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997B1 -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997B1
KR102071997B1 KR1020180135599A KR20180135599A KR102071997B1 KR 102071997 B1 KR102071997 B1 KR 102071997B1 KR 1020180135599 A KR1020180135599 A KR 1020180135599A KR 20180135599 A KR20180135599 A KR 20180135599A KR 102071997 B1 KR102071997 B1 KR 10207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rod
angle
shaped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도
Original Assignee
문현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도 filed Critical 문현도
Priority to KR102018013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로드(rod) 및 제 1 로드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선풍기 헤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ㄷ자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1 바디, ㄷ자형 프레임의 하단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ㄷ자형 프레임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 제 1 로드와 연결 가능한 제 2 로드 및 제 2 로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선풍기 본체의 회전을 위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제 2 바디 및 제 2 바디의 하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ELECTRIC FAN ANGL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풍기의 기종에 상관없이 선풍기에 장착 가능하며, 선풍기의 회전 각도를 물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생상활에서 사용되는 선풍기는 크게 바람을 만드는 날개와 날개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성된 헤드(head), 헤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과 제어모듈로 구성된 본체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는 넓은 영역에 바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헤드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다만, 대부분의 경우, 본체를 통해 헤드의 회전 여부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뿐 회전 반경에 대한 제어는 거의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선풍기 헤드의 회전 반경에 대한 제어를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249481호와 같이 회전 반경을 30도, 60도 등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선풍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등록실용신안을 포함한 제어 기술은 선풍기 자체에 회전 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 및 기능을 탑재한 것으로, 해당 구조 및 기능을 탑재하지 않은 종래의 선풍기에는 이와 같은 기술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9481호 (2001.09.2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풍기의 기종에 관계없이 산풍기에 장착되어 선풍기 헤드의 회전 각도를 물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는, 제 1 로드(rod) 및 제 1 로드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선풍기 헤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ㄷ자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1 바디, ㄷ자형 프레임의 하단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ㄷ자형 프레임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 제 1 로드와 연결 가능한 제 2 로드 및 제 2 로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선풍기 본체의 회전을 위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제 2 바디 및 제 2 바디의 하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바퀴를 포함하며, 제 2 로드는 소정의 지점들이 만곡되어 선풍기 본체가 안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ㄷ자형 프레임은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ㄷ자형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선풍기 헤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는, ㄷ자형 프레임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프레임 수용부, 다이얼과 연결되어 프레임 수용부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타원형 회전모듈 및 프레임 수용부의 좌우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로드의 상단부에는 제 1 로드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각도 조절 장치에 따르면, 선풍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장점을 가진다. 또한, 선풍기 본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선풍기 헤드의 회전 각도가 제한됨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키고 선풍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가 결합된 제 1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ㄷ자형 프레임의 하단부가 결합된 각도 조절부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제 2 바디의 배면도, (b) 바퀴의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일종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는, 제 1 로드(110) 및 제 1 로드(110)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선풍기 헤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ㄷ자형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제 1 바디(100),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ㄷ자형 프레임(120)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210)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200), 제 1 로드(110)와 연결 가능한 제 2 로드(310) 및 제 2 로드(3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선풍기 본체의 회전을 위한 플레이트(321)를 포함하는 받침부(320)를 포함하는 제 2 바디(300) 및 제 2 바디(300)의 하단부에 자성을 이용하여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바퀴(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바디(100)는 선풍기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는 선풍기 헤드의 회전 각도를 물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선풍기 헤드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는 각도 조절부(200)와 결합되어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가 제한하는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선풍기 헤드와 선풍기 본체를 연결하는 선풍기 목(neck)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는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것은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선풍기 헤드의 회전에 의한 물리적인 힘(i.e. 토크)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는 선풍기 헤드의 회전에 의한 토크를 견뎌 선풍기 헤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해야 하므로,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의 길이는 하단부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것은 사용자의 원활한 조작을 위해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200)가 선풍기의 전방(i.e. 선풍기 목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가 선풍기 목을 중심으로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각도 조절부(200)가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선풍기 목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바디(300)는 제 1 바디(100)와 연결되어 선풍기의 후방 및 하단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로드(310)는 선풍기의 후방에서 제 1 로드(110)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받침부(320) 및 플레이트(321)는 선풍기의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서 선풍기의 하단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로드(310)는 소정의 지점들이 만곡되어 선풍기 본체가 안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일반적인 스탠드형 선풍기의 경우, 선풍기 본체의 크기는 선풍기의 헤드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만약 제 2 로드(310)가 제 1 로드(110)와 같이 일자 형상일 경우, 제 1 바디(100)와 선풍기 헤드 및 목 사이의 간격이 선풍기 본체에 의해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바디(100)와 선풍기 헤드 및 목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면, ㄷ자형 프레임(120)에 작용하는 토크가 더욱 커지게 되므로 회전 각도의 제한을 위해서는 ㄷ자형 프레임(120)이 더욱 두껍고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 1 바디(100)와 선풍기 헤드 및 목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가까이 좁혀 ㄷ자형 프레임(120)에 작용하는 토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 2 로드(310)는 도 1과 같이 소정의 지점들이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체의 일부가 안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 1 바디(100) 및 제 2 바디(300)에 포함된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200)가 결합된 제 1 바디(100)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로드(110)는 제 1 바디(100)의 중심축으로서, 제 1 로드(110)의 외주면에는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는 각도 조절부(200)에 의한 프레임(120)의 하단부 각각의 움직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선풍기 헤드의 회전 반경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풍기 헤드가 회전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도 2의 (a)와 같이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는 θ1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선풍기 헤드가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기 위해 ㄷ자형 프레임(120)이 벌어진 상태에서는 도 2의 (b)와 같이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이 θ2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θ2는 θ1에 비해 큰 값을 가진다.
전술하였듯이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이 형성하는 각도는 프레임(120)의 하단부가 각도 조절부(200)에 의해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조절부(200)가 동작하지 않아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가 l1만큼 떨어진 경우,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는 선풍기 헤드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 해당하는 θ1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200)의 다이얼(210)이 회전함에 따라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가 l2만큼 떨어진 경우,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는 ㄷ자형 프레임(120)이 벌어진 상태에 해당하는 θ2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l2는 l1에 비해 큰 값을 가진다.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의 좌우 이동은 각도 조절부(200)의 다이얼(210)이 회전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에는 선풍기 헤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111)가 부착될 수 있다.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는 선풍기 헤드의 회전 반경을 강제적으로 제한하므로, 선풍기 헤드의 회전에 의한 토크로 인해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 2와 같이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의 상단부 끝단에는 각각 스펀지와 같은 충격흡수부재(111)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부재(111)는 선풍기 헤드의 외형에 따라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스탠드형 선풍기의 경우, 선풍기 헤드가 원통형태로 제작되는데 원통형의 형상에 상응하는 모양을 가지도록 충격흡수부재(111)가 유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토크로 인한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ㄷ자형 프레임(120)은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 각각은 3단 구조로 형성되어 제 1 로드(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소형 선풍기의 경우에는 제 1 로드(110)는 고정된 채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의 각 단이 모두 접힌 상태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대형 선풍기의 경우에는 도 2의 (a)와 같이 2개의 ㄷ자형 프레임(120)의 각 단이 모두 펼쳐진 상태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ㄷ자형 프레임(120)이 다단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는 선풍기의 높이, 크기 등에 관계없이(i.e. 선풍기의 기종에 상관없이) 선풍기에 장착되어 선풍기 헤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가 결합된 각도 조절부(200)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200)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상단의 중심부에 ㄷ자형 프레임(120)의 각도 제어를 위한 다이얼(2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다이얼(21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ㄷ자형 프레임(120)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다이얼(210)은 사용자에 의해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힘에 의해 고정되거나 동작 준비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얼(210)의 회전을 통해 ㄷ자형 프레임(120)이 원하는 각도가 형성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다이얼(210)을 수직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다이얼(210)을 고정시켜 ㄷ자형 프레임(120)의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ㄷ자형 프레임(120)의 각도를 재설정하기 위해 다이얼(210)을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고정된 다이얼(210)을 수직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다이얼(210)이 다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200)의 내부에는 ㄷ자형 프레임(12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프레임 수용부(220), 다이얼(210)과 연결되어 프레임 수용부(220)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타원형 회전모듈(230) 및 프레임 수용부(220)의 좌우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탄성부재(240)(ex. 스프링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조절부(200)의 내부 중심부에는 다이얼(210)의 위치에 상응하는 지점에 타원형 회전모듈(230)이 배치되고, 타원형 회전모듈(230)의 좌우로 프레임 수용부(220)가 배치되며, 각도 조절부(200)의 내부 나머지 영역에 탄성부재(2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원형 회전모듈(230)이 회전함에 따라 프레임 수용부(220)가 각도 조절부(200)의 양 끝단으로 이동하고, 탄성부재(240)는 타원형 회전모듈(230)로부터 발생되는 힘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타원형 회전모듈(230)이 전술한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240)의 복원력에 의해 프레임 수용부(220)가 다시 원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이얼(210)의 회전에 따른 타원형 회전모듈(230)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 수용부(220)가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선풍기 헤드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ㄷ자형 프레임(1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40)는 프레임 수용부(220)가 원상태(i.e. ㄷ자형 프레임(120)의 각도가 조절되지 않은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원형 회전모듈(230)은 다이얼(210)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며, 다이얼(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이얼(2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타원형 회전모듈(23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프레임 수용부(220)가 좌우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이얼(2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타원형 회전모듈(23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프레임 수용부(220)가 좌우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바디(3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와 같이 제 2 로드(310)의 상단부에는 제 1 로드(11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된 돌출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1)가 제 1 로드(11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부에 삽입됨으로써, 제 1 로드(110)와 제 2 로드(31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관통부에는 돌출부(311)에 형성된 나사선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부의 나사선과 돌출부(311)의 나사선이 서로 맞물려 제 1 로드(110)와 제 2 로드(31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321)는 선풍기 헤드의 회전 반경을 강제적으로 제한하면서 발생하는 반작용의 힘을 선풍기 본체의 회전을 통해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는 선풍기 자체의 회전 제어로 결정된 회전 반경을 ㄷ자형 프레임(120)을 통해 강제적으로 제한하는데, 이러한 제한으로 인한 반작용으로 선풍기에 부하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선풍기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부하를 제거 또는 상쇄시켜주어야 하는데, 선풍기 본체가 플레이트(321) 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작용으로 인한 부하를 제거 또는 상쇄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며, 이러한 플레이트(321)는 받침부(3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원형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받침부(320)와 회전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선풍기 본체가 플레이트(321) 위에서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해서는 받침부(320)에 의한 걸림 등을 제거해야 하므로, 플레이트(321)는 받침부(320)의 상단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부(320)는 전술한 플레이트(321)의 회전을 보조함과 동시에 플레이트(321)의 선풍기 본체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보조하기 위한 볼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볼 베어링은 회전축에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회전력을 보조할 수 있으며, 선풍기 본체의 무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균형을 최소화시켜 플레이트(321)가 선풍기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제 2 바디(300)의 배면도, (b) 바퀴(400)의 정면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부(320)의 하단부에는 제 2 바디(300)의 이동을 위한 바퀴(400)가 연결되는 바퀴 결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퀴 결합부(322)는 오목한 요철(凹)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한 요철 형태(凹)의 바퀴 결합부(322)의 양 측면에는 자석(323)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바퀴 결합부(322)와 바퀴(400)는 기계적인 결합이 아닌 자기적인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퀴(400)를 바퀴 결합부(322)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바퀴 결합부(322)와 바퀴(400)를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퀴(400)에는 바퀴 결합부(322)에 맞닿는 영역에 자석(410)이 형성될 수 있다. 바퀴(400)의 상단부는 바퀴 결합부(322)에 삽입되기 쉬운 볼록한 요철(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의 (b)와 같이 볼록한 요철(凸) 형태의 상단 직각면을 따라 자석(410)이 형성될 수 있다. 볼록한 요철(凸) 형태의 바퀴(400)의 상단부가 오목한 요철(凹) 형태의 바퀴 결합부(322)에 삽입되면, 자석(323, 410)간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바퀴(400)와 바퀴 결합부(322)는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 1 바디 110: 제 1 로드
111: 충격흡수부재 120: ㄷ자형 프레임
200: 각도 조절부 210: 다이얼
220: 프레임 수용부 230: 타원형 회전모듈
240: 탄성부재 300: 제 2 바디
310: 제 2 로드 311: 돌출부
320: 받침부 321: 플레이트
322: 바퀴 결합부 323: 바퀴 결합부의 자석
400: 바퀴 410: 바퀴의 자석

Claims (5)

  1.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제 1 로드 및 상기 제 1 로드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선풍기 헤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ㄷ자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1 바디;
    상기 ㄷ자형 프레임의 하단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상기 ㄷ자형 프레임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
    상기 제 1 로드와 연결 가능한 제 2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선풍기 본체의 회전을 위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제 2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의 하단부에 자성을 이용하여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로드는 소정의 지점들이 만곡되어 상기 선풍기 본체가 안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프레임은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선풍기 헤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ㄷ자형 프레임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프레임 수용부, 상기 다이얼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타원형 회전모듈 및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좌우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드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1 로드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1020180135599A 2018-11-07 2018-11-07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10207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599A KR102071997B1 (ko) 2018-11-07 2018-11-07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599A KR102071997B1 (ko) 2018-11-07 2018-11-07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997B1 true KR102071997B1 (ko) 2020-01-31

Family

ID=6936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599A KR102071997B1 (ko) 2018-11-07 2018-11-07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9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481Y1 (ko) 2000-08-08 2001-11-16 이정현 각도조절선풍기
JP3091021U (ja) * 2002-06-27 2003-01-17 啓洲 陳 ファン搭載構造
KR20100012958A (ko) * 2008-07-30 2010-02-09 김일주 선풍기 헤드부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481Y1 (ko) 2000-08-08 2001-11-16 이정현 각도조절선풍기
JP3091021U (ja) * 2002-06-27 2003-01-17 啓洲 陳 ファン搭載構造
KR20100012958A (ko) * 2008-07-30 2010-02-09 김일주 선풍기 헤드부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5816B (zh) 可將顯示螢幕固定於不同視角之顯示裝置
US8413302B2 (en) Magnetic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CN101140009B (zh)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折叠式电子装置
EP3905863B1 (en) Terminal device
EP2687128B1 (en) Chair with fold-down tablet assembly
CN110410414A (zh) 一种二自由度和三自由度可转换的球关节结构
TW201505876A (zh) 車載固定支架
JP2007335929A (ja) 壁掛けテレビ
EP3885634A1 (en) Handheld anti-shake stabilizing device and shooting stabilizer
KR102071997B1 (ko) 선풍기의 각도 조절 장치
CN107965642B (zh) 一种支架结构及电子装置
US11163221B2 (en) Projection device
CN107703601B (zh) 一种反射镜调节机构
CN107956988A (zh) 家用投影仪支架
US20220035418A1 (en) System hinge assembly
CN108953920A (zh) 一种具有方便调节功能的计算机显示器装置
CN209569512U (zh) 一种手持稳定器
KR101242767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댐퍼
CN206397765U (zh) 一种可小幅度调节角度的风扇
CN105674013B (zh) 支撑装置及显示装置
EP2957194B1 (en) Baby walker with infinite-adjustment function
KR100849040B1 (ko) 작동 완구용 머리 회전 제어 장치
KR102460320B1 (ko) 자성을 이용한 도어 고정장치
US9098054B2 (en) Interlock switch mechanism and image formation device utilizing the same
WO2019186217A1 (en) Camera stab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