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345B1 - 부하시 탭 절환기 - Google Patents

부하시 탭 절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345B1
KR102038345B1 KR1020157000203A KR20157000203A KR102038345B1 KR 102038345 B1 KR102038345 B1 KR 102038345B1 KR 1020157000203 A KR1020157000203 A KR 1020157000203A KR 20157000203 A KR20157000203 A KR 20157000203A KR 102038345 B1 KR102038345 B1 KR 102038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or
changer
contacts
load
load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662A (ko
Inventor
허버트 카멀
알프레드 비에르린거
Original Assignee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2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27Opera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44Casings; Mountings; Disposition in transformer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38Tap change devices making use of vacuum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끊김없는 스텝 변압기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스위칭을 위한 부하시 탭 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끊김없이 부하를 스위칭하기 위한 셀렉터 컨택 유닛(7) 및 스위칭 수단(16, 17)이, 중간 에너지 축적기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스위칭 동작 동안 구동 모터(2)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 스핀들(5)을 통해 함께 작동된다.

Description

부하시 탭 절환기{ON-LOAD TAP CHANG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탭부착 변압기(tapped transformer)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끊김없는 스위칭 오버(uninterrupted switching over)를 위한 부하시 탭 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부하시 탭 절환기는 탭부착 변압기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끊김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해 여러 해 동안 전세계에 걸쳐 대규모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북아메리카에 널리 확산된 소위 리액터 스위치(reactor switch)는 저속의 연속적인 스위칭 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오버 리액턴스(switch-over reactance)를 갖는다. 저항 고속 스위칭 원리(resistance fast-switching principle)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는 일반적으로 탭부착 변압기의 그쪽으로 스위칭 오버될 각자의 권선 탭의 파워-프리 선택(power-free selection)을 위한 셀렉터와, 이전의 권선 탭으로부터 새로운 사전 선택된 권선 탭으로의 실제의 스위칭 오버를 위한 부하 전환 스위치(load changeover switch)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하 전환 스위치는 그 용도를 위해 일반적으로 스위칭 컨택 및 저항 컨택을 포함한다. 그 경우의 스위칭 컨택은 부하 다이버터(load diverter)와의 각자의 권선 탭의 직접 연결을 위해 제공되며, 저항 컨택은 일시적인 연결, 즉 하나 이상의 스위칭 오버 저항을 통한 브리징 오버(bridging over)를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최근의 개발품들은 부하 전환 스위치와 기계식 스위칭 컨택을 절연 오일 내에서 떨어뜨려놓고 있다. 그 대신, 스위칭 요소로서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를 사용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진공 인터럽터를 갖는 이러한 종류의 부하시 탭 절환기는 예컨대 DE 10 2009 043 171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에서, 부하 전환 스위치는 하나 이상의 캠 디스크(cam disc)를 갖는, 에너지 저장부(energy store)에 의해 구동 가능한, 구동 샤프트를 갖고 있다. 캠 디스크는 복수의 제어 캠을 가지며, 끝에 있는 캠 디스크에 배치된 2개의 제어 캠은, 원형의 형상과는 동떨어진, 로브(lobe) 형태의 윤곽(contour)을 가지며, 이 로브에서는, 로커 레버(rocker lever)에 의해 진공 인터럽터와 연결되고 각자의 제어 캠의 프로파일된 윤곽을 추적하는 각각의 롤러(roller)가 접촉을 유지한 채로 안내된다.
한 가지 특정한 카테고리의 부하시 탭 절환기에서, 즉 소위 부하 셀렉터에서, 새로운 권선 탭의 선택을 위한 전술한 수단과 실제 부하 스위칭 오버를 위한 수단은 구조상으로 합쳐지고, 공동으로 작동된다. 탭부착 변압기의 하나의 권선 탭으로부터 또 다른 권선 탭으로의 끊김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저항 고속 스위칭의 원리에 따른 탭 절환기는, 일반적으로는, 탭 권선의 출력 라인과 전기 접속된 각자의 고정된 탭 컨택이 절연 재료 구조 또는 실린더에서의 하나 이상의 수평 평면에 원형으로 배열되고, 동심의 구동 샤프트에 의해 작동된 회전 가능 컨택 브리지에 의해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탭 선택과 실제 부하 전환이 조합되어 있는 부하 셀렉터의 경우에, 그 경우에서의 컨택 브리지의 작동은 절환기의 구동 샤프트에 의해 드로우 업된(drawn up), 대개는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인, 에너지 저장부의 트리거링 후에 급작스럽게 발생한다.
이들 보편적인 구조와는 달리, 선형의 컨택 작동을 갖는 탭 절환기가 DE 42 37 165 C1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특허에서는 고정된 탭 컨택이 절환기의 내부에 있는 경로를 따라 연장하고,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변위 가능한 스위칭 기구에 의해 연결 가능하다. 그 경우, 수직으로 변위 가능한 스위칭 기구는 드로우-업 슬라이드(draw-up slide)와 구동 출력부를 포함한다. 드로우-업 슬라이드는 구동 샤프트에 의해 지속적으로 구동 가능하고, 새로운 고정 탭 컨택을 사전에 선택한다. 구동 출력부는 에너지 저장부를 통해 드로우-업 슬라이드에 의해 드로우 업될 수 있고, 트리거링 후에는 드로우-업 슬라이드 다음에 급작스럽게 작동되고, 그 경우 탭부착 권선의 이전의 탭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새로운 탭으로의 실제 부하 전환을 수행한다. 이 용도를 위해 요구되는 스위칭 요소는 출력 구동부의 부품이다.
선형으로 배열된 셀렉터 컨택을 갖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다른 부하시 탭 절환기가 독일 특허 DE 198 47 745 C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실제의 급격한 부하 전환을 위해 각각의 상(phase)의 각자의 셀렉터 컨택에 연관되는 정지 상태의 진공 인터럽터가 셀렉터 컨택 위에 별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부하시 탭 절환기의 작동을 위해서는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가 필요하며, 이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는 그 드로우 업 이동 동안 자신의 급격한 구동 출력 운동에 의해 셀렉터 컨택을 작동시키고 진공 스위칭 요소를 구동한다.
부하시 탭 절환기의 구조적 형태, 즉 회전하는 컨택 시스템을 갖거나 또는 선형으로 이동 가능한 컨택 시스템을 갖는 것에 상관없이, 종래 기술로 공지된 부하시 탭 절환기에는 컨택 시스템을 통한 급격한 스위칭 오버를 위한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가 요구된다. 종래 기술로 공지된 에너지 저장부는 구동 샤프트에 의한 부하시 탭 절환기의 각각의 작동의 개시 시에 드로우 업, 즉 압력이 가해져여(stressed) 한다. 공지의 에너지 저장부는 보편적으로 드로우 업 캐리지와 점프 캐리지(jump carriage)를 포함하며, 그 사이에는 에너지 저장부로서의 에너지 저장 스프링이 배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에너지 저장부는 예컨대 DE 198 55 860 C1 및 DE 28 06 282 B1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점프 슬라이드 및 그에 따라 구동 출력부의 병진 운동을 다시 구동 출력 샤프트의 주된 회전 운동(rotational main movement) 및 그와 연결된 실제 컨택 작동으로 순차적으로 변환하도록 드로우 업 슬라이드를 병진 운동식으로 드로우 업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의 초기의 저속 회전 운동이 채용된다.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러한 복잡한 변환 과정은 부하시 탭 절환기 내의 에너지 저장부 구성을 위한 많은 양의 공간 및 복수의 복합적인 개별 서브어셈블리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저장부의 복잡한 구조를 제거하고 그에 따라 현저하게 간략화된 형태의 구조를 제공하는 동시에 작동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부하시 탭 절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를 갖는 탭부착 변압기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끊김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부하시 탭 절환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 경우의 하위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특히 이로운 개발예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발상은 에너지 저장부의 중재(interposition) 없이 나사 스핀들 구성(threaded spindle arrangement)에 의한 공통의 모터 드라이브를 통해 셀렉터 컨택 유닛뿐만 아니라 끊김없는 부하 전환을 위한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모터 드라이브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나사 스핀들은 그 위에서 움직이는 스핀들 너트를 통해 셀렉터 컨택을 직접 작동시킬뿐만 아니라 이롭게는 중간 트랜스미션(intermediate transmission)을 통해 캠 구성을 작동시키며, 이 캠 구성이 부하 전환 스위치의 스위칭 수단에 작용하고, 장치에 대해 특정되는 스위칭 순서로 2개의 셀렉터 컨택 간의 끊김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해 이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킨다. 특별한 장점으로는, 이러한 종류의 스위칭 수단으로서 진공 인터럽터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은 각각 컨택 캐리어에 수용되고, 지지판에 배열된 고정 셀렉터 컨택과 함께 동작하며, 개개의 고정 셀렉터 컨택이 나사 스핀들의 길이 방향으로의, 스핀들 너트와 기계식으로 연결되는, 공동의 셀렉터 컨택 유닛의 부품으로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의 길이 방향 변위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셀렉터 컨택 유닛의 왔다갔다(back and/or forth)의 이동을 통해, 개개의 고정 셀렉터 컨택이 연결되고, 그러므로 부하시 탭 절환기의 조정 범위에 걸쳐 작동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예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위에서 개략적으로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체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기본적인 지지 요소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지지판(1)이다. 예컨대 3상 비동기식 모터 또는 토크 모터 또는 스테퍼 드라이브(stepper drive)와 같은 전기 구동 모터(2)가 지지판(1) 상에 직접 체결되거나 또는 여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추가의 지지판(1a) 상에 체결된다. 고정 셀렉터 컨택(3)이 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선형 경로를 따라 지지판(1) 상에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배열된다. 각각의 이들 전기 도전성 셀렉터 컨택(3)은 탭부착 변압기의 조정 권선의, 부하시 탭 절환기에 의해 연결될, 권선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구동 모터(2)는 나사 스핀들(5)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절연 샤프트(4)를 구동한다. 구동 모터(2)가 대개는 금속성인 나사 스핀들(5)을 직접 구동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지만, 전압 세기를 이유로, 대부분의 경우에는 전술한 절연 샤프트(4)가 유용하다.
나사 스핀들(5)은 고정 셀렉터 컨택(3)의 경로와 평행하게 연장한다. 나사 스핀들은 2개의 베어링 블록(5.1, 5.2)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자신의 위치에 고정된다.
나사 스핀들(5) 상에는 스핀들 너트(6)가 작동하며, 이 스핀들 너트는 셀렉터 컨택 유닛(7)을 운반하고, 셀렉터 컨택 유닛(7)은 나사 스핀들(5)이 회전할 때에 길이 방향, 즉 일점쇄선의 방향으로, 양방향으로 스핀들 너트(6)와 함께 이동된다. 절연 재료의 컨택 캐리어(8)가 셀렉터 컨택 유닛(7) 상에 고정 배치되고, 2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를 운반한다. "이동 가능"이라는 표현은 2개의 셀렉터 컨택(9, 10)이 컨택 캐리어(8) 상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나사 스핀들(5)이 회전할 때에 컨택 캐리어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은 이들이 설정에 따라서는 고정 셀렉터 컨택(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기하학적으로 치수가 정해진다.
2개의 평행한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 간의 간격과 고정 셀렉터 컨택(3)의 길이는 또한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의 각자의 이동 가능 컨택(9 또는 10)에 의한 2개의 인접한 고정 셀렉터 컨택의 연결(브리징 연결)뿐만 아니라 하나의 고정 셀렉터 컨택(3) 상에 2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이 공동으로 머무르는 것 또한 가능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전기 도전성 재료의 컨택 및 가이드 레일(11, 12)은 서로 평행하게 지지판(1) 상에 배치되고, 고정 셀렉터 컨택(3)의 경로에 평행할뿐만 아니라 예시된 일점쇄선을 따라 나사 스핀들(5)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하의 2가지 기능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이들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셀렉터 컨택 유닛(7)의 기계식 안내를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하시 탭 절환기의 부하 전환 스위치(LU)의 스위칭 요소에 대한 부하시 탭 절환기의 셀렉터(W)의 이동 가능 컨택(9, 10)의 전기 접속을 위해 작용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추가로 설명되어 있다.
나사 스핀들(5)은 구동 모터(2)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되어 있는 자신의 단부가 트랜스미션(13)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트랜스미션의 다른 쪽은 추가의 회전 가능한 절연 샤프트(14)를 가지며, 이 절연 샤프트(14)는 2개의 추가의 베어링 블록(14.1, 14.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자신의 위치에서 고정된다.
캠 디스크(15)(또는 기능적으로 필적할 수 있는 유사한 제어 디바이스)가 절연 샤프트(14) 상에 고정 방식으로 배열된다.
부하 전환 스위치(LU)의 스위칭 수단, 여기에서는 2개의 진공 인터럽터(16, 17)가 절연 샤프트(14)의 양측면에 배열된다. 각각의 인터럽터의 작동은 캠 디스크(15)의 윤곽(contour) 상에서 동작하는 각자의 캠 롤러(18 또는 19)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2개의 캠 롤러(18, 19)가 동일한 (단일의) 윤곽 상에서, 예컨대 단부(end)에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동등하게 각각의 캠 롤러(18, 19)를 위하여 캠 디스크(15) 상의 별도의 윤곽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캠 디스크(15) 상에서 동작하는 캠 롤러(18, 19)의 운동의 전달은 레버(20, 21)를 진공 인터럽터(16, 17)의 각자의 이동 가능 플런저쪽으로 편향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하나보다 많은 이러한 종류의 캠디스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예컨대 각각의 진공 인터럽트는 그 작동을 위한 개별 캠 디스크를 가질 수 있다.
진공 인터럽터 대신에 예컨대 기계식 컨택과 같은 다른 스위칭 요소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트랜스미션(13)을 통해, 간략한 방식으로, 셀렉터 컨택 유닛(7)의 이동을 통한 하나의 동작 설정(operational setting)에서부터 인접한 다음의 동작 설정으로의 셀렉터(W) 및 그에 따라 셀렉터 컨택(9, 10)의 작동을 위해 나사 스핀들(5)의 제1 특정 회전 속도를 제공하고, 이에 부가하여 캠 디스크(15)를 위한 부하 전환마다의 제2 특정 회전 속도(a second, specific rotational speed per load changeover)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동 모터(2)에 의해 회전된 나사 스핀들(5)이 트랜스미션의 중재없이 무변환 방식(translation-free manner)으로 전술한 부품들을 직접 작동하는 방식으로, 셀렉터(W)의 고정 셀렉터 컨택(3),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 및 부하 전환 스위치(LU)의 캠 디스크(15)의 치수를 기하학적으로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2개의 컨택 및 가이드 레일(11, 12)의 각자의 레일과의 각각의 이동 가능(공동으로) 셀렉터 컨택(9, 10)의 전기적인 연결은 각자의 전기 라인(22, 23)에 의해 이루어진다. 진공 인터럽터(16, 17)에 대한 이들 2개의 컨택 및 가이드 레일(11, 12)의 전기적인 연결은 추가의 전기 라인(24, 25)에 의해 이루어진다. 최종적으로, 부하 다이버터(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진공 인터럽터(16, 17)의 다른 측의 전기적 연결은 추가의 전기 라인(26, 27)을 통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2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에 의한 동일한 고정 셀렉터 컨택(5)의 연결뿐만 아니라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의 각자의 컨택에 의한 2개의 인접한 고정 셀렉터 컨택(5)의 브리징 접촉 또한 허용 가능한 정상적인 동작 설정이라는 것을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셀렉터(W)는 6개의 고정 셀렉터 컨택(3)을 가지며, 그러므로 총 11개의 정상 상태(stationary state)가 발생한다. 즉, 11개의 상이한 전압이 설정 가능하다.
부하 전환의 개시 시에, 구동 모터(2)가 전기 동력을 받게 되고, 나사 스핀들(5)이 회전한다. 그러므로, 나사 스핀들(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컨택 캐리어(8)와 2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을 갖는 셀렉터 컨택 유닛(7)이 상방향으로 또는 하방향으로, 즉 전압 조정을 "더 높하지게 하는" 또는 "더 낮아지게 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들은, 각각의 스위칭-오버로, 브리징 설정에서 비브리징 설정(non-bridging setting)으로 및 그 반대로 변경된다. 이와 동시에, 절연 샤프트(14) 및 그와 함께 캠 디스크(15)가, 중간 트랜스미션(13)을 통한 특정한 어드밴티지(advantage)로, 180도 또는 심지어는 360도의 각도에 걸쳐 회전된다.
그 결과, 캠 롤러(18, 19)가 편향되며, 이 운동은 진공 인터럽터(16, 17)의 작동을 위해 편향 레버(20, 21)를 통해 활용된다.
그 경우 및 스위칭에 특정되어, 부하 전류는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의 원래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의 새로운 위치로 방향을 바꾼다(commutate).
스위칭 오버가 완료되며, 구동 모터(2)는 당업자에게 익숙하고 여기에서는 예시되지 않은 적합한 제어 및/또는 브레이킹 수단에 의해 중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는 극히 간략하고 소형의 구성으로 되며, 에너지 저장부 없이 동작한다. 셀렉터(W)뿐만 아니라 부하 전환 스위치(LU) 또한 작동된 전기 모터의 단일 회전 운동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가 매우 소형 모드의 구성으로 되고 극히 작은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를 단상 모듈(single-phase module)의 탭부착 변압기의 내부에서 각자의 권선의 영역에, 그 코어에 또는 변압기의 오일 탱크 내의 다른 적절한 장소에 직접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구성은 그 원리가 DE 20 2010 011 521 U1, DE 20 2010 011 524 U1 및 특히 DE 20 2010 012 811 U1에서 제안되어 있다. 이들의 기술적인 실현은 코어에서의 이용 가능한 공간의 기하학적 윤곽에 좋지않게 적용되는 보편적으로 원형의 로드(rod) 구성 또는 절연 실린더를 갖는 공지의 부하시 탭 절환기의 커다란 공간 요구로 인하여 이전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윤곽과는 별도로, 복잡한 에너지 저장부를 갖는 공지의 부하시 탭 절환기는 또한 이들 이미 제안된 경우의 사용을 위해서는 수직 치수의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혁신적인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부하시 탭 절환기를 개시한다.

Claims (9)

  1. 탭부착 변압기(tapped transformer)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끊김없는 스위칭 오버(uninterrupted switching over)를 위한 부하시 탭 절환기로서, 셀렉터 및 부하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셀렉터가 고정 셀렉터 컨택을 갖고, 상기 고정 셀렉터 컨택이 개개의 권선 탭과 각각 전기 접속되고, 선형 경로를 따라 배열되며,
    상기 고정 셀렉터 컨택이 상기 셀렉터의 2개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phase)을 위한 끊김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해 상기 부하 전환 스위치에 스위칭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의 스위칭 오버 프로세스의 도입을 위해 구동 모터를 갖는 모터 드라이브가 제공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 및 끊김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한 상기 스위칭 수단(16, 17)으로의 상기 구동 모터(2)의 구동 운동의 도입이 에너지 저장부(energy store)의 중재없이 발생하게 되도록, 상기 셀렉터(W)의 2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 및 상기 부하 전환 스위치(LU)의 스위칭 수단(16, 17)이 끊김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해 상기 구동 모터(2)를 통해 직접 작동할 수 있는,
    부하시 탭 절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드라이브의 구동 모터(2)에 의해 발생된 회전 운동이 나사 스핀들(5)에 직접 전달 가능하며, 상기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뿐만 아니라 상기 스위칭 수단(16, 17) 또한, 끊김없는 스위칭 오버를 위해, 회전하는 상기 나사 스핀들(5)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부하시 탭 절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스핀들 너트(6)가 상기 선형 경로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 스핀들(5) 상에서 안내되고, 상기 스핀들 너트(6)가 셀렉터 컨택 유닛(7)을 운반하며, 상기 셀렉터 컨택 유닛 상의 상기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이 서로 간격을 두고 확고하게 체결되고 고정되며, 상기 셀렉터 컨택 유닛(7)과 공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부하시 탭 절환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 간의 간격과 상기 고정 셀렉터 컨택(3)의 길이는, 상기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의 각자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에 의한 인접한 고정 셀렉터 컨택의 연결(브리징 연결)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 셀렉터 컨택(3)의 하나의 고정 셀렉터 컨택 상에 2개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9, 10)이 공동으로 머무르는 것 또한 가능하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부하시 탭 절환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는 지지판(1) 상에 배치되며, 전기 도전성 재료의 컨택 및 가이드 레일(11, 12)이 상기 지지판(1) 상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 셀렉터 컨택(3)의 경로에 평행할뿐만 아니라 상기 경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나사 스핀들(5)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일은 한편으로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셀렉터 컨택 유닛(7)의 기계식 안내를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부하 전환 스위치(LU)의 스위칭 요소(16, 17)에 대한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의 셀렉터(W)의 상기 이동 가능 컨택(9, 1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작용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요소는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16, 17)이며,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작동이 하나 이상의 캠 디스크(15)의 적어도 하나의 윤곽(contour)과 함께 동작하는 캠 롤러(18, 19)에 의해 행해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캠 디스크(15)가 상기 나사 스핀들(5)과 기계식으로 연결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캠 디스크(15)는 중간 트랜스미션(intermediate transmission)(13)을 통해 상기 나사 스핀들(5)과 기계식으로 연결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8. 제6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컨택 및 가이드 레일(11, 12)의 각자의 레일과의 상기 이동 가능(공동으로) 셀렉터 컨택(9, 10)의 각각의 이동 가능 셀렉터 컨택의 전기적인 연결은, 각자의 전기 라인(22, 23)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진공 인터럽터(16, 17)에 대한 이들 2개의 컨택 및 가이드 레일(11 또는 12)의 전기적인 연결은 추가의 전기 라인(24, 25)에 의해 이루어지며, 최종적으로, 부하 다이버터(load diverter)에 대한 상기 진공 인터럽터(16, 17)의 다른 측의 전기적인 연결은 추가의 전기 라인(26, 27)을 통해 이루어지는, 부하시 탭 절환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가 단상 모듈에서의 탭부착 변압기의 내부에서 각자의 권선의 영역에, 상기 변압기의 코어에 또는 변압기의 오일 베젤 내의 다른 적절한 장소에 직접 배치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0157000203A 2012-06-14 2013-04-19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038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5152.6 2012-06-14
DE102012105152.6A DE102012105152B4 (de) 2012-06-14 2012-06-14 Laststufenschalter zur unterbrechungslosen Umschaltung zwischen verschiedenen Wicklungsanzapfungen eines Stufentransformators
PCT/EP2013/058189 WO2013185961A1 (de) 2012-06-14 2013-04-19 Laststufenscha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662A KR20150020662A (ko) 2015-02-26
KR102038345B1 true KR102038345B1 (ko) 2019-10-30

Family

ID=4817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203A KR102038345B1 (ko) 2012-06-14 2013-04-19 부하시 탭 절환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455658B2 (ko)
EP (1) EP2862190B1 (ko)
JP (1) JP6316284B2 (ko)
KR (1) KR102038345B1 (ko)
CN (1) CN104541352B (ko)
BR (1) BR112014030262A2 (ko)
DE (1) DE102012105152B4 (ko)
ES (1) ES2687283T3 (ko)
HK (1) HK1207737A1 (ko)
RU (1) RU2638037C2 (ko)
UA (1) UA116539C2 (ko)
WO (1) WO2013185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3736A1 (de) * 2012-04-27 2013-10-31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Verfahren zur Funktionsüberwachung eines Stufenschalters
DE102014103526A1 (de) * 2014-03-14 2015-09-1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Stufentransformator zur Spannungsregelung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Umschaltung im Stufentransformator
DE102013109289B8 (de) * 2013-08-27 2017-12-28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Stufentransformator zur Spannungsregelung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Umschaltung im Stufentransformator
DE102016104500B3 (de) 2016-03-11 2017-05-04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CN106653426B (zh) * 2017-01-12 2018-08-17 济南爱迪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配电变压器专用有载调压开关
CN107644748B (zh) * 2017-10-13 2019-10-29 辽宁金立电力电器有限公司 空心电抗器分接开关
DE102018105097A1 (de) * 2018-03-06 2019-09-12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und ortsnetztransformator mit einem laststufenschalter
CN109065412B (zh) * 2018-08-28 2019-09-06 奥菲(泰州)光电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高压断路保护器
CN109065411B (zh) * 2018-08-28 2019-09-03 泰州镭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异步电动机的保护方法
DE102019131169B3 (de) * 2019-11-19 2021-02-18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und Stufentransformator mit Laststufenschalter
DE102021101237B3 (de) * 2021-01-21 2022-06-0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chalteranordnung mit laststufenschalter und antriebssystem
EP4084032A1 (en) * 2021-04-28 2022-11-02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Vacuum interrupter assembly for a power diverter switch, power diverter switch for a transformer load tap changer and transformer load tap changer
DE102021116421A1 (de) 2021-06-25 2022-12-2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chaltereinhe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5825A1 (de) * 2009-09-26 2011-03-31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mit vakuumschaltröhre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39885C (de) * 1931-07-21 1936-12-16 Aeg ABC-Stufenschalter zum Schalten von Reguliertransformatoren unter Last
DE580086C (de) * 1931-10-02 1933-07-05 Bernhard Jansen Dr Ing Stufenwaehler
US2036305A (en) * 1934-04-25 1936-04-07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Regulating equipment
JPS5118609B1 (ko) * 1968-03-13 1976-06-11
NL147895B (nl) * 1968-10-02 1975-11-17 Smit Nijmegen Electrotec Regelschakelaar voor een regelbare transformator.
CH497081A (de) * 1969-03-11 1970-09-30 Bbc Brown Boveri & Cie Stufenschalteinrichtung für Anzapftransformatoren
NL146972B (nl) * 1969-10-16 1975-08-15 Smit Nijmegen Electrotec Meerfasen regelschakelaar voor een meerfasen regelbare transformator.
JPS507727B1 (ko) * 1969-11-04 1975-03-28
CA939001A (en) * 1971-07-02 1973-12-25 Westinghouse Canada Limited Lighting control system
US4081741A (en) * 1975-10-29 1978-03-28 Asea Aktiebolag On-load tap changer
DE2806282C2 (de) 1978-02-15 1980-04-10 Maschinenfabrik Reinhausen Gebrueder Scheubeck Gmbh & Co Kg, 8400 Regensburg Lastumschalter für Stufenschalter von Stufentransformatoren
JPS58196818U (ja) * 1982-06-25 1983-12-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電圧タツプ切換器
DE4237165C1 (de) 1992-11-04 1994-03-17 Reinhausen Maschf Scheubeck Einpoliger Stufenschalter mit linearer Kontaktbetätigung für einen Stufentransformator
EP0650637B1 (de) * 1992-07-16 1996-04-10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DE4237231C1 (de) * 1992-07-16 1994-05-11 Reinhausen Maschf Scheubeck Stufenschalter für Stufentransformatoren
DE4326127C1 (de) * 1993-08-04 1994-11-03 Reinhausen Maschf Scheubeck Stufenschalter für einen Stufentransformator
DE19510809C1 (de) * 1995-03-24 1996-07-04 Reinhausen Maschf Scheubeck Lastumschalter eines Stufenschalters
DE19821775C1 (de) * 1998-05-14 1999-10-14 Reinhausen Maschf Scheubeck Lastwähler
DE19847745C1 (de) * 1998-10-16 2000-01-05 Reinhausen Maschf Scheubeck Stufenschalter
DE19855860C1 (de) 1998-12-03 2000-02-17 Reinhausen Maschf Scheubeck Kraftspeicher für einen Stufenschalter
DE502004001678D1 (de) * 2003-04-03 2006-11-16 Reinhausen Maschf Scheubeck Stufenschalter
RU50045U1 (ru) * 2004-11-11 2005-12-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порожтрансформатор" - ОАО "ЗТР" Переключатель ответвлений обмоток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без возбуждения
US7595614B2 (en) * 2007-12-07 2009-09-29 Pennsylvania Transformer Technology, Inc. Load tap changer
DE102009060132B3 (de) * 2009-12-23 2011-05-12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mit Polungsschalter an einem Regeltransformator
DE202010011521U1 (de) 2010-08-18 2011-11-23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DE202010012811U1 (de) 2010-09-18 2011-12-1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DE202010011524U1 (de) 2010-08-18 2011-11-23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WO2012022397A1 (de) * 2010-08-18 2012-02-23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JP5279864B2 (ja) * 2011-04-07 2013-09-04 中国電力株式会社 回転角度表示部付きハンド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5825A1 (de) * 2009-09-26 2011-03-31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mit vakuumschaltrö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16539C2 (uk) 2018-04-10
DE102012105152B4 (de) 2015-11-12
HK1207737A1 (en) 2016-02-05
CN104541352B (zh) 2017-03-29
RU2638037C2 (ru) 2017-12-11
KR20150020662A (ko) 2015-02-26
RU2015100858A (ru) 2016-08-10
WO2013185961A1 (de) 2013-12-19
US9455658B2 (en) 2016-09-27
JP6316284B2 (ja) 2018-04-25
EP2862190B1 (de) 2018-06-13
JP2015519759A (ja) 2015-07-09
BR112014030262A2 (pt) 2017-09-19
CN104541352A (zh) 2015-04-22
US20150171783A1 (en) 2015-06-18
EP2862190A1 (de) 2015-04-22
ES2687283T3 (es) 2018-10-24
DE102012105152A1 (de)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345B1 (ko)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010939B1 (ko)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076020B1 (ko)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032881B1 (ko) 로컬 배전망의 전압 조정을 위한 배전용 변압기
US11004622B2 (en) On-load tap changer
KR20150003843A (ko) 부하시 탭 절환기
JP3313716B2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
KR20120005435A (ko)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전환기
JP2006522470A (ja) タップ切換器
KR20140096052A (ko) 진공 절환 관을 갖는 스텝핑 스위치
KR20150003844A (ko) 부하시 탭 절환기
US11798752B2 (en) Selector for on-load tap changer
US20240021380A1 (en) On-load tap-changer
JP2002175749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