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부하시 탭 절환기(1)의 부품 및 그 기능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다른 도면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다. 종래 기술로 널리 공지되어 있는 이러한 종류의 탭부착 변압기는 변압기 베젤을 포함하며, 이 변압기 베젤은 절연 오일로 채워져 있고, 하나 이상의 권선이 철 요크(iron yoke)에 배치된다. 이 권선은 메인 권선과 조정 권선으로 나누어지며, 조정 권선에는 조정 범위를 형성하는 복수의 권선 탭이 제공된다. 이에 부가하여, 부하시 탭 절환기는 트랜스미션 모듈(3)을 포함하며, 이 트랜스미션 모듈이 변압기 커버(2)의 밑면에 부착되고, 변압기 커버(2)의 반대쪽의 외측에 위치된 모터 드라이브(4)와 함께 작동한다. 모터 드라이브(4)는 그 경우에는 예컨대 지적 재산권이 있는 스텝 모터(proprietary step motor)로서 구성될 수 있다. 트랜스미션 모듈(3)은 플랜지형 실링 모듈(flange-like sealing module)(5)을 포함하며, 이 실링 모듈은 변압기 커버(2)의 밑면에 직접 배치되고, 모터 드라이브(4)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 특히 스크루 연결된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부하시 탭 절환기(1)가 트랜스미션 모듈(3)에 고정된다. 트랜스미션 모듈(3)은 부하시 탭 절환기(1)를 장착하는 태스크뿐만 아니라 실링 모듈(5)을 통해 변압기의 외측에 대하여 기밀식으로 밀봉하는 태스크를 수행한다. 그 결과, 변압기의 수송 동안의 변압기 커버(2)의 비틀림(twisting)이 부하시 탭 절환기(1)에 전달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1)를 2개의 상이한 측면 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트랜스미션 모듈(3)에는 유전체 재료의 지지판(6)이 기계식으로 연결되며, 이 지지판에는 부하시 탭 절환기(1)의 개별 서브어셈블리가 고정 가능하다. 지지판(6)은 그 경우에는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부하시 탭 절환기(1)의 모든 중요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도로 구성된다. 그 경우, 도 2a는 부하시 탭 절환기(1)의 제1 측면을 도시하며, 이 측면에서는 적어도 셀렉터 컨택 유닛(7.1, 7.2, 7.3)의 서브어셈블리가 지지판(6)에 고정되어 있다. 도 2a의 예시에서는, 예컨대 3개의 셀렉터 컨택 유닛(7.1, 7.2, 7.3)이 있으며, 각각의 셀렉터 컨택 유닛(7.1, 7.2, 7.3)은 그 경우에 탭부착 변압기의 별도의 상(phase), 즉 권선과 연결된다. 각각의 셀렉터 컨택 유닛(7.1∼7.3)은 탭부착 변압기의 조정 권선의 권선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자의 복수의 연결 가능한 고정 셀렉터 컨택(8.1∼8.5)과, 부하 다이버터(load diverter, LA)와 연결된 컨택 레일(9)과, 2개의 각자의 탄력 복원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을 갖는 컨택 캐리어(10.1∼10.3)를 포함한다. 스위칭 오버의 원리에 상관없이, 즉 리액터 스위칭 원리 또는 저항 고속 스위칭 원리에 따라서는, 그 경우에는, 예컨대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과 같은 하나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이 예컨대 고정 셀렉터 컨택(8.1)과 같은 제1 고정 셀렉터 컨택과 연결되고, 예컨대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2)과 같은 다른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이 제1 고정 셀렉터 컨택에 인접한 예컨대 고정 셀렉터 컨택(8.2)과 같은 제2 고정 셀렉터 컨택과 연결되는 중간 설정(middle setting)이 부하시 탭 절환기(1)의 정지 상태 작동 설정(stationary operational setting)으로서 허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리액터 스위칭 원리에 따라서는, 여기에서는 5개의 예시된 고정 셀렉터 컨택(8.1∼8.5)으로 9개의 정지 상태 작동 설정이 가능한 반면, 중간 설정이 허용되지 않는 저항 고속 스위칭 원리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1)의 경우에는 단지 5개의 정지 상태 작동 설정이 가능하다. 각각의 상의 컨택 캐리어(10.1∼10.3)는 슬라이드 캐리지(12.1∼12.3)에 기계식으로 고정되고, 슬라이드 캐리지와 함께 구조 유닛(constructional unit)을 형성한다. 슬라이드 캐리지(12.1∼12.3)는 2개의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로드(14.1, 14.2)에 수용되며, 이 가이드 로드는 복수의 크로스 부재(13.1∼13.3)를 통해 지지판(6)에 고정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개개의 고정 셀렉터 컨택(8.1∼8.5)이 가이드 로드(14.1, 14.2)를 따른 슬라이드 캐리지(12.1∼12.3)를 포함한 이동 가능 컨택(11.1∼11.3)의 길이 방향 변위에 의해 연결 가능하다. 이러한 용도를 위해, 모터 드라이브(4)에 의해 발생된 회전 운동은, 트랜스미션 모듈(3)을 통해,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에 제공된 스핀들 너트(16)로 결합되게 배치된 나사 스핀들(15)에 전달되며, 이로써 가이드 로드(14.1, 14.2)를 따른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의 길이 방향 변위가 발생될 수 있다. 나머지 슬라이드 캐리지(12.1, 12.3)는 지지판(6)의 제2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유사하게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이드 링크(17)를 통해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와의 작동식 연결(operative connection)이 이루어지며, 이 점에서 슬라이드 캐리지(12.1, 12.3)가 가이드 링크(17)를 통해 슬라이드 캐리지(12.2)와 기계식으로 결합된다. 슬라이드 캐리지(12.2)를 통한 슬라이드 캐리지(12.1, 12.3)의 이러한 기계식으로 제한된 안내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도 3에 대한 아래의 추가의 도면 설명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14.1, 14.2)가 유지되는 복수의 크로스 부재(13.1∼13.3)는, 슬라이드 캐리지(12.1∼12.3)를 포함하여 길이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이동 가능 컨택(11.1∼11.3)을 위한 기계적 맞대기부를 추가로 형성하며, 이로써 부하시 탭 절환기(1)의 조정 범위 또한 기계식으로 제한된다.
도 2b는 그 경우에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이 배치되는 지지판(6)의 제2 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b의 실시예에서,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은 진공 인터럽터(19.1∼19.6)이며, 각각의 경우에 2개의 각자의 진공 인터럽터(19.1와 19.2 또는 19.3과 19.4 또는 19.5와 19.6)가 부하시 탭 절환기(1)의 각각의 상과 연관되고, 대응하는 셀렉터 컨택 유닛(7.1∼7.3)과 함께 작동한다. 진공 인터럽터(19.1∼19.6)는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고정 컨택(18.1∼18.6)뿐만 아니라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20.1∼20.6)을 갖는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는 스위칭 수단이다. 이러한 점에서의 각각의 진공 인터럽터(19.1∼19.6)는 커플링 요소(21.1∼21.6) 및 제어 레버와 각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지지판(6)의 제2 측면에 배치되는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20.1∼20.6)을 포함한다. 대응하는 커플링 요소(21.1∼21.6)와 제어 레버 간의 피봇 연결부에는, 지지판(6)을 바라보는 측에, 부분적으로 유지된 컨택 하에서 가이드 링크(17)의 상면(24)을 따라 롤링하는 각자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23.1∼23.6)가 제공된다. 가이드 링크(17)의 상면(24)은 그 경우에는 로브(lobe) 형태의 프로파일링을 가지며, 이로써 진공 인터럽터(19.1∼19.6)가 가이드 링크(17)의 상면(24)의 프로파일링에 좌우되는 가이드 링크(17)의 길이 방향 변위에 의해 연결, 즉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가이드 링크(17)와 슬라이드 캐리지(12.1∼12.3)의 기계식 커플링의 간략화된 세부도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 운동을 기어휠을 통해(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예시되지 않음) 나사 스핀들(15)에 전달하는 트랜스미션 모듈(3)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나사 스핀들이 회전 운동 시에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에 제공된 스핀들 너트(16)에 통과되며, 이로써 나사 스핀들(15)의 회전 운동이 가이드 로드(14.1, 14.2)를 따른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의 길이 방향 운동으로 변환된다. 슬라이드 캐리지(12.1∼12.3)가 가이드 링크(17)를 통해 기계식으로 상호 결합된다는 사실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가이드 로드(14.1, 14.2)를 따르는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의 길이 방향 변위를 통해, 2개의 다른측의 캐리지(12.1, 12.3)의 길이 방향 변위 또한 발생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1)의 하나의 상(phase)의 셀렉터 컨택 유닛(7.1)의 더욱 상세한 도면을 2개의 상이한 투시도로 보여주고 있고, 이것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며, 셀렉터 컨택 유닛(7.2, 7.3)은 셀렉터 컨택 유닛(7.1)과 동일한 구조로 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이들 셀렉터 컨택 유닛(7.2, 7.3)에도 적용된다. 고정 셀렉터 컨택(8.1∼8.5)은 그 경우에 예컨대 여기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 연결을 통해 플라스틱 재료의 컨택 스트립에 배치된다. 컨택 스트립은 스위치-오버 초크(switch-over choke)(예시되지 않음) 또는 스위치-오버 저항의 연결부로서 사용되는 2개의 각자의 스페이서(27.1, 27.2)를 통해 지지판(6)에 체결된다. 스위치-오버 초크는 리액터 스위칭 원리에 따라 제공되고, 스위치-오버 저항은 저항 고속 스위칭 원리에 따라 제공된다. 더욱이, 컨택 스트립은 그 길이 방향 측면에 제어 링크(26.1)를 갖고, 이 제어 링크에는 여러 개의 로브(28.1∼28.4)가 양측면 상에 배치되어, 이 복수의 로브(28.1∼28.4)의 프로파일에 좌우되어, 제어 링크(26.1)에 제공된 로브(28.1∼28.4)를 통해, 대응하는 슬라이드 캐리지(12.1)의 길이 방향 변위의 경우에, 대응하는 셀렉터 컨택 유닛(7.1)의 탄력 복원 가능하게 장착된 셀렉터 컨택(11.1, 11.2)을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로브(28.1∼28.4)의 프로파일의 치수는, 그 경우에는, 셀렉터 컨택 유닛(7.1)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이 2개의 인접한 고정 셀렉터 컨택(8.1∼8.5) 사이의 현재 연결된 고정 셀렉터 컨택, 여기에서는 고정 셀렉터 컨택 8.1을 리프트 오프(lift off)하고, 스위칭 오버가 완료된 후에는 이들이 다시 다음번의 고정 셀렉터 컨택, 여기에서는 고정 셀렉터 컨택 8.2를 연결하도록 정해진다. 리액터 스위칭 원리에 따라서는 2개의 인접한 고정 셀렉터 컨택(8.1∼8.5)에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의 중간 설정이 허용 가능한 반면, 저항 고속 스위칭 원리에 따라서는 다음번의 인접한 고정 셀렉터 컨택으로의 전진 스위칭(onward switching)이 가능하다. 규정된 컨택-형성(defined contact-making)을 달성하기 위해, 컨택 부재(11.1, 11.2)가 실제 컨택 표면에서 구형(spherical)이 되도록 형성된다.
도 5는 제어 링크(26.1∼26.3) 및 각자의 복수의 로브(28.1∼28.4)를 갖는 컨택 스트립을 상세하게 예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셀렉터 컨택 유닛(7.1∼7.3)의 대응하는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과 11.2 또는 11.3과 11.4 또는 11.5와 11.6)이 로브(28.1∼28.4)의 프로파일링에 좌우되어 스위칭 오버 프로세스 동안 수직으로 변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1)를 탭부착 변압기에 설치한 상태에서, 진공 인터럽터(19.1∼19.6)의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20.1∼20.6)은 각자의 상 및 그러므로 궁극적으로는 대응하는 스위치-오버 초크 또는 스위치-오버 저항에 연관된 스페이서(27.1∼27.2)와 전기 접속되는 반면, 대응하는 진공 인터럽터(19.1∼19.6)의 대응하는 고정 컨택(18.1∼18.6)이 연관된 상의 컨택 레일(9)과 전기 접속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방금 설명한 것과는 정확히 반대의 모드 및 방식으로 부하시 탭 절환기(1)의 전기 접속을 착수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1)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이전의 도면과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지며, 동일한 부품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논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1)의 이 형태의 실시예에서,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 즉 진공 인터럽터(19.1∼19.6)는 각자의 셀렉터 컨택 유닛(7.1∼7.3)의 대응하는 슬라이드 캐리지(12.1∼12.3)에 직접 배치되고, 대응하는 슬라이드 캐리지와 함께 나사 스핀들(15)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형태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셀렉터 컨택 유닛(7.1∼7.3)은 대응하는 슬라이드 캐리지(12.1∼12.3)에 배치된 이 예시에서는 보이지 않는 자신의 스핀들 너트(16)를 가지며, 이로써 셀렉터 컨택 유닛(7.1∼7.3)이 나사 스핀들(15)을 따라 동시 발생적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사 스핀들(15)은 복수의 요소로 구성되며, 각각의 경우에서 대응하는 요소들 사이에 전기 절연 재료로 형성된 커플링 튜브(28.1∼28.2)를 갖는다. 이에 부가하여, 모터 드라이브(3)의 회전 운동 시에 나사 스핀들(15)을 통과시키도록 앵글 트랜스미션(angle transmission)이 제공된다. 모터 드라이브(3)와 앵글 트랜스미션(29) 사이에는 모터 드라이브(3)의 회전 운동을 앵글 트랜스미션(29) 내로 도입하는 유전체 재료의 절연 샤프트(30)가 배치된다. 대응하는 슬라이드 캐리지(12.1∼12.3)에 배치된 진공 인터럽터(19.1∼19.6)의 고정 컨택(18.1∼18.6)은 각자의 와이어(31.1∼31.6)를 통해 지지판(6)과 스크루 연결되고, 스위치-오버 초크 또는 스위치-오버 저항(도시되지 않음)과 전기 접속된다. 진공 인터럽터(19.1∼19.6)의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20.1∼20.6)은 각자의 롤러(33.1∼33.6)를 갖는 로커 암 구조(rocker arm arrangement)(32.1∼32.6)와의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연결을 이룬다. 부하시 탭 절환기(1)를 설치한 상태에서, 진공 인터럽터(19.1∼19.6)의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20.1∼20.6)은 연관된 상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11.2)과 전기 접속된다. 대응하는 롤러(33.1∼33.6)가 슬라이드 캐리지(12.1∼12.3)의 길이 방향 변위 동안 가이드 레일(34.1∼34.3)의 프로파일링을 따라 롤링하며, 이로써 각자의 로커 암 구조(32.1∼32.6)가 가이드 레일(34.1∼34.3)의 프로파일링에 좌우되어 연관된 진공 인터럽터(19.1∼19.6)의 대응하는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20.1∼20.6)을 연결, 즉 개방 또는 폐쇄한다. 단지 고정 셀렉터 컨택 8.3∼8.5만이 이 도시에서 보여지고 있는 고정 셀렉터 컨택(8.1∼8.5)은 여기에서는 지지판(6) 상에 직접 배치되고, 지지판(6)의 반대측(여기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탭부착 변압기의 조정 권선의 대응하는 권선 탭과 전기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1)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대한 설명의 경우에, 마찬가지로, 이전의 도면과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되며, 동일한 부품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논의된다. 도 7a 및 도 7b의 실시예의 형태에서, 모터 드라이브(3)에 의해, 각각의 셀렉터 컨택 유닛(7.1∼7.3)과의 기계식 작동 연결을 이루고 있는 나사 스핀들(15)뿐만 아니라 캠샤프트(35)도 구동되며, 이를 통해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 즉 진공 인터럽터(19.1∼19.6)가 작동 가능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의 예시와는 달리, 나사 스핀들(15)은 여기에서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 스핀들로서 구성되며, 나사 스핀들(15)의 회전이 발생할 때에 각각의 슬라이드 캐리지(12.1∼12.3)가 수평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슬라이드 캐리지(12.1∼12.3)에 제공된 스핀들 너트(16)와 결합된다. 다른 셀렉터 컨택 유닛(7.1∼7.3)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셀렉터 컨택 유닛(7.1∼7.3)과 동일한 구성으로 된다. 진공 인터럽터(19.1∼19.6)의 작동을 위해, 각각의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20.1∼20.6)은 스트로크 로드(36.1∼36.6)와 기계식으로 제약되게(mechanically constrainedly) 결합되고, 그러므로 이 스트로크 로드가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20.1∼20.6)의 반대쪽에 있고 캠샤프트(35) 상에 배치되는 캠 로브(37.1∼37.6)와 함께 작동하며, 캠샤프트(35)의 회전이 발생할 때, 캠 로브(37.1∼37.6)가 수직 운동을 대응하는 스트로크 로드(36.1∼36.6)에 도입하고, 그러므로 궁극적으로 대응하는 진공 인터럽터(19.1∼19.6)의 연관된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20.1∼20.6)을 작동시킨다. 부하시 탭 절환기(1)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스위칭 시퀀스에 좌우되어, 진공 인터럽터(19.1∼19.6) 당의 복수의 캠 로브(37.1∼37.6)가 그 경우에 캠샤프트(35)의 둘레에 제공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1)는 리액터 스위칭 원리에 따라서뿐만 아니라 저항 고속 스위칭 원리에 따라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강조될 수 있다. 근원적인 스위치 오버 원리에 좌우되어, 리액터 스위칭 원리에 따라서는 여기에서 5개의 예시된 고정 셀렉터 컨택(8.1∼8.5)으로 9개의 정지 상태 작동 설정이 허용 가능한 한편, 저항 고속 스위칭 원리에 따라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탤 절환기(1)로는 단지 5개의 정지 상태 작동 설정이 허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는 현지 메인(local main)의 전압 조정을 위해 배전용 변압기의 특정한 장점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1 : 부하시 탭 절환기
2 : 변압기 커버
3 : 트랜스미션 모듈
4 : 모터 드라이브
5 : 실링 모듈
6 : 지지판
7.1∼7.3 : 셀렉터 컨택 유닛
8.1∼8.5 : 고정 셀렉터 컨택
9 : 컨택 레일
10.1∼10.3 : 컨택 캐리어
11.1, 11.2 :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
12.1∼12.3 : 슬라이드 캐리지
13.1∼13.3 : 크로스 부재
14.1, 14.2 : 가이드 로드
15 : 나사 스핀들
16 : 스핀들 너트
17 : 가이드 링크
18.1∼18.6 : 고정 컨택
19.1∼19.6 : 진공 인터럽터
20.1∼20.6 :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
21.1∼21.6 : 커플링 요소
23.1∼23.6 : 롤러
24 : 가이드 링크의 상면
26.1∼26.3 : 제어 링크
27.1, 27.2 : 스페이서
28.1, 28.2 : 커플링 튜브
29 : 앵글 트랜스미션
30 : 절연 샤프트
31.1∼31.6 : 와이어
32.1∼32.6 : 로커 암 구조
33.1∼33.6 : 롤러
34.1∼34.3 : 가이드 레일
35 : 캠샤프트
36.1∼36.6 : 스트로크 로드
37.1∼37.6 : 캠 로브

Claims (19)

  1. 탭부착 변압기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uninterrupted switching over)를 위한 부하시 탭 절환기로서,
    개별 권선 탭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자의 복수의 고정 셀렉터 컨택을 갖는 복수의 셀렉터 컨택 유닛이 라인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고정 셀렉터 컨택이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2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해, 2개의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가 각각의 상(phase)을 위해 제공되며,
    구동 무브먼트를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에 전달하기 위한 모터 드라이브가 제공되며,
    상기 셀렉터 컨택 유닛(7.1∼7.3) 및 상기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이 공통의 모터 드라이브를 통해 직접 작동할 수 있어서, 상기 모터 드라이브(4)의 구동 무브먼트가 상기 셀렉터 컨택 유닛(7.1∼7.3) 및 상기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에 에너지 저장부의 중재없이 전달되고,
    부하시 탭 절환기(1)의 전체가 변압기 커버(2)의 밑면에 있는 트랜스미션 모듈(3)을 통해 배치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드라이브(4)에 의해 발생된 회전 운동이, 트랜스미션 모듈(3)을 통해,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에 제공된 스핀들 너트와 결합된 나사 스핀들(threaded spindle)(15)에 전달 가능하여서, 가이드 로드(guide rod)(14.1, 14.2)를 따르는 상기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의 길이 방향 변위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와 기계식으로 결합되는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이드 링크(guide link)를 통해, 나머지 슬라이드 캐리지(12.1, 12.3)가 상기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와 작동식으로(operatively) 연결되어, 상기 나머지 슬라이드 캐리지(12.1, 12.3)가 상기 가이드 링크(17)를 통해 상기 중앙 슬라이드 캐리지(12.2)와 기계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셀렉터 컨택 유닛(7.1∼7.3)뿐만 아니라 상기 중단없는 부하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도 동시에 작동 가능하게 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모듈(3)이 플랜지형 실링 모듈(flange-like sealing module)(5)을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
  5. 제2항에 있어서,
    제1 측면에 상기 셀렉터 컨택 유닛(7.1∼7.3)이 배치되고 제2 측면에 상기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이 배치되는 유전체 재료의 지지판(6)이 제공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터 컨택 유닛(7.1∼7.3)은 각자의 슬라이드 캐리지(12.1∼12.3), 각자의 컨택 캐리어(10.1∼10.3), 및 상기 복수의 고정 셀렉터 컨택(8.1∼8.5)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작동하는 각자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을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12.1∼12.3)는 크로스 부재(13.1∼13.3)를 통해 상기 지지판에 배치되는 2개의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로드(14.1, 14.2)에 의해 수용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은 각각 컨택 캐리어(10.1∼10.3)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판(6)에 배치된 고정 셀렉터 컨택(8.1∼8.5)과 함께 작동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은 각자의 슬라이드 캐리지(12.1∼12.3)를 통해 가이드 로드(14.1, 14.2)를 따라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1)의 조정 범위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크로스 부재(13.1, 13.3)가, 가이드 로드(14.1 14.2)를 따라 변위할 수 있는 상기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을 위한 기계적 맞대기부(mechanical abutment)를 형성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1)의 조정 범위가 기계식으로 제한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정지 상태 작동 설정(stationary operational setting)에서의 상(phase)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이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1)의 동일한 상(same phase)의 상기 복수의 고정 셀렉터 컨택(8.1∼8.5)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이 탄력 복원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컨택 캐리어(10.1∼10.3)에 수용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13. 제5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진공 인터럽터(19.1∼19.6)의 이동 가능 스위치 컨택(20.1∼20.6)이 커플링 요소(21.1∼21.6) 및 제어 레버와 각각 피봇 가능하게 기계식으로 작동하게 연결되며, 대응하는 커플링 요소(21.1∼21.6)와 제어 레버 간의 피봇 가능한 연결부에는, 지지판(6)을 바라보는 측에, 롤러(23.1∼23.6)가 제공되며, 상기 롤러는 부분적으로 유지된 컨택 하에서 가이드 링크(17)의 프로파일링된 상면(24)을 따라 롤링하며, 이로써 각자의 진공 인터럽터(19.1∼19.6)가 상기 가이드 링크(17)의 상면(24)의 프로파일링에 좌우되어 상기 가이드 링크(17)의 길이 방향의 변위에 의해 연결 가능하게 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셀렉터 컨택(8.1∼8.5)은 컨택 스트립에 배치되고, 상기 컨택 스트립이 각자의 스페이서(27.1∼27.3)를 통해 지지판(6)에 고정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스트립은, 자신의 길이 방향측에, 여러 개의 로브(lobe)가 양측 상에 배치되는 제어 링크(26.1∼26.3)를 갖는, 부하시 탭 절환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브의 프로파일은, 2개의 인접한 고정 셀렉터 컨택(8.1∼8.5) 사이의 대응하는 셀렉터 컨택 유닛(7.1∼7.3)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이 현재 연결된 고정 셀렉터 컨택을 리프트 오프(lift off)하고, 스위칭 오버가 완료된 후에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이 다시 다음번의 고정 셀렉터 컨택을 연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부하시 탭 절환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phase) 당의 2개의 각자의 진공 인터럽터(19.1과 19.2, 19.3과 19.4, 19.5와 19.6)가 각자의 셀렉터 컨택 유닛(7.1∼7.3)의 대응하는 슬라이드 캐리지(12.1∼12.3)에 직접 배치되며,
    상기 모터 드라이브(4)가 앵글 트랜스미션(angle transmission)(29)을 통해 중앙의 나사 스핀들(15)을 구동하며,
    각각의 슬라이드 캐리지(12.1∼12.3)가 별도의 스핀들 너트(16)를 가지며,
    상기 나사 스핀들(15)이 각각의 슬라이드 캐리지(12.1∼12.3)의 스핀들 너트(16)와 함께 작동하며, 회전 운동이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지(12.1∼12.3)의 동시 발생적인 길이 방향 변위로 변환될 수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뿐만 아니라 상기 진공 인터럽터(19.1∼19.6)도 작동할 수 있게 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드라이브(4)는 셀렉터 컨택 유닛(7.1∼7.3)과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나사 스핀들(15)뿐만 아니라 캠샤프트(35)도 구동하며, 이를 통해 상기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이 작동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11.1. 11.2) 및 상기 중단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위칭 수단이 작동할 수 있게 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전용 변압기(distributing transformer)의 전압 조정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0147031515A 2012-04-20 2013-03-25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076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3489.3 2012-04-20
DE102012103489.3A DE102012103489B4 (de) 2012-04-20 2012-04-20 Laststufenschalter und dessen Verwendung zur Spannungsregelung in einem Verteiltransformator
PCT/EP2013/056232 WO2013156262A1 (de) 2012-04-20 2013-03-25 Laststufenscha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99A KR20150003799A (ko) 2015-01-09
KR102076020B1 true KR102076020B1 (ko) 2020-02-11

Family

ID=4798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515A KR102076020B1 (ko) 2012-04-20 2013-03-25 부하시 탭 절환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543096B2 (ko)
EP (1) EP2839491B1 (ko)
JP (1) JP6396286B2 (ko)
KR (1) KR102076020B1 (ko)
CN (1) CN104272413B (ko)
BR (1) BR112014021584B1 (ko)
DE (1) DE102012103489B4 (ko)
HK (1) HK1202981A1 (ko)
RU (1) RU2617429C2 (ko)
WO (1) WO2013156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8028B2 (ja) * 2013-08-27 2018-12-12 マシイネンフアブリーク・ラインハウゼン・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負荷時タップ切換器、電圧制御用タップ付変成器及びタップ付変成器での切換実施方法
ES2906218T3 (es) * 2014-04-29 2022-04-13 Cytokinetics Inc Métodos para reducir la disminución de la capacidad vital
DE102014106322B4 (de) 2014-05-06 2017-02-0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Anlage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Blindleistung
DE102014012266A1 (de) 2014-08-22 2016-01-0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chaltanordnung mit zwei Laststufenschaltern, elektrische Anlage mit einer derartigen Schaltanordnung sowie deren Verwendung
CN104810168B (zh) * 2015-03-10 2017-04-26 上海华明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 电抗式真空条形有载分接开关
CN106653426B (zh) * 2017-01-12 2018-08-17 济南爱迪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配电变压器专用有载调压开关
CN106876206A (zh) * 2017-03-31 2017-06-20 宁波安德奥电力设备有限公司 双输出直线自滑动开关
CN107984486A (zh) * 2017-12-05 2018-05-04 上海航天设备制造总厂 紧凑型机械主轴制孔末端执行器
DE102018105097A1 (de) * 2018-03-06 2019-09-12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und ortsnetztransformator mit einem laststufenschalter
DE102020122444A1 (de) * 2020-08-27 2022-03-03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und Stufentransformator mit Laststufenschalter
EP3989253A1 (en) * 2020-10-26 2022-04-27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System for controlling a vacuum interrupter for a power diverter switch, a power diverter switch and an on-load tap changer
KR102547475B1 (ko) * 2022-09-30 2023-06-28 부흥시스템(주) 아크 유도형 접점이 구비된 탭 셀렉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7165C1 (de) * 1992-11-04 1994-03-17 Reinhausen Maschf Scheubeck Einpoliger Stufenschalter mit linearer Kontaktbetätigung für einen Stufentransformator
WO2004088693A1 (de) * 2003-04-03 2004-10-14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US20050099741A1 (en) * 2000-12-15 2005-05-12 Bengt-Olof Stenestam Tap changer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9764A (en) * 1970-03-19 1971-11-09 Gen Electric Parallel connected tap changers employing simultaneously movable contacts
DE2806282C2 (de) 1978-02-15 1980-04-10 Maschinenfabrik Reinhausen Gebrueder Scheubeck Gmbh & Co Kg, 8400 Regensburg Lastumschalter für Stufenschalter von Stufentransformatoren
JPS5943708Y2 (ja) * 1980-01-24 1984-12-26 株式会社東芝 タップ切換器
JPS57170531U (ko) * 1981-04-22 1982-10-27
JPS59204224A (ja) 1983-05-07 1984-11-19 Hokuriku Denki Seizo Kk 負荷時タツプ切換器の真空バルブ操作機構
JPS62274611A (ja) * 1986-05-22 1987-11-28 Toshiba Corp 負荷時タツプ切換器
DE59007411D1 (de) * 1989-03-03 1994-11-17 Gec Alsthom T & D Ag Federkraftantrieb für einen Leistungsschalter.
DE4237242A1 (de) * 1992-05-15 1994-05-05 Reinhausen Maschf Scheubeck Stufenschalter für einen vorzugsweise gießharzisolierten Stufentransformator
RO112973B1 (ro) * 1992-07-16 1998-02-27 Reinhausen Maschf Scheubeck Comutator in trepte
JP4034392B2 (ja) * 1997-11-26 2008-01-16 東芝変電機器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ップ選択器
DE19821775C1 (de) * 1998-05-14 1999-10-14 Reinhausen Maschf Scheubeck Lastwähler
DE19847745C1 (de) 1998-10-16 2000-01-05 Reinhausen Maschf Scheubeck Stufenschalter
DE19855860C1 (de) 1998-12-03 2000-02-17 Reinhausen Maschf Scheubeck Kraftspeicher für einen Stufenschalter
AT409563B (de) * 1999-02-24 2002-09-25 Reinhausen Maschf Scheubeck Anordnung zur abdichtung eines zylindrischen ölgefässes eines schalters
JP4201963B2 (ja) * 2000-08-03 2008-12-24 株式会社東芝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真空バルブ開閉機構
AU2002216528A1 (en) * 2000-12-15 2002-06-24 Abb T And D Technology Ltd Condition diagnosing
RU50045U1 (ru) * 2004-11-11 2005-12-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порожтрансформатор" - ОАО "ЗТР" Переключатель ответвлений обмоток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без возбуждения
DE102005027527B3 (de) * 2005-06-15 2006-08-1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Kraftspeicher
JP4649448B2 (ja) * 2007-06-22 2011-03-09 有限会社田島製作所 無電圧タップ切換器
GB2457079A (en) * 2008-02-01 2009-08-05 Brush Transformers Ltd On-load tap changer
DE102009017196A1 (de) * 2009-04-09 2010-10-14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mit Halbleiter-Schaltelementen
DE102009035699A1 (de) 2009-07-30 2011-02-10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Anordnung eines Stufenschalters an einem Regeltransformator
JP2011054835A (ja) * 2009-09-03 2011-03-17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装置の切換開閉器
DE102009043171B4 (de) 2009-09-26 2014-11-20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mit Vakuumschaltröhren
DE102010008973B4 (de) * 2010-02-24 2015-11-05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des Hybridtyps mit Halbleiterschaltelementen
JP2013535849A (ja) * 2010-08-18 2013-09-12 マシイネンフアブリーク・ラインハウゼン・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タップ切換器
US20230154089A1 (en) 2021-11-15 2023-05-18 Disney Enterprises, Inc. Synthesizing sequences of 3d geometries for movement-based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7165C1 (de) * 1992-11-04 1994-03-17 Reinhausen Maschf Scheubeck Einpoliger Stufenschalter mit linearer Kontaktbetätigung für einen Stufentransformator
US20050099741A1 (en) * 2000-12-15 2005-05-12 Bengt-Olof Stenestam Tap changer monitoring
WO2004088693A1 (de) * 2003-04-03 2004-10-14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2981A1 (en) 2015-10-09
EP2839491B1 (de) 2017-07-05
BR112014021584A2 (pt) 2018-05-08
DE102012103489B4 (de) 2015-11-12
RU2014146579A (ru) 2016-06-10
KR20150003799A (ko) 2015-01-09
EP2839491A1 (de) 2015-02-25
US9543096B2 (en) 2017-01-10
CN104272413A (zh) 2015-01-07
RU2617429C2 (ru) 2017-04-25
BR112014021584B1 (pt) 2021-03-16
US20150027989A1 (en) 2015-01-29
DE102012103489A1 (de) 2013-10-24
WO2013156262A1 (de) 2013-10-24
JP2015517218A (ja) 2015-06-18
JP6396286B2 (ja) 2018-09-26
CN104272413B (zh)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020B1 (ko)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010939B1 (ko)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032881B1 (ko) 로컬 배전망의 전압 조정을 위한 배전용 변압기
KR102038345B1 (ko) 부하시 탭 절환기
JP6373254B2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
US20140159847A1 (en) On-load tap changer
KR20130036120A (ko) 캠 슬롯의 위치가 보상되는 선택 스위치 메커니즘
KR20150003844A (ko) 부하시 탭 절환기
AU2020381675A1 (en) Selector for on-load tap 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