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540B1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540B1
KR102072540B1 KR1020180088959A KR20180088959A KR102072540B1 KR 102072540 B1 KR102072540 B1 KR 102072540B1 KR 1020180088959 A KR1020180088959 A KR 1020180088959A KR 20180088959 A KR20180088959 A KR 20180088959A KR 102072540 B1 KR102072540 B1 KR 102072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light emitting
sliding door
ligh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기업
Priority to KR102018008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enabling manual drive, e.g.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05F2015/434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cameras or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optical sens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4)가 개폐하는 탑승구에 설치되어 센싱광을 상기 탑승구에 발산하는 발광부(22); 상기 탑승구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상기 탑승구에 있는 물체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입력받는 수광부(24);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22)와 상기 수광부(24)는 상기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4)가 개폐하는 상기 탑승구의 앞에서 볼 때에 상기 탑승구의 우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22)와 상기 수광부(24)는 상기 탑승구의 영역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22)와 상기 수광부(24)는 마운팅 케이스(12)에 내장되고, 상기 마운팅 케이스(12)가 상기 탑승구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Vehicle sliding door sensor}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합차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새로운 구성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에 관한 것이다.
다인승 차량인 승합차는 차체가 높아 탑승객들의 승하차시 용이하지 못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특히, 유치원이나 각종 학원 등과 같이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차량은 승하차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현저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차량에는 어린이들이 차량 승하차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어린이의 신체에 맞는 보조발판장치를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때, 승합차에는 운전석 뒤쪽 위치에 승객 탑승을 위한 승객 탑승실이 구비되고, 승객 탑승실에는 승객 탑승용 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승객 탑승실의 옆쪽에는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승객 탑승실에 승객이 탑승하여 승객 탑승용 시트에 앉게 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탑승실에 승객이 아직 탑승하지 않아서 탑승구에 승객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슬라이딩 도어가 그대로 닫혀버려서 승객이 슬라이딩 도어의 출입구 사이에 끼면서 부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특히, 승합차의 바깥에서 승객의 옷이 슬라이딩 도어와 출입구 사이에 끼인 상태로 그대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처럼 승객의 옷이나 가방 등의 물품이 슬라이딩 도어와 탑승실의 출입구 사이에 끼인 상태로 차량을 운행해버리면 승객이 심한 부상을 입게 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0-0015914호(2000년03월15일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131181호(1998년09월12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합차나 버스와 같은 차량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하고 편안한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도움을 주면서도 하면서도 필요시 자동 및 수동 전환이 편리하게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하는 탑승구에 설치되어 센싱광을 상기 탑승구에 발산하는 발광부; 상기 탑승구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상기 탑승구에 있는 물체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입력받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가 제공된다.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하는 상기 탑승구의 앞에서 볼 때에 상기 탑승구의 우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탑승구의 영역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마운팅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마운팅 케이스가 상기 탑승구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코어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코어 케이스가 상기 마운팅 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가 상기 마운팅 케이스에 내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는 정면에서 볼 때에 내측면과 하부면 및 상부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운팅 케이스의 상기 상부면은 곡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면이 상기 탑승구의 내측 벽부에 접촉되어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가 내장된 상기 코어 케이스가 상기 마운팅 케이스의 상기 하부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의 상기 하부면에는 내외면으로 연통된 코어 케이스 장착홀이 구비되어, 상기 코어 케이스 장착홀에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를 수용한 상기 코어 케이스가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케이스 장착홀의 주위에는 보스가 구비되어, 상기 코어 케이스에 결합된 상기 체결구가 상기 보스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의 내부에는 체결구 결합보스가 구비되어, 상기 마운팅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에 결합된 체결구가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하는 탑승구 내측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는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체결구 헤드부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상기 탑승구에 있는 물체에 반사되는 반사광이 상기 수광부에 입력될 때에 비상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의 전방에는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가 내장된 마운팅 케이스의 코어 케이스 장착홀에 커버판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판에 상기 발광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는 차량의 탑승구에서 발판이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자동으로 탑승구 쪽으로 들어가지 못하여 발판이 차량의 탑승구에서 돌출된 상태로 방치되거나 차량의 탑승구 아래로 들어가서 자동으로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수동 모드로 전환하여 발판을 차량의 탑승구 밑으로 밀어넣거나 차량의 탑승구 아래에서 밖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 등에 있어서 곤란을 겪는 경우가 생기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주요 효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다양한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의 전면도
도 5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의 주요부인 발광부와 수광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를 슬라이딩 도어의 탑승구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와 탑승구 사이에 물체가 있는 경우를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가 다시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의 발광부의 센싱 영역과 슬라이딩 도어와 탑승구 사이에 물체가 경우를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가 다시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는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4)가 개폐하는 탑승구에 설치되어 센싱광을 상기 탑승구에 발산하는 발광부(22)와, 상기 탑승구에 설치되어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상기 탑승구에 있는 물체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입력받는 수광부(24)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22)와 수광부(24)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라 할 수 있는데, 차량의 전원공급부(주로, 차량의 배터리)에 전선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22)와 수광부(24)는 마운팅 케이스(12)에 내장된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12)는 정면에서 볼 때에 내측면과 하부면 및 상부면을 구비한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마운팅 케이스(12)의 내부에는 상부면으로 개방된 장착 공간부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 공간부는 발광부(22)와 수광부(24)를 내장시키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상부면은 곡면(14)으로 구성된다. 마운팅 케이스(1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상부면이 원주형 곡면(14)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하부면에는 코어 케이스 장착홀(16)이 구비된다. 코어 케이스 장착홀(16)은 마운팅 케이스(12)의 하부면의 내표면에서 외표면으로 연통된다. 코어 케이스 장착홀(16)은 사각형 홀 형상이다. 상기 코어 케이스 장착홀(16)의 주위에는 보스(13)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보스(13)가 코어 케이스 장착홀(16)의 주위에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보스(13)는 마운팅 케이스(12)의 하부면의 안쪽면에 구비된다. 보스(13)의 내부는 마운팅 케이스(12)의 하부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보스(19)가 구비된다. 마운팅 케이스(12)의 내부 공간부에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보스(19)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케이스(12)는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19)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체결구 헤드부 수용홈이 구비된다. 체결구 헤드 수용홈의 직경은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19)의 내경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22)와 상기 수광부(24)는 코어 케이스(20)에 내장되고, 상기 코어 케이스(20)가 마운팅에 내장되어, 상기 발광부(22)와 수광부(24)가 마운팅 케이스(12)에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발광부(22)와 수광부(24)가 내장된 코어 케이스(20)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결합되고, 상기 코어 케이스(20)는 마운팅 케이스(12)의 코어 케이스(20) 결합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케이스(20)에 결합된 체결구가 마운팅 케이스(12) 내부의 보스(13)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코어 케이스(20)가 마운팅 케이스(12)에 내장되고, 코어 케이스(20)에 내장된 발광부(22)와 수광부(24)가 마운팅 케이스(12)에 내장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코어 케이스(20)는 발광부(22)와 수광부(24)가 내장된 전면이 투광성판(투명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빛이 코어 케이스(20)의 전면으로 투과되고, 발광부(22)에서 발산되어 물체에 반사된 반사광은 상기 코어 케이스(20)의 전면을 통과하여 수광부(24)로 입력된다. 수광부(24)가 물체에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케이스(20)와 발광부(22) 및 수광부(24)가 내장된 마운팅 케이스(12)에서 상기 체결구 헤드 수용홈과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19)를 통과한 볼트 등의 체결구가 차량(2)의 탑승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마운팅 케이스(12)가 차량(2)의 탑승구에 장착되고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에 내장된 발광부(22)와 수광부(24)도 차량(2)의 탑승구에 장착된다.
상기 발광부(22)와 수광부(24)는 차량(2)의 슬라이딩 도어(4)가 개폐하는 탑승구의 앞에서 볼 때에 탑승구의 우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22)와 수광부(24)는 탑승구의 영역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발광부(22)와 수광부(24)는 마운팅 케이스(12)에 내장됨과 동시에 마운팅 케이스(12)의 하면부 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마운팅 케이스(12)가 탑승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면부가 차량(2)의 탑승구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발광부(22)와 수광부(24)는 탑승구의 영역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내부에는 체결구 결합보스(19)가 구비되어,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외부에서 체결구 결합보스(19)에 결합된 체결구가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4)가 개폐하는 탑승구 내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12)는 정면에서 볼 때에 내측면과 하부면 및 상부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상부면은 곡면(14)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면이 탑승구의 내측 벽부에 접촉되어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탑승구에서 슬라이딩 도어(4)가 닫혔을 때에 슬라이딩 도어(4)의 선단부 측면과 인접하는 상하 연장 출입구 포밍벽과 슬라이딩 도어(4)의 상단부와 인접하는 상부 출입구 포밍벽을 구비하는데, 상기 차량(2)의 상하 연장 출입구 포밍벽과 상단 출입구 포밍벽이 이어지는 우측 상부는 곡면(14) 연결부로 구성되므로,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곡면(14) 형상의 상면부가 상기 차량(2)의 탑승구의 곡면(14) 연결부에 딱 맞도록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에 의해 마운팅 케이스(12)가 상기 탑승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차량(2)의 탑승구 앞에서 볼 때에 상기 마운팅 케이스(12)가 탑승구의 우측 상부에 고정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발광부(22)와 수광부(24)가 내장된 코어 케이스(20)가 마운팅 케이스(12)의 하부면에 구비되므로, 상기 발광부(22)와 수광부(24)가 차량(2)의 탑승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발광부(22)는 센싱광을 탑승구 영역에 발산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수광부(24)는 탑승구에 있는 물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 케이스(12)는 체결구 결합보스(19)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체결구 헤드부 수용홈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19)를 통과하여 차량(2)의 탑승구의 내측벽에 결합(정확하게는 차량(2)의 탑승구를 형성하는 상하 연장 출입구 포밍벽과 상부 출입구 포밍벽에 결합)된 체결구의 헤드가 상기 체결구 헤드 수용홈에 내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탑승구에 있는 물체에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이 상기 수광부(24)에 입력될 때에 비상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보음 발생부는 상기 수광부(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차량(2)의 슬라이딩 도어(4)가 닫힐 때에 상기 발광부(22)에서 탑승구 영역에 센싱광을 발산하는데, 상기 탑승구에 사람의 신체나 사람의 옷이나 가방과 같은 물체(6)(이하에서는 편의상 사람의 신체와 사람의 옷이나 가방 등을 통틀어서 물체(6)라 칭하기로 함)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수광부(24)에 반사광을 돌아와서 수광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차량(2)의 슬라이딩 도어(4)가 탑승구를 닫게 된다.
한편, 상기 탑승구에 물체(6)가 존재하여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물체에서 반사되어 수광부(24)에 반사광으로 수광되기 때문에, 차량(2)의 슬라이딩 도어(4)가 닫히다가 다시 후퇴하여 탑승구를 다시 열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탑승구에 있는 물체에 반사되어 나오고, 상기 반사광은 수광부(24)에 입력되는데, 이처럼 탑승구에 있는 물체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의 수광부(24)에서 수광될 때에 경보음 발생부에서 비상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차량(2) 운전자가 차량(2)를 그대로 운행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2)의 슬라이딩 도어(4)가 열려있다가 다시 닫힐 때에 차량(2)의 탑승구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도어(4)를 다시 열리게 하므로, 탑승구에 승객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슬라이딩 도어(4)가 그대로 닫혀버려서 승객이 슬라이딩 도어(4)와 탑승구 사이에 끼면서 부상을 입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광부(22)와 수광부(24)가 내장된 코어 케이스(20)가 체결구에 의해 마운팅 케이스(12)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되므로, 상기 체결구를 풀어서 코어 케이스(20)와 발광부(22) 및 수광부(24)를 함께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에 있어서 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상면부는 차량(2)의 탑승구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곡면(14) 연결부, 다시 말해, 상기 차량(2)의 상하 연장 출입구 포밍벽과 상단 출입구 포밍벽이 이어지는 우측 상부의 곡면(14) 연결부에 딱 맞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구에 의해 상기 탑승구에 고정되므로,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와 발광부(22) 및 수광부(24)를 탑승구에 보다 편리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광부(22)의 전방에는 슬롯(30)이 구비된다. 상기 발광부(22)가 내장된 마운팅 케이스(12)의 코어 케이스 장착홀(16)에 커버판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판에 발광부(22)의 전방에 배치되는 슬롯(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코어 케이스 장착홀(16) 자체를 길다란 홀 형태인 슬롯(3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슬롯(30)이 구비된 경우에는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차량(2)의 탑승구에 얇고 넓게 퍼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2)의 슬라이딩 도어(4)가 닫혀서 좁은 탑승구에 사람의 신체나 가방이나 옷 등의 물체가 끼이려고 할 때에 슬라이딩 도어(4)를 다시 열리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입고 있는 옷이나 가방 등과 같이 작은 물체가 슬라이딩 도어(4)가 거의 닫힌 상태나 슬라이딩 도어(4)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4)의 끝단과 탑승구의 매우 좁은 틈새에 끼어서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발광부(22)와 수광부(24)가 슬라이딩 도어(4)가 거의 닫히도록 근접한 위치에 설치(상기와 같이 탑승구의 우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22)의 전방과 수광부(24)의 전방 중에서 적어도 발광부(22)의 전방에 길다란 홀 형태(상기 내측면에서 하면부의 끝단 방향으로 길에 연장된 홀 형태)의 슬롯(30)이 구비되어 있어서, 슬라이딩 도어(4)가 거의 닫힌 상태가 된 좁은 탑승구와 슬라이딩 도어(4) 사이의 매우 좁은 틈새에 사람이 입고 있는 옷이나 가방 등의 물체가 끼이려 하여도 재빠르게 발광부(22)에서 발산된 센싱광이 상기 차량(2)의 탑승구에 전체에 일자형 광 형태로 넓게 퍼지면서 상기 탑승구의 구석진 부분(즉, 슬라이딩 도어(4)의 전단 측단부와 인접되는 부분)에까지 센싱광이 발산되면서 상기와 같은 좁은 탑승구에 있는 사람의 옷가지나 가방 등의 물체로부터 센싱관이 반사되어 수광부(24)에 반사광으로 수광되고, 상기 반사광이 수광부(24)에서 수광될 때에 경보음 발생부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기존과 달리 차량(2)의 슬라이딩 도어(4)가 거의 닫힌 좁은 탑승구와 슬라이딩 도어(4) 사이에 사람이 입고 있는 옷이나 가방 등의 물체가 끼인 상태에서는 다시 슬라이딩 도어(4)가 후퇴하면서 탑승구가 크게 열리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4)가 거의 닫힌 좁은 탑승구와 슬라이딩 도어(4) 사이에 사람의 신체나 옷이나 가방 등의 물체가 끼인 상태로 그대로 차량(2)를 경우를 미연에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2)의 넓게 열려 있는 탑승구에 사람이 있을 때에 이를 센싱하여 슬라이딩 도어(4)를 다시 열리게 하여 사람이 슬라이딩 도어(4)와 탑승구 사이에 끼이는 경우를 방지함은 물론, 슬라이딩 도어(4)가 거의 닫혀서 슬라이딩 도어(4)의 끝단과 탑승구 사이의 매우 좁은 틈새로 사람의 옷이나 가방 등의 물체가 끼인 상태에서도 상기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24)에 반사광으로 수광되면서 슬라이딩 도어(4)가 거의 닫혔을 때에 탑승구과 슬라이딩 도어(4) 사이의 좁은 틈새에 사람의 옷이나 가방 등의 물건이 끼어있는 상태까지 센싱하게 되므로, 자칫 잘못하여 슬라이딩 도어(4)가 닫혀서 사람의 옷가지나 가방 등의 물건이 슬라이딩 도어(4)와 탑승구 사이에 끼인 상태로 차량(2)를 그대로 운행하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4)가 거의 닫히거나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사람의 옷가지나 가방 등의 물건이 슬라이딩 도어(4)와 탑승구의 상하 연장 탑승구 포밍벽에 끼인 상태는 제대로 센싱될 수 없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슬라이딩 도어(4)가 거의 닫히거나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사람의 옷가지나 가방 등의 물건이 슬라이딩 도어(4)와 탑승구의 상하 연장 탑승구 포밍벽 사이의 매우 좁은 틈새에 끼인 상태까지 센싱하여 경보음 발생부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차량(2) 운전자가 그대로 차량(2)를 운행시키는 것을 중지하도록 하므로, 사람이 입고 있는 옷가지나 가방 등이 닫혀버린 슬라이딩 도어(4)와 탑승구 사이에 끼인 상태로 그대로 차량(2)릉 운행하여 생기는 안전사고, 다시 말해, 사람이 차량(2)와 함께 끌려가서 심하게 다쳐버리는 등의 심각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슬롯(30)이 주요 구성의 하나로서, 슬롯(30)에 의해 발광부(22)의 센싱광의 방사 범위를 넓혀줌으로써 차량(2)의 슬라이딩 도어(4)가 탑승구를 거의 닫은 좁은 틈새에 물체가 있을 때에 슬라이딩 도어(4)를 다시 열리도록 함은 물론 슬라이딩 도어(4)가 상대적으로 탑승구를 많이 열어놓은 상태에서 탑승구에 물체가 있을 때에도 물체를 감지하여 슬라이딩 도어(4)가 다시 열리도록 할 수 있다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 마운팅 케이스 16. 코어 케이스 장착홀
20. 코어 케이스 22. 발광부
24. 수광부 30. 슬롯

Claims (8)

  1. 차량(2)의 슬라이딩 도어(4)가 개폐하는 탑승구에 설치되어 센싱광을 상기 탑승구에 발산하는 발광부(22);
    상기 탑승구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상기 탑승구에 있는 물체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입력받는 수광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광부(22)와 상기 수광부(24)는 마운팅 케이스(12)에 내장되고, 상기 마운팅 케이스(12)가 상기 탑승구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부(22)와 상기 수광부(24)가 상기 탑승구의 영역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22)와 상기 수광부(24)는 코어 케이스(20)에 내장되고, 상기 코어 케이스(20)가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에 내장되어, 상기 발광부(22)와 상기 수광부(24)가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에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광부(22)의 전방에는 슬롯(30)이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22)가 내장된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코어 케이스 장착홀(16)에 커버판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판에 상기 발광부(22)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슬롯(30)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에 형성된 코어 케이스 장착홀 자체를 길다란 홀 형태인 상기 슬롯(30)으로 형성하며,
    상기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상기 슬롯(30)에 의하여 상기 차량(2)의 탑승구로 퍼져나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내부에는 체결구 결합보스(19)가 구비되어, 상기 마운팅 케이스(12)의 외부에서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19)에 결합된 체결구가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4)가 개폐하는 탑승구 내측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케이스(12)는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19)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체결구 헤드부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2)에서 발산되는 센싱광이 상기 탑승구에 있는 물체에 반사되는 반사광이 상기 수광부(24)에 입력될 때에 비상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KR1020180088959A 2018-07-31 2018-07-3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KR10207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59A KR102072540B1 (ko) 2018-07-31 2018-07-3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59A KR102072540B1 (ko) 2018-07-31 2018-07-3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540B1 true KR102072540B1 (ko) 2020-02-03

Family

ID=6962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959A KR102072540B1 (ko) 2018-07-31 2018-07-3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5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181Y1 (ko) 1994-04-29 1998-12-15 전성원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20000015914A (ko) 1996-05-23 2000-03-15 하리 압프리치 차량용슬라이딩도어를개폐하는장치_
JP3846713B2 (ja) * 2002-09-12 2006-11-15 オムロン株式会社 ドア開閉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09243152A (ja) * 2008-03-31 2009-10-22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挟み込み防止装置
JP4810686B2 (ja) * 2008-03-13 2011-11-0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電動開閉装置
JP6006108B2 (ja) * 2012-12-20 2016-10-12 株式会社アルファ 光センサユニット
KR101830070B1 (ko) * 2010-03-17 2018-02-21 예일 시큐리티 인코포레이티드 도어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181Y1 (ko) 1994-04-29 1998-12-15 전성원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20000015914A (ko) 1996-05-23 2000-03-15 하리 압프리치 차량용슬라이딩도어를개폐하는장치_
JP3846713B2 (ja) * 2002-09-12 2006-11-15 オムロン株式会社 ドア開閉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4810686B2 (ja) * 2008-03-13 2011-11-0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電動開閉装置
JP2009243152A (ja) * 2008-03-31 2009-10-22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挟み込み防止装置
KR101830070B1 (ko) * 2010-03-17 2018-02-21 예일 시큐리티 인코포레이티드 도어 제어 장치
JP6006108B2 (ja) * 2012-12-20 2016-10-12 株式会社アルファ 光センサ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28907A1 (en) Door opening warning device for car
JP2011105161A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2072540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JP2011122322A (ja) 自動ドアの警告表示装置
ES2346953T3 (es) Dispositivo para señalizar la posicion de una cabina de ascensor en caso de evacuacion de pasajeros.
US5936232A (en) Railway safety system having a passenger car detection
JP2003003749A (ja) 戸挟み検知装置
CN210881878U (zh) 一种用于车辆安全系统的红外检测设备
JPH0342947U (ko)
JP2000025610A (ja) 自動開閉ドアの異物検出法とその装置
JPH0319765U (ko)
KR102505466B1 (ko) 차량용 기능성 안전벨트
KR20200141358A (ko) 자동 해제 안전벨트
JP2647253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安全装置
JPH0636216Y2 (ja) 自動ドアのドア衝突検出装置
KR200277779Y1 (ko) 전동차-승강장 연결 자동 발판
JP2871059B2 (ja) エレベータ
KR101205050B1 (ko) 차량용 폴딩도어 안전장치
TW201914868A (zh) 主動車門防撞系統及其偵測方法
TWM518177U (zh) 汽車開門警示器
JPH03153443A (ja) 自動車用キー放置警報装置
JPS6040540Y2 (ja) エレベ−タの戸開閉装置
TWM593044U (zh) 車用防止反鎖安全系統
KR19990026979A (ko) 충돌시 자동차 도어의 자동열림장치
JP3381289B2 (ja) エレベーターかごの脚光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