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572B1 - 매거진 조립체 - Google Patents

매거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572B1
KR102074572B1 KR1020180040529A KR20180040529A KR102074572B1 KR 102074572 B1 KR102074572 B1 KR 102074572B1 KR 1020180040529 A KR1020180040529 A KR 1020180040529A KR 20180040529 A KR20180040529 A KR 20180040529A KR 102074572 B1 KR102074572 B1 KR 102074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pair
plate
side plates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255A (ko
Inventor
이상명
송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시스템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스템케이 filed Critical (주)시스템케이
Priority to KR102018004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57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측판, 상판, 하판이 일체로 사각 형상을 이루되 전후로 한 쌍의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한 쌍의 측판 내부에는 기판이 수평 적재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된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트레이 매거진; 및 트레이 매거진의 어느 하나의 측판을 둘러싸 이송 대기시 어느 하나의 측판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의 양단을 모두 폐쇄시킬 수 있으며, 공정 라인으로 이송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측판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의 양단을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는 매거진 홀더;를 포함하는 매거진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매거진 홀더를 이용해 매거진 조립체의 출입구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설비의 자동화를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매거진 조립체 {Magazine Assembly}
본 발명은 매거진 내부에 적재된 기판이 매거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화 설비용 매거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 본딩 장치는 인쇄회로기판, 리드 프레임과 같은 기판을 레일로 공급하고, 레일 상을 이동하는 기판에 반도체 칩인 다이를 본딩하는 자동화 설비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동화 라인의 구축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기판을 공정 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는 기판 적재용 매거진이 필요하다. 보통, 하나의 매거진에는 100개 내외의 기판이 적재되는데, 매거진 내부에 적재된 기판이 매거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 출입구에 커버가 각각 설치된다.
예를 들면, 커버는 작업자에 의해 매거진의 출입구 전체를 가리도록 설치되어 매거진의 출입구를 개폐할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매거진 구조에 따르면, 매거진이 자동화 라인으로 이송되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커버를 분리시켜 매거진의 출입구를 개방시켜야 하므로 완전한 자동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1011호 (공고일자: 2010.07.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8635호 (공고일자: 2008.02.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매거진의 출입구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매거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는, 한 쌍의 측판, 상판, 하판이 일체로 사각 형상을 이루되 전후로 한 쌍의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한 쌍의 측판 내부에는 기판이 수평 적재될 수 있도록 각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된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트레이 매거진; 및 트레이 매거진의 어느 하나의 측판을 둘러싸 이송 대기시 어느 하나의 측판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의 양단을 모두 폐쇄시킬 수 있으며, 공정 라인으로 이송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측판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의 양단을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는 매거진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측판 상부 양측에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하판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에 있어서, 매거진 홀더는, 측판의 양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복수의 가이드홈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기립부와, 한 쌍의 기립부를 연결하여 트레이 매거진의 하판과 대응되는 수평부와, 수평부와 하판의 요홈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에 있어서, 한 쌍의 기립부의 상부에는, 돌기가 관통 결합되어 트레이 매거진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는 슬롯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에 있어서, 트레이 매거진의 상판은, 한 쌍의 측판 상측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트레이 매거진은, 한 쌍의 측판과의 사이에 클램프의 상부 조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판 상에 돌출되며 운반용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안착블럭과, 각 안착블럭의 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운반용 손잡이의 양측이 경사진 형태로 안착될 수 있는 경사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에 있어서, 매거진 홀더의 수평부에는, 클램프의 하부 조가 접촉될 수 있는 연장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에 있어서, 트레이 매거진은, 한 쌍의 측판과 상판 사이에 이송척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홀을 형성시키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매거진 홀더를 이용해 매거진 조립체의 출입구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설비의 자동화를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로서 기판의 입출이 불가능한 락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분해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판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우측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매거진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B'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매거진 조립체를 클램핑하여 공정 라인으로 이송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기판의 입출이 가능한 락 해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C'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로서 기판의 입출이 불가능한 락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분해해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판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우측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매거진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A'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 및 도 7은 도 1의 'B'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조립체는, 트레이 매거진(10); 및 매거진 홀더(2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매거진(10)은, 한 쌍의 측판(11), 상판(12), 하판(13)이 일체로 사각 형상을 이루되 전후로 한 쌍의 출입구(10a)가 각각 형성되며, 한 쌍의 측판(11) 내부에는 기판(S)이 수평 적재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된 복수의 가이드홈(10b)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판(11), 상판(12), 하판(13)은, 일체로 결합시 사각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트레이 매거진(10)은, 가벼운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일례로 마그네슘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출입구(10a)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경계 즉, 개방부를 말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기판(S)이 출입될 수 있다. 또, 복수의 가이드홈(10b)은, 측판(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기판(S)이 적정한 간격으로 수평 적재될 수 있다.
한 쌍의 측판(11) 및 하판(13)에는, 전체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부호 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측판(11) 상부 양측에는, 돌기(1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11-1)가 하부의 직경이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원형 기둥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돌기(11-1)는 하부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이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상하부가 단차진 사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트레이 매거진(10)의 상판(12)은, 한 쌍의 측판(11) 상측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판(12)이 한 쌍의 측판(11)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는 것이다.
또, 하판(13)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요홈(13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요홈(13a)이 하판(13)의 일측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됨을 보이고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트레이 매거진(10)은, 한 쌍의 측판(11)과의 사이에 클램프(C)의 상부 조(C-1)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되며 운반용 손잡이(H)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안착블럭(14)과, 각 안착블럭(14)의 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운반용 손잡이(H)의 양측이 경사진 형태로 안착될 수 있는 경사블럭(15)과, 한 쌍의 측판(11)과 상판(12) 사이에 이송척(도시 생략)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홀(16a)을 형성시키는 가이드판(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안착블럭(14)은 사각 형태로서 상면이 평면지며, 각 측판(11)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측판(11)과 접하는 부분에 턱(부호 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C)의 상부 조(C-1)가 어느 하나의 안착블럭(14) 상면에 안착되어 가압될 수 있으며, 트레이 매거진(10)을 아랫 방향으로 누를 수 있게 된다.
또, 경사블럭(15)은 각 안착블럭(14)의 측면에 일체로 상판(12)의 판면 방향으로 한 쌍으로 대칭되게 연장되며, 그 높이가 안착블럭(14)보다 낮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운반용 손잡이(H)는 그 양측이 상판(12)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각 경사블럭(15)에 경사지게 안착되어 중간부(부호 생략)가 상판(12)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홀(16a)을 통해 삽입되는 이송척이 운반용 손잡이(H)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가이드판(16)은 상판(12)의 상부에 위치하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판(11)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안착블럭(14)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안착블럭(14)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매거진 홀더(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매거진(10)의 어느 하나의 측판(11)을 둘러싸 공정 라인으로 이송되기 전(이송 대기 상태) 어느 하나의 측판(11)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10b)의 양단을 모두 폐쇄시킬 수 있으며, 공정 라인으로 이송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측판(11)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10b)의 양단을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매거진 홀더(20)는, 측판(11)의 양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복수의 가이드홈(10b)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절개홈(21a)이 형성된 한 쌍의 기립부(21)와, 한 쌍의 기립부(21)를 연결하여 트레이 매거진(10)의 하판(13)과 대응되는 수평부(22)와, 수평부(22)와 하판(13)의 요홈(13a)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거진 홀더(20) 역시 가벼운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일례로 마그네슘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기립부(21)의 상부에는, 어느 하나의 측판(11) 상부에 형성된 돌기(11-1)가 관통 결합되어 트레이 매거진(10)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는 슬롯홀(21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롯홀(21b)의 상단은 원형 기둥 형태를 가지는 돌기(11-1)의 상부가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단 아래는 돌기(11-1) 상부가 걸림되고 돌기(11-1) 하부의 상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트레이 매거진(10)이 공정 라인으로 이송되기 전에는 슬롯홀(21b)의 하단에 돌기(11-1)가 위치하게 된다.
매거진 홀더(20)의 수평부(22)에는, 클램프(C)의 하부 조(C-2)가 접촉될 수 있는 연장편(22-1)이 설치될 수 있다. 연장편(22-1)의 하부는 평면지게 형성되는데, 클램프(C)의 하부 조(C-2)가 이에 접촉될 시 트레이 매거진(10)의 하중을 지지(도 9 참조)할 수 있다.
탄성부재(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상단이 하판(13)의 일측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요홈(13a)에 삽입되며 그 하단은 수평부(22)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매거진 조립체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도 8은 도 1의 매거진 조립체를 클램핑하여 공정 라인으로 이송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기판의 입출이 가능한 락 해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C'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D'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매거진 홀더(20)는, 공정 라인으로 이송되기 전(이송 대기)의 상태로서, 복수의 탄성부재(23)가 신장되어 있어 매거진 홀더(20)의 복수의 절개홈(21a)과 복수의 기판(S)이 삽입된 가이드홈(10b)들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가이드홈(10b)의 양단이 모두 폐쇄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기판(S)의 인출이 불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기판(S)을 공정 라인의 레일(도시 생략)에 투입하기 위해 복수의 기판(S)이 적재된 매거진 조립체를 클램프(C)로 클램핑하여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클램프(C)의 상부 조(C-1)는 어느 하나의 안착블럭(14) 상면에 안착되고, 클램프(C)의 하부 조(C-2)는 연장편(22-1)의 하부에 접촉되어 수평부(22)를 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C)의 상부 조(C-1)가 안착블럭(14)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면, 트레이 매거진(10)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부재(23)의 탄성력을 이기고 아랫 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이동하게 된다.
탄성부재(23)가 압축이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측판(11) 상부 양측에 마련된 각각의 돌기(11-1)가 슬롯홀(21b)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동함과 동시에 복수의 기판(S)이 삽입된 가이드홈(10b)들이 복수의 절개홈(21a)과 연통된 상태(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복수의 가이드홈(10b)의 양단이 동시에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미도시한 자동화 설비에 의한 기판(S)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며, 인출된 기판(S)은 공정 라인의 레일로 투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매거진 조립체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매거진 홀더를 이용해 매거진 조립체의 출입구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설비의 자동화를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트레이 매거진
11: 측판
11-1: 돌기
12: 상판
13: 하판
14: 안착블럭
15: 경사블럭
16: 가이드판
20: 매거진 홀더
21: 기립부
21a: 절개홈
21b: 슬롯홀
22: 수평부
22-1: 연장편
23: 탄성부재
C: 클램프
C-1: 상부 조
C-2: 하부 조
H: 운반용 손잡이
S: 기판

Claims (7)

  1. 한 쌍의 측판, 상판, 하판이 일체로 사각 형상을 이루되 전후로 한 쌍의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판 내부에는 기판이 수평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된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트레이 매거진; 및
    상기 트레이 매거진의 어느 하나의 측판을 둘러싸 이송 대기시 상기 어느 하나의 측판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의 양단을 모두 폐쇄시킬 수 있으며, 공정 라인으로 이송시 선택적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측판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의 양단을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는 매거진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측판 상부 양측에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매거진 홀더는 상기 측판의 양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기립부와, 상기 한 쌍의 기립부를 연결하여 상기 트레이 매거진의 하판과 대응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와 상기 하판의 요홈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 매거진의 상판은 상기 한 쌍의 측판 상측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매거진은, 상기 한 쌍의 측판과의 사이에 클램프의 상부 조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 상에 돌출되며 운반용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안착블럭과, 상기 각 안착블럭의 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운반용 손잡이의 양측이 경사진 형태로 안착될 수 있는 경사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립부의 상부에는,
    상기 돌기가 관통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 매거진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는 슬롯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홀더의 수평부에는,
    클램프의 하부 조가 접촉될 수 있는 연장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매거진은,
    상기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이송척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홀을 형성시키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조립체.
KR1020180040529A 2018-04-06 2018-04-06 매거진 조립체 KR102074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529A KR102074572B1 (ko) 2018-04-06 2018-04-06 매거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529A KR102074572B1 (ko) 2018-04-06 2018-04-06 매거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55A KR20190117255A (ko) 2019-10-16
KR102074572B1 true KR102074572B1 (ko) 2020-02-06

Family

ID=6842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529A KR102074572B1 (ko) 2018-04-06 2018-04-06 매거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5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18B1 (ko) * 2006-03-28 2007-05-08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JP2016190662A (ja) *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産業用マガジンラッ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80U (ja) * 1993-08-27 1995-03-1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Ic用マガジン搬送機構
KR100808635B1 (ko) 2007-02-20 2008-02-29 (주)에스엠텍 반도체 적재용 트레이 매거진
KR100971011B1 (ko) 2008-07-17 2010-07-23 신일이엠에스아이 (주) 반도체 패키지용 매거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18B1 (ko) * 2006-03-28 2007-05-08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JP2016190662A (ja) *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産業用マガジンラ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55A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046B1 (ko) 캐리어 이송 장치
JP4351603B2 (ja) 端子挿入装置
KR102074572B1 (ko) 매거진 조립체
JP3063602B2 (ja) Icデバイスの移載装置
KR101882706B1 (ko) 반도체 패키지용 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KR20160066211A (ko) 캐리어 버퍼 유닛 및 이를 갖는 캐리어 이송 장치
JP2008120523A (ja) トレイ切出装置
JP4351602B2 (ja) 端子挿入装置
JP5163860B2 (ja) 基板搬送装置
KR101831697B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소켓 모듈 및 반도체 패키지 도킹 플레이트
KR200492424Y1 (ko) 카메라 모듈 커버 도금용 지그
KR102575962B1 (ko) 웨이퍼 링 이송 장치
KR102129849B1 (ko) 프로브 카드 지지장치
JP2005251620A (ja) バスバーアッセンブリの自動加工装置
US7971722B2 (en) Wafer container with restrainer
JP2001102394A (ja) 搬送用キャリア
CN105990199B (zh) 半导体设备中的基板传送舱
KR20160066210A (ko) 캐리어 버퍼 유닛 및 이를 갖는 캐리어 이송 장치
JP7385249B2 (ja) スロットカバー
KR102283393B1 (ko) 커스터머 트레이 스택커
KR101576806B1 (ko) 솔더볼 마운트 장비의 플럭스 툴
KR101107593B1 (ko) 칩 공급장치
JP4333414B2 (ja) バスバーアッセンブリの自動加工装置
JP2022071722A (ja) トレイ収納容器、係合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214256921U (zh) 用于储存部件承载件的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