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418B1 -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418B1
KR100716418B1 KR1020060027698A KR20060027698A KR100716418B1 KR 100716418 B1 KR100716418 B1 KR 100716418B1 KR 1020060027698 A KR1020060027698 A KR 1020060027698A KR 20060027698 A KR20060027698 A KR 20060027698A KR 100716418 B1 KR100716418 B1 KR 10071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strip material
holding
movable plat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하진호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줄 수 있는 홀딩기구를 구비하여, 스트립 자재의 처짐 현상 및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트립 자재의 보다 안정적인 수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좌우 양 측면부가 내부벽과 외부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벽에는 내측면에 형성된 각 안내단의 하측을 따라서 슬롯홀이 형성되며,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상기 안내단과 함께 잡아주는 홀딩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딩기구는, 상기 각 측면부의 내부벽과 외부벽 사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상기 각 슬롯홀에 삽입되도록 돌출 설치되어 가동 플레이트가 상방 이동된 상태에서 상측의 안내단과 함께 스트립 자재의 측단부를 잡아주는 다수개의 홀딩단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상방 이동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거진, 반도체 패키지, 스트립 자재, 홀딩기구, 가동 플레이트, 홀딩단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Magazine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pack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의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홀딩기구가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주기 전 상태를, 도 3b는 홀딩기구가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서 가동 플레이트의 홀딩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서 록킹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서 록킹수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및 그 단점을 설명하는 정면도,
도 8는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을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는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매거진 103 : 측면부
104 : 내부벽 105 : 안내단
106 : 슬롯홀 107 : 외부벽
108 : 통과홀 108a : 안착홈
110 : 홀딩기구 111 : 가동 플레이트
112 : 홀딩단 113 : 완충부재
114 : 연결로드 114c, 114d : 록킹홈
115 : 손잡이 120a, 120b, 120c : 록킹수단
121 : 록킹부재 122 : 스프링
123 : 록킹부재 124 : 스프링
125 : 록킹부재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줄 수 있는 홀딩기구를 구비하여, 스트립 자재의 처짐 현상 및 이 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트립 자재의 보다 안정적인 수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매거진(Magazine)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스트립 자재(인쇄회로기판, 회로필름, 리드프레임 등)를 적층/수납시키기 위한 일종의 케이스로서, 각 공정간의 이송시에 스트립 자재를 잠시 수납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재에 반도체 칩을 부착하는 공정 및 반도체 칩과 자재간을 연결하는 와이어 본딩 공정이 완료된 다수개의 스트립 자재 등을 후공정(몰딩, 트리밍, 포밍, 잉크 마킹 공정 등)으로 이송하여 제공하고자 할 때, 다수개의 자재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수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매거진이다.
이에 상기 매거진을 각 공정의 공급부 및 배출부에 배치시킨 뒤, 공급부에 배치된 매거진으로부터 이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를 해당 공정에 제공하고, 공정을 마친 스트립 자재는 다시 매거진에 적층/수납시키게 된다.
한편, 스트립 자재는 3×3, 4×4 등의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고 있는 반도체 패키지 영역이 일방향으로 여러 개가 배열된 인쇄회로기판, 회로필름, 리드프레임 등을 말한다.
도 7은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및 그 단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종래의 매거진(10c)은 일면(정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양쪽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의 슬롯(12)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매거진(10c)의 양쪽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안내단(14)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단(14)의 사이 공간이 슬롯(12)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매거진(10c)의 슬롯(12)에 스트립 자재(16)의 양 측단부를 삽입시킴으로써 매거진(10c) 내에서 스트립 자재(16)의 적층/수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렇게 스트립 자재(16)가 수납된 매거진(10c)을 각 공정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8은 스트립 자재를 매거진 내에 수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반도체 패키지 공정 중에 매거진으로부터 작업자가 스트립 자재를 인출하여 자재 검사를 실시하는데, 이 경우의 예를 들면, 스트립 자재(16)가 매우 얇기 때문에 작업자는 스트립 자재(16)를 손으로 파지하여 인출하고(도 8의 (a) 사진), 이어 손으로 파지한 채 스트립 자재(16)를 시각적으로 검사한 다음(도 8의 (b) 사진), 파지한 스트립 자재(16)를 다시 매거진(10c)의 슬롯(12)에 삽입시키게 된다(도 8의 (c) 사진).
그러나,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매거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매거진은 상측의 안내단(14)과 하측의 안내단 사이 거리, 즉 슬롯(12) 내부공간의 상하 높이가 스트립 자재(16)의 두께에 비해서 훨씬 크며, 따라서 상기 안내단(14)은 스트립 자재(16)의 양 측단부를 잡아주는 것이 아닌 삽입 및 인출시의 단순 안내, 수납시의 단순 지지 역할만을 한다.
따라서, 자중에 의해 스트립 자재(16)의 중앙부위가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처짐 현상(warpage)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에는 안내단(14)에 걸쳐져 수납된 스트립 자재(16)가 위쪽 슬롯(12)에서 아래쪽 슬롯으로 떨어지는 이탈 현상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추세에 있고, 이에 맞추어 패키지 제조를 위한 자재(Substrate)의 두께도 매우 얇아지고 있는 바, 이렇게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서 스트립 자재(16) 자체의 스스로 버티는 힘이 약해져서 매거진(10c)의 슬롯(12)으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도 7 참조).
상기와 같이 스트립 자재가 매거진 내에서 쉽게 움직이거나 심한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와이어에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손상 및 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줄 수 있는 홀딩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스트립 자재의 처짐 현상 및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트립 자재의 보다 안정적인 수납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좌우 양 측면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단 사이에 스트립 자재가 수납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부가 내부벽과 외부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벽에는 내측면에 형성된 각 안내단의 하측을 따라서 슬롯홀이 형성되며,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상기 안내단과 함께 잡아주는 홀딩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딩기구는,
상기 각 측면부의 내부벽과 외부벽 사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상기 각 슬롯홀에 삽입되도록 돌출 설치되어 가동 플레이트가 상방 이동된 상태에서 상측의 안내단과 함께 스트립 자재의 측단부를 잡아주는 다수개의 홀딩단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상방 이동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측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방 연장되는 연결로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상단에 가동 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수단이 상방 이동된 가동 플레이트의 연결로드를 하방 이동되지 않도록 록킹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측면부 상측 위치의 연결로드상에 길이방향으로 위치 고정되는 록킹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측면부 상면에 상기 록킹부재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 위에서 회전된 록킹부재가 안착홈과 엇갈린 채로 측면부 상면 위에 걸쳐져서 연결로드의 하방 이동을 록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통과홀 내측면에 형성된 작동실 내부에 스프링과, 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서 작동실로부터 통과홀 내부로 돌출 작동하는 볼 타입의 록킹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로드의 상측 및 하측의 각 위치에 상기 록킹부재가 록킹하게 되는 록킹홈을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로드에 형성된 작동실 내부에 스프링과, 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서 연결로드 양측으로 돌출 작동하는 볼 타입의 록킹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록킹부재가 돌출 작동된 상태에서 통과홀 주변의 측면부 상면에 걸쳐지면서 연결로드의 하방 이동을 록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딩단의 상면에는 스트립 자재의 측단부 하면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연질재의 완충부재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줄 수 있는 홀딩기구를 구비하여, 스트립 자재의 처짐 현상 및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트립 자재의 보다 안정적인 수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주안점이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의 실시예를 도 시한 분리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a는 홀딩기구가 매거진 내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주기 전 상태를, 도 3b는 홀딩기구가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100)은 일면(정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좌우 양 측면부(103)가 후술하는 홀딩기구(110)의 가동 플레이트(111)가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이중 벽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좌우 양 측면부(103)는 상면부(101)과 하면부(102), 후면부(미도시됨)와 함께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는 내부벽(104)과, 이 내부벽(104)의 바깥쪽으로 조립되는 외부벽(107)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벽(104)과 외부벽(107)은 마주보는 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조립되는 바, 상기 내부벽(104)과 외부벽(107)이 가동 플레이트(111)가 내장된 상태로 상하 이동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 양 측면부(103)에서 각 내부벽(104)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안내단(105)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각 안내단(105)은 내부벽(104)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일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벽(104)에는 각 안내단(105) 하측을 따라서 슬롯홀(106)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데, 상기 각 슬롯홀(106)은 가동 플레이트(111)의 홀딩단(112)이 내부벽(104) 안쪽으로 삽입되고 또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다.
다음으로, 가동 플레이트와 홀딩단,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홀딩기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홀딩기구는 매거진 내부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상기 안내단과 함께 잡아주어 스트립 자재의 처짐 현상 및 이탈 현상을 방지하는 구성부로서, 이는 사용자가 스트립 자재를 매거진 내부에 삽입한 뒤 간단한 조작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구비된다.
우선, 본 발명의 매거진(100)에서 좌우 양 측면부(103)의 내부공간, 즉 각 측면부(103)를 구성하는 내부벽(104)과 외부벽(107) 사이의 공간에 가동 플레이트(111)가 내장된다.
매거진(100)의 좌우 각 측면부(103)에 내장되는 가동 플레이트(111)는 모두 내부벽(104)과 외부벽(107)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는데, 특히 각 가동 플레이트(111)의 내측면에 안내단(105)과 유사한 구조의 홀딩단(112)이 다수개 설치된다.
즉, 각 가동 플레이트(111)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홀딩단(112)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돌출 설치되고, 이때 각 홀딩단(112)은 가동 플레이트(111)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물론, 매거진(100)의 내부벽(104)에 형성된 각 안내단(105)과 마찬가지로, 상기 각 홀딩단(112)은 가동 플레이트(111)의 내측면에 수평 돌출되게 설치된다.
특히, 가동 플레이트(111)가 조립될 때 상기 각 홀딩단(112)은 내부벽(104) 의 슬롯홀(106)을 통해 매거진(100) 내부로 삽입되며, 완전 조립상태에서는 상기 각 홀딩단(112)이 내부벽(104)의 안내단(105)과 나란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11)가 매거진(100)의 좌우 양 측면부(103) 내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각 홀딩단(112)은 바로 위에 위치되는 안내단(105)과 함께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를 밀착상태에서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하나의 안내단(105)과 홀딩단(112)이 1조가 되어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를 잡아주게 된다.
이때, 상기 각 홀딩단(112)은 상측의 안내단(105) 쪽으로 상방 이동하면서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를 위로 살짝 들어준 후 상측의 안내단(105)과 함께 잡아주게 되는데, 사용자가 가동 플레이트(111)를 상방으로 당긴 후 고정시켜 주면, 가동 플레이트(111)와 일체로 움직이는 홀딩단(112)이 상방 이동 후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를 안내단(105)과 함께 잡아주고, 이후 계속해서 잡아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홀딩단(112)이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를 안내단(105)과 함께 잡아줄 때,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 하면에 홀딩단(112)에 의해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홀딩단(112)의 상면에는 연질재의 완충부재(113)를 적층시키는 것이 실시 가능하다.
물론, 안내단 역시 홀딩단과 함께 스트립 자재의 측단부를 밀착하는 부분이므로 안내단 하면에도 도시한 바와 같은 완충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실시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홀딩단(112)이 상방 이동하여 안내단(105)과 함께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를 잡아주고 이후 계속해서 잡아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는 가동 플레이트(111)가 상방으로 소정 높이 만큼 당겨진 뒤 그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매거진(100) 내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130)의 양 측단부를 잡아주는 홀딩기구(110)는 가동 플레이트(111)를 상방으로 당겨진 상태로 고정시켜 줄 수 있는 록킹수단(120a)을 포함하는 바, 바람직한 록킹수단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매거진(100)의 양 측면부(103) 내에 설치된 가동 플레이트(111)를 위로 당겨주거나 아래로 눌러줄 수 있는 손잡이(115)가 구비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가동 플레이트(111)의 상단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연결로드(1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연결로드(114)의 상단에는 소정 형상의 손잡이(115)가 일체로 형성 구비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가동 플레이트(111)의 상단에서 전후로 두 위치에 연결로드(114)를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두 연결로드(114)를 전후로 연결하는 손잡이(115)를 형성시켜서 구성하고 있다.
이때, 각 연결로드(114)는 매거진 측면부(103)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과홀(108), 예를 들어 내부벽(104) 상단부와 외부벽(107) 상단부의 상하방향 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조합되어 형성되는 통과홀을 통과하여 매거진(100) 상측으로 수직 연장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록킹수단(120a)은 손잡이(115)에 의해 들어 올려진 가동 플레이트(111) 및 연결로드(114)를 하방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는 연결로드(114)에 회전 가능한 록킹부재(121)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121)는 길게 형성된 구조로 제작되어 매거진 상측의 연결로드 부분, 즉 측면부(103) 상측 위치의 연결로드(114)상에 횡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연결로드(114)의 길이상에 형성된 홈 구조의 장착단(114a)에 끼워져서 연결로드(114)의 길이방향으로는 위치가 고정되면서 회전만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로드(114)의 장착단(114a)이 관통하도록 록킹부재(121)가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록킹부재를 손으로 돌려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매거진(100)의 측면부(103) 상면에는 록킹부재(121)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108a)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이 안착홈(108a)은 연결로드(114)가 통과하는 통과홀(108)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또한 가동 플레이트(111)가 하방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재(121)가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15)를 위로 당겨주면 가동 플레이트(111) 및 연결로드(114)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록킹부재(121)가 안착홈(108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어 사용자가 록킹부재(121)를 회전시켜 주면 록킹부재가 안착홈(108a)과 엇갈린 상태에서 측면부(103) 상면 위에 걸쳐지므로 가동 플레이트(111) 및 연결로드(114)의 하방 이동이 록킹될 수 있다.
위에서 연결로드(114)가 각 가동 플레이트(111) 상단의 전후 두 위치에 형성되고, 각 연결로드(114)에 대하여 록킹부재(121) 및 안착홈(108a)이 설치됨을 설명 하였으나, 가동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연결로드(114)와 록킹수단(120a)의 수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연결로드(114)와 록킹부재(121)를 가동 플레이트(111)의 상단에 2개가 아닌 3개를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는 중앙에 1개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각 가동 플레이트(111)에서 손잡이(115)가 두 연결로드(114)의 상단을 전후로 연결하는 로드 형태로 되어 있으나, 손잡이(115)의 형상 및 구조도 다양하게 수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매거진의 전체적인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매거진(100) 내에 스트립 자재(130)를 수납시킬 때에는 손잡이(115), 연결로드(114), 가동 플레이트(111), 홀딩단(112)이 모두 아래로 내려온 상태에서 스트립 자재를 수납시키고, 이때 연결로드(114)의 록킹부재(121)는 측면부(103) 상면의 안착홈(108a) 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물론, 홀딩단(112)이 아래로 내려온 상태에서 상측의 안내단(105)과 하측의 홀딩단(112) 사이의 간격은 벌어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립 자재(130)를 매거진(100)의 안내단(105)과 홀딩단(11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밀어서 넣어주며, 수납하고자 하는 스트립 자재를 각 단에 모두 넣은 뒤 한쪽 측면부(103) 위의 손잡이(115)를 위로 살짝 당겨준다.
이와 같이 손잡이(115)를 위로 당겨주면, 가동 플레이트(111)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홀딩단(112)도 슬롯홀(106) 내에서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어, 각 단의 홀 딩단(112)이 그 위에 올려진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를 위로 들어 올려주는 바, 손잡이(115)가 완전히 당겨진 상태에서는 홀딩단(112)이 상측의 안내단(105)과 함께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를 밀착상태에서 잡아주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115)가 위로 당겨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록킹부재(121)를 수평으로 회전시켜 주면, 록킹부재(121)가 매거진(100)의 측면부(103) 상면 위에 걸쳐지면서 손잡이(115) 및 연결로드(114), 가동 플레이트(111), 홀딩단(112)의 위치가 하방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완전 고정되고, 결국 간격이 좁아진 상태로 있게 되는 안내단(105)과 홀딩단(112)에 의해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가 움직이지 않게 구속된다.
이어 반대쪽의 손잡이(115)를 위로 당긴 뒤 록킹부재(121)를 회전시켜 주어, 스트립 자재(130)의 반대쪽 측단부도 동일하게 고정시켜 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매거진(100)에서는 사용자가 손잡이(115)를 위로 당겨준 뒤 록킹부재(121)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111)의 홀딩단(112)과 측면부(103) 내측면의 안내단(105)이 수납된 스트립 자재(130)의 양 측단부를 잡아주는 바, 결국 스트립 자재의 처짐 현상이나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트립 자재의 보다 안정적인 수납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납된 스트립 자재가 움직일 수 없도록 하여 와이어 등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면서 발생하는 제품의 손상 및 불량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스트립 자재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위의 과정을 반대로 하면 되는데, 즉 사용자가 록킹부재(121)를 반대로 회전시켜 측면부(103) 상면의 안착홈(108a)과 같은 방향으로 일치되게 한 뒤, 손잡이(115)를 내려주어 록킹부재(121)가 안착홈(108a) 내부에 다시 넣어지게 하고, 안내단(105)과 홀딩단(112) 사이의 간격이 다시 벌어진 상태에서 수납된 스트립 자재(130)를 매거진(100)으로부터 빼내주면 된다.
한편,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서 록킹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a는 홀딩기구가 매거진 내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주기 전 상태를, 도 5b는 홀딩기구가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의 록킹수단(120b)은 회전조작해야 하는 록킹부재를 설치하는 대신에 손잡이(115)의 조작만으로도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우선, 상기 각 연결로드(114)가 통과하게 되는 매거진 측면부(103)의 상단부에 형성된 각 통과홀(108) 내부에서 통과홀 내측면의 좌우 양측으로 각각 홈 형태의 작동실(109)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상기 작동실(109)의 내부에는 스프링(122)과, 상기 스프링(122)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상기 작동실(109)에서 통과홀(108) 내부로 탄력적으로 돌출 작동하는 볼 타입의 록킹부재(123)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로드(114)에는 가동 플레이트(111)와 홀딩단(112)의 적절한 상하 이동량을 고려하여 좌우 양측으로 상측 및 하측의 두 위치에 통과홀(108) 내부로 돌출된 록킹부재(123)의 구면(球面)이 삽입될 수 있는 록킹홈(114c,114d)을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록킹수단의 제2실시예에서, 손잡이(115), 연결로드(114), 가동 플레이트(111) 및 홀딩단(112)이 아래로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부재(123)의 구면이 연결로드(114)의 하측에 형성된 록킹홈(114d) 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매거진(100) 내부에 스트립 자재(130)를 수납한 상태에서, 스트립 자재(130)의 양 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115)를 약간의 힘을 주어 위로 당겨주면, 각 록킹부재(123)가 스프링(122)을 압축하면서 작동실(109)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연결로드(114)가 위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후, 홀딩단(112)이 안내단(105)과 함께 스트립 자재(130)를 잡아주는 위치까지 홀딩단(112) 및 가동 플레이트(111), 연결로드(114), 손잡이(115)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각 록킹부재(123)의 구면이 상측에 형성된 연결로드(114)의 록킹홈(114c)과 만나면서 스프링(112)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부재(123)가 다시 돌출 작동하고, 이어 록킹부재(123)가 상측의 록킹홈(114c) 내에 삽입 고정되면서 가동 플레이트(111) 및 홀딩단(112)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스트립 자재(130)를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115)를 약간의 힘을 가하여 아래로 눌러주게 되면, 각 록킹부재(123)가 다시 스프링(122)을 압축하면서 해당 작동실(109) 내부로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로드(114)는 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바, 이후 각 록킹부재(123)가 하측의 록킹홈(114d)과 만나게 될 때 다시 돌출 작동하여 하측의 록킹홈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11) 및 홀딩단(112)이 하측으로 이동 후 록킹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트립 자재(130)를 매거진(100)으로부터 빼낼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서 록킹수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6a는 홀딩기구가 매거진 내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주기 전 상태를, 도 6b는 홀딩기구가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의 제3실시예는 스프링(124) 및 록킹부재(125)가 연결로드(114)에 내장된 록킹수단(120c)으로서, 록킹부재(125)가 연결로드(114) 양측으로 돌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연결로드(114)의 소정 위치에 작동실(114b)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작동실(114b)의 내부에 스프링(124)과, 상기 스프링(124)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작동실(114b)에서 연결로드(114) 외부로 탄력적으로 돌출 작동하는 볼 타입의 록킹부재(125)를 설치한다.
상기 록킹부재(125)는 연결로드(114)에 대하여 양 측방 작동이 가능하도록 2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연결로드(114)의 양측으로 돌출 작동하는 록킹부재(125)를 설치한 록킹수단(120c)의 경우에는 상기 록킹부재(125)가 돌출 작동한 상태에서 통과홀(108) 주변의 측면부(103) 상면에 걸쳐지면서 연결로드(114)의 하방 이동을 록킹하게 된다.
즉, 록킹수단의 제3실시예에서, 손잡이(115), 연결로드(114), 가동 플레이트 (111) 및 홀딩단(112)이 아래로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로드(114)의 록킹부재(125)가 스프링(124)을 압축한 채 연결로드(작동실)(11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과홀(108) 내부에 넣어진다.
그리고, 매거진(100) 내부에 스트립 자재(130)를 수납한 상태에서, 스트립 자재(130)의 양 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연결로드(114)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115)를 약간의 힘을 주어 위로 당겨주면, 연결로드(114)가 통과홀(108)에서 상방 이동됨과 동시에 록킹부재(125)가 통과홀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어 홀딩단(112)이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를 잡아주도록 손잡이(115)가 위로 완전히 당겨지면, 록킹부재(125)는 통과홀 상측으로 완전히 빠져나옴과 동시에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서 연결로드(114) 외부로 돌출 작동하고, 이후 록킹부재(125)가 돌출된 상태로 매거진 측면부(103)의 상면에 걸쳐져서 록킹이 이루어진다.
즉,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기 전에는 연결로드(114)가 록킹부재(125)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없으므로, 가동 플레이트(111)와 홀딩단(112)이 스트립 자재(130)의 측단부를 잡아준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트립 자재(130)를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115)를 약간의 힘을 가하여 아래로 눌러주게 되면, 연결로드(114)의 두 록킹부재(125)가 통과홀(108)에 의해 눌림과 동시에 스프링(124)을 압축하면서 작동실(114b) 내부로 삽입되고, 이렇게 눌러진 각 록킹부재(125)가 통과홀(108) 내부로 삽입되면서 연결로드(114)가 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바, 이후 가동 플레이트(111) 및 홀딩단(112)이 하 방 이동한 상태에서 스트립 자재(130)를 매거진(100)으로부터 인출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서는 내부에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줄 수 있는 홀딩기구를 구비하여, 스트립 자재의 처짐 현상 및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트립 자재의 보다 안정적인 수납성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 의하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잡아주는 홀딩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스트립 자재의 처짐 현상이나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트립 자재의 보다 안정적인 수납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납된 스트립 자재가 움직일 수 없도록 하여 와이어 등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면서 발생하는 제품의 손상 및 불량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좌우 양 측면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단 사이에 스트립 자재가 수납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부가 내부벽과 외부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벽에는 내측면에 형성된 각 안내단의 하측을 따라서 슬롯홀이 형성되며, 수납된 스트립 자재의 양 측단부를 상기 안내단과 함께 잡아주는 홀딩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딩기구는,
    상기 각 측면부의 내부벽과 외부벽 사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상기 각 슬롯홀에 삽입되도록 돌출 설치되어 가동 플레이트가 상방 이동된 상태에서 상측의 안내단과 함께 스트립 자재의 측단부를 잡아주는 다수개의 홀딩단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상방 이동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측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방 연장되는 연결로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상단에 가동 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수단이 상방 이동된 가동 플레이트의 연결로드를 하방 이동되지 않도 록 록킹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측면부 상측 위치의 연결로드상에 길이방향으로 위치 고정되는 록킹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측면부 상면에 상기 록킹부재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 위에서 회전된 록킹부재가 안착홈과 엇갈린 채로 측면부 상면 위에 걸쳐져서 연결로드의 하방 이동을 록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통과홀 내측면에 형성된 작동실 내부에 스프링과, 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서 작동실로부터 통과홀 내부로 돌출 작동하는 볼 타입의 록킹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로드의 상측 및 하측의 각 위치에 상기 록킹부재가 록킹하게 되는 록킹홈을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로드에 형성된 작동실 내부에 스프링과, 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서 연결로드 양측으로 돌출 작동하는 볼 타입의 록킹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록킹부재가 돌출 작동된 상태에서 통과홀 주변의 측면부 상면에 걸쳐지면서 연결로드의 하방 이동을 록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딩단의 상면에는 스트립 자재의 측단부 하면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연질재의 완충부재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KR1020060027698A 2006-03-28 2006-03-28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KR10071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698A KR100716418B1 (ko) 2006-03-28 2006-03-28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698A KR100716418B1 (ko) 2006-03-28 2006-03-28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418B1 true KR100716418B1 (ko) 2007-05-08

Family

ID=3827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698A KR100716418B1 (ko) 2006-03-28 2006-03-28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4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596B1 (ko) * 2016-07-20 2018-10-24 김현진 매거진
KR20190117255A (ko) * 2018-04-06 2019-10-16 (주)시스템케이 매거진 조립체
US11594438B2 (en) 2021-06-04 2023-02-28 STATS ChipPAC Pte. Lt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to securely hold semiconductor panels for transport and manufacturing process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291Y1 (ko) * 2001-12-10 2002-03-23 한영수 인쇄회로기판 보관용 매거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291Y1 (ko) * 2001-12-10 2002-03-23 한영수 인쇄회로기판 보관용 매거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596B1 (ko) * 2016-07-20 2018-10-24 김현진 매거진
KR20190117255A (ko) * 2018-04-06 2019-10-16 (주)시스템케이 매거진 조립체
KR102074572B1 (ko) * 2018-04-06 2020-02-06 (주)시스템케이 매거진 조립체
US11594438B2 (en) 2021-06-04 2023-02-28 STATS ChipPAC Pte. Lt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to securely hold semiconductor panels for transport and manufacturing proce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710B2 (ja) テストハンドラーのキャリアボード用のインサート
US8905239B2 (en) Magazine for loading a lead frame
KR100716418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KR100673522B1 (ko) 기판 수납 트레이 팰릿 및 기판이송시스템
KR20080106233A (ko) 인쇄 스크린, 그 프레임 및 인쇄 스크린 유닛
JP2009236915A (ja) テストトレイ用インサート開放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素子の装着方法
KR100768659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KR101887461B1 (ko) 기판 수납용 매거진
KR100950335B1 (ko) 테스트핸들러의 캐리어보드용 인서트
KR100874610B1 (ko) 반도체 픽업장치 및 그 이용방법
JP2009161218A (ja) 電子部品収容トレイ
US20220048699A1 (en) Loading cassette for substrate including glass and substrate loading method to which same is applied
KR100669661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US8632329B2 (en) Injection mold having an elastic member located between a fastening member and a mold core
KR200392179Y1 (ko) 계란판
JP4487278B2 (ja) 板材収納枠
JPH0853187A (ja) 板状物品収納用キャリア
JP5963661B2 (ja) ウェーハフレーム用カセット
KR101634263B1 (ko) 반도체칩 트레이
JP6692223B2 (ja) 収納容器及び収納構造
JP2012501081A (ja) 太陽電池のためのキャリヤ及び太陽電池の組立体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KR200414793Y1 (ko) 웨이퍼 지지용 선반
KR101368373B1 (ko) 반도체 패키지 수납용 매거진
JP3592692B2 (ja) 薄板状チップ部品の取出方法
WO2022264582A1 (ja) 整列装置及び外部電極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