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717B1 -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 Google Patents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717B1
KR102075717B1 KR1020180087392A KR20180087392A KR102075717B1 KR 102075717 B1 KR102075717 B1 KR 102075717B1 KR 1020180087392 A KR1020180087392 A KR 1020180087392A KR 20180087392 A KR20180087392 A KR 20180087392A KR 102075717 B1 KR102075717 B1 KR 102075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ltering means
sink
induction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283A (ko
Inventor
허준혁
이선교
Original Assignee
허준혁
이선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준혁, 이선교 filed Critical 허준혁
Priority to KR102018008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7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19Liquid-solid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은 틀 형태의 거치수단 둘레에 수직으로 복수의 거름수단을 설치하여 거름수단들의 조합에 의해 상하부가 개구된 유입공을 형성하고 거름수단들은 상호 부분 중첩되게 배치되어 유입공으로 공급된 유체를 거름수단들 외부 방향으로 유체를 배수시키면서 음식물 미립자를 걸러주는 투수부; 상기 거치수단이 결합 및 분리되는 제1지지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지지대 하부에 수직으로 제2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 설치한 제3지지대 상면에 거름수단들의 하단부가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유입공 상부는 개방시키고 하부를 밀폐시키는 지지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Net filltering for Sink}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마찰저항(점성계수)을 증가시켜 싱크대에서 사용된 물의 배수 향상과 음식물찌꺼기의 용이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사용되는 싱크대에는 요리나 설거지 등으로 사용 후 버려지는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만들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오수와 함께 버려지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잔여물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이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은 통상 음식물 찌꺼기 등을 걸러내고 오수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측면부에 상하방향의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거름망 내부에 음식물의 찌꺼기 등이 잔류해 있는 경우 그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음식물 찌꺼기 등이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배수구멍에 끼인 상태로 잔류하기 때문에,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을 깨끗하게 청소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측면부에 상하방향의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배수구멍 사이에 끼여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은 이를 완벽하게 제거하기가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생물 등이 번식하는 온상이 되기 때문에 위생상으로도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163773호는 거름망 상부와 하부에 개폐수단을 형성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1은 상부에 개폐수단을 마련하여 거름망 내의 잔류하고 있는 음식물 찌꺼기의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부에 개폐수단을 마련하여 거름망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싱크대의 배수구는 대부분 거름망을 삽입한 상태에서 배수구를 덮는 덮개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어서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상부 개폐수단이 불필요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하부에 개폐수단을 마련하여 거름망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측면부에 상하방향의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구멍 사이에 때처럼 끼인 음식물의 잔유물을 완벽하게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3773호,(1999년10월04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은 유체의 마찰저항(점성계수)을 증가시켜 유체의 배수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 배수시 발생하는 와류를 통해 음식물 찌꺼기가 배수공을 막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배수의 막힘 현상을 억제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의 배수를 신속하게 수행하면서 걸려진 음식물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 및 세척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구성품을 낱개로 완전히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어 거름망의 세척 및 소독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은 틀 형태의 거치수단 둘레에 수직으로 복수의 거름수단을 설치하여 거름수단들의 조합에 의해 상하부가 개구된 유입공을 형성하고 거름수단들은 상호 부분 중첩되게 배치되어 유입공으로 공급된 유체를 거름수단들 외부 방향으로 유체를 배수시키면서 음식물 미립자를 걸러주는 투수부; 상기 거치수단이 결합 및 분리되는 제1지지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지지대 하부에 수직으로 제2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 설치한 제3지지대 상면에 거름수단들의 하단부가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유입공 상부는 개방시키고 하부를 밀폐시키는 지지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름수단은 길이를 갖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물유도판으로 구성하여 거름수단들은 상기 물유도판이 각각 교차 적층시켜 물유도판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물유도판들의 교차 적층에 의해 배수공이 반복 절곡되어 물유도판들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물유도판은 판 형태로 마름모꼴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물유도판은 상기 수직부재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반복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대 상면에는 덮개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1지지대의 둘레에 유입홈을 형성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유입홈을 통해 가이드홈으로 내입된 다음 덮개부의 회전에 의해 상호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하면에 형성시킨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대의 상면을 압박 고정하고 중앙에 개구공을 형성한 고정대와, 상기 개구공 내주연에 형성시킨 연결대에 지지되어 개구공을 분할시키는 분할대로 구성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은 틀 형태의 거치수단 둘레에 수직으로 복수의 거름수단을 설치하여 거름수단들의 조합에 의해 상하부가 개구된 유입공을 형성하고 거름수단들은 상호 부분 중첩되게 배치되어 유입공으로 공급된 유체를 거름수단들 외부 방향으로 유체를 배수시키면서 음식물 미립자를 걸러주는 투수부; 상기 거치수단이 결합 및 분리되는 제1지지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지지대 하부에 수직으로 제2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 설치한 제3지지대 상면에 거름수단들의 하단부가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유입공 상부는 개방시키고 하부를 밀폐시키는 지지부;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유체의 마찰저항(점성계수)을 증가시켜 유체의 배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체 배수시 발생하는 와류를 통해 음식물 찌꺼기가 배수공을 막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배수의 막힘 현상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는, 물유도판 사이의 배수공을 통해 통과되는 유체의 중심으로는 물의 흐름이 빨라지고 가장자리로는 물유도판과의 마찰저항으로 인해 물의 흐름이 느려져소용돌이가 치는 형태로 바뀌게 된다. 이때, 유체와 함께 유도된 음식물 찌꺼기들은 물유도판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의해 유입공 안쪽으로 남게 되고 물만 물유도판 사이의 배수공으로 빠져 나가게 되므로 유체는 신속하게 배수시키면서 찌꺼기들은 와류를 통해 유입공 공간에서 머물도록 하여 배수공 사이로 찌꺼기가 유입되어 억지로 끼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싱크대용 배수구 거름망은 투수부를 흔들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면서 거치수단에 일단이 결합된 거름수단들이 탄력적으로 흔들리면서 물유도판 사이 틈새가 벌어져 배수공에 끼어 있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음식물 찌꺼기를 완전하게 제거할 목적인 경우에는 거치수단에서 거름수단을 분리하여 낱개씩 세척하면 완전하게 소독 및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악취와 곰팡이 및 세균 등의 번식을 막아주어 주방 환경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유체 흐름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투수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거름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거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유체 흐름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투수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거름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의 거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10은 투수부 100와 지지부 200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투수부 100와 지지부 200가 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형 이외에 다각형, 타원형 등 고리 형태면 그 형상은 제한 하지 않는다.
상기 투수부 100는 유체를 배수시키는 동시에 음식물 찌거기 등의 미립자를 걸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투수부 100는 틀 형태의 거치수단 110 둘레에 수직으로 복수의 거름수단 120을 원형의 배열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수단 110은 판 형상으로 원형의 고리 형태를 갖는다.
상기 거치수단 110 하부면에는 원형 배열로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 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 111에는 거름수단 120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거치수단 110에서 원형의 배열상태로 조합된다.
이러한, 거름수단 120들의 조합에 의해 투수부 100의 중앙에는 유입공 130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거름수단 120들은 상호 부분 중첩되게 배치되어 유입공 130으로 공급된 유체를 거름수단 120들 외부 방향으로 유체를 배수시키면서 음식물 미립자를 걸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 200는 상기 거치수단 110을 내부에 수용하고 싱크대의 하수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 200는 제1지지대 210, 제2지지대 220 및 제3지지대 2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 200는 상기 거치수단 110이 결합 및 분리되는 제1지지대 210가 마련되고, 상기 제1지지대 210 하부에 수직으로 제2지지대 220를 설치하고 상기 제2지지대 220의 하부에 설치한 제3지지대 230 상면에 거름수단 120들의 하단부가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유입공 130 상부는 개방시키고 하부를 밀폐시킨다.
이렇게 구성되는 지지부 200는 거름수단 120들의 조합된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유입공 130의 하부를 제3지지대 230가 막고 있도록 하여 유입공 130 상부에서 제공되는 유체가 거름수단 120들의 외부 방향으로 배수되도록 유체 흐름 방향을 전환시키는 동시에 싱크대 하수구에 안정적으로 거름수단 120들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투수부 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투수부 100의 거름수단 120은 수직부재 123와 물유도판 121으로 구성한다.
상기 수직부재 123는 판 형태로 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 123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물유도판 121이 수직 방향으로 다열로 배열된다.
이때, 물유도판 121은 수직부재 123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수직부재 123 양측면에서 상호 엇갈리는 순서로 교차되게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거름수단 120은 거치수단 110의 결합홈 111에 수직부재 123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으로 거름수단 120들은 각각의 물유도판 121이 교차 적층되되, 각 물유도판 121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갖는 배수공 122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 122은 상기 물유도판 121들의 교차 적층에 의해 반복 절곡되어 물유도판 121들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물유도판 121은 판 형태의 마름모꼴 형상인 것으로 적용하였으나, 그 형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투수부 100는 물유도판 121의 마찰저항(점성계수)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물유도판 121의 두께를 얇게 하고 물유도판 121 사이의 폭과 높이를 상대적으로 넓고 크게 형성시켜 표면적을 넓히도록 하였다.
상기 물유도판 121이 유체 배수의 흐름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동시에 표면적을 넓힌 이유는 아래와 같다.
상기 물유도판 121의 표면에서 평형하게 흐르는 유체의 경우 중심부에서 가장 속도가 빠르며, 물유도판 121의 표면 부근에서 가장 느리게 된다.
이는, 물유도판 121의 고체 표면과 유체와의 마찰 때문으로 유체와 표면의 마찰로 인해 유체 근접한 층(layer)들이 더 느리게 운동하게 된다.
이는, 물유도판 121 사이의 배수공 122을 통해 통과되는 유체의 중심으로는 물의 흐름이 빨라지고 가장자리로는 물유도판 121과의 마찰저항으로 인해 물의 흐름이 느려져소용돌이가 치는 형태로 바뀌게 된다.
이때 유체와 함께 유도된 음식물 찌꺼기들은 물유도판 121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의해 유입공 130 안쪽으로 남게 되고 물만 물유도판 121 사이의 배수공 122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상기의 유체 흐름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물의 점성(Water viscosity)과 점성계수(Coefficient of viscosity)를 통해 상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물의 점성(Water viscosity)은 유체 층과 층 사이에서, 또는 유체와 고체 경계면에 대해서 유체가 상대적인 운동을 할 때, 경계면에서는 그 운동에 대한 저항력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의 저항을 마찰저항이라 하고, 마찰저항을 일으키는 유체의 성질을 점성이라 한다.
이때, 물의 끈적이는 정도로 말할 수 있으며 물의 점성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점도는 유체의 매우 중요한 물의 성질 중의 하나로서 유체(기체 또는 액체)가 흐를 때 발생하는 내부적인 마찰이나 저항을 의미한다.
고체의 표면에서 평형하게 흐르는 유체의 경우 중심부에서 가장 속도가 빠르며, 표면의 부근에서 가장 느리게 된다.
이는 고체 표면과 유체와의 마찰 때문으로 유체와 표면의 마찰로 인해 유체 근접한 층(layer)들이 더 느리게 운동하게 된다.
상기 물의 점성계수(Coefficient of viscosity)는 액체의 점성의 강약을 나타내는 수치. 점성율이라고도 한다.
액체가 엷은 층으로 겹쳐 쌓인 것이라고 했을 때, 각 층이 엇갈리는 것 같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액 내에는 이에 저항하는 반력(反力) 즉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런 힘은 층의 면적 A에 비례하며, 엇갈리는 속도 υ에 비례하고, 층 사이의 거리(힘과 직각 방향) y에 반비례하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Figure 112018074183028-pat00001
이 비례상수 η가 점성계수이다. η가 커지면 마찰력도 커지므로 점성은 크다고 판정된다. η의 단위는 cgs단위로 나타내면 g/㎝-s로 된다. 이 단위는 푸아즈(poise, 기호 p)라고도 불리며, 그 1/100은 센티푸아즈(기호 cp)라고 불린다.
용융 금속의 η는 그 종류에 따라서 대략 0.005~0.05g/㎝-s의 범위에 있으며, 물의 η가 0.01g/㎝-s 정도이므로 그다지 큰 것은 아니다. 단, 응고점 근처까지 온도가 내린다면, η는 앞에서 말한 한계를 넘어서 급상승한다.
η : 비례정수(점성계수 또는 점도라 한다)
A : ①의 유체에 접하는 면적
[기체의 경우] 점성 계수는 작고, 온도와 함께 증가하며 압력에는 거의 관계하지 않는다.
[액체의 경우] 점성 계수는 크고, 온도와 함께 감소하며 압력과 함께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물유도판 121을 통해 물의 점성(Water viscosity)과 점성계수(Coefficient of viscosity)를 통해 마찰저항(점성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유체 흐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시키면서 물유도판 121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물유도판 121의 폭과 높이를 상대적으로 넓고 크게하는 동시에 표면적을 넓히도록 형성시켰다.
더욱이, 물유도판 121 사이의 유체 중심으로는 물의 흐름이 빨라지고 가장자리로는 큰 마찰저항으로 인해 물의 흐름이 느려져 소용돌이가 치는 형태로 바뀌도록 하였다.
이때 물과 함께 거름수단 120으로 유도된 음식물 찌꺼기들은 물유도판 121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의해 안쪽으로 남게 되고, 물만 배수공 122 사이로 빠져 나가게 된다.
특히, 물유도판 121 사이로 빠져나가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물유도판 121의 높이를 안쪽 면이 바깥쪽 면보다 높게하여 배수공 122 사이로 빠져나오는 물이 더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투수부 100를 수용하는 지지부 200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지지부 200는 상기 거치수단 110이 결합 및 분리되는 제1지지대 210가 마련되고, 상기 제1지지대 210 하부에 수직으로 제2지지대 220를 설치하고 상기 제2지지대 220의 하부에 설치한 제3지지대 230 상면에 거름수단 120들의 하단부가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유입공 130 상부는 개방시키고 하부를 밀폐시킨다.
이렇게 구성되는 지지부 200는 거름수단 120들의 조합된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유입공 130의 하부를 제3지지대 230가 막고 있도록 하여 유입공 130 상부에서 제공되는 유체가 거름수단 120들의 외부 방향으로 배수되도록 유체 흐름 방향을 전환시키는 동시에 싱크대 하수구에 안정적으로 거름수단 120들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 210 상면에는 덮개부 3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덮개부 300는 유입공 130의 개구된 상부를 하나 이상을 분할시켜 공급되는 물이 유입공 130 중심으로 몰리지 않고 거름수단 120측으로 방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 300와 지지부 200의 결합의 실시예는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실시예는, 제1지지대 210에 내주연 둘레에 가이드홈 211을 형성시켜 덮개부 300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한다.
제2실시예는, 제1지지대 210의 내주연에 유입홈 212을 형성한 가이드홈 211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 300의 하부면에 가이드돌기 311를 형성시킨다.
이를 통해, 가이드돌기 311가 유입홈 212을 통해 가이드홈 211으로 내입되면서 회전에 의해 상호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제3실시예는, 제1지지대 210의 외주연 둘레에 유입홈 212을 형성한 가이드홈 211이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 3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 311가 유입홈 212을 통해 가이드홈 211으로 내입된 다음 덮개부 300의 회전에 의해 상호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결합구조는 거름망 10의 결합 유지의 일체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고, 거름수단 120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는 반원 형상의 고리 400가 더 장착될 수 있고 고리 400의 양측단이 환형의 거치수단 110의 단턱에 걸림된다.
나아가, 상기 덮개부 300는 하면에 형성시킨 가이드돌기 311가 가이드홈 211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대 210의 상면을 압박 고정하고 중앙에 개구공 312을 형성한 고정대 310와, 상기 개구공 312 내주연에 형성시킨 연결대 321에 지지되어 개구공 312을 분할시키는 분할대 32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부 200를 통해 거름망 10의 청결한 유지 관리가 수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즉, 거름망 10에서 1차로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고 찌꺼기가 남아 있는 경우 덮개부 300를 분리한 다음 지지부 200에서 투수부 100를 인출한다.
그리고, 상기 투수부 100를 흔들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면서 거치수단 110에 일단이 결합된 거름수단 120들이 탄력적으로 흔들리면서 물유도판 121 사이 틈새가 벌어지면서 음식물 찌꺼기를 분리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음식물 찌꺼기를 완전하게 제거할 목적인 경우에는 거치수단 110에서 거름수단 120을 분리하여 낱개씩 세척하면 완전하게 소독 및 세척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거름망 100 : 투수부
110 : 거치수단 111 : 결합홈
120 : 거름수단 121 : 물유도판
122 : 배수공 123 : 수직부재
130 : 유입공 200 : 지지부
210 : 제1지지대 211 : 가이드홈
212 : 유입홈 220 : 제2지지대
230 : 제3지지대 300 : 덮개부
310 : 고정대 311 : 가이드돌기
312 : 개구공 320 : 분할대
321 : 연결대 400 : 고리

Claims (7)

  1. 틀 형태의 거치수단 둘레에 수직으로 복수의 거름수단을 설치하여 거름수단들의 조합에 의해 상하부가 개구된 유입공을 형성하고 거름수단들은 상호 부분 중첩되게 배치되어 유입공으로 공급된 유체를 거름수단들 외부 방향으로 유체를 배수시키면서 음식물 미립자를 걸러주는 투수부;
    상기 거치수단이 결합 및 분리되는 제1지지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지지대 하부에 수직으로 제2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 설치한 제3지지대 상면에 거름수단들의 하단부가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유입공 상부는 개방시키고 하부를 밀폐시키는 지지부;로 구성하되,
    상기 거름수단은,
    길이를 갖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물유도판으로 구성하여
    거름수단들은 상기 물유도판이 각각 교차 적층시켜 물유도판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도판들의 교차 적층에 의해 배수공이 반복 절곡되어 물유도판들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도판은 판 형태로 마름모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도판은,
    상기 수직부재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반복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 상면에는 덮개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1지지대의 둘레에 유입홈을 형성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유입홈을 통해 가이드홈으로 내입된 다음 덮개부의 회전에 의해 상호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면에 형성시킨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대의 상면을 압박 고정하고 중앙에 개구공을 형성한 고정대와,
    상기 개구공 내주연에 형성시킨 연결대에 지지되어 개구공을 분할시키는 분할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KR1020180087392A 2018-07-26 2018-07-26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KR102075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92A KR102075717B1 (ko) 2018-07-26 2018-07-26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92A KR102075717B1 (ko) 2018-07-26 2018-07-26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83A KR20200012283A (ko) 2020-02-05
KR102075717B1 true KR102075717B1 (ko) 2020-02-11

Family

ID=6951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92A KR102075717B1 (ko) 2018-07-26 2018-07-26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7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297Y1 (ko) * 1999-12-11 2000-05-15 주식회사파세코 음식찌꺼기 탈수기용 탈수조
JP2003261971A (ja) * 2002-03-07 2003-09-19 Maruichi Kk 排水口の被覆部材
KR101265027B1 (ko) 2012-11-09 2013-05-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544U (ko) * 1998-04-20 1998-12-05 이두환 씽크대용 배수전 걸름통
KR19990011675U (ko) * 1998-10-21 1999-03-25 이두환 씽크대배수전용 회전식걸름통
KR200163773Y1 (ko) 1999-07-12 2000-02-15 김남원 씽크대의배수구걸름망
KR20140019139A (ko) * 2012-08-06 2014-02-14 강신완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장치
KR101404324B1 (ko) * 2012-10-19 2014-06-09 오종찬 배수구용 인체 모발 차단막
KR20140078367A (ko) * 2012-12-17 2014-06-25 (주)이코존 싱크대 정수 거름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297Y1 (ko) * 1999-12-11 2000-05-15 주식회사파세코 음식찌꺼기 탈수기용 탈수조
JP2003261971A (ja) * 2002-03-07 2003-09-19 Maruichi Kk 排水口の被覆部材
KR101265027B1 (ko) 2012-11-09 2013-05-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83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2433B2 (ja) シンク台用排水装置
US9375659B2 (en) Solids containment device for use within or in association with hydromechanical grease interceptor
KR102075717B1 (ko)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KR101765132B1 (ko) 스크린 맨홀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KR20070112595A (ko) 그리스트랩
KR20110011153A (ko) 싱크대 배수구의 거름장치
EP1731683B1 (en) Separating device
KR200385855Y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가 가능한 배수트랩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200449628Y1 (ko) 배수구용 거름망
KR101265027B1 (ko)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KR20200103449A (ko)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배수구용 거름망 구조
JP6586299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AU2003204241B2 (en) Sink filter
TWI591237B (zh) Deodorant cut device
CN108970228B (zh) 排污口污水过滤器
TWI693960B (zh) 截油槽
KR102389700B1 (ko) 오폐수 수집 및 배출용 그리스 트랩
US20150284938A1 (en) Pop-Up Stopper for Bathroom Sinks with Hair Filter and Compatible with Current Pop-Up Stopper Design
TWM536253U (zh) 防臭截油裝置
KR200375980Y1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TWM522687U (zh) 洗臉盆之落水頭
JP2016160729A (ja) 網かご
KR200462721Y1 (ko) 볼록 수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