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610B1 -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610B1
KR102074610B1 KR1020190031300A KR20190031300A KR102074610B1 KR 102074610 B1 KR102074610 B1 KR 102074610B1 KR 1020190031300 A KR1020190031300 A KR 1020190031300A KR 20190031300 A KR20190031300 A KR 20190031300A KR 102074610 B1 KR102074610 B1 KR 10207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er
time
attenda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102019003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은,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근로자의 출, 퇴근 시 근로자별 식별코드의 입력 및 얼굴 촬영을 통해 근로자별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근태 인식 단말기;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근태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당일 근무시간 및 누적 근무시간에 대한 근태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표준근무시간에 대한 근무시간 기준정보가 기 설정 저장되며,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해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는 수신하고 상기 근무시간 기준정보는 전송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SYSTEM FOR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COMPRISING WORK HOURS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는 경영 정보 시스템(MIS)의 한 종류로서, 기업의 제반 요소를 통합하고 기업 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업 내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통합정보시스템을 의미한다.
회계, 원가, 영업, 구매, 자재, 생산, 품질, 설비, 자금, 투자, 프로젝트 관리 부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 및 재무 효율의 확연한 상승을 보임은 물론이고, 업무 결과 및 경영 성과의 개선 수준에 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다.
최근 근로자의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사회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근로자의 근무 시간과 관련하여 근로기준법에서는 법정근로시간을 1일 8시간, 1주 40시간, 1주 연장근로한도 12시간으로 규정하고, 법적으로 가능한 1주당 최대 근로시간은 52시간(휴일근로 포함)이며, 초과 시 가산수당을 지급함과 무관하게 근로시간 제한 규정을 위반한 것이 되어 처벌을 받게 되도록 개정되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단순히 근로자의 근태 현황을 관리, 감독함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근로자의 근무시간에 대한 실시간 정보의 획득과 더불어 근로자의 근무시간 초과 사실에 대한 즉각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의 제공 및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근로자의 근무시간을 관리, 감독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7966호의 "비콘을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근태관리 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의 경우, 단순히 근로자별 근무시간에 대한 정보만을 획득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데 그쳐 즉각적으로 근로자가 기준 근무시간을 초과 시 관리자의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더욱이 시스템 자체적으로 능동적이며 효과적인 근무시간 초과 근로자에 대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작업현장에 배치되는 근로자들 모두에 대한 근태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근로자의 기준 근무시간의 초과 사실을 빠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을 시스템적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은,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근로자의 출, 퇴근 시 근로자별 식별코드의 입력 및 얼굴 촬영을 통해 근로자별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근태 인식 단말기;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근태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당일 근무시간 및 누적 근무시간에 대한 근태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일 단위,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표준근무시간에 대한 근무시간 기준정보가 기 설정 저장되며,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해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는 수신하고 상기 근무시간 기준정보는 전송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 및 상기 관리 단말 간에 구축된 통신망을 통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근태 인식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근태정보를 생성하는 근태정보 생성부;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근로자별로 구분하여 저장 관리하는 서버 저장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수신된 근무시간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 저장부 내 근로자별 근태정보를 비교하여 근무시간 초과자를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근무시간 초과자의 초과근무 알림 및 출역 제한을 위한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초과근무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초과근무 판단부를 통해 생성된 알림정보를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 및 상기 관리 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는, 근태 인식 단말기 일측에 마련된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 근로자가 식별코드를 입력함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식별정보 생성부;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를 통해 식별정보가 생성될 시 활성화되어 근태 인식 단말기 일측에 마련된 촬영 모듈을 통해 근로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얼굴 사진 및 촬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활성화에 기반이 된 식별정보와 촬영을 통해 획득한 얼굴 사진 및 촬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근로자별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출입정보 생성부; 및 상기 출입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출입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 통신부로부터 알림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알림정보를 저장 관리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 관리되는 알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출역 판단부; 및 상기 제1출역 판단부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됨이 판단될 경우,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 일측에 마련된 정보 출력 모듈에 해당 근무시간 초과자의 알림정보를 출력시키는 제1출역 제어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출역 제어부는 상기 제1출역 판단부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됨이 판단될 경우,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를 통해 식별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출입정보 생성부를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상기 관리 단말은, 일 단위,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표준근무시간에 대한 근무시간 기준정보가 기 설정 저장되는 근무시간 기준 설정부; 상기 서버 통신부에 상기 근무시간 기준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 통신부로부터 상기 알림정보와 근로자별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알림정보와 근로자별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 관리된 근로자별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출력시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알림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알림정보를 출력시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관리 단말은,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 관리된 근로자별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출역명세서를 생성하거나, 상기 관리 단말의 입력 신호에 따라 근로자별 출역명세서를 생성하는 출역명세서 생성부;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 관리되는 알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역명세서 생성부를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출역명세서의 대상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출역 판단부; 및 상기 제2출역 판단부를 통해 상기 출역명세서 생성부를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출역명세서의 대상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됨이 판단될 경우, 상기 출역명세서 생성부를 통한 근무시간 초과자의 출역명세서 생성을 제한시키는 제2출역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근로자별 출, 퇴근 사진, 출, 퇴근 시간, 근무 시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쉽고 한눈에 파악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근로자별 기준 근무 시간 대비 근무 시간의 초과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쉽고 한눈에 파악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근로자별 기준 근무 시간 대비 근무 시간의 초과가 발생한 근로자의 출역을 효과적이고 빠르게 제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내 관리 단말을 통한 알림 정보의 출력 형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내 관리 단말을 통한 알림 정보의 확인 및 설정변경을 위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내 관리 단말을 통한 알림 정보의 출력 형태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설명>
먼저, 본 발명의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이하에서 도1의 구성도 및 도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태 인식 단말기(110); 관리 서버(120) 및 관리 단말(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근태 인식 단말기(110)와 관리 서버(120), 관리 서버(120)와 관리 단말(13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어 상호 정보 및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체 시스템을 구축한다.
실시에 따라서는, 근태 인식 단말기(110)와 관리 단말(130)이 관리 서버(120)를 통한 중계 장치 없이 직접적으로 상호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여 상호 정보 및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근태 인식 단말기(110)는 작업현장(wp)에 설치되어 근로자의 출, 퇴근 시 근로자별 식별코드의 입력 및 얼굴 촬영을 통해 근로자별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근로자의 등록 및 식별 등에 필요한 각종 정보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같은 정보 입력 모듈(110K)과 캠과 같은 촬영 모듈(110C), 그리고 디스플레이 혹은 스피커와 같이 다양한 정보의 출력을 위한 정보 출력 모듈(110D)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에 따라서는 정보 입력 모듈(110K)과 정보 출력 모듈(110D)이 터치 스크린으로 통합 형성되어 근태 인식 단말기(110) 일측에 설치되어 정보 입, 출력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모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근로자는 작업현장(wp)에 출근 또는 작업현장(wp)으로부터 퇴근시, 작업현장(wp) 입구에 설치된 근태 인식 단말기(110)에 자신의 신분을 대표하는 주민번호, 관리번호, 운전면허번호 등과 같은 식별코드를 키패드 혹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정보 입력 모듈(110K)에 입력한 뒤, 승인되면 촬영 모듈(110C)을 통해 자신의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근태 인식 단말기(110)에 생성 기록 시킨다.
이를 위해, 근태 인식 단말기(110)는 식별정보 생성부(111), 출입정보 생성부(112), 제1통신부(113), 제1저장부(114), 제1출역 판단부(115), 제1출역 제어부(116)를 포함한다.
우선, 식별정보 생성부(111)는 근태 인식 단말기(110) 일측에 마련된 정보 입력 모듈(110K)을 통해 근로자가 식별코드를 입력함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출입정보 생성부(112)는 식별정보 생성부(111)를 통해 식별정보가 생성될 시 활성화되어 근태 인식 단말기 일측에 마련된 촬영 모듈을 통해 근로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얼굴 사진 및 촬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출입정보 생성부(112)는 출입정보 생성부(112)의 활성화에 기반이 된 식별정보와 촬영을 통해 획득한 얼굴 사진 및 촬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근로자별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출입정보 생성부(112)가 생성하는 출입정보는 근로자의 식별정보와 해당 근로자의 출근 사진, 퇴근 사진, 출근 시간 및 퇴근 시간에 대한 정보가 페어링되어 하나의 정보 단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제1통신부(113)는 아래 설명될 관리 서버(120)의 서버 통신부(121)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출입정보 생성부(112)를 통해 생성된 출입정보를 서버 통신부(121)에 전송하며, 서버 통신부(121)로부터 아래 설명될 알림정보를 수신한다.
아울러, 제1저장부(114)는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알림정보를 저장 관리는 근태 인식 단말기(110)의 데이터베이스이다.
다음으로, 제1출역 판단부(115)는 제1저장부(114)에 저장 관리되는 알림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정보 생성부(111)를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제1출역 판단부(115)는 근로자가 작업현장(wp)에 출근 또는 작업현장(wp)으로부터 퇴근 시 근태 인식 단말기(110)의 정보 입력 모듈(110K)에 식별코드를 입력하여 식별정보 생성부(111)를 통해 식별정보가 생성되면, 우선적으로 생성된 해당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제1출역 제어부(116)는 제1출역 판단부(115)를 통해 식별정보 생성부(111)를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됨이 판단될 경우, 근태 인식 단말기(110) 일측에 마련된 정보 출력 모듈(110D)에 해당 근무시간 초과자의 알림정보를 출력시킨다.
아울러, 제1출역 제어부(116)는 제1출역 판단부(115)를 통해 식별정보 생성부(111)를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됨이 판단될 경우, 알림정보의 출력과 함께 식별정보 생성부(111)를 통해 식별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출입정보 생성부(112)를 비활성화시켜 근무시간 초과자의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관리 서버(120)는 근태 인식 단말기(110)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당일 근무시간 및 누적 근무시간에 대한 근태정보를 생성하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120)는 서버 통신부(121), 근태정보 생성부(122), 서버 저장부(123) 및 초과근무 판단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 통신부(121)는 근태 인식 단말기(110)의 제1통신부(113) 및 관리 단말(130)의 제2통신부(132) 간에 구축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근태정보 생성부(122)는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근태 인식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근태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근태정보 생성부(122)를 통해 생성되는 근태정보는 출입정보의 출근 시간 및 퇴근 시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정보 생성일 기준 당일 근무 시간 및 누적 근무시간을 산정하고, 이와 같은 근무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출입정보 내 근로자의 식별정보와 페어링되어 연계되어 있다.
또한, 서버 저장부(123)는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근로자별로 구분하여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이다.
마지막으로, 초과근무 판단부(124)는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관리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근무시간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 저장부(123) 내 근로자별 근태정보를 비교하여 근무시간 초과자를 선별하고, 선별된 근무시간 초과자의 초과근무 알림 및 출역 제한을 위한 알림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초과근무 판단부(124)는 근무시간 기준 정보에 설정된 기준 기간 단위와 기준 표준근무시간을 토대로 해당 기준 기간 단위 내 근태정보의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근로자의 해당 근태정보가 나타내는 누적 근무시간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시간의 초과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선별된 근무시간 초과자의 초과근무 알림 및 출역 제한을 위한 알림정보는 해당 근무시간 초과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초과근무 사실을 알리기 위한 음성, 영상, 발광, 문자, 이미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알림정보를 이용해 근태 인식 단말기(110) 및 관리 단말(130)은 근로자의 초과 근무 사실을 해당 근로자 혹은 관리자에게 음성, 영상, 발광, 문자, 이미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형태로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과근무 판단부(124)를 통해 생성된 알림정보는 서버 통신부(121)에 의해 근태 인식 단말기(110)의 제1통신부(113) 및 관리 단말(130)의 제2통신부(132)에 전송된다.
관리 단말(130)은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표준근무시간에 대한 근무시간 기준정보가 기 설정 저장되며, 관리 서버(120)에 접속해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는 수신하고, 생성된 근무시간 기준정보는 관리 서버(12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관리 단말(130)은 근무시간 기준 설정부(131), 제2통신부(132), 제2저장부(133) 정보 출력부(134), 출역명세서 생성부(135), 제2출역 판단부(136) 및 제2출역 제어부(137)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관리 단말(130)은 관리자를 통한 각종 정보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같은 입력 모듈(130K)과 수신, 입력 및 생성된 정보의 화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30D)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에 따라서는 관리 단말(130)이 스마트 폰 혹은 태블릿 등으로 마련되어 입력 모듈(130K)과 디스플레이 모듈(130D)이 터치 스크린으로 통합 형성됨에 따라, 관리 단말(130)을 통한 정보 입, 출력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모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실시에 따라 관리 단말(130)은 스피커와 같은 또 다른 출력 모듈 역시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근무시간 기준 설정부(131)는 일 단위,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표준근무시간에 대한 근무시간 기준정보가 기 설정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근무시간 기준 설정부(131)는 근무시간 기준정보를 설정 및 생성함에 있어, 기간 단위를 몇 일, 몇 주 또는 몇 달로 정할 것 인지에 대해 관리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기간 단위가 정해지고 나면 해당 기간 단위 내 표준근무시간을 몇 시간으로 정할 것인지에 대해 관리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입력 모듈(130K)을 이용해 근무시간 기준정보의 설정 및 생성 신호를 입력하고, 이를 기반으로 근무시간 기준 설정부(131)는 일 단위,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표준근무시간에 대한 근무시간 기준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근무시간 기준정보는 1주일 기준 52시간 혹은 5일 기준 40시간, 1일 기준 8시간 등으로 설정 가능하다.
더 나아가, 근무시간 기준 설정부(131)는 기간 단위를 몇 주 또는 몇 달로 설정할 시, 기준 시작일과 기준 종료일을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제2통신부(132)는 서버 통신부(121)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여 서버 통신부(121)에 근무시간 기준 설정부(131)를 통해 생성된 근무시간 기준정보를 전송하며, 서버 통신부(121)로부터 알림정보와 근로자별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수신한다.
제2저장부(133)는 제2통신부(132)를 통해 수신되는 알림정보와 근로자별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정보 출력부(134)는 관리 단말(130)의 디스플레이 모듈(130D)에 제2저장부(133)에 저장 관리된 근로자별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출력시켜 정보를 표시함으로서, 관리자가 원하는 근로자의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정보 출력부(13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통신부(132)를 통해 알림정보가 수신될 시 관리 단말(130)의 디스플레이 모듈(130D)에 알림정보를 출력시켜 정보를 표시한다.
아울러, 정보 출력부(134)를 통한 근로자의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의 출력 시점은 관리자가 관리 단말(130)의 입력 모듈(130K)을 이용해 출력 신호를 생성할 시를 기준으로 한다.
이에 비해, 정보 출력부(134)를 통한 알림정보의 출력 시점은 제2통신부(132)를 통해 알림정보가 수신될 시 즉각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0D)에 알림정보를 출력시켜 관리자의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에 따라서는 정보 출력부(134)를 통한 알림정보의 출력 시점을 관리자가 관리 단말(130)의 입력 모듈(130K)을 이용해 해당 근로자의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의 출력을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시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의 출력 전에 우선하여 알림정보가 출력되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로,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근로자들의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의 출력을 제공받음에 있어, 근무시간 초과자인 근로자의 근무 시간에 대한 정보는 붉은색으로 다른 근로자의 근무 시간과 상이하게 표시되어 관리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인 근로자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예로, 도4의 B와 같이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00) 내 관리 단말(130)을 이용해 관리자가 근로자의 각종 정보를 확인함에 있어 출역제한 사항에 대한 컨트롤에 체크 표시가 되는 형태로 알림정보가 반영되어 관리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인 근로자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관리 단말(130)은 자체적으로도 출역제한 설정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관리 서버(120)가 근무시간의 초과상태에 대한 판단 이전에 관리자가 관리 단말(130)을 통해 근무시간의 초과상태에 대한 판단을 완료하거나, 작업현장(wp)에서 문제를 일으키거나 출역을 제한시킬 필요가 있는 근로자가 존재할 경우, 도4의 B와 같이 관리자가 관리 단말(130)의 입력 모듈(130K)을 이용해 출역제한 신호를 생성(근로자의 정보 인터페이스 내 출역제한 사항에 대한 컨트롤에 체크 입력)함에 따라 해당 특정 근로자의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출역명세서 생성부(135)는 제2저장부(133)에 저장 관리된 근로자별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출역명세서를 생성하거나, 관리 단말(130)의 입력 모듈(130K)을 이용한 출역명세서 생성과 관련한 입력 신호에 따라 근로자별 출역명세서를 생성한다.
아울러, 제2출역 판단부(136)는 제2저장부(133)에 저장 관리되는 알림정보를 기반으로 출역명세서 생성부(135)를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출역명세서의 대상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2출역 제어부(137)는 제2출역 판단부(136)를 통해 출역명세서 생성부(135)를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출역명세서의 대상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됨이 판단될 경우, 출역명세서 생성부(135)를 통한 근무시간 초과자의 출역명세서 생성을 비활성화시켜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근로자 중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출역명세서는 관리 단말(130)을 통해 자체적으로 지시에 우선하여 출역명세서를 생성하거나 관리자가 관리 단말(130)의 입력 모듈(130K)을 이용해 출역명세서 생성 신호를 입력할 경우 모두 출역명세서의 생성이 진행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 모듈(130D)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110 : 근태 인식 단말기
111 : 식별정보 생성부 112 : 출입정보 생성부
113 : 제1통신부 114 : 제1저장부
115 : 제1출역 판단부 116 : 제1출역 제어부
110K : 정보 입력 모듈 110C : 촬영 모듈
110D : 정보 출력 모듈
120 : 관리 서버
121 : 서버 통신부 122 : 근태정보 생성부
123 : 서버 저장부 124 : 초과근무 판단부
130 : 관리 단말
131 : 근무시간 기준 설정부
132 : 제2통신부 133 : 제2저장부
134 : 정보 출력부 135 : 출역명세서 생성부
136 : 제2출역 판단부 137 : 제2출역 제어부
130D : 디스플레이 모듈 130K : 입력모듈

Claims (6)

  1.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근로자의 출, 퇴근 시 근로자별 식별코드의 입력 및 얼굴 촬영을 통해 근로자별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근태 인식 단말기;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당일 근무시간 및 누적 근무시간에 대한 근태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일 단위,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표준근무시간에 대한 근무시간 기준정보가 기 설정 저장되며,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해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는 수신하고 상기 근무시간 기준정보는 전송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 및 상기 관리 단말 간에 구축된 통신망을 통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근태 인식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근태정보를 생성하는 근태정보 생성부;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근로자별로 구분하여 저장 관리하는 서버 저장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수신된 근무시간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 저장부 내 근로자별 근태정보를 비교하여 근무시간 초과자를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근무시간 초과자의 초과근무 알림 및 출역 제한을 위한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초과근무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초과근무 판단부를 통해 생성된 알림정보를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 및 상기 관리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는,
    근태 인식 단말기 일측에 마련된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 근로자가 식별코드를 입력함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식별정보 생성부;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를 통해 식별정보가 생성될 시 활성화되어 근태 인식 단말기 일측에 마련된 촬영 모듈을 통해 근로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얼굴 사진 및 촬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활성화에 기반이 된 식별정보와 촬영을 통해 획득한 얼굴 사진 및 촬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근로자별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출입정보 생성부;
    상기 출입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출입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 통신부로부터 알림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알림정보를 저장 관리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 관리되는 알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출역 판단부; 및
    상기 제1출역 판단부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됨이 판단될 경우, 상기 근태 인식 단말기 일측에 마련된 정보 출력 모듈에 해당 근무시간 초과자의 알림정보를 출력시키는 제1출역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출역 제어부는 상기 제1출역 판단부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됨이 판단될 경우,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를 통해 식별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출입정보 생성부를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관리 단말은,
    일 단위,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표준근무시간에 대한 근무시간 기준정보가 기 설정 저장되는 근무시간 기준 설정부;
    상기 서버 통신부에 상기 근무시간 기준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 통신부로부터 상기 알림정보와 근로자별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알림정보와 근로자별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제2저장부;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 관리된 근로자별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출력시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알림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알림정보를 출력시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출력부;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 관리된 근로자별 상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출역명세서를 생성하거나, 상기 관리 단말의 입력 신호에 따라 근로자별 출역명세서를 생성하는 출역명세서 생성부;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 관리되는 알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역명세서 생성부를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출역명세서의 대상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출역 판단부;
    상기 제2출역 판단부를 통해 상기 출역명세서 생성부를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출역명세서의 대상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됨이 판단될 경우, 상기 출역명세서 생성부를 통한 근무시간 초과자의 출역명세서 생성을 제한시키는 제2출역 제어부; 및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한 근무시간의 초과상태에 대한 판단 이전에 관리자가 상기 관리 단말을 통해 근무시간의 초과상태에 대한 판단을 완료하거나 작업현장에서 문제를 일으켜 임의로 출역을 제한시킬 필요가 있는 근로자가 존재할 경우, 관리자가 상기 관리 단말의 입력모듈을 통해 출력제한 신호를 생성함에 따라 해당 근로자의 출역 제한을 위한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출역제한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출력부는 관리자가 관리 단말의 입력 모듈을 통해 근로자별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 출력을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시, 해당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초과자일 경우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해당 근무시간 초과자의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의 출력 전에 우선 알림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관리자가 관리 단말의 입력 모듈을 통해 근로자별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 출력을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함에 따라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해당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근로자별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출력시켜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근태정보 내 누적 근무시간에 대한 정보는 근무시간 초과자에 해당하지 않는 근로자의 근태정보 내 누적 근무시간에 대한 정보와 상이하게 붉은색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31300A 2019-03-19 2019-03-19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KR10207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300A KR102074610B1 (ko) 2019-03-19 2019-03-19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300A KR102074610B1 (ko) 2019-03-19 2019-03-19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610B1 true KR102074610B1 (ko) 2020-02-06

Family

ID=6956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300A KR102074610B1 (ko) 2019-03-19 2019-03-19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6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438B1 (ko) 2020-10-27 2021-05-06 (주)씨아이시스템 초과근무 관리 시스템
KR20220132180A (ko) 2021-03-23 2022-09-30 홍윤환 근무패턴 비교를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
KR20220132893A (ko) 2021-03-24 2022-10-04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근로자의 과로사 방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10B1 (ko) * 2007-10-17 2008-02-12 서진정보통신주식회사 근로자 근태정보와 연계된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JP2016206826A (ja) * 2015-04-20 2016-12-08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勤怠管理システム及び勤怠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10B1 (ko) * 2007-10-17 2008-02-12 서진정보통신주식회사 근로자 근태정보와 연계된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JP2016206826A (ja) * 2015-04-20 2016-12-08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勤怠管理システム及び勤怠管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438B1 (ko) 2020-10-27 2021-05-06 (주)씨아이시스템 초과근무 관리 시스템
KR20220132180A (ko) 2021-03-23 2022-09-30 홍윤환 근무패턴 비교를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
KR20220132893A (ko) 2021-03-24 2022-10-04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근로자의 과로사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610B1 (ko)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JP6937113B2 (ja) 作業現場管理システム
US9123005B2 (en) Method and system to define implement and enforce workflow of a mobile workforce
US9818074B2 (en) Method and system to analyze time stamp location data to produce movement and idle segments
KR101745670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US20130090964A1 (en) Time on Site and Point of Interest Tracker with Privacy Block
KR102178873B1 (ko) 근태 관리 시스템
US10121209B2 (en) Automated employee management techniques
WO2015124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al of personnel attendance
US8971853B2 (en) Method and system to record and visualize type, time and duration of moving and idle segments
US10210482B2 (en) Location verification using networked client peripherals
KR20140034572A (ko) 근태정보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20180039930A1 (en) Real-Time Trade Resource Management System
US20160048795A1 (en) Work cycle management
CN108495096B (zh) 一种移动执法系统及方法
KR20180073146A (ko) It를 활용한 자동근태 체크 및 급여계산
KR20200043306A (ko) 작업장 안전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US9286640B1 (en) Payroll management using networked client peripherals
US201500519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et Accountability Information
JP2017073086A (ja) 携帯端末、予定管理プログラム、及び予定管理サーバ
CN111047749B (zh) 一种门禁权限管理系统及方法
JP6580933B2 (ja) 機能有効化サーバ、機能有効化プログラム、及び予定管理プログラム
JP6614907B2 (ja) 予定管理サーバ、及び予定管理プログラム
KR20210111006A (ko) 원청사, 도급사 및 근로자 간의 인력관리 플랫폼
KR20160053551A (ko) 작업 인력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