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886B1 -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886B1
KR102074886B1 KR1020190119302A KR20190119302A KR102074886B1 KR 102074886 B1 KR102074886 B1 KR 102074886B1 KR 1020190119302 A KR1020190119302 A KR 1020190119302A KR 20190119302 A KR20190119302 A KR 20190119302A KR 102074886 B1 KR102074886 B1 KR 10207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wder
piston
cylind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환코스텍
임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환코스텍, 임대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환코스텍
Priority to KR102019011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로 인입 고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상단 외주연측을 감싸며 상기 용기와 결합 고정되는 내부캡; 상기 내부캡 내부에 인입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어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상방측에 구비되어 피스톤의 푸싱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되, 중앙 저면으로 이어지는 푸싱관을 통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푸싱버튼; 상기 피스톤의 중앙 하단측에 구비되어 용기 내부 분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디스크밸브; 를 제공하여,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파우더 등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서 펌핑 수단의 펌핑에 의해 분말 내용물이 용기를 바로 세우거나 거꾸로 사용하더라도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되 외부로 정량 토출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와,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분말내용물이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분말내용물이 산화에 의한 변색 및 고형화 되는 문제점 등을 해소하고 오랜기간동안 분말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Description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Containers with pumping structure capable of quantitative discharge of powder contents}
본 발명은 파우더 등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피스톤의 펌핑 작동에 따라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파우더 등의 분말 내용물이 실린더측으로 유입 충진 된 후, 디스크밸브의 개폐에 따라 정량의 토출되어 사용되도록 하는 파우더 등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일종인 파우더, 미세한 소금가루, 밀가루, 후추가루 등 가루 형태의 내용물은 통상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통상 가루 형태의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토출시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상단부분을 개폐하고 있는 뚜껑 부위를 개방 한 후 토출구를 통하여 사용되고 있다.
가루 형태의 내용물이라 하더라도 공기와의 접촉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변색등이 이루어지거나 수분 등을 흡수하게 되어 변형 또는 고형화되는 경우도 발생되고 산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장품 등으로 사용되는 파우더의 경우 미세한 미분말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데, 외부 공기와의 노출 환경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경우 산화 및 고형화됨으로 인하여 사용을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 등을 감안하여,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파우더를 간단하게 스프레이 방식으로 사용자 피부에 직접 분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파우더 토출 용기 구조인 국내 특허등록 제 10-1378719 호가 제시되고 있다.
상기한 특허의 경우, 파우더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항상 용기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사용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용기를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는 파우더의 외부 배출이 불가능하다.
국내 특허등록 제 10-1378719 호 (2014년03월27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파우더 등을 포함하여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서 펌핑 수단의 펌핑에 의해 분말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정량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거나 또는 똑바로 세워 사용하더라도 펌핑 작동에 의해 분말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정량 배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말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로 인입 고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상단 외주연측을 감싸며 상기 용기와 결합 고정되는 내부캡;
상기 내부캡 내부에 인입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어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상방측에 구비되어 피스톤의 푸싱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되, 중앙 저면으로 이어지는 중앙관을 통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푸싱버튼;
상기 피스톤의 중앙 하단측에 구비되어 용기 내부 분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디스크밸브;
를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파우더 등을 포함하여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서 펌핑 수단의 펌핑에 의해 분말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정량 배출 가능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를 바로 세워서 사용하거나 또는 거꾸로 사용하더라도 펌핑작동에 의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분말내용물이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어, 분말내용물이 산화에 의한 변색 및 고형화 되는 문제점 등을 해소하고 오랜기간동안 분말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도시한 전체적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용기를 분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소를 이루는 피스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피스톤과 디스크밸브를 분리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내부캡을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실린더와 축밸브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개괄적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에 의한 개괄적 정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서 푸싱버튼을 눌러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내용물을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 분말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푸싱버튼을 재차 눌러, 피스톤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실린더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분말내용물을 푸싱버튼의 배출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분말 형태를 갖는 내용물을 수용, 저장하는 용기(100)로부터 적정량 바람직하게는 계량되는 양만큼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용기(10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2 에서 보는 것과 같이 통상의 원통형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0) 내부로 인입되는 실린더(200)와, 용기(100)와 결합 고정되는 내부캡(300)과, 상기 내부캡(300) 내부에서 상하 피스톤 운동하는 피스톤(400)과, 상기 피스톤(400)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푸싱버튼(500)과, 상기 푸싱버튼(500)의 동작에 따라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이 푸싱버튼(500)의 중앙 하방에 연하여 이어지는 푸싱관(5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분말의 이동 경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디스크밸브(600)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700은 외부캡이다.
상기 실린더(200)는 상기 용기(100) 내부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도 6 내지 도 7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단 외주연부가 원판형태를 이루는 테두리부(210)와, 상기 테두리부(210)의 내측 내주연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이어지는 실린더본체의 하단측으로 연하여 연결되어 용기(100) 내부의 분말 내용물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입관로(2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실린더(2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용기(100) 내부에 인입 고정되는 것으로, 푸싱버튼(500)의 펌핑 작동에 의해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의 내용물이 실린더(200) 내부에 1차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푸싱버튼(500)의 반복적인 펌핑 작동에 따라 실린더(200)에 1차 저장되어 있는 분말 가루를 푸싱버튼(500)의 푸싱관(510) 내부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실린더(200)는 도면에서 보듯이 상하로 개방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00)의 테두리부(210)는 후술하게 되는 내부캡(300)의 하단측 부위와 접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내부캡(300)과 용기(100)간 결합에 의해 상기 실린더(200)는 용기(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200)의 하단부측은 전술한 것과 같은 흡입관로(220)를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200)의 흡입관로(220)는 도 6 내지 도 7과 도 12 에서 보는 것과 같이 흡입관로(220) 중앙으로 삽입 되는 축밸브(230)를 구성하고, 상기 흡입관로(220) 하단부는 다수개의 분말흡입통구(221)를 구성하여,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 가루 등이 피스톤(400)의 펌핑 작동에 따라 실린더(200) 내부로 유동되어 1차 저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축밸브(2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00)의 하단부측으로 구비되는 흡입관로(220) 중앙으로 삽입 되어 상하 유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축밸브(230)의 상단부가 상기 피스톤(400)의 하단부로 연하여 형성되는 피스톤가이드(420)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피스톤(40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가이드(420) 내부에 인입되어 있는 축밸브(230) 상단부의 상하 유동에 의해 축밸브(230)의 하단부가 상기 흡입관로(220) 내부면과 접하거나 이격되어 용기(100) 내부 분말 내용물의 인입 및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200)의 하단부측으로 구비되는 흡입관로(220) 하단부는 다수개의 분말흡입통구(22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로(220)의 중앙부는 축관되도록 테이퍼부(222)를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부(222)의 테이퍼면(223)에 상기 축밸브(230)의 단부측이 긴밀하게 접하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축밸브(230)의 하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면(223)과 긴밀하게 접촉 및 탈락되도록 하여 피스톤(400)의 동작에 따라 흡입관로(220)의 분말흡입통구(221)를 통하여 용기(100) 내부의 분말 내용물이 실린더(200)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밸브(230)의 상부측 축봉(231)은 피스톤(400)의 피스톤가이드(420)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봉(231) 하단부측에서 연하여 확관되는 형태의 확장부(232)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부(232)의 외주면 등간격 위치를 따라 돌부(233)를 형성하고, 상기 돌부(233)의 단부측 외측으로 돌출단턱부(234)를 구성한다.
상기 돌출단턱부(234)는 흡입관로(220)의 단턱(224)에 의해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확장부(232)의 행정구간은 상기 실린더(200)의 흡입관로(220)에서 상기 테이퍼부(222)와 흡입관로(220) 내주면 상단에 돌출되는 단턱(224)으로 한정한다.
따라서 피스톤(400)의 하강 운동에 의해 외기가 실린더(200) 내부로 인입될 때에는 확장부(232)의 단부가 상기 실린더(200)의 흡입관로(220) 테이퍼면(223)과 접하게 되어, 상기한 외기는 용기(10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반대로 피스톤(400)의 상승 운동에 의해 실린더(200) 내부의 공기가 피스톤(400) 중앙의 통로를 거쳐 배출될 때에는 상기 축밸브(230)의 축봉(231)이 피스톤가이드(420) 내부를 통하여 상승함과 동시에 확장부(232)의 단부도 상기한 테이퍼면(223)으로부터 단락되어 상기 흡입관로(2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분말흡입통구(221)를 통하여 용기(100) 내부의 분말이 흡입관로(220)를 통하여 실린더(200)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반복 수행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200)의 흡입관로(220) 테이퍼부(222)와 흡입관로(220) 내주면 상단에 돌출되는 단턱(224) 사이에 상기 축밸브(230)의 확장부(232)가 위치되어 상하 행정구간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400)의 운동에 따라 축밸브(230)가 상하로 승하강할 때 상기 축밸브(230)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확장부(232)의 단부가 전술한 흡입관로(220)의 테이퍼부(222) 내측 테이퍼면(223)과 접하거나 또는 단락되어 용기(100) 내부 분말이 흡입관로(220)측으로 인입되거나 차단되는데, 분말의 인입시 상기 흡입관로(220)를 통하여 실린더(200) 내부로 인입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확장부(232)의 외주면으로 등간격 이격 돌출되는 돌부(233)와 돌부(233) 사이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공간(235)을 통하여 실린더(200) 내부로 분말이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내부캡(300)은 상기 실린더(200) 상단 외주연측을 감싸며 상기 용기(100)와 결합 고정되는 구성이다.
상기 내부캡(300)과 용기(100) 상단의 외주면과는 나사 등의 체결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내부캡(300)과 용기(100)간의 결합에 의해 전술한 실린더(200)를 용기(100) 내부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린더(200) 내부로 유입된 분말이 실린더(200) 내부에 1차 저장된 상태에서, 피스톤(400)의 펌핑 작용에 의해 실린더(200) 내부 분말이 피스톤(400)의 중앙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부캡의 저면에 이동공(340)을 천공하게 된다.
즉, 도 5 및 도 8 등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내부캡(300)은 피스톤(400)이 내합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310), 상기 몸체부(310) 하단저면횡단부재(320)의 중앙에 천공되는 중앙통공(330), 상기 중앙통공(330)을 중심으로 다수개 천공되어 실린더(200)에 1차 저장된 분말을 유입되는 외기압에 의해 피스톤(400)의 중앙 통로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이동공(340)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단저면횡단부재(320)의 이동공(340) 외측 영역 하단으로 수직상 연결되는 삽입부(350)를 구성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테두리부(210) 내측면과 접하며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20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내부캡(300) 내부에 인입되어 탄성부재(460)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200) 내부로 상하 운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면부호 470은 피스톤(400)의 저면에 구성되어 피스톤(400) 상하 운동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이다.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푸싱버튼(500)의 압력 제공 즉, 사용자가 푸싱버튼(500)을 반복적으로 누르며 상기 피스톤(400)이 실린더(200) 내부로 상하 운동되도록 하는 것인바, 피스톤(400) 전체가 실린더(200) 내부에서 상하 운동하는 것은 아니며 피스톤(400)의 일요소인 피스톤가이드(420)가 실린더(200) 내부에서 상하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피스톤(400)은 도 3 내지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부부재(401)의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하여 이어지는 중공 형태의 중앙관(410)과, 상기 중앙관(410) 하단으로부터 연하여 이어지며 상기 실린더(200) 내부측으로 인입되는 것으로 상부측에 분말유도공(421)이 천공되는 피스톤가이드(420)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400)의 상하 운동은 푸싱버튼(500)의 누름 동작에 따라 하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앙관(410)의 상부 내측면에 푸싱단턱(4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관(410)과 피스톤가이드(420) 사이가 연통되도록 하며 구획되는 구획부재(450)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부재(450) 상면에 디스크밸브(600)가 안착 고정된다.
상기 디스크밸브(600)의 고정성을 위해 구획부재(450) 상면에 디스크밸브(600)의 높이에 해당되는 영역으로 내합단턱(44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밸브(600)는 구획부재(450)와 내합단턱(440) 사이에 게재되어 고정된다.
상기 피스톤(400)의 중앙관(410) 외주면으로는 탄성부재(460)를 탄지하여, 피스톤(400)의 상부부재(401)와 내부캡(300)의 하단저면횡단부재(320) 사이에서 푸싱버튼(500)의 누름동작에 따라 피스톤(400)이 하방향으로 하강된 후 푸싱버튼(50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460)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400)이 원위치로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460)는 스프링으로 구성한다.
상기 푸싱버튼(500)은 상기 피스톤(400) 상방측에 구비되어 피스톤(400)의 푸싱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푸싱버튼(500) 저면으로 이어지는 푸싱관(510)을 통하여 용기(100) 내부의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푸싱버튼(500)은 중앙으로 푸싱관(510)을 형성하고, 상기 푸싱관(510)의 상부측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지는 배출통로(511)가 구성되며, 상기 푸싱관(510)은 상기한 피스톤(400)의 중앙관(410)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푸싱단턱(430)과 접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밸브(600)는 상기 피스톤(400)의 중앙 하단측에 구비되어 용기 내부 문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피스톤(400)의 구획부재(450) 상면과 상기 피스톤(400)의 중앙관(410)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내합단턱(440) 사이에 게재된다.
이러한 디스크밸브(600)는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외측으로 둥근 원형태의 외벽체(610)와, 상기 외벽체(610) 내부에 구비되는 체크변(620)과, 상기 외벽체(610)의 내주면과 상기 체크변(620)의 외주면간을 연결하는 연결리브(6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크밸브(60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리브(630)와 연결리브(630) 사이에는 공간부(640)를 형성하여 연성의 연결리브(630)에 의해 상기 체크변(620)과 외벽체(610)간을 연결하게 되며, 상기 체크변(620)의 상하 위치 변위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연결리브(630)가 상하 운동하여 체크변(620)의 원상복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연결리브(630)는 탄성적 운동의 변위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외벽체(610)의 내주면에 일단측이 일체로 연결되는 직선형태의 제1연결부(631)와, 상기 제1연결부(631)의 단부로부터 원호형태로 이어지는 원호연결부(632)와, 상기 원호연결부(632)의 단부측에서 상기 체크변(620)의 외주면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직선형태의 제2연결부(63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용기(100) 내부에는 분말 형태의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기 분말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장품용으로 사용되는 파우더는 물론, 후추가루나 소금가루와 같은 식자재용품으로 제공되는 분말 형태의 것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는 분말내용물을 용기(100) 외부로 토출시켜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푸싱버튼(500)을 누르게 되면 피스톤(400)의 중앙관(410) 내면의 푸싱단턱(430)과 접하고 있는 푸싱버튼(500)의 푸싱관(510)에 의해, 상기 피스톤(40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최초 작동시에는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는 분말내용물이 실린더(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최초 작동 상태에서 피스톤(40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피스톤(400)과 내부캡(300)사이의 공기가 상기 내부캡(300)의 하단저면횡단부재(320)에 천공되어 있는 이동공(340)을 통하여 실린더(200) 내부로 유입된 후 피스톤가이드(420)의 분말유도공(421)을 통하여 디스크밸브(600)의 체크변(620)을 들어올려 푸싱버튼(500)의 푸싱관(510)을 통하여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실린더(200) 내부에 분말 내용물이 1차 저장되지 않는 상태에서 푸싱버튼(500)의 최초 작동이 이루어진 후 상기 푸싱버튼(500)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푸싱버튼(500)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6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게 된다.
푸싱버튼(500)이 상승하게 되면, 용기(100) 내부의 분말내용물이 실린더(200) 하단부의 흡입관로(220) 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분말흡입통구(221)를 통하여 상기 흡입관로(220) 내부로 유입되면서 흡입관로(220)의 테이퍼면(223)과 접하고 있는 축밸브(230)의 확장부(232)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축밸브(230)가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지면 축밸브(230)의 축봉(231)은 피스톤(400)의 피스톤가이드(420) 내측으로 더욱 삽입되는 형태를 취하면서, 상기 확장부(232)의 단부측과 상기 테이퍼면(223)이 이격되어 그 이격틈을 통하여 분말내용물이 실린더(200)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테이퍼면(223)으로부터 확장부(232)가 이격되면 확장부(232)의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부(233)와 돌부(233)간의 공간(235)을 통하여 실린더(200) 내부로 유입된다.
실린더(200) 내부로 분말내용물이 유입되는 동안에는 디스크밸브(600) 상면으로 외기압이 존재하게 되어 디스크밸브(600)의 체크변(620)은 피스톤(400)의 구획부재(450)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451)(즉, 중앙관(410)과 피스톤가이드(420)간을 연통시키는 구멍)을 통하여 실린더(2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캡(300)의 이동공(340)을 통하여 피스톤(400)과 내부캡(30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는 실린더(200) 내부로 분말내용물이 유입되어 1차 저장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실린더(200) 내부에 분말내용물이 1차 저장된 상태에서, 도 1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다시 푸싱버튼(500)을 눌러 압력을 가하게 되면 내부캡(300) 내부의 공기가 내부캡(300) 저면으로 천공되어 있는 이동공(340)을 통하여 실린더(20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그 공기압에 의해 축밸브(230)는 하강하여 축밸브(230) 하단의 확장부(232) 단부가 흡입관로(220)의 테이퍼면(223)과 접하여 상기 실린더(200)에 1차 저장되어 있는 분말내용물이 역이동되어 용기(100) 내부로 역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200)에 1차 저장되어 있는 분말내용물은 피스톤가이드(420) 상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분말유도공(421)을 통하여 실린더(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디스크밸브(600)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디스크밸브(600)측으로 유동되는 분말내용물은, 디스크밸브(600)의 체크변(620)을 들어올리게 된다.
체크변(620)과 외벽체(6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리브(630)는 연성재질로 구성되므로, 체크변(620)의 하방측에서 상방측으로 가해지는 분말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체크변(620)이 들어올려지는 순간, 연결리브(630)와 연결리브(630)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640)를 통하여 분말내용물이 피스톤(400)의 중앙관(410)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중앙관(410) 내부로 유입된 분말내용물은 상기한 디스크밸브(600)에 의해 역이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중앙관(410) 내부에 잔존하게 되며, 푸싱버튼(500)의 누름동작에 따라 상기 중앙관(410) 내부의 분말내용물은 푸싱버튼(500)의 푸싱관(510) 내부를 따라 상승이동되어 상기 푸싱관(510)의 상단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출통로(5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푸싱버튼(500)을 누를 때마다 피스톤(400)의 중앙관(41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분말내용물은 디스크밸브(600)를 통하여 푸싱버튼(500)의 푸싱관(510) 내부로 진입된 후 배출통로(511)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상기 중앙관(410)의 체적에 해당되는 분말내용물 이상을 초과하여 배출할 수 없게 되고, 푸싱버튼(500)의 상하 행정거리에 해당되는 체적만큼만 외부로 배출되므로 분말내용물의 정량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용기
200; 실린더
210; 테두리부 220; 흡입관로
221; 분말흡입통구 222; 테이퍼부
223; 테이퍼면 230; 축밸브
231; 축봉 232; 확장부
233; 돌부 234; 돌출단턱부
235; 공간
300; 내부캡
310; 몸체부 320; 하단저면횡단부재
330; 중앙통공 340; 이동공
350; 삽입부
400; 피스톤
401; 상부부재 410; 중앙관
420; 피스톤가이드 421; 분말유도공
430; 푸싱단턱 440; 내합단턱
450; 구획부재 451; 구멍
460; 탄성부재 470; 실링부재
500; 푸싱버튼
510; 푸싱관 511; 배출통로
600; 디스크밸브
610; 외벽체 620; 체크변
630; 연결리브 631; 제1연결부
632; 원호연결부 633; 제2연결부
630; 공간부
700; 외부캡

Claims (15)

  1. 분말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로 인입 고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상단 외주연측을 감싸며 상기 용기와 결합 고정되는 내부캡;
    상기 내부캡 내부에 인입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어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상방측에 구비되어 피스톤의 푸싱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되, 중앙 저면으로 이어지는 푸싱관을 통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푸싱버튼;
    상기 피스톤의 중앙 하단측에 구비되어 용기 내부 분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디스크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단 외주연부가 원판형태를 이루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 내주연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이어지는 실린더본체의 하단측으로 연하여 연결되어 용기 내부의 분말 내용물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입관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측으로 구비되는 흡입관로 하단부는 다수개의 분말흡입통구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측으로 구비되는 흡입관로 중앙으로 삽입 되어 상하 유동 가능하게 되는 축밸브;
    상기 축밸브의 상단부가 상기 피스톤의 하단부로 연하여 형성되는 피스톤가이드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피스톤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가이드 내부에 인입되어 있는 축밸브 상단부의 상하 유동에 의해 축밸브의 하단부가 상기 흡입관로 내부면과 접하거나 이격되어 용기 내부 분말 내용물의 인입 및 차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측 흡입관로 중앙부위를 축관 형성시키는 테이퍼부;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측으로 구비되는 흡입관로 중앙으로 삽입 되어 상하 유동 가능하게 되는 축밸브의 단부가 상기 테이퍼부의 내측 테이퍼면과 긴밀하게 접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피스톤가이드 내부로 삽입 되도록 구성되는 축봉;
    상기 축봉의 하단부측에서 연하여 확관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 외주면으로 등간격 위치를 따라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부;
    상기 돌부 단부측 외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돌출단턱부; 로 이루어지는 축밸브를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행정구간은 상기 실린더의 흡입관로 중앙부에 형성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흡입관로 내주면 상단에 돌출되는 단턱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피스톤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하 승강되는 것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은 피스톤이 내합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위를 가로지르는 하단저면횡단부재;
    상기 하단저면횡단부재의 중앙에 천공되는 중앙통공;
    상기 중앙통공을 중심으로 다수개 천공되어 실린더에 1차 저장된 분말을 유입되는 외기압에 의해 피스톤의 중앙 통로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이동공;
    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하여 이어지는 중공 형태의 중앙관;
    상기 중앙관 하단으로부터 연하여 이어지며 상기 실린더 내부측으로 인입되는 것으로 상부측에 분말유도공이 천공되는 피스톤가이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피스톤의 하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중앙관 상부 내측면에 상기 푸싱버튼의 푸싱관과 접하는 푸싱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부부재 중앙 수직하방으로 형성되는 중앙관과 상기 실린더 내부로 인입되는 피스톤가이드간을 연통되도록 하며 구획되는 구획부재 상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크밸브의 높이에 해당되는 상기 중앙관의 내측면 위치에 내합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디스크밸브가 안착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119302A 2019-09-27 2019-09-27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KR10207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302A KR102074886B1 (ko) 2019-09-27 2019-09-27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302A KR102074886B1 (ko) 2019-09-27 2019-09-27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886B1 true KR102074886B1 (ko) 2020-02-07

Family

ID=6957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302A KR102074886B1 (ko) 2019-09-27 2019-09-27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8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858A (ja) * 1998-12-24 2000-07-11 Yoshino Kogyosho Co Ltd パウダー噴出器
JP2004106885A (ja) * 2002-09-18 2004-04-08 Puresuko Kk 発泡ポンプを備えた液体容器
JP2013028350A (ja) * 2011-07-27 2013-02-07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定量注出容器
KR101378719B1 (ko) 2014-01-24 2014-03-27 (주)연우 파우더 토출 용기
JP2014525877A (ja) * 2011-06-27 2014-10-02 プロメンズ エス アー ペースト状の液体材料を低圧で計量分配する装置を閉塞する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858A (ja) * 1998-12-24 2000-07-11 Yoshino Kogyosho Co Ltd パウダー噴出器
JP2004106885A (ja) * 2002-09-18 2004-04-08 Puresuko Kk 発泡ポンプを備えた液体容器
JP2014525877A (ja) * 2011-06-27 2014-10-02 プロメンズ エス アー ペースト状の液体材料を低圧で計量分配する装置を閉塞するシステム
JP2013028350A (ja) * 2011-07-27 2013-02-07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定量注出容器
KR101378719B1 (ko) 2014-01-24 2014-03-27 (주)연우 파우더 토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68827B (zh) 粉体吐出容器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CN211076962U (zh) 喷雾泵
CN211077083U (zh) 喷雾泵
US11833533B2 (en) Pump container
CN211070537U (zh) 喷雾泵
EP3123897A2 (en)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776183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1900419B1 (ko) 이중 용기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101907778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2074886B1 (ko) 분말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펌핑구조를 갖는 용기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KR101817163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KR102125611B1 (ko) 펌프 용기
KR10205911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05398Y1 (ko)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CN111372689A (zh) 粉末吐出容器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CN111819006B (zh) 孔口及包括其的喷雾容器
US10737870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KR101893396B1 (ko)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CN114786530B (zh) 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