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015B1 -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015B1
KR102073015B1 KR1020190058687A KR20190058687A KR102073015B1 KR 102073015 B1 KR102073015 B1 KR 102073015B1 KR 1020190058687 A KR1020190058687 A KR 1020190058687A KR 20190058687 A KR20190058687 A KR 20190058687A KR 102073015 B1 KR102073015 B1 KR 10207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ipe
screw shaft
plated fil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우
전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지티
Priority to KR102019005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3/00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 B23K13/01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by induction heating
    • B23K13/02Seam welding
    • B23K13/025Seam welding f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식성을 위해 도금처리한 파이프의 내경에 입혀진 도금막을 간편하게 제거하여 파이프를 용접으로 연결시 용접불량을 방지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파이프용 도금막 제거기는 현장에서 작업시 대부분 수평으로 위치한 파이프를 작업할 때 회전주행시 파이프로부터 이탈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고, 진원도가 상이한 파이프의 표면상태에 대응하여 도금막을 빠짐없이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파이프의 선단에 밀착되는 롤러 회전이동판의 후면에 설치된 메인 외접롤러 및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가 파이프의 외경에 안정적으로 3점 접지됨과 아울러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고정이동판에 부착된 제거기 본체의 커터 가이드롤러가 파이프의 내경에 동시 1점 접지되면서 도금막 제거기의 회전주행에 따른 원활성을 제고하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The bore plating film removal for pipes}
본 발명은 내식성을 위해 도금처리한 파이프의 내경에 입혀진 도금막을 간편하게 제거하여 파이프를 용접으로 연결시 용접불량을 방지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산업 및 해양환경 등에서와 같이 극심한 부식환경에 노출되는 파이프들은 부식방지를 목적으로 일반 강재파이프에 아연도금을 한 후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아연도금된 파이프에 도장작업을 실시한 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아연도금파이프의 제조방법으로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파이프를 조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연속용융 도금설비에서 생산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소재로 하여 파이프를 조관하고, 용접부의 도금층 탈락부에 아연용사 처리를 하여 내식성을 보완하는 방법이다.
즉, 이 방법은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적당한 크기로 재단(Slitting)한 후, 조관유를 분사하면서 다수의 롤을 이용한 조관기에서 원하는 크기 및 모양으로 조관하고, 고주파 용접기를 사용하여 재단부를 용접하며, 용접 비드(bead)를 제거하여 파이프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식방지를 위해서는 내경에 도금막이 형성된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일체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파이프를 길이에 맞게 절단한 후 선단의 모서리에 용접면을 일정한 각도로 깎아내어 용접홈을 만드는 개선 작업을 시행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파이프에 형성된 용접면을 서로 맞대기 용접을 하여 간편하게 절단된 한 쌍의 파이프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내경에 도금막이 입혀진 파이프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파이프와 상이한 도금막의 재질적인 특성상 기포가 발생하는 등의 용접불량이 발생함은 물론 상기 도금막이 녹아내려 용융금속이 파이프의 내부로 흘러드는 결함이 발생함으로써 용접작업의 사전작업으로 상기 파이프 내경의 도금막을 제거하여야만 한다.
종래에는 상기 파이프의 도금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라인딩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자들이 핸드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진행함으로 써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수작업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본 발명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381279호, 명칭/ 파이프 내경용 도금막 제거기」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도금막 제거기를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 수평 상으로 안정되게 안착함으로써 도금처리된 파이프 내경의 도금막을 전용으로 신속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의 상단에 올려놓고 작업을 수행함에는 문제가 없으나, 현장에서 작업시 대부분 수평으로 위치한 파이프를 작업할 때에는 도금막 제거기가 회전주행시 파이프로부터 이탈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큰 것이었다.
또한, 파이프의 내, 외경은 아무리 정밀하더라도 국부적으로 표면상태가 일정하지 못해 전체적인 진원도가 상이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파이프의 표면상태에 대응하여 메인 가이드롤러와 서브 가이드롤러가 내경을 따라 원활하게 주행하지 못해 도금막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 구간이 발생하여 작업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도금막을 제거하기 이전에 커터가 제 속도로 회전된 후 도금막에 진입하면서 절삭이 시작되어야만 기동 부하가 적게 걸리는데 선행기술은 커터가 도금막에 닿은 상태에서 회전이 시작됨과 동시에 절삭됨으로써 커터가 파손되거나 과부하가 걸리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파이프의 선단에 밀착되는 롤러 회전이동판의 후면에 설치된 메인 외접롤러 및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가 파이프의 외경에 안정적으로 3점 접지됨과 아울러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고정이동판에 부착된 제거기 본체의 커터 가이드롤러가 파이프의 내경에 동시 1점 접지되면서 도금막 제거기의 회전주행에 따른 원활성을 제고하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의 전면에 설치된 본체 조절구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나사축과 결합된 본체 고정이동판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 고정이동판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 유격을 유지하면서 파이프의 내경 표면상태에 대응하여 커터 가이드롤러가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의 후면에 설치된 롤러 지지블럭에 설치된 메인 외접롤러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 유격을 유지하면서 파이프의 외경 표면상태에 대응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도금막과 떨어진 상태에서 커터가 충분하게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 고정이동판을 이동시켜 제거기 본체의 커터를 파이프의 내경 도금막에 진입한 후 도금막 제거기를 회전시키면서 도금막을 제거하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외접롤러 및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가 파이프의 외경에 안정적으로 3점 접지됨과 아울러 제거기 본체의 가이드롤러가 파이프의 내경에 동시에 1점 접지됨으로써 수평으로 위치한 파이프의 선단에 밀착시켜 도금막을 제거할 때 상기 도금막 제거기의 회전주행시에도 파이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주행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작업품질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막의 제거시 커터 가이드롤러 및 메인 외접롤러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 유격을 자동으로 유지함으로써 파이프의 표면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커터 가이드롤러 및 메인 외접롤러가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항상 파이프의 내경 및 외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금막을 사각지대 없이 확실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터가 파이프의 도금막과 떨어진 상태에서 충분하게 제 속도로 회전한 후 비로소 파이프의 내경 도금막에 진입함으로써 기동 부하가 적게 걸리고, 커터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커터가 파이프를 파고든 상태로 물리면서 작동이 중단됨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파이프의 직경이 큰 대형 파이프나 판재의 도금막을 제거할 때에는 상기 서브 외접롤러를 대신하여 롤러 회전이동판에 추가로 결합된 한 쌍의 서브 내접롤러를 파이프의 내경에 접지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규격을 갖는 파이프의 도금막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작업범위가 매우 넓은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금막 제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금막 제거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금막 제거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도금막 제거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금막 제거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 외접롤러 및 서브 외접롤러가 파이프의 외경에 접지된 상태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메인 외접롤러, 본체 및 커터 이동장치 및 제거기 본체의 조립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메인 외접롤러의 상하 유격상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본체 및 커터 이동장치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롤러 회전이동판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본체 고정이동판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서브 내접롤러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메인 외접롤러 및 서브 내접롤러가 파이프의 외경에 접지된 상태의 배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롤러 회전이동판(10), 메인 외접롤러(20),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30), 본체 고정이동판(40), 제거기 본체(50), 본체 및 커터 이동장치(6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롤러 회전이동판(10)은 수평으로 위치한 파이프(1)의 선단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파이프(1)의 내경에 입혀진 도금막을 제거할 때 메인 외접롤러(20) 및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30)가 파이프(1)의 외경을 따라 회전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중앙에 커터(53)가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커터 노출부(11)의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커터 노출부(11)의 양측 하부에는 서브 외접롤러(30)를 고정하기 위한 롤러 고정부(12)가 연장하여 형성된다.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의 후면 상부에는 롤러 지지블록(21)이 부착되고, 롤러 지지블록(21)의 하부에는 파이프(1)의 외경에 접지되는 메인 외접롤러(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 외접롤러(20)는 파이프(1)의 크기에 맞추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외경에 원활하게 접지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은 도 8과 같이 전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22)가 롤러 회전이동판(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슬롯(13)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22)의 전면에는 가이드슬롯(13)보다 폭이 큰 이탈방지판(24)이 밀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체결구(25)가 이탈방지판(24)을 관통하여 가이드돌기(22)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롤러 지지블럭(21)은 롤러 회전이동판(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의 상부에는 롤러 회전이동판(10)에 나사축 고정브라켓(26)이 부착되고, 나사축 고정브라켓(26)의 상하를 관통하여 롤러 이동나사축(27)이 나사결합되며, 롤러 이동나사축(27)은 롤러 지지블럭(21)을 상하로 관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의 후면에 부착된 롤러브라켓(21a)에 메인 외접롤러(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롤러 이동나사축(27)의 상단에 결합된 조절핸들(27a)의 정역회전 조작에 따라 롤러 지지블럭(21) 및 메인 외접롤러(20)가 상하로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은 롤러브라켓(21a)과 이격된 상태로 하부면에 롤러 고정돌기(21b)가 돌출 형성되고, 롤러 고정돌기(21b)에는 상기 메인 외접롤러(20)와 동심축을 이루면서 파이프(1)의 외경에 동시 접지되는 보조 가이드롤러(28)가 설치됨으로써 파이프(1)의 외경에 더욱 넓은 폭으로 접지됨과 아울러 접지면적이 넓어 더욱 안정적인 회전주행성을 발휘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의 하부 양측에 연장 형성된 롤러 고정부(12)에는 각각 한 쌍의 이동장홀(14)이 하부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장홀(14)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지지블럭(31)에 각각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롤러 지지블럭(31)은 전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이동장홀(14)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전면에는 이동장홀(14)보다 폭이 큰 이탈방지판(34)이 밀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체결구(35)가 이탈방지판(34)을 관통하여 가이드돌기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롤러 지지블럭(31)은 롤러 회전이동판(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이동장홀(14)을 따라 상하 경사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 지지블럭(31)의 후면에 부착된 롤러브라켓(31a)에 각각 서브 외접롤러(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롤러 지지블럭(31)은 롤러브라켓(31a)과 이격된 상태로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롤러 고정돌기(31b)에 상기 서브 외접롤러(30)와 동심축을 이루면서 파이프(1)의 외경에 동시 접지되는 보조 가이드롤러(38)가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파이프(1)의 외경에 더욱 넓은 폭으로 접지됨과 아울러 접지면적이 넓어 더욱 안정적인 회전주행성을 발휘함은 물론 도금막의 제거작업서 파이프(1)로부터 도금막 제거기(R)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서브 외접롤러(30)는 중앙에 금속롤러(30-1)가 형성되고, 금속롤러(30-1)의 양측에는 각각 금속롤러(30-1)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무재의 슬립방지 고무롤러(30-2)가 일체로 성형 설치되는 이중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파이프(1)의 외경을 따라 주행할 때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금속롤러(30-1)는 슬립방지 고무롤러(30-2)가 과도하게 눌리지 않고 적당한 접지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의 전면에는 본체 고정이동판(40)이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 고정이동판(40)은 도 11과 같이 상부 양측 및 하부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판(41)에 각각 가이드슬롯(43)이 관통 형성되고, 가이드슬롯(43)을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볼트(44)가 롤러 회전이동판(1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슬롯(43)을 따라 본체 고정이동판(40)은 상하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체 고정이동판(40)의 하측 후면에는 제거기 본체(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원판(51)이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체결구(52)로 관통하여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제거기 본체(50)에 구비된 커터(53) 및 커터 가이드롤러(54)는 커터 노출부(11)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본체 및 커터 이동장치(60)는 본체 고정이동판(40)이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제거기 본체(50) 및 커터(53)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커터(53)가 파이프(1)의 내경에 입혀진 도금막에 진입하거나 진출할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체 및 커터 이동장치(60)는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의 전면 상부에 조절구 지지브라켓(61)이 부착되고, 조절구 지지브라켓(61)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조절구(62)의 중앙을 관통하여 이동나사축(63)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동나사축(63)의 하부에 형성된 상하 이동축부(63a)는 롤러 회전이동판(10)의 전면에 부착된 나사축 지지브라켓(64)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 조절구(62)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62a)의 정역회전 조작에 따라 이동나사축(63)이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본체 고정이동판(4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제거기 본체(50) 및 커터(53)가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터(53)가 파이프(1)의 내경 도금막과 떨어진 상태에서 충분하게 제 속도로 회전하도록 기동한 이후에 본체 조절구(62)를 회전시켜 파이프(1)의 내경 도금막에 진입함으로써 기동 부하가 적게 걸리고, 커터(53)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커터(53)가 파이프(1)를 파고든 상태로 물리면서 작동이 중단됨을 방지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외접롤러(20) 및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30)가 도 6과 같이 파이프(1)의 외경에 3점 접지됨과 아울러 제거기 본체(50)의 커터 가이드롤러(54)는 파이프(1)의 내경에 동시 1점 접지됨으로써 수평으로 위치한 파이프(1)의 선단에 도금막 제거기(R)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주행하면서 도금막을 제거하더라도 파이프(1)로부터 도금막 제거기(R)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금막 제거기(R)를 파이프(1)의 선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 작업자가 더욱 쉽게 수동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의 상부 양측 및 하단 중앙에 회전손잡이(16)가 결함됨으로써 회전손잡이(16)를 잡고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도금막 제거기(R)의 회전시 파이프(1)의 선단에 밀착되는 롤러 회전이동판(10)이 마찰저항에 의해 마모됨을 방지하도록 열처리된 다수의 스프링강판(17)이 도 13과 같이 롤러 회전이동판(10)의 양측 후면 및 이동장홀(14)과 평행하게 추가로 부착됨으로써 마찰저항을 줄여주어 내구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 외접롤러(20) 및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3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도금막 제거기(R)의 회전방향 쪽으로 가면서 롤러 회전이동판(10)에서 멀어지도록 틀어지게 설치됨으로써 파이프(1)의 외경을 타고 회전하는 과정에서 메인 외접롤러(20) 및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30)는 파이프(1)의 선단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경로를 형성함으로써 파이프(1)로부터 탈선하려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은 스프링(29)의 탄성에 의해 상하 유격을 유지하면서 파이프(1)의 외경 표면상태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메인 외접롤러(20)가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은 도 8과 같이 롤러 이동나사축(27)이 관통하는 부위의 상측에 스프링홈(21c)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21c)에 내장되는 스프링(29)은 롤러 이동나사축(27)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29)은 상하 양측이 스프링홈(21c)의 바닥면 및 롤러 이동나사축(27)에 끼움 고정된 와셔(27b)에 탄력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프링(29)의 탄성에 의해 메인 외접롤러(20)가 상하 유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1)의 진원도가 상이하더라도 파이프(1)의 외경 표면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외접롤러(20)는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함에 따라 항상 파이프의 외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금막을 사각지대 없이 확실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 고정이동판(40)이 스프링(65)의 탄성에 의해 상하 유격을 유지하면서 파이프(1)의 내경 표면상태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커터 가이드롤러(54)가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나사축 지지브라켓(64)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된 이동나사축(63)의 상하 이동축부(63a)는 외측에 스프링(65)이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65)은 상하 양측이 나사축 지지브라켓(64)의 저면 및 이동나사축(63)에 끼움 고정된 와셔(63b)에 탄력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프링(65)의 탄성에 의해 제거기 본체(50)의 커터 가이드롤러(54)가 상하 유격을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파이프(1)의 내경 표면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커터 가이드롤러(54)는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함에 따라 항상 파이프의 내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금막을 사각지대 없이 확실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외접롤러(20) 및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30)를 파이프(1)의 외경에 접지한 상태로 도금막을 제거할 수 없는 큰 직경의 파이프(1)에 도금막 제거기(R)를 장착하여 도금막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에 형성된 커터 노출부(11)의 양측에 이동장홀(14a)이 상하 수직상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의 전면에서 이동장홀(14a)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롤러 고정볼트(71)에는 롤러축(72)이 일체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롤러축(72)에는 상기 서브 외접롤러(30)를 대신하여 파이프(1)의 내경에 접지되는 한 쌍의 서브 내접롤러(70)가 추가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외접롤러(20)는 도 13과 같이 파이프(1)의 외경에 접지하는 반면, 한 쌍의 서브 내접롤러(70)는 파이프(1)의 내경에 접지함과 아울러 커터 가이드롤러(54)가 내경에 접지함으로써 직경이 큰 대형 파이프(1)는 물론 판재의 도금막도 제거할 수 있어 작업범위가 매우 넓고, 도금막 제거기(R)의 활용도가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R: 도금막 제거기 1: 파이프
10: 롤러 회전이동판 11: 커터 노출부
12: 롤러 고정부 13, 43: 가이드슬롯
14, 14a: 이동장홀 16: 회전손잡이
17: 스프링강판 20: 메인 외접롤러
21, 31: 롤러 지지블럭 21a, 31a: 롤러브라켓
21b, 31b: 롤러 고정돌기 21c: 스프링홈
22: 가이드돌기 24, 34: 이탈방지판
26: 나사축 고정브라켓 27: 롤러 이동나사축
28, 38: 보조 가이드롤러 29, 65: 스프링
30: 서브 외접롤러 40: 본체 고정이동판
41: 가이드판 44: 가이드볼트
50: 제거기 본체 51: 베이스원판
53: 커터 54: 커터 가이드롤러
60: 본체 및 커터 이동장치 61: 조절구 지지브라켓
62: 본체 조절구 63: 이동나사축
63a: 상하 이동축부 64: 나사축 지지브라켓
70: 서브 내접롤러 72: 롤러축

Claims (11)

  1. 롤러 회전이동판(10)의 후면 상부에 부착된 롤러 지지블럭(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외접롤러(20)와;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의 하부 양측에 하부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이동장홀(14)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지지블럭(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30)와;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의 전면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고정이동판(40)에 일체로 부착되고, 커터(53) 및 커터 가이드롤러(54)가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에 형성된 커터 노출부(11)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노출된 제거기 본체(50)와;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의 전면 상부에 부착된 조절구 지지브라켓(61)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조절구(62)의 중앙을 관통하여 이동나사축(63)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이동나사축(63)의 하부에 형성된 상하 이동축부(63a)가 롤러 회전이동판(10)에 부착된 나사축 지지브라켓(64)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및 커터 이동장치(6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은 전면에 돌출된 가이드돌기(22)가 롤러 회전이동판(1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13)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의 상부 롤러 회전이동판(10)에 부착된 나사축 고정브라켓(26)의 상하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롤러 이동나사축(27)은 롤러 지지블럭(21)을 상하로 관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의 후면에 부착된 롤러브라켓(21a)에 메인 외접롤러(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외접롤러(20) 및 한 쌍의 서브 외접롤러(30)는 파이프의 외경에 3점 접지됨과 아울러 제거기 본체(50)의 커터 가이드롤러(54)는 파이프(1)의 내경에 동시 1점 접지된 상태에서 파이프(1)의 도금막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은 롤러브라켓(21a)과 이격된 상태로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롤러 고정돌기(21b)에 상기 메인 외접롤러(20)와 동심축을 이루면서 파이프(1)의 외경에 동시 접지되는 보조 가이드롤러(28)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블럭(21)은 롤러 이동나사축(27)이 관통하는 부위의 상측에 스프링홈(21c)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21c)에 내장된 상태로 롤러 이동나사축(27)의 외측에 끼워진 스프링(29)은 상하 양측이 스프링홈(21c)의 바닥면 및 롤러 이동나사축(27)에 끼움 고정된 와셔(27b)에 탄력 지지되어 상기 스프링(29)의 탄성에 의해 메인 외접롤러(20)가 상하 유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블럭(31)은 전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이동장홀(14)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면에 부착된 롤러브라켓(31a)에 각각 서브 외접롤러(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블럭(31)은 롤러브라켓(31a)과 이격된 상태로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롤러 고정돌기(31b)에 상기 서브 외접롤러(30)와 동심축을 이루면서 파이프(1)의 외경에 동시 접지되는 보조 가이드롤러(38)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외접롤러(30)는 중앙에 형성된 금속롤러(30-1)의 양측에 각각 금속롤러(30-1)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무재의 슬립방지 고무롤러(30-2)가 끼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고정이동판(40)은 상부 양측 및 하부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판(41)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슬롯(43)을 관통하는 가이드볼트(44)가 롤러 회전이동판(10)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 지지브라켓(64)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된 이동나사축(63)의 상하 이동축부(63a) 외측에는 스프링(65)이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65)은 상하 양측이 나사축 지지브라켓(64)의 저면 및 이동나사축(63)에 끼움 고정된 와셔(63b)에 탄력 지지되어 상기 스프링(65)의 탄성에 의해 제거기 본체(50)의 커터 가이드롤러(54)가 상하 유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은 커터 노출부(11)의 양측에 이동장홀(14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롤러 회전이동판(10)의 전면에서 이동장홀(14a)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되는 롤러 고정볼트(71)에 나사결합되는 롤러축(72)에는 상기 서브 외접롤러(30)를 대신하여 파이프(1)의 내경에 접지되는 한 쌍의 서브 내접롤러(7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KR1020190058687A 2019-05-20 2019-05-20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KR10207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687A KR102073015B1 (ko) 2019-05-20 2019-05-20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687A KR102073015B1 (ko) 2019-05-20 2019-05-20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015B1 true KR102073015B1 (ko) 2020-02-04

Family

ID=6957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687A KR102073015B1 (ko) 2019-05-20 2019-05-20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752B1 (ko) * 2021-07-27 2022-05-18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다기능 파이프 피막 제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279B1 (ko) * 2013-09-26 2014-04-04 주식회사 대성지티 파이프 내경용 도금막 제거기
KR101497638B1 (ko) * 2015-01-15 2015-03-03 이종일 이동식 용접 개선용 파이프 외경 면취기
KR101702375B1 (ko) * 2015-09-09 2017-02-03 주식회사 원테크 판재 면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279B1 (ko) * 2013-09-26 2014-04-04 주식회사 대성지티 파이프 내경용 도금막 제거기
KR101497638B1 (ko) * 2015-01-15 2015-03-03 이종일 이동식 용접 개선용 파이프 외경 면취기
KR101702375B1 (ko) * 2015-09-09 2017-02-03 주식회사 원테크 판재 면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752B1 (ko) * 2021-07-27 2022-05-18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다기능 파이프 피막 제거 장치
WO2023008657A1 (ko) * 2021-07-27 2023-02-02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다기능 파이프 피막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015B1 (ko) 파이프용 내경 도금막 제거기
KR101281573B1 (ko) 도막제거 및 표면조도 형성장치
KR20140008967A (ko) 파이프 자동가공장치
KR102003902B1 (ko) 파이프용 자동주행 면취기
KR101381279B1 (ko) 파이프 내경용 도금막 제거기
US5571328A (en) Bearing support for submerged rolls in hot dip coating operation
US20150258613A1 (en) Chamfering machine for providing optimal operation condition during operation of cutting surface of circular material and surface cutting method
KR100293231B1 (ko) 에어나이프연마및소제장치
KR20200025064A (ko) 포트롤 축수부 회전장치
DE19629288C2 (de) Vorrichtung zur gleichmäßigen Oberflächenbearbeitung von felgenartigen Körpern
KR200371636Y1 (ko) 아연도금조 내부의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US2433734A (en) Means for supporting torches in oxyacetylene cutting machines
RU2369472C1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дуговой наплавки у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подпятника надрессорной балки тележки грузовых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RU230447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концов труб большого диаметра
KR101416219B1 (ko) 관이음쇠 외경 도금막 제거기
KR100899705B1 (ko) 전기도금된 스트립 에지부 인산 처리불량 방지장치
CN112518413B (zh) 市政建筑施工用建材切割设备
JP3594450B2 (ja) 切断用治具
JP3490689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装置
CN216028523U (zh) 一种用于热浸镀锌钢管的残余清除装置
KR100767404B1 (ko) 롤 표면 이물질제거장치
CN220361634U (zh) 一种双金属锯带修边机的清理装置
CN218397391U (zh) 一种镀锌板镀锌层毛刺清除设备
CN216779243U (zh) 一种外星轮用端面涂覆减摩层的工装
CN214982201U (zh) 一种带锯夹持装置及带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