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324B1 - 배수구용 인체 모발 차단막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인체 모발 차단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324B1
KR101404324B1 KR1020120116735A KR20120116735A KR101404324B1 KR 101404324 B1 KR101404324 B1 KR 101404324B1 KR 1020120116735 A KR1020120116735 A KR 1020120116735A KR 20120116735 A KR20120116735 A KR 20120116735A KR 101404324 B1 KR101404324 B1 KR 10140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locking
cut
handl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382A (ko
Inventor
오종찬
Original Assignee
오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찬 filed Critical 오종찬
Priority to KR1020120116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3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배수구용 차단막에 있어서 일자 형의 미세한 모로 구성되는 차단모(222)가 다양한 배열 및 결합 방식으로 구성되는 배수구용 인체모발 차단막에 관한 것으로서, 2 열의 강선에 함께 꼬여져 형성되는 차단모(222)가 링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링(500)과,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300)로 이루어지는 구조와 식모되는 방식으로 구비되는 차단모(222)가 안착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는 차단플레이트(200)와, 유체가 관통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는 본체프레임(100)과, 본체프레임(100)과 결속되며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구용 인체 모발 차단막{Hair filter for a draining hole}
본 발명은 인체 모발의 유입으로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구 막힘 방지용 구조물에 머리카락을 수집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를 제공하는 배수구용 인체 모발 차단막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욕조 및 공중 목욕탕과 같은 시설의 배수구에는 이물질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구용 차단막이 있다. 하지만 인체 모발을 걸러내는 데에는 차단막에 형성된 격자 구조의 프레임 표면이 매끈하게 구성되며, 차단막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비용 측면에서 효용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8716호(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에서는 배수구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 내는 것과 동시에, 배수구 소켓에 삽입된 걸름막에 걸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걸름막의 파지부를 쉽게 파지할 수 있는 배수구용 걸름막을 제공하여 위생상 문제점과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에서는, 차단막의 역할을 하는 걸름막의 표면에 아무런 돌기나 홈이 없는 매끈한 격자구조여서, 배수구로 유입되는 머리카락 중 일부가 배수구의 관통 영역을 통과해 배수구로 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배수구로 혼입되는 것을 완전히 막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44354호(욕실 바닥용 배수트랩의 걸름망)에서는 욕실 바닥용 배수트랩 본체에 악취 방지구를 수납하여 걸름망으로 결합하고 그 위에 배수망이 결합 구성되는 욕실 바닥용 배수트랩에서 걸름망의 윗면에 복수개의 받침 돌편을 형성하여 배수트랩 본체와 결합 되는 배수망을 받혀 외력에 의한 배수망의 변형을 해소하고 손잡이 기능을 겸하여 배수트랩 본체에 분리와 결합을 간편히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욕실 바닥용 배수트랩의 걸름망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 제공하는 걸름망은 사출성형이 요구되는 복잡한 격자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비용이 증가하며, 격자구조의 표면에는 머리카락과 같이 유동적이고 미세한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구비되지 않아, 이물질 차단을 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는 차단구조물에 있어서, 머리카락과 같이 유동적이고 미세한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도록 별도의 차단 구조를 구비하여 배수구로의 머리카락 혼입을 방지하는 배수구용 인체모발 차단막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유체와 함께 배수구로 유입되는 머리카락에 형성된 돌기가 배수구 입구에 구비되는 차단모(222)에 걸려, 머리카락이 차단모(222) 사이에 불규칙한 굴곡을 이루며 엉키는 방식으로 배수구에서 차단되고, 유체는 차단모(222) 사이를 관통해 배수구로 유입이 되도록 하는 별도의 차단 구조를 가지는 차단막(1000)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차단모(222)는 평행하게 배치된 2 열의 강선 사이에 투입되어, 강선의 양 말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함께 꼬여지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또한 차단모(222)의 말단부를 가수분해시켜 수세 건조한 후, 반으로 접어 식모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모(222)가 구비되는 차단막을 구성하는 수단은 2 가지로 나누어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 강선과 함께 꼬여진 차단모(222)가 구비되는 차단막의 구성은 차단모(222)가 2 열의 강선과 함께 꼬여진 상태에서, 양 말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차단링(500);과, 차단링(500)의 일측과 결속되어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30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식모 방식으로 구비되는 차단모(222)로 이루어지는 차단막은 차단모(222)가 안착되는 원형 판 형상의 차단플레이트(200);와, 중공부가 구비되어 배수구의 관통 영역을 형성하는 격자프레임 구조의 본체프레임(100);와, 본체프레임(100)에 결속되어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300);로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원형 판 형상의 배수프레임(110);의 외주연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 구비되는 직선 판 형상의 연결프레임(120);로 구성되며, 차단플레이트(200)는 차단모(222)가 식모되는 방식으로 안착되는 상부플레이트(220);의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안착돌기(221)가 중공부가 구비되는 원형 판 형상의 하부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동일한 형상의 안착홀(211)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카락이 가느다란 일자 형상의 차단모(222) 다수개 사이에 형성된 홈에 걸리는 방식으로 배수구 입구에서 머리카락의 수집을 용이하게 하여, 머리카락 혼입으로 인한 배수구의 막힘을 방지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차단모(222)의 결합 구조 및 배열을 다양화시켜서 머리카락 이외의 미세한 이물질의 혼입을 막아 배수구 관리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머리카락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2는 머리카락 몸체와 표면의 돌기가 차단모에 걸려 끼이는 형상을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단모의 구성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단링(500)의 구성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강선의 꼬여진 횟수를 달리한 차단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단모의 길이 및 직경을 달리한 차단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단모의 구성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하부플레이트(210)과 상부플레이트(220)의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단모의 제1 배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단모의 제2 배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단모의 제3 배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본 원에서 제시된 실시 예 이외에 다양한 구성과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제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서 다루는 실시 예를 통해 특정한 실시 형태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유사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주지시킨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에 앞서 머리카락의 구조에 대해 도 1을 통해 살펴 보면, 머리카락 표면 구성이 다수 개의 표피 덩어리가 어긋나게 서로 덮여 층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어 측면에 돌기가 상이한 간격이지만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머리카락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유체와 함께 배수구로 유입되는 머리카락에 형성된 돌기가 배수구 입구에 구비되는 일자 형상으로서 유동성을 가지는 차단모(222) 다수에 걸려, 머리카락이 차단모(222) 사이에 불규칙한 굴곡을 이루며 엉키는 방식으로 배수구에서 차단되고, 유체는 차단모(222) 사이를 관통해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모(222)가 구비되어 머리카락은 차단모(222) 사이의 홈에 끼이고 유체는 그대로 차단모(222)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수 영역이 형성되는 차단막(10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차단모(222)가 배수구 입구 측 턱의 외주면에 맞닿아 안착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프레임인 차단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식모되게 결속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200)의 내측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의 배수구 관통 홀을 형성하는 판이 연결된 격자구조로 이루어져 차단플레이트(200)의 형태를 외력으로부터 지지해주는 본체프레임(100)과, 본체프레임(100)의 상면과 결속되어 파지가 가능한 고리 형상의 손잡이(300)로 구성되는 차단막(1000)으로 이루어지되, 차단모(222)를 평행하게 배치된 2열의 강선과 함께 꼬아서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차단모(222)와 함께 꼬아진 강선의 양 끝을 상호 연결하여 링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링(500)이 배수구 입구 측 턱의 외주면에 맞닿게 안착되고, 차단링(500)의 일측과 상호 결속되어 파지가 가능한 고리 형상의 손잡이(300)로 이루어지는 차단막(1000)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차단막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차단막 구조 1과 차단막 구조 2로 구분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차단막 구조 1>
차단모(2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가닥의 강선을 반으로 접어 평행하게 배치된 2 열의 강선 사이에 강선의 길이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하여, 다수 개를 군집으로 강선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한 후, 강선 말단부의 일측은 반시계방향으로, 타측은 시계방향으로 수십 회 이상 회전시킴으로써 강선이 꼬여지게 되며, 도 3의 우측 상세도와 같이 회전수만큼 꼬여진 강선의 구획마다 다수의 차단모(222)가 군집을 이루어 상하로 돌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강선의 굵기는 0.5 내지 1.0 mm 가 적당하며, 차단모의 굵기는 0.02 내지 0.05 mm 로 선정하여 머리카락 평균 굵기인 0.08 mm 보다 가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차단모(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의 절곡된 부분인 A 측의 중공부를 통과함으로써 양 말단부인 B 측의 강선 끝을 A 측에 감아서 A 측과 B 측을 상호 연결하여 링 형상의 차단링(500)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손잡이(300)는 상기 차단링(500)의 구성에 사용된 강선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양 말단부를 차단링(500)의 양측과 고리형태로 결속하되, 강선의 말단부가 차단링(5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절곡되게 고리형태를 형성한 후에 차단링(500)의 꼬여진 강선 영역과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배수구로부터 차단막(1000)의 탈부착시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모(222)가 구비되는 차단링(500)과 손잡이(300)로 차단막(1000)의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모(222)의 구성에 있어서, 강선의 꼬여지는 횟수와 차단모의 길이 및 배열 간격을 달리 구성하여 머리카락의 차단 효과에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강선의 꼬여진 횟수가 B 차단모보다 3배 더 많은 A 차단모의 경우에 각 차단모(222)와 차단모(222) 말단부 사이의 간격인 L1이 B 차단모의 차단모 말단부 사이의 간격인 L2보다 좁게 형성되어, A 차단모의 경우에는 B 차단모보다 가느다란 직경을 가지는 미세한 머리카락이나 속눈썹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기에 적합하며, B 차단모의 경우에는 A 차단모의 경우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일반 면 섬유조직과 같은 이물질을 차단하는 데에 용이하다.
또한, 상기 2열의 강선 사이에 도 7과 같이, 2 종류의 길이 및 굵기가 다른 차단모를 각각 4 내지 5 개씩 군집단위로 형성하여 이를 교번 배열시킴으로써 하나의 차단막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이물질이 수집되어 배수구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차단막 구조 2>
차단모(222)는 머리카락의 평균 굵기인 0.08 mm 보다 작은 굵기의 일자형 구조로서 재질은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인 PBT나 PET로 사용하여, 원래 외부에 노출되는 차단모의 길이보다 2.5 내지 4 mm 길게 절단하여 알칼리 용액이나 강산용액으로 말단부를 가수분해시켜, 테이퍼 시킨 후 수세 건조하여 다수개의 군집으로 구비된 차단모(222) 다발을 도 8과 같이 원형 형상 내에 외곽 둘레에 등 간격으로 차단모(222)가 상부플레이트(22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식모홈(223)에 식모되며 내부 중심에도 차단모(222)가 식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모(222)가 구비되는 차단막(1000)의 구성은 중공부가 구비되어 배수구의 관통 영역을 형성하는 격자프레임 구조의 본체프레임(100)과, 차단모(222)가 안착되는 원형 판 형상의 차단플레이트(20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결속되어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300);로 이루어진다.
도 9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원형 판 형상의 배수프레임(110);과, 배수프레임(110)의 외주연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 구비되는 직선 판 형상의 연결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며, 차단플레이트(200)는 차단모(222)가 안착되도록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원형 판 형상의 상부플레이트(22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22)를 지지하는 동일 형상의 하부플레이트(210);로 구성되어 상부플레이트(220)가 하부플레이트(21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손잡이(300)는 파지가 가능하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300)의 양 말단부에는 원통형의 돌출부인 손잡이돌기(310)가 구비되어 연결프레임(120)의 손잡이홀(121)과 결속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배수프레임(110)은 PET 재질로 사출성형하되, 이물질을 제외한 유체가 배수구로 이동하는 데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내부 중심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중공부의 면적은 배수구 전체 면적의 55 내지 65 % 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배수프레임(110)의 두께는 2.5 내지 4 mm 로 하여 바닥면과 배수프레임(110) 상면의 높이 단차가 가급적 발생하지 않게 하며, 폭은 배수구 직경의 1/8 내지 1/9 비율로 형성하여 차단막(1000)의 구조적 강도는 유지하면서 배수를 위한 관통영역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배수프레임(110)의 외주연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단플레이트(200)와 배수프레임(110)을 연결하는 2개 이상의 프레임으로서 장방형의 단면을 가지며, 그 폭은 배수프레임(110) 폭의 1 내지 1.5 배로 하여, 연결프레임(120)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최대한 중공부를 크게 구비하여 배수 기능이 원활하도록 하며, 두께는 연결구조를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 배수프레임(1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며, 다수의 연결프레임(120) 중에 배수프레임(110)을 중심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120)의 상면에는 손잡이(300)와의 결속을 위해 원형 구멍인 손잡이홀(121)이 형성되는데, 그 크기는 연결프레임(120) 폭의 1/3 내지 1/2 배의 직경으로 하여 손잡이(300)와의 결속력은 유지하면서 연결프레임(120)의 연결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10)는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원형 고리형태로서 두께는 연결프레임(120) 두께의 1/2 내지 2/3 배로 설정하며, 외부 직경은 배수구 입구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하부플레이트(210)의 하면이 연결프레임(120)의 하면과 일치하도록 하여야 하며, 그 폭은 상기 차단모(222)의 배열구조에 따라 가변적이나 하부플레이트(210)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배수프레임(110)의 폭과 동일하거나 1.5 내지 2 배로 설정하도록 하며,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원형 관통영역인 안착홀(211)을 형성하되, 그 크기는 하부플레이트(210) 폭의 1/2 내지 2/3 배의 직경으로 하여 상부플레이트(220)와의 결속이 가능하며, 하부플레이트(210)의 외주면에는 고무 재질의 패킹수단으로 구비된 부재가 끼워져 차단막(10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차단플레이트(200)와 배수구의 내측면 사이에 이물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상기 배수프레임(111)과 연결프레임(120) 및 하부플레이트(210)는 일체형으로 사출성형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21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며, 그 두께는 연결프레임(120) 두께와 하부플레이트(210) 두께의 차이에 해당하는 수치로 설정하여 상부플레이트(220)와 하부플레이트(210)가 결합된 전체 차단플레이트(200)의 상면 높이와 본체프레임(100)의 상면 높이가 일치하도록 구성되도록 하며,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식모홈(223)이 형성되어 차단모(222) 다발이 상기 식모홈(223)에 결속되게 구성된다. 상기 안착홀(211)이 구비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동일 개수의 안착돌기(221)가 돌출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210)와의 결속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플레이트(220)와 하부플레이트(210)가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단막 사용에 따른 차단모(222)의 노후화로 인해 차단막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에 차단모(222)가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220)만 따로 교체함으로써 사출성형되는 본체프레임(100)과 하부플레이트(210)의 사용 년한을 증가시킴으로써 친환경적인 차단막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300)는 아치형의 절곡을 이루는 프레임 형상으로서, 절곡 반경의 최대 길이는 차단플레이트(200) 외경의 1/3 내지 1/2 배로 하여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손잡이(300)의 단면부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며, 그 직경은 상기 연결프레임(120) 폭의 2/5 내지 1/2 배가 적당하다. 또한, 손잡이(300)의 표면에는 아치형의 절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다수의 결로 구성되는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어 물기가 다량 함유될 수 있는 손잡이(300) 표면에 손가락이 접촉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돌기(310)는 그 직경을 연결프레임(120) 폭의 1/3 내지 1/2 배로 선정하며, 두께는 연결프레임(12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손잡이돌기(310)와 손잡이홀(121)이 상호체결 시 손잡이돌기(310)의 말단면이 연결프레임(120)의 하면과 일치 되도록 하여 결합구조에 긴밀성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차단막(1000)의 각 구성요소의 구조와 역할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차단모(222)의 구조와 배열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차단모(222)가 구비되는 영역의 범위는 상부플레이트(220) 폭의 1/2 내지 4/5 배로 하며, 배열은 상부플레이트(220)의 외주연보다 작고 내주연보다는 큰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열로 구성되는데,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길이의 차이를 보이는 두 종류의 차단모(222)인 제1모와, 제2모를 준비하여 제1모는 외측열에 제2모는 내측열에 배열하여 총 2개의 열로 이루어진 차단모(222) 배열을 구성하되, 다수의 제1모 사이의 간격은 제2모 사이의 간격의 2 내지 2.5 배로 설정하여, 상부플레이트(220)의 외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 11의 정면도와 같이 제1모와 제2모가 서로 중첩됨이 없이 교번 배열될 수 있도록 하여, 여성의 모발과 같이 길이가 20 cm 이상인 머리카락이 상부플레이트(220)의 외측열에 위치한 제1모 사이의 공간에 걸려 수집되며, 스포츠형의 짧은 모발이나 신체 특정부위에서 이탈한 짧은 길이의 미세털이 내측열에 형성되는 제2모 사이에 걸려 수집되는 구조를 구성하여 가느다란 두께의 실 형상으로 구성된 이물질의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배수구로 유입되는 유체는 소용돌이 운동을 하여 사선으로 절곡된 형태로 배수구의 차단플레이트(200)에 진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동 방향과 일치되는 형상으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플레이트(2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다수의 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동심원과, 상부플레이트(2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절곡을 이루는 점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는 차단모(222)가 소용돌이 운동을 통해 유체와 함께 배수구로 유입되는 머리카락과 같은 미세 이물질이 동일한 소용돌이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차단모(222)에 여러 방향으로 걸려 차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자형의 차단모로 구성되는 차단모(222)와 달리 도 1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치형으로 절곡된 차단모(222)의 양 말단부가 식모되도록 구성하여, 아치형 차단모(222)가 형성하는 중공부 사이를 통과하는 머리카락이 차단모(222)에 걸려 수집될수 있다. 상기 차단모(222)를 배열하는 데에 있어서, 상부플레이트(22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동심원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열 상에 등간격으로 차단모(222)를 식모하되, 식모위치를 각 열과 열 사이에 서로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아치형의 차단모(222) 구조가 서로 중첩이 되도록 하여 머리카락이 걸릴 수 있는 영역의 범위를 확대시켜 머리카락 수집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서 머리카락의 굵기보다 큰 다수의 차단모(222)에 머리카락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가 걸려, 차단모(222) 사이에 머리카락이 엉키면서 끼이게 되어, 배수 입구에서 머리카락이 차단되어 배수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모(222)의 결합 구조 및 구성 배열에 변화를 부여하여 머리카락 이외에 더 미세한 이물질도 걸러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인체모발 차단막을 제공한다.
100: 본체프레임 110: 배수프레임
120: 연결프레임 121: 손잡이홀
200: 차단플레이트 210: 하부플레이트
211: 안착홀 220: 상부플레이트
221: 안착돌기 222: 차단모
223: 식모홈 300: 손잡이
310: 손잡이돌기 400: 중공부
500: 차단링 1000: 차단막

Claims (6)

  1. 삭제
  2. 유체와 함께 배수구로 유입되는 머리카락에 형성된 돌기가 배수구 입구 측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일자 형상의 모로 구비된 차단모(222)에 걸려 머리카락이 차단모(222) 사이에 불규칙한 굴곡을 이루며 엉켜서 배수구 전단에서 차단되게 하는 배수구용 인체모발 차단막에 있어서,
    상기 차단모(222)가 평행하게 배치된 2열의 강선 사이에 투입되어, 강선의 양 말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함께 꼬여진 후, 양 말단부를 상호 연결해 링 형상으로 결속된 차단링(500);과, 차단링(500)의 일측과 결속되어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인체모발 차단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모(222)의 말단부를 가수분해시켜 수세 건조한 후, 반으로 접어 식모하기 위한 다수의 식모홈(223)이 구비된 원판 형상의 상부플레이트(220)와, 배수구의 내측면과 접합하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210)로 구성되는 차단플레이트(200);와, 중공부가 구비되어 배수구의 관통 영역을 형성하는 격자프레임 구조의 본체프레임(100);과, 본체프레임(100)에 결속되어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의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안착돌기(221)가 하부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동일한 형상의 안착홀(211)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인체모발 차단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모(222)는 길이가 다른 두 종류의 일자형 모로 각각 구성되는 2개의 열로 배치되며, 각 차단모(222)가 서로 어긋나게 교번 배열되어 서로 길이가 다른 이물질이 하나의 차단모(222) 구조를 통해 걸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인체모발 차단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모(222)는 상부플레이트(2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사선방향의 절곡을 이루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인체모발 차단막.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모(222)는 양 말단부가 아치형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부플레이트(220)에 식모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열로 교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인체모발 차단막.
KR1020120116735A 2012-10-19 2012-10-19 배수구용 인체 모발 차단막 KR10140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735A KR101404324B1 (ko) 2012-10-19 2012-10-19 배수구용 인체 모발 차단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735A KR101404324B1 (ko) 2012-10-19 2012-10-19 배수구용 인체 모발 차단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382A KR20140050382A (ko) 2014-04-29
KR101404324B1 true KR101404324B1 (ko) 2014-06-09

Family

ID=5065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735A KR101404324B1 (ko) 2012-10-19 2012-10-19 배수구용 인체 모발 차단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9662A (zh) * 2015-11-07 2016-01-13 金勇� 一种防塞地漏
KR20190000590U (ko) * 2017-08-28 2019-03-08 배정중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17B1 (ko) * 2018-07-26 2020-02-11 허준혁 싱크대 배수용 거름망
CN110528671B (zh) * 2019-09-30 2020-09-11 梁炜畅 一种地漏罩子
KR102272350B1 (ko) * 2020-05-27 2021-07-01 정경환 욕조 배수구용 스마트 마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752A (ja) * 1993-05-26 1994-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ヘアーキャッチャー
JP2009052226A (ja) * 2007-08-24 2009-03-12 Sekisui Home Techno Kk ヘアーキャッチャー
JP2009052348A (ja) 2007-08-28 2009-03-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0444354Y1 (ko) 2008-01-16 2009-05-07 김하용 욕실 바닥용 배수트랩의 걸름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752A (ja) * 1993-05-26 1994-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ヘアーキャッチャー
JP2009052226A (ja) * 2007-08-24 2009-03-12 Sekisui Home Techno Kk ヘアーキャッチャー
JP2009052348A (ja) 2007-08-28 2009-03-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0444354Y1 (ko) 2008-01-16 2009-05-07 김하용 욕실 바닥용 배수트랩의 걸름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9662A (zh) * 2015-11-07 2016-01-13 金勇� 一种防塞地漏
KR20190000590U (ko) * 2017-08-28 2019-03-08 배정중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KR200490309Y1 (ko) 2017-08-28 2019-10-25 배정중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382A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324B1 (ko) 배수구용 인체 모발 차단막
KR101071635B1 (ko) 세정용 브러시
CN104145064B (zh) 排水链系统和清洗链条的方法
CN103249344A (zh) 具有清洁岛的清洁布
KR20180100148A (ko) 브러시용 모재 및 그것을 사용한 브러시
WO2014180560A1 (de) Monofil aus kunststoff und zahnbürsten-borste aus einem entsprechenden monofil
CN205804560U (zh) 一种地漏
CN206928407U (zh) 一种建筑市政用排水孔过滤装置
CN105849339B (zh) 改进的排水链系统和清洁排水管的方法
KR200452707Y1 (ko) 묶음 기능을 갖는 머리 빗
KR101238515B1 (ko) 비누 받침대
CN207056090U (zh) 一种排水管网截污网
CN209243900U (zh) 一种滤网及使用该滤网的地漏
CN206174096U (zh) 浴室防头发堵塞地漏
CN202482948U (zh) 易清洗地漏及易清洗地漏盖
KR20200144047A (ko) 배수트랩 이물질 제거장치
KR20080024632A (ko) 배수구 캡시트
KR200463296Y1 (ko) 하수구 걸름망
CN204813626U (zh) 花型沐浴球
CN210446593U (zh) 一种便于拆卸清洗式地毯
KR101265027B1 (ko)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CN213652084U (zh) 一种可更换滤料的滤芯
CN212852834U (zh) 牙刷刷毛及牙刷
CN203138408U (zh) 带脱毛刷的簸箕
CN206928421U (zh) 一种建筑市政用水管毛发清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