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077B1 - 개봉이 용이한 포장체 - Google Patents

개봉이 용이한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077B1
KR102074077B1 KR1020180093003A KR20180093003A KR102074077B1 KR 102074077 B1 KR102074077 B1 KR 102074077B1 KR 1020180093003 A KR1020180093003 A KR 1020180093003A KR 20180093003 A KR20180093003 A KR 20180093003A KR 102074077 B1 KR102074077 B1 KR 102074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cutting member
opening
alo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용
최진석
임봉진
Original Assignee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포장체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포장체는, 상기 포장체에 형성되는 개봉 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의 일방의 내면에 일면이 접합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는 절단부; 일측은 상기 개봉라인을 따라 상기 절단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개봉라인과 평행한 라인 접착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의 일방 내면에 연결되는 부착부; 및 상기 개봉 라인 및 수용공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장체의 양방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재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부착부와 분리되면서 상기 개봉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를 절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봉이 용이한 포장체{EASY TO OPEN PACKAGE}
아래의 실시예는 개봉이 용이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곡물, 사료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포대 혹은 마대 등이 사용된다. 포대 혹은 마대와 같은 포장체는, 내부에 곡물, 사료 등이 보관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가 밀봉된다. 사용자는 포장체를 개봉하기 위하여, 포장체의 상단을 가위로 절단하거나 밀봉부를 잡아서 뜯게 된다. 가위로 포장체를 개봉하는 것은 가위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번거로우며, 밀봉부를 잡아서 뜯는 것은 개봉 선이 지저분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가위 등의 별도의 도구 없이 포장체를 간편하면서도 깔끔하게 개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포장체가 요구된다. 또한, 개봉한 포장체를 다시 밀봉하여 내부에 수용된 곡물, 사료 등을 오랜 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포장체를 편리하게 재밀봉 또는 재개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포장체가 요구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개봉라인을 따라 직선으로 찢을 수 있는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간편하게 개봉되고 재밀봉이 가능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상기 포장체에 형성되는 개봉 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의 일방의 내면에 일면이 접합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는 절단부; 일측은 상기 개봉라인을 따라 상기 절단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개봉라인과 평행한 라인 접착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의 일방 내면에 연결되는 부착부; 및 상기 개봉 라인 및 수용공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장체의 양방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재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부착부와 분리되면서 상기 개봉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를 절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절단부재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절단부재의 타면이 접합되는 접합부재; 및 상기 절단부재와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접합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접합부재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포장체의 일방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의 돌출 두께는, 상기 절단부재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 및 절단부재는 서로 비상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의 폭은, 0.1mm 이상이고 상기 절단부재의 폭 미만일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단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포장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가 끼워지는 손잡이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포장체의 내면 양방에 각각 구비되고, 서로 탈착되는 암수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개봉 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가 절단되면 개봉되고, 상기 개봉된 수용공간은 상기 암수 체결부재의 탈착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접착라인은, 상기 개봉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다층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층 필름은, 잉크가 인쇄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친수성으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0.4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체는, 절단부재를 통해 개봉라인을 따라 직선으로 개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체는, 개봉 이후에도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재 밀봉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체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단부 및 부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체가 개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체가 재밀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단부 및 부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체(1)는 상품을 보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포장체(1)에는 상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체(1)는 곡물, 사료 등을 보관하기 위한 포대 또는 마대일 수 있다. 또한, 포장체(1)는 식품이나 물건등을 보관하기 위한 파우치 또는 주머니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포장체(1)가 보관하는 상품의 종류 및 포장체(1)의 크기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포장체(1)는 다층필름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포장재가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포장재를 구성하는 다층 필름은 표면이 무광택을 가지면서도 고급가죽의 표면처럼 촉촉하고 부드러운 질감을 가질 수 있다. 다층 필름은 인쇄층, 코팅층 및 매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101)은 다층 필름(10)의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인쇄층(101)은 OPP(Oriented poly 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나일론(nyl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101)이 PET를 포함하는 경우, 인쇄층(101)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인쇄층(101)에는 내용물의 정보 또는 상품의 디자인이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101)의 일면에는 잉크가 인쇄될 수 있다.
코팅층(102)은 인쇄층(101)의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코팅층(110)은 인쇄층(101)의 일면을 덮음으로써, 다층 필름(10)으로 형성된 포장체(1)(1)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코팅층(102)은 친수성일 수 있다. 코팅층(102)은 수성 에멀젼 수지 및 소광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소광제는 코팅층(102)에 대해 15 내지 30%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광제는 코팅층(102)에 대해 20 내지 25%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수성 에멀젼 수지는 친수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성 에멀젼 수지는 초산비닐-에틸렌(ethylene vinylacetate, EVA) 에멀젼, 초산비닐-아크릴 에멀젼, 폴리우레탄수지 에멀젼, 에폭시 수지계 에멀젼,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공중합라텍스 및 클로로프렌 고무 라텍스로 구성된 군 중 적어도 하나의 수성 에멀젼을 포함할 수 있다. 소광제는 왁스를 함유한 소광제일 수 있다. 이 경우, 소광제는 1㎛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소광제가 1㎛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경우, 코팅층(102)은 가죽 표면과 유사한 표면 질감을 가질 수 있다. 소광제는 수용성 용제, 왁스 및 내후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소광제는, 수용성 용제 85 내지 89% 중량, 왁스 8 내지 12% 중량 및, 내후 안정제 1 내지 3% 중량의 성분비를 가질 수 있다. 수용성 용제는, 순수(pure water) 또는 에탄올(ETOH)일 수 있다. 이 경우, 소광제는 친수성 성질을 가짐으로써, 수성 에멀젼 수지와 쉽게 혼합될 수 있다. 왁스는 PE 왁스, PP 왁스, FT 파라핀, 천연 왁스, 몬탄 왁스, 거대결정질 및 미세결정질 파라핀 왁스, 아마이드 왁스 및 이들의 배합물일 수 있다. 내후 안정제는 인쇄층(101)의 물성 저하 및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으며 불소계를 사용할 수 있다.
코팅층(102)은 표면의 마찰계수(COF)가 0.4 이상일 수 있다. 코팅층(102)의 마찰계수는 소광제에 대한 왁스의 첨가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소광제에 대한 왁스의 첨가량이 8 내지 12% 중량비인 경우, 코팅층(102)의 마찰계수는 0.4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층 필름(10)을 통해 대용량의 포장체(1)(1)를 제조하는 경우에 복수의 포장체(1)(1)를 적층하는 경우에도, 적층된 포장체(1)(1)의 표면 간 충분한 마찰력을 가지기 때문에, 적재된 포장체(1)(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조에 따른 코팅층(102)의 경우, 무광택의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코팅층(102)은 수성 에멀젼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친수성 재질을 가지고 무광택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광제의 입자크기가 1 ㎛ 이하로 제공되기 때문에, 가죽의 표면과 같이 부드럽고 촉촉한 표면 질감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코팅층(102)은 가죽과 같은 시각적 효과와 촉각적 효과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포장재가 고급스러운 느낌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매개층(103)은 인쇄층(101)의 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매개층(103)은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 나일론(nylon), PE(polyethylene), LLDPE(low density linear polyethylene)을 포함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매개층(103) 및 인쇄층(101)은 압출방식, 도포방식, 분사방식 및 증착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합지될 수 있다. 합지방식은, 그라비아, 열압착, 오프셋, 키스바, 메이어바, 코마법, 롤 캐스팅 성형 또는 스프레이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개층(103)은 인쇄층(101)에 접착제 코팅을 통한 드라이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합지될 수 있다.
포장체(1)에는 수용공간(A)이 형성되도록 테두리 부분의 포장재가 서로 접착되는 밀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는 외부에 대해 내부 수용공간(A)을 밀폐할 수 있다. 포장재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포장체(1)는 절단부, 부착부(113) 및 개폐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는 포장체(1)를 절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절단부는 절단부재(112), 손잡이(115) 및 손잡이 삽입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재(112)는 포장체(1)를 개봉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개봉라인(L1)은 수용공간(A)의 개방을 위해 포장체(1)가 절단되는 선을 의미한다. 개봉라인(L1)은 포장체(1)의 일방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포장체(1)는 개봉라인(L1)을 따라 절단되면서 수용공간(A)을 개방할 수 있다. 개봉라인(L1)은 수용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포장체(1)의 일방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봉 라인은 도 1을 기준으로 포장체(1)의 상단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재(112)는 포장체(1)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고,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재(112)의 일면은 개봉 라인을 따라 포장체(1)의 일방 내면에 접합될 수 있다. 절단부재(112)는 실런트(1121)를 통해 포장체(1)에 접착될 수 있다. 절단부재(112)는 외력에 의해 포장체(1) 방향으로 당겨지면 개봉라인(L1)을 따라 포장체(1)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포장체(1)를 절단시킬 수 있다.
손잡이(115)는 사용자가 절단부재(112)를 쉽게 당길 수 있도록, 절단부재(11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15)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의 너비와 유사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삽입부(114)에는 손잡이(115)가 끼워질 수 있다. 손잡이 삽입부(114)는 손잡이(1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포장체(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 삽입부(114)는 밀봉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 삽입부(114)를 위해 절개된 밀봉부 부위는 손잡이(115)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15)는 손잡이 삽입부(114)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단부에 의해 포장체(1)가 개봉되기 전에 손잡이(115)는 손잡이 삽입부(114)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부착부(113)는 일측은 개봉라인(L1)을 따라 절단부재(112)에 연결되고, 타측은 개봉라인(L1)과 평행한 접착라인을 따라 포장체(1)의 일방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접착라인은 개봉라인(L1)과 평행하도록 포장체(1)의 일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라인은 개봉라인(L1)을 기준으로, 수용공간(A)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기준으로, 접착라인은 개봉라인(L1)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부착부(113)는 접합부재(1131) 및 돌출부재(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재(1131)는 포장체(1)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고,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접합부재(1131)는 절단부재(112)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재(1131)는 개봉라인(L1)을 따라 일면이 절단부재(112)의 타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부재(112)의 타면은 접합부재(1131)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도록, 접합부재(1131)의 폭 방향의 중심을 따라, 절단부재(112)가 접합부재(1131)에 부착될 수 있다.
접합부재(1131) 및 절단부재(112)는 접합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도록, 서로 비상용성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1131) 및 절단부재(112)가 서로 상용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면 접합부재(1131) 및 절단부재(112)가 융합되어, 분리가 쉽지 않을 정도로 접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재(1131) 및 절단부재(112)가 서로 비상용성의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포장체(1)를 개봉할 때, 절단부재(112)가 접합부재(1131)로부터 인열(引烈)의 저항 없이 박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용성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돌출부재(1132)는 접착라인(L2)을 따라 포장체(1)의 일방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합부는 돌출부재(1132)에 의해 포장체(1)의 일방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돌출부재(1132)는 접합부재(1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합부재(1131)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재(1132)는 접합부재(1131)에 연속되도록 접합부재(1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재(1132)는 절단부재(112)가 접합부재(1131)에 부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절단부재(112)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돌출부재(1132)의 돌출 두께는 절단부재(112)의 두께(H)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절단부재(112) 및 돌출부재(1132)가 포장체(1)의 일방 내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포장체(1)의 내면에 대한 절단부재(112) 및 돌출부재(1132)의 연결부위로부터 접합부재(1131)의 타면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포장체(1)와 접합부, 절단부재(112)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재(1132)는 절단부재(112)가 접합부재(1131)에 접착된 상태에서, 절단부재(112)와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재(1132)의 폭은 0.1 mm 이상이고 절단부재(112)의 폭 미만일 수 있다.
개폐부(12)는 수용공간(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2)는, 포장체(1)의 수용공간(A)이 개방된 이후에 수용공간(A)을 다시 밀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개폐부(12)는 수용공간(A) 및 개봉 라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2)는 도 1을 기준으로, 개봉라인(L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부(12)는, 포장체(1)의 내면 양방에 구비되어 서로 탈착되는 암수 체결부재(12a, 12b)를 포함할 수 있다. 암수 체결부재(12a, 12b)는 예를 들어, 서로 체결되는 암/수 벨크로 이거나, 암/수 지퍼일 수 있다. 암수 체결부재(12a, 12b)는 포장체(1)의 양방 내면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수용공간(A)을 밀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용공간(A)은 개봉라인(L1)을 따라 포장체(1)가 절단되면 1차적으로 개방되고, 암수 체결부재(12a, 12b)에 체결 해제에 따라 2차적으로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체(1)가 개방된 이후에, 암수 체결부재(12a, 12b)의 탈착을 통해 포장체(1)를 재밀봉하거나 재개봉할 수 있으므로,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체(1)의 개봉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체(1)가 개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체(1)가 재밀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잡이(115)를 통해 개봉라인(L1)을 따라 절단부재(112)를 일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절단부재(112) 및 접합부재(1131) 사이의 접합력은 절단부재(112) 및 포장재의 접합력보다 약하기 때문에, 절단부재(112)는 외력에 의해 접합부재(1131)와 분리되면서 포장재를 개봉라인(L1)을 따라 절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장체(1)를 형성하는 포장재는 절단부재(112)와 부착된 부위를 통해 절단되므로, 포장체(1)는 개봉 라인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깔끔하게 절단될 수 있다. 포장체(1)가 절단된 경우, 절단부재(112) 및 접합부재(1131)의 접합 해제부위는, 수용공간(A)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포장체(1)가 절단되어 수용공간(A)이 개방된 이후, 사용자는 개폐부(12)를 통해 수용공간(A)을 다시 폐쇄하거나, 개봉할 수 있다. 암수 체결부재(12a, 12b)가 위치한 포장체(1)의 양 외면을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암수 체결부재(12a, 12b)는 서로 체결됨으로써, 포장체(1)의 양방을 밀착시킴으로써, 수용공간(A)을 폐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포장체(1)의 양 외면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암수 체결부재(12a, 12b)는 체결이 해지되면서, 포장재의 수용공간(A)을 다시 개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포장체
L1: 개봉라인
L2: 접착라인
100: 다층필름
112: 절단부
113: 부착부

Claims (9)

  1.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에 형성되는 개봉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의 일방의 내면에 일면이 접합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는 절단부;
    일측은 상기 개봉라인을 따라 상기 절단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개봉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봉 라인과 평행한 접착라인을 따라 타측이 상기 포장체의 일방 내면에 연결되는 부착부; 및
    상기 개봉라인 및 수용공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장체의 양방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재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부착부와 분리되면서 상기 개봉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를 절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절단부재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절단부재를 커버하도록 일면이 상기 절단부재의 타면에 접합되는 접합부재; 및
    상기 절단부재와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접합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접합부재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접착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의 일방 내면에 부착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포장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의 돌출 두께는, 상기 절단부재의 두께와 동일한, 포장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 및 절단부재는 서로 비상용성 수지로 형성되는, 포장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의 폭은, 0.1mm 이상이고 상기 절단부재의 폭 미만인, 포장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단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포장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가 끼워지는 손잡이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포장체의 내면 양방에 각각 구비되고, 서로 탈착되는 암수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개봉라인을 따라 상기 포장체가 절단되면 개봉되고,
    상기 개봉된 수용공간은 상기 암수 체결부재의 탈착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포장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다층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층 필름은,
    잉크가 인쇄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친수성으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0.4 이상인 포장체.
KR1020180093003A 2018-08-09 2018-08-09 개봉이 용이한 포장체 KR102074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03A KR102074077B1 (ko) 2018-08-09 2018-08-09 개봉이 용이한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03A KR102074077B1 (ko) 2018-08-09 2018-08-09 개봉이 용이한 포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077B1 true KR102074077B1 (ko) 2020-02-25

Family

ID=6964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03A KR102074077B1 (ko) 2018-08-09 2018-08-09 개봉이 용이한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0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433A (ja) * 1995-03-17 1996-10-08 Dainippon Printing Co Ltd 昇華型熱転写受像シート用包装体
KR20040079112A (ko) * 2003-03-06 2004-09-14 문병진 합성수지 포대 및 그 제조방법
JP2006044733A (ja) * 2004-08-04 2006-02-16 Fuji Seal International Inc 包装袋、及び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JP2018020790A (ja) * 2016-08-01 2018-02-0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テープ及び袋体
KR20180032266A (ko) * 2016-09-22 2018-03-30 제이앤에이글로벌 유한회사 절취가 편리한 절취선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
KR101864942B1 (ko) * 2016-09-27 2018-06-05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이중 개봉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433A (ja) * 1995-03-17 1996-10-08 Dainippon Printing Co Ltd 昇華型熱転写受像シート用包装体
KR20040079112A (ko) * 2003-03-06 2004-09-14 문병진 합성수지 포대 및 그 제조방법
JP2006044733A (ja) * 2004-08-04 2006-02-16 Fuji Seal International Inc 包装袋、及び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JP2018020790A (ja) * 2016-08-01 2018-02-0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テープ及び袋体
KR20180032266A (ko) * 2016-09-22 2018-03-30 제이앤에이글로벌 유한회사 절취가 편리한 절취선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
KR101864942B1 (ko) * 2016-09-27 2018-06-05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이중 개봉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1708B1 (en) Resealable container and closure seal
US7866885B2 (en) Film bag
US20040141664A1 (en) Box-shaped package of a flexible and sealable packaging material
US7670050B2 (en) Packaging container consisting of a plastic film
JP4739305B2 (ja) 樹脂製包装袋
JP5573252B2 (ja) 包装材料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包装容器および蓋材
WO1998014383A1 (fr) Recipient en plastique avec fermeture
US20160318666A1 (en) Reclose Concept of Roll & Close for Pillow & Side Gusset Bags
US6702460B1 (en) High strength plastic bag
KR102074077B1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체
JP2007030933A (ja) 紙製蓋材
JP4478319B2 (ja) 易開封性包装袋
JP3953582B2 (ja) 易開口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6456092B2 (ja) 包装袋用注出ユニットおよびファスナー付き包装袋
JP6589454B2 (ja) 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の製造方法
JPS6025400Y2 (ja) 易開封性包装袋
KR20200017740A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체
JP4478317B2 (ja) 易開封ブリスター包装体
JP2012081967A (ja) 再封機能付き包装袋
JP4530404B2 (ja) ファスナー付き包装材料および包装体
JP3020834B2 (ja) チャック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JP3033226U (ja) ガゼット袋及び包装体
JP6287051B2 (ja) 包装容器
PT1773683E (pt) Embalagem que compreende um recipiente de material plástico fechado por um opérculo que se pode desprender fixado pelo calor ao referido recipiente
JP3923806B2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