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535B1 -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535B1
KR102075535B1 KR1020180143583A KR20180143583A KR102075535B1 KR 102075535 B1 KR102075535 B1 KR 102075535B1 KR 1020180143583 A KR1020180143583 A KR 1020180143583A KR 20180143583 A KR20180143583 A KR 20180143583A KR 102075535 B1 KR102075535 B1 KR 102075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late
spreading plate
spreading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현
오현우
박희수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3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8Metals; Alloys; Cermets, i.e. sintered mixtures of ceramics and metals
    • G21F1/085Heavy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tallur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하며, 방사능 피폭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피폭 가능성이 있는 현장으로 이동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작업테이블 또는 피폭 차단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는 하부에 이동을 위한 이송캐스터가 마련되어 있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방사능 차폐가 가능하도록 상면에 납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와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Movable protection shield}
본 발명은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하며, 방사능 피폭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피폭 가능성이 있는 현장으로 이동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작업테이블 또는 피폭 차단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의료기기, 비파괴검사 등 많은 분야에서 방사선이 발생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많은 량의 방사선이 외부로 누출된다.
엑스선이 투시될 때 발생하는 방사선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며 일정한 시간 이상 방사선에 피폭되면 인체의 유전자 또는 세포변형을 일으켜 백혈병이나 암 등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질병은 유전적인 변이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렇게 방사선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질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시설이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방사선을 차단하는 시설은 콘크리트와 스틸판의 차폐벽을 갖는 고정식 차폐건물을 이용하게 되는데 고정식 차폐건물의 내부에 방사선 발생부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작동시켜 전원이 인가되면 그에 따라서 엑스선을 포함한 방사선이 발생한다. 이때, 고밀도의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차폐벽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방사선의 효과적인 차단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후 설치된 고정식 차폐 건물을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때, 두꺼운 벽을 가진 고정식 차폐 건물을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고, 기존의 고정식 차폐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차폐 건물을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식 차폐 건물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건축 폐기물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동식 차폐체(건물)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차폐체는 내부로 공간이 제공되는 상부 차폐체가 상부 차폐체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하부 차폐체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로 구비되고, 상부 차폐체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볼팅이 구비되도록 한 것으로 고정식 차폐 건물에 비해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차폐체는 사용자를 단순히 격리된 공간으로 진입하게 하여 방사능의 피폭을 최소화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이며, 현장에서의 사용 효율성을 높이거나 피폭량이 많지 않은 현장에서는 굳이 밀폐된 차폐공간으로 들어갈 필요는 없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50375(2009.05.20)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방사능 피폭 위험이 있는 지역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차폐수단으로 활용하거나 작업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는 하부에 이동을 위한 이송캐스터가 마련되어 있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방사능 차폐가 가능하도록 상면에 납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와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부는 사각형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마주보는 두 변에 각각 회동되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펼침판과, 상기 제1 펼침판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베이스판의 두 변에 각각 회동되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펼침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네 모서리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 펼침판 또는 제2 펼침판이 접힘 상태가 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적층될 때 하방으로 인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돌출지지핀과, 상기 돌출지지핀으로부터 상기 제1 펼침판 및 제2 펼침판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펼침판 및 제2 펼침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견인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펼침판은 제1 펼침판이 베이스판에 접철되어 적층된 후 제1 펼침판의 상부에 적층되도록 접철되며, 제2 펼침판과 베이스판의 사이에는 상기 제1 펼침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연결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펼침판은 상기 제1 펼침판의 상부에 접철될 때, 양 단부가 상호 맞닿아 사각의 작업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회동연결로드와, 상기 회동연결로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연결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연결로드는 상기 회동연결로드의 상부에 연결되는 베이스실린더와, 상기 베이스실린더의 상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진퇴로드들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연결로드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의 상부에 연결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와 회동로드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실린더와 진퇴로드는 각각 직경이 상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 상측 진퇴로드가 하측 진퇴로드 또는 베이스실린더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진퇴로드를 상기 베이스실린더 또는 하부의 진퇴로드에 대해 상방으로 인출하거나 인입하도록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는 이동이 가능하여 방사능 피폭 위험이 있는 지역으로 운반해 피폭을 최소화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방사능 차폐가 필요하지 않을 상황에서는 작업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의 테이블 사용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의 사용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1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10)는 이송캐스터(111)가 부착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부(100)와, 이동부(100)에 설치되는 차폐부(200)와, 상기 차폐부(200)와 이동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100)는 하단프레임(110)에 이송캐스터(111)가 부착되어 있고, 하단프레임(110)의 상면에 측면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 상단프레임(13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단프레임(130)과 하단프레임(110)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액추에이터(330)가 장착된다.
상기 차폐부(200)는 이동부(100)의 상부에 후술하는 연결부(300)를 통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데, 차폐부(200)는 펼침상태와 접힘상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차폐부(2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폐부(200)는 사각형의 베이스판(210)과, 베이스판(210)의 네 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펼침판(220) 및 두 개의 제2 펼침판(230)을 포함한다.
베이스판(21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며, 마주보는 두 변에 제1 펼침판(220)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두 변에 제2 펼침판(230)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펼침판(220)과 제2 펼침판(230)이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방을 향하는 면에는 납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서 방사능 노출 상황에서 방사능의 피폭을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판(210)의 네 모서리에는 돌출지지핀(21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지지핀(211)은 베이스판(210)에 형성되어 있는 인입홀도 인입되거나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인입홀의 내부에 돌출지지핀(211)을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고, 돌출지지핀(211)은 외력이 작용할 때에는 인입홀의 내측으로 인입되지만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돌출지지핀(211)에는 견인와이어(212)가 연결되어 있으며, 견인와이어(212)는 전개된 제1 펼침판(220)과 제2 펼침판(230)에 연결되어 제1 펼침판(220)과 제2 펼침판(230)을 지지한다.
상기 제1 펼침판(220)과 제2 펼침판(230)은 베이스판(210)의 상부로 접철될 수 있는데, 먼저 제1 펼침판(220)이 베이스판(210)의 상부로 접철되고, 제1 펼침판(220)의 상부에 제2 펼침판(230)이 접철된다.
제2 펼침판(230)은 제1 펼침판(220)의 상부에 접철될 때 양 단부가 상호 맞닿아 사각의 작업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1 펼침판(220)은 베이스판(210)의 상부로 접철될 때 상기 돌출지지판에 간섭되지 않도록 폭이 돌출지지핀(211)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펼침판(230)은 연결판(231)을 통해 베이스판(210)과 연결되는데, 연결판(231)은 길이가 상기 제1 펼침판(220)의 두께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1 펼침판(220)을 먼저 베이스판(210)의 상면에 접철한 상태에서 연결판(231)에 의해 제2 펼침판(230)이 제1 펼침판(220)의 상부에 접철되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펼침판(230)의 베이스판(210)을 모두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펼침판(230)이 접철되면 상기 돌출지지핀(211)이 제2 펼침판(23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인입홀로 소정깊이 인입된다.
상기 이동부(100)와 차폐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는 차폐부(200)를 이동부(10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 지지하고 또 차폐부(200)의 방향을 상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300)는 회동연결로드(310)와, 회동연결로드(3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승강연결로드(32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연결로드(310)는 고정로드(311)와, 상기 고정로드(311)의 상부에 연결되는 회동로드(312)와, 상기 고정로드(311)와 회동로드(31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부재(313)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회동로드(312)가 회동연결부재(313)를 통해 고정로드(31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고정로드(311)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200)의 제1 펼침판(220)과 제2 펼침판(230)을 모두 접철하여 작업테이블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방에서 내리는 방사능에 오염된 빗물을 차단하거나 또는 방사능 피폭이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차폐부(200)가 상방을 향하도록 회동로드(312)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그러나 방사능의 피폭을 막기 위해 차폐부(200)를 측방향으로 향햐게 할 때에는 상기 회동로드(312)를 수평상태가 되거나 고정로드(311)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회동시켜 차폐부(200)의 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승강연결로드(320)는 회동연결로드(310)의 상부에 연결되는 베이스실린더(321)와, 베이스 실린더의 상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진퇴로드(322)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실린더(321)의 상부에 두 개의 진퇴로드(322)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진퇴로드(322)는 세 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실린더(321)는 내경이 진퇴로드(322)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진퇴로드(322)들도 하부의 진퇴로드(322)가 상부의 진퇴로드(322)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기 때문에 진퇴로드(322)는 하부의 진퇴로드(322) 또는 베이스실린더(321)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고, 반대로 인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차폐부(200)가 이동부(100)로부터 승강된 승강높이를 상기 승강연결로드(32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승강연결로드(320)는 액추에이터(330)에 의해 승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데, 상기 액추에이터(330)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가 적용될수도 있고, 전동식 액추에이터(330)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10)는 방사능 실험 또는 방사능 피폭 위험이 있는 지역으로 이동 가능하여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작업테이블 또는 방사능 피폭을 막는 차폐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차폐부(20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100: 이동부
110: 하단프레임 111: 이송캐스터
120: 측면프레임 130: 상단프레임
200: 차폐부
210: 베이스판 211: 돌출지지핀
212: 견인와이어 220: 제1 펼침판
230: 제2 펼침판 231: 연결판
300: 연결부
310: 회동연결로드 311: 고정로드
312: 회동로드 313: 회동연결부재
320: 승강연결로드 321: 베이스실린더
322: 진퇴로드 330: 액추에이터

Claims (3)

  1. 하부에 이동을 위한 이송캐스터가 마련되어 있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방사능 차폐가 가능하도록 상면에 납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와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는
    사각형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마주보는 두 변에 각각 회동되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펼침판과,
    상기 제1 펼침판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베이스판의 두 변에 각각 회동되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펼침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네 모서리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 펼침판 또는 제2 펼침판이 접힘 상태가 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적층될 때 하방으로 인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돌출지지핀과,
    상기 돌출지지핀으로부터 상기 제1 펼침판 및 제2 펼침판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펼침판 및 제2 펼침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견인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펼침판은 제1 펼침판이 베이스판에 접철되어 적층된 후 제1 펼침판의 상부에 적층되도록 접철되며, 제2 펼침판과 베이스판의 사이에는 상기 제1 펼침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연결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펼침판은 상기 제1 펼침판의 상부에 접철될 때, 양 단부가 상호 맞닿아 사각의 작업플레이트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회동연결로드와,
    상기 회동연결로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연결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연결로드는 상기 회동연결로드의 상부에 연결되는 베이스실린더와,
    상기 베이스실린더의 상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진퇴로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연결로드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의 상부에 연결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와 회동로드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실린더와 진퇴로드는 각각 직경이 상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 상측 진퇴로드가 하측 진퇴로드 또는 베이스실린더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진퇴로드를 상기 베이스실린더 또는 하부의 진퇴로드에 대해 상방으로 인출하거나 인입하도록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KR1020180143583A 2018-11-20 2018-11-20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KR10207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83A KR102075535B1 (ko) 2018-11-20 2018-11-20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83A KR102075535B1 (ko) 2018-11-20 2018-11-20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535B1 true KR102075535B1 (ko) 2020-02-10

Family

ID=6962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583A KR102075535B1 (ko) 2018-11-20 2018-11-20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5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3333A (ja) * 1999-02-19 2000-09-08 General Electric Co <Ge> X線管ケーシング用の鉛表面皮膜
KR200321437Y1 (ko) * 2003-04-30 2003-07-28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이동형 방사선 차폐장치
KR20090050375A (ko)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포스콘 조립이동식 방사선 차폐 건물
CN201426728Y (zh) * 2009-04-01 2010-03-24 张松华 医用x射线移动式床旁机防护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3333A (ja) * 1999-02-19 2000-09-08 General Electric Co <Ge> X線管ケーシング用の鉛表面皮膜
KR200321437Y1 (ko) * 2003-04-30 2003-07-28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이동형 방사선 차폐장치
KR20090050375A (ko)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포스콘 조립이동식 방사선 차폐 건물
CN201426728Y (zh) * 2009-04-01 2010-03-24 张松华 医用x射线移动式床旁机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4198A (ko) 원자력 증기 발생기 지지 및 정렬 구조
KR102075535B1 (ko) 이동형 방호 차폐장치
JP6708619B2 (ja) モジュラ可搬キャスク移送設備
KR101534675B1 (ko) 원자로 압력용기 원격 해체 작업용 로봇 시스템
KR102637911B1 (ko) 운반, 회전, 및/또는 검사를 위한 캐니스터 이동 어셈블리
JP5914203B2 (ja) 解体方法、解体補助装置
JP5921263B2 (ja) 鉄筋籠の建て込み装置及び建て込み方法
CN109036606A (zh) 一种移动式铅屏
KR101730211B1 (ko) 제어봉 이송 장치
JP4432112B2 (ja) 原子炉圧力容器の解体工法
CN107854779A (zh) 一种scara结构的放射治疗用机器人治疗床
CN109578040B (zh) 带导向支撑的掘进临时支护设备
JPS60152990A (ja) 核燃料棒の持ち上げ装置
CN111295066A (zh) 自抬降机柜及其移动系统
JP6651823B2 (ja) マニピュレータ装置
CN212249075U (zh) 一种可调节移动式操作平台
EP3660863A1 (en) Mobile equipment for measuring structural deformation of nuclear fuel assembly
JP6228711B1 (ja) 電柱元穴建替用架線物仮移設工具
JP4088796B2 (ja) 原子炉圧力容器の解体工法
JPH11147607A (ja) 伸縮可能な移動ベルトコンベアー
CN208541706U (zh) 一种scara结构的放射治疗用机器人治疗床
KR101906855B1 (ko) 이동형 핵연료 집합체 구조 변형 측정장비의 스탠다드
CN213505666U (zh) 井下起吊装置
KR101105283B1 (ko) 크레인 이동 장치
RU113057U1 (ru) Тракт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канала ядерного уран-графитового реак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