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593B1 - 균일한 크기의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 Google Patents
균일한 크기의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5593B1 KR102075593B1 KR1020180000337A KR20180000337A KR102075593B1 KR 102075593 B1 KR102075593 B1 KR 102075593B1 KR 1020180000337 A KR1020180000337 A KR 1020180000337A KR 20180000337 A KR20180000337 A KR 20180000337A KR 102075593 B1 KR102075593 B1 KR 1020755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mylose
- magnetic
- microbeads
- microbead
- nucleating ag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01J20/28021—Hollow particles, e.g. hollow spheres, microspheres or cenosphe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B01J20/3248—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 B01J20/3255—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comprising a cyclic structure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heteroatoms nitrogen, oxygen or sulfur, e.g. heterocyclic or heteroaromatic struc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4—Methods of sampling, or inoculating or spreading a sample; Methods of physically isolating an intact microorgan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에 사용된 핵형성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핵형성제의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결과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핵형성제의 크기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c는 핵형성제를 구성하고 있는 덱스트란 및 산화철 나노입자의 FT-IR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d는 γ-Fe2O3(i), 핵형성제(ii), Fe3O4의 기준 패턴(reference patterns)(iii) 및 γ-Fe2O3 의 기준 패턴(iv)에 대한 X-선회절 분석법(X-ray Diffraction Spectroscopy; XRD)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a는 핵형성제 없이 제조된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주사전자현미경 결과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주사전자현미경 결과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4a는 핵형성제의 농도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크기(평균 직경)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b는 합성 시간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크기(평균 직경)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주사전자현미경 결과 이미지 및 크기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전자 맵핑(electron mapping) 및 투과전자현미경 결과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c는 말토오스 결합단백질-녹색형광단백질(MBP-GFP) 융합단백질이 기능화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형광 현미경(Fluorescence microscopy) 이미지 결과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d는 용액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외부 자력에 의한 반응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6a는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 PBS) 내의 박테리아 수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포집 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b는 우유 내의 박테리아 수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포집 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c는 대장균(E. coli), 바실러스 세레우스 균(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및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포집 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d는 박테리아 분리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재활용성(Number of Recycling)을 도시한 그래프(왼쪽) 및 각 사이클에서의 FITC-Ab-기능화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형광 현미경 이미지(오른쪽) 결과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막대 형상의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막대 형상의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주사전자현미경 결과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막대 형상의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투과전자현미경 결과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Claims (16)
- 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덱스트란(dextran)을 코팅하여 핵형성제(nucleation agent)를 제조하는 단계; 및
단 사슬 아밀로오스(Short chain amylose; SCA)를 포함하는 기질 용액에 상기 핵형성제를 첨가하여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되는 핵형성제의 농도는 2 내지 10 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magnetic amylose microbead; SAMB)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형성제는 코어-쉘 구조를 가지고, 코어부에는 상기 자성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쉘부는 상기 덱스트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크기는 상기 핵형성제의 함량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크기는 상기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합성 시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 사슬 아밀로오스(Short chain amylose; SCA)를 포함하는 기질 용액에 상기 핵형성제를 첨가하여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합성하는 단계는,
아밀로오스 합성효소를 준비하는 단계;
기질 및 용매를 포함하는 기질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밀로오스 합성효소를 상기 기질 용액에 첨가하고 효소 반응시켜 단 사슬 아밀로오스를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오스 합성효소는 아밀로슈크라제(amylosucrase), 포스포릴라아제(phosphorylase), 전분합성효소(starch synthase), 아밀라제 및 D-효소(D-enzy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는 산화철 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는 막대(rod)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는 치료용 물질, 진단용 물질, 기능성 건강식품 소재 포장제, 코팅제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용 레진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
- 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덱스트란을 코팅하여 핵형성제를 제조하는 단계;
단 사슬 아밀로오스를 포함하는 기질 용액에 상기 핵형성제를 첨가하여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합성하는 단계;
타겟병원균을 포함하고 있는 시료에 상기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첨가하여 타겟병원균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타겟병원균이 결합된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분리 및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되는 핵형성제의 농도는 2 내지 10 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타겟병원균의 분리 및 농축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병원균이 결합된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분리 및 농축하는 단계는,
상기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 표면에 타겟병원균에 대한 경쟁적 바인더를 첨가하여 상기 아밀로오스 자성 비드로부터 타겟병원균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타겟병원균의 분리 및 농축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표면은 MBP-SPG 융합단백질을 가교제로 이용하여 상기 타겟병원균에 특이적인 항체가 수식된 것을 특징으로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타겟병원균의 분리 및 농축방법.
- 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덱스트란을 코팅하여 핵형성제를 제조하는 단계;
단 사슬 아밀로오스를 포함하는 기질 용액에 상기 핵형성제를 첨가하여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에 목적 단백질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단백질이 결합된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분리 및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되는 핵형성제의 농도는 2 내지 10 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목적 단백질의 정제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단백질은 MBP(maltose binding proteins)-융합 단백질(MBP-tagged prote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목적 단백질의 정제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단백질이 결합된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분리 및 정제하는 단계는,
상기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 표면에 목적 단백질에 대한 경쟁적 바인더를 첨가하여 상기 아밀로오스 자성 비드로부터 상기 목적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목적 단백질의 정제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0337A KR102075593B1 (ko) | 2018-01-02 | 2018-01-02 | 균일한 크기의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0337A KR102075593B1 (ko) | 2018-01-02 | 2018-01-02 | 균일한 크기의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2570A KR20190082570A (ko) | 2019-07-10 |
KR102075593B1 true KR102075593B1 (ko) | 2020-02-10 |
Family
ID=6725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0337A Active KR102075593B1 (ko) | 2018-01-02 | 2018-01-02 | 균일한 크기의 자성 아밀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559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17085A (ja) * | 1998-05-26 | 2002-06-11 | バー−イラン ユニバーシティ | 磁性金属酸化物ナノ粒子の核生成および成長ならびにその使用 |
KR100713745B1 (ko) * | 2006-02-27 | 2007-05-0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상전이 리간드로 코팅된 수용성 자성 또는 금속 산화물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581576B1 (ko) * | 2014-09-01 | 2015-12-3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밀로오스 자성 비드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의 정제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86410A1 (en) | 2007-03-06 | 2008-11-20 | Richmond Patricia A | Production of Resistant Starch Product |
KR101214572B1 (ko) | 2010-08-17 | 2012-12-24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환상 아밀로오스의 제조방법 |
DE102010061814A1 (de) * | 2010-11-23 | 2012-05-24 | Wacker Chemie Ag | Verfahren zum Aufarbeiten von flüssigen Rückständen der Direktsynthese von Organochlorsilanen |
KR20170006828A (ko) * | 2015-07-10 | 2017-01-1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융합 단백질 및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방법 |
KR101845020B1 (ko) * | 2015-10-07 | 2018-04-03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핵 형성 유도제로서 나노입자를 이용한 단백질 결정화 방법 |
-
2018
- 2018-01-02 KR KR1020180000337A patent/KR10207559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17085A (ja) * | 1998-05-26 | 2002-06-11 | バー−イラン ユニバーシティ | 磁性金属酸化物ナノ粒子の核生成および成長ならびにその使用 |
KR100713745B1 (ko) * | 2006-02-27 | 2007-05-0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상전이 리간드로 코팅된 수용성 자성 또는 금속 산화물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581576B1 (ko) * | 2014-09-01 | 2015-12-3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밀로오스 자성 비드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의 정제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WO2012111686 A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2570A (ko) | 2019-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ao et al. | Iron oxide nanozyme: A multifunctional enzyme mimetics for biomedical application | |
Cui et al. | Synthesis of orientedly bioconjugated core/shell Fe3O4@ Au magnetic nanoparticles for cell separation | |
CN101256864B (zh) | 一种超顺磁性介孔二氧化硅复合球及其制备方法 | |
Ma et al.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disperse core–shell Fe3O4@ SiO2 microspheres and its application for magnetic separation of nucleic acids from E. coli BL21 | |
Guo et al. | Magnetic colloidal supraparticles: design, fabrication and biomedical applications | |
Tai et al. | Recent research progress on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magnetic nanospheres | |
Šulek et al. | Surface functionalization of silica-coated magnetic nanoparticles for covalent attachment of cholesterol oxidase | |
Ma et al. | Synthesis and surface modification of magnetic particles for application in biotechnology and biomedicine | |
Wang et al. | Immobilization of glucose oxidase using CoFe2O4/SiO2 nanoparticles as carrier | |
US20020000398A1 (en) | Magnetic particles and methods of producing coated magnetic particles | |
CN107446916B (zh) | 一种用于纯化并定向固定化组氨酸标签蛋白的方法和应用 | |
JP5733586B2 (ja) | 球状フェライトナノ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Nishimura et al. | 4 C preparation of ferrite nanoparticles having protein molecules immobilized on their surfaces | |
Urusov et al. | Application of magnetic nanoparticles in immunoassay | |
CN104437440B (zh) | 一种多氨基硅包磁性纳米粒子的制备与应用 | |
CN1736881A (zh) | 一种超顺磁氧化铁复合纳米颗粒的制备方法 | |
Luo et al. | Biosynthesis of superparamagnetic polymer microbeads via simple precipitation of enzymatically synthesized short-chain amylose | |
JP2016534342A (ja) | 粒子への分子の接合 | |
Shirazi et al. |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biocompatibility study of Au/TMC/Fe3O4 nanocomposites as a promising, nontoxic system for biomedical applications | |
Li et al. | Cyclodextrin-derivatized hybrid nanocomposites as novel magnetic solid-phase extraction adsorbent for preconcentration of trace fluoroquinolones from water samples coupled with HPLC-MS/MS determination | |
Šulek et al. | Immobilization of cholesterol oxidase to finely dispersed silica-coated maghemite nanoparticles based magnetic fluid | |
Chockalingam et al. | Gum arabic modified Fe3O4 nanoparticles cross linked with collagen for isolation of bacteria | |
El-Sherbiny et al. | Physical properties, classification, synthesis, and functionalization of magnetic nanomaterials | |
Priyadarshni et al. | Magnetic nanoparticle-based sensing strategies for clinical analysis and environmental safety assessment | |
Wang et al. | Preparation of Fe3O4@ Au nano-composites by self-assembly technique for immobilization of glucose oxid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