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518B1 -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518B1
KR102070518B1 KR1020180127539A KR20180127539A KR102070518B1 KR 102070518 B1 KR102070518 B1 KR 102070518B1 KR 1020180127539 A KR1020180127539 A KR 1020180127539A KR 20180127539 A KR20180127539 A KR 20180127539A KR 102070518 B1 KR102070518 B1 KR 10207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upport
transfer
b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18012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27B25/04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with feed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05Stacking of articles by using insertions or spacers between the stack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18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elongated, e.g. sticks, rods,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2Wooden articles, e.g. logs, trunks or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받침간목(間木) 자동공급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판재의 목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목재공급장치와, 상기 목재공급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목재를 균일하게 밀어주는 이송부와, 목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가 구비되는 목재이송장치 및 상기 목재이송장치를 통해 절단 및 이송된 목재를 순차적으로 적재하고, 소정 높이의 목재 사이에 간목을 넣어주는 받침간목 적재장치로 이루어진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간목 적재장치로 목재를 순차적으로 밀어주는 푸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간목 적재장치는 목재를 지지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서 돌출되며, 이송체인을 갖는 한 쌍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를 통해 이동된 목재의 상부에 간목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내부에 복수개의 간목이 수납되는 간목공급부와; 상기 간목공급부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를 통해 이동된 목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체인을 통해 이송된 목재를 순차적으로 쌓을 수 있도록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상승판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간부에는 지지판에 의해 상승되는 목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부가 'ㄴ'형태로 절곡되어 회동되는 목재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목재의 공급, 절단, 적재 및 간목 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목재의 적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적재되는 목재에 균일 간격 즉 소정 높이마다 간목을 자동적으로 투입하여 일시에 대량의 목재를 균일하게 적재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목재의 배송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Automatic wood loader}
본 발명은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목재를 적재할 시 소정 높이마다 간목(間木)을 삽입하여 균일하면서도 유동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목재를 적재하고 간목을 공급하는 과정이 순차적이고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목재의 적재 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많은 양의 목재를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목재를 대차 또는 후속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톱 등의 절단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를 통해 목재를 이동시키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절단된 목재를 적재한 후 고정끝 등으로 묶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게차, 크레인 등 특정장비를 통해 각 과정마다 목재를 이동시키거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적재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비교적 높이 적재할 시 목재를 균일하게 적재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등록특허 제10-1514874호 '목재 적재 장치'를 살펴보면 목재의 길이에 대응되는 횡방향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형의 몸체프레임;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목재를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방까지 수평방향으로 인입할 수 있는 이송체인이 구비된 인입 컨베이어; 상기 인입 컨베이어의 일측 종단부에 설치되어 인입 컨베이어에 인입 완료된 목재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스토퍼; 상기 인입 컨베이어에 인입된 목재를 몸체 프레임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푸셔; 상기 몸체 프레임 내측으로 끌어당겨진 목재의 양단이 각각 거치되고 횡방향 벌림이 가능하여 거치된 목재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몸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사이즈조절실린더와, 상기 사이즈조절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브라켓을 통해 연결되는 사이즈조절봉, 상기 사이즈조절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사이드조절봉 가이드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사이즈조절수단과, 상기 사이즈조절수단의 끝단에 설치되는 낙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거치부; 상기 몸체 프레임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에서 낙하되는 목재를 적재하는 승강적재기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목재 적재 장치를 통해 가공된 목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적재할 수 있고 가공된 목재를 크기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규격별로 분류하여 적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 목재 적재 장치의 경우 목재를 가공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가공된 목재를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적재 장치로 이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목재의 적재 높이가 제한되어 일시에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를 적재할 시 목재가 균일하게 적재되지 못하게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목재의 공급, 절단, 적재 및 간목(間木) 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목재의 적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적재되는 목재에 균일 간격 즉 소정 높이마다 간목을 자동적으로 투입하여 일시에 대량의 목재를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재의 목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목재공급장치와, 상기 목재공급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목재를 균일하게 밀어주는 이송부와, 목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가 구비되는 목재이송장치 및 상기 목재이송장치를 통해 절단 및 이송된 목재를 순차적으로 적재하고, 소정 높이의 목재 사이에 간목(間木)을 넣어주는 받침간목 적재장치로 이루어진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간목 적재장치로 목재를 순차적으로 밀어주는 푸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간목 적재장치는 목재를 지지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서 돌출되며, 이송체인을 갖는 한 쌍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를 통해 이동된 목재의 상부에 간목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내부에 복수개의 간목이 수납되는 간목공급부와; 상기 간목공급부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를 통해 이동된 목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체인을 통해 이송된 목재를 순차적으로 쌓을 수 있도록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상승판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간부에는 지지판에 의해 상승되는 목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부가 'ㄴ'형태로 절곡되어 회동되는 목재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는 목재의 공급, 절단, 적재 및 간목 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목재의 적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적재되는 목재에 균일 간격 즉 소정 높이마다 간목을 자동적으로 투입하여 일시에 대량의 목재를 균일하게 적재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목재의 배송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중 목재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중 목재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중 푸시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중 받침간목 적재장치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중 받침간목 적재장치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받침간목(間木) 자동공급 적재장치(이하 '받침간목(間木) 적재장치'라 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1)는 판재의 목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목재공급장치(100)와, 상기 목재공급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목재를 이송 균일하게 밀어주는 이송부(210)와, 목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220)가 구비되는 목재이송장치(200) 및 상기 목재이송장치(200)를 통해 절단 및 이송된 목재를 순차적으로 적재하고, 소정 높이의 목재 사이에 간목(間木)(2)을 넣어주는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목재공급장치(100)에 복수개의 목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적재한 후 순차적으로 목재이송장치(200)로 이송되어 목재이송장치(200)의 이송부(210)에 의해 목재이송장치(200)를 일직선상으로 이동되며 절단부(220)에 의해 균일한 길이로 잘라져 목재공급장치(100)의 단부에서 푸시부(400)를 통해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로 이동되어 목재와 목재 사이에 간목(2)이 자동으로 공급되어 목재를 균일하고 흔들림없이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간목(2)은 소정 크기의 목재를 복수개 배열하고 그 상부에 차례로 적재할 시 목재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목재를 비교적 높이 적재할더라도 균일하고 흔들림없이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적재장치(1)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목재이송장치(200)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로 목재를 순차적으로 밀어주는 푸시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는 목재를 지지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서 돌출되며, 이송체인(311)을 갖는 한 쌍의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일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400)를 통해 이동된 목재의 상부에 간목(2)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내부에 복수개의 간목(2)이 수납되는 간목공급부(320)와; 상기 간목공급부(320)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400)를 통해 이동된 목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330)과; 상기 지지판(330)의 타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체인(311)을 통해 이송된 목재를 순차적으로 쌓을 수 있도록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상승판(340)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310)의 중간부에는 지지판(330)에 의해 상승되는 목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부가 'ㄴ'형태로 절곡되어 회동되는 목재지지구(353)를 갖는 목재지지부(3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목재공급장치(100)는 상기 목재이송장치(200)로 목재를 공급하도록 목재이송장치(20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되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다리부(110)와, 상기 다리부(110)의 단부를 연결하는 횡바(120) 및 횡바(120)와 수직으로 형성되며, 이송수단(132)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종바(130)와 상기 종바(130)와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다수의 스토퍼(142)를 갖는 복수개의 회동봉(140) 및 상기 회동봉(140)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14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다리부(110)와 횡바(120) 및 종바(130)로 이루어진 목재공급장치(100)의 골격은 직육면체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수단(132)은 모터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체인으로 구비되고, 상기 종바(130)는 상기 목재이송장치(200)와 결합되도록 목재이송장치(200)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회동봉(140)은 양단이 양측의 종바(130)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종바(130)를 관통하되 하나의 종바(130) 일측에 형성된 상기 회동장치(143)는 유압실린더로 구비된다.
한편, 복수개의 회동봉(140)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각각 다수의 스토퍼(142)가 형성되어 이송수단(132)에 의해 하나의 회동봉(140)에서 다음 회동봉(140)으로 목재가 일정한 시간차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42)는 'ㄴ'형태로 일단이 회동봉(140)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회동봉(140)과 함께 회동되고 절곡된 단부에 목재가 밀착되어 목재의 이동이 일시 정지되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바(130)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봉(140)을 회동시키고 원상태로 복원하여 스토퍼(142)를 조작하도록 유압실린더인 회동장치(143)가 구비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회동봉(140)에 고정된 회전편(144)과 결합되어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에 의해 회전편(144)이 회동됨과 동시에 회동봉(140)이 회동되어 스토퍼(142)가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목재이송장치(200)는 상기 목재공급장치(100)에서 이동된 목재를 이송 및 절단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절단부(220)와 목재를 밀어주는 이송부(210)를 구비하되, 상부에 다수의 이송롤러(202)가 구비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된 '∩' 형태의 지지바(201)와 상기 지지바(201)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바(203)로 이루어진 몸체(230)의 일측에 상기 이송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210)는 몸체(23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바(204)를 따라 이송되며 단부가 직육면체로 형성된 푸시부재(212)와 상기 푸시부재(212)의 일측에서 축결합되어 푸시부재(212)를 회동시키는 회동장치(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30)는 2개를 연속으로 배치하되 상기 절단부(220)는 제1몸체(230a)와 제2몸체(230b)의 연결부에 구비된 원판형의 칼날(240)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목재이송장치(200)의 몸체(230) 역시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사각체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230a)는 목재공급장치(100)에서 이송된 목재가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연결바(203)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202)가 구비되고, 제2몸체(230b)는 컨베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220)는 원형 톱날과 톱날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구비되는 일반적인 절단수단으로 구비되고, 절단부(220)의 상부에는 제1몸체(230a)에서 제2몸체(230b)의 간극에서 목재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승강 가능하게 회동롤러(22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 형태의 실린더프레임(222)이 제1몸체(230a)의 단부에 형성되고 유압실린더(223)가 피스톤로드가 하부로 향하도록 실린더프레임(222)에 고정되며 이 유압실린더(223)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회동롤러(221)가 구비되어 절단부(220)에서 소정 길이로 절단된 목재의 상부를 가압하여 목재를 제1몸체(230a)에서 제2몸체(230b)로 용이하게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204)는 상기 제1몸체(230a)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목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푸시부재(212)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목재의 일측면이 가이드바(204)의 측벽에 밀착되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장치(213)는 상기 가이드바(204)에 상부에 구비되는 실린더브라켓(214)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로 구비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결합되는 회동연결바(215)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재(212)의 회동과 함께 상,하로 회동되고, 상기 가이드바(204)의 일측에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체인 등에 상기 실린더브라켓(214)가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210)가 가이드바(204)를 따라 왕복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400)는 상기 목재이송장치(200)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면에 유압실린더(401)가 구비된 지지몸체(410)와, 상기 유압실린더(401)의 피스톤로드 단부와 연결되어 목재이송장치(200)에서 이송된 목재를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로 밀어주는 가압브라켓(420)과, 상기 유압실린더(401)의 양측에 구비되며 단부가 상기 가압브라켓(420)에 고정되는 가이드봉(402)으로 구비되고, 상기 목재이송장치(200)의 단부 일측에 구비된 센서부(250)에 의해 목재의 최종 이송을 감지하여 목재를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로 가압 이송된다.
이때, 상기 가압브라켓(420)은 이송된 목재를 안정적으로 밀어 줄 수 있도록 목재의 측면 보다 넓은 형태의 대략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250)에서 이송된 목재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센서부(250)가 관통되는 센서관통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50)에 의해 이송된 목재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면 이송부(210)의 작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푸시부(400)가 작동하여 목재를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로 밀어주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받침간목 적재장치(300)의 몸체(310) 상부에는 몸체(310)의 단부에 구비된 모터(312)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체인(311)이 구비되고, 상기 간목공급부(320)는 상기 몸체(310)의 일측에서 'ㄱ'자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지지구(321)와, 지지구(321)의 상부 일측과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간목(2)이 적재되는 사각 박스체의 간목수납박스(322) 및 상기 간목수납박스(322)의 일면에서 간목(2)을 내측으로 밀어 목재의 상부에 간목(2)을 자동 공급하는 간목가압부(32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는 상기 이송부(210)의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받침간목 적재장치(300)에서 적재된 목재를 끈 등으로 고정하고 지게차 등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다른 하나의 받침간목 적재장치(300)에서 목재를 적재하도록 2개가 형성되어 적재된 목재를 연속적으로 옮김으로써 대량의 목재를 단시간에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받침간목 적재장치(300)의 몸체(310)는 상부에 이송체인(311)이 삽입되는 체인홈이 형성된 '∩' 형태로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11)의 내측에는 푸시부(400)에 의해 공급된 목재가 거치되도록 한 쌍의 지지판(3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간목수납박스(322)는 간목(2)이 유격없이 수납되어 최하단의 간목(2)이 공급되면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측벽에는 간목(2)의 수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통공이 관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판(330)에 설정된 개수의 목재가 이송되면 상기 간목공급부(32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간목수납박스(322)의 하부면이 목재의 상부에 밀착된 후 간목가압부(323)를 통해 최하부의 간목(2)이 목재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한 쌍의 간목수납박스(322)에서 동시에 2개의 간목(2)이 동일하게 이동하게 되며, 상세한 작동 과정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간목수납박스(322)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체로 형성되며, 내측벽 하부에는 간목배출공(322a)이 형성되고, 외측벽 하부에는 2개의 팁삽입공(322b)이 형성되며, 상기 간목가압부(323)는 간목수납박스(322)의 외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실린더부(323a)와 실린더부(323a)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결합된 회동편(323b)과 회동편(323b)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봉(323c) 및 고정봉(323c)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팁삽입공(322b)을 관통하여 회동되는 회동팁(323d)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간목수납박스(322)의 하부면에서 외측으로 판상의 가압판(32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간목배출공(322a)을 통해 간목(2)이 배출되기 전 상기 간목공급부(320)가 하강하여 가압판(322c)이 목재를 견고히 가압한 상태에서 간목(2)이 일정한 위치에 이동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가압판(322c)는 상기 회동팁(323d)가 직접 목재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간목배출공(322a)은 간목수납박스(322)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간목배출공(322a)의 반대측 즉, 간목수납박스(322)의 외측에 형성된 팁삽입공(322b)을 관통하는 회동팁(323d)에 의해 간목(2)이 밀려 간목배출공(322a)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물론, 상기 간목배출공(322a)이 수납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2개의 간목가압부(323)가 간목수납박스(322)의 중앙을 중심으로 동일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동시에 작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2개의 간목(2)이 이동된 간목공급부(320)가 상층으로 이동되어 원상복원되고, 지지판(330)은 하강하여 한층의 목재가 이송체인(311)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승판(340)의 상부까지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판(340)의 전방측 몸체(3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판(340)을 향해 이동된 목재가 목재지지부(350)의 하부에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스토퍼부재(313)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부재(313)는 목재공급장치(100)의 스토퍼(142)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승판(340)은 상기 목재지지부(3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승판(340)과 함께 상부로 이동되는 목재를 목재지지부(350)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330)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판(330)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재(332)가 구비되고, 상기 상승판(340)의 내측에는 상승판(340)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재(3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강부재(332,342)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재지지부(350)는 상기 몸체(311)의 중간부 양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회동지지부재(351)와, 상기 회동지지부재(351)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352)과, 상기 고정판(352)에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가 'ㄴ'형태로 절곡되는 목재지지구(353) 및 상기 회동지지부재(351)의 외측에서 관통되어 상기 목재지지구(353)와 결합되는 회동부재(354)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354)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목재지지구(353)는 한층의 목재 양측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352)에 한 쌍의 돌출부(352a)가 형성되고 돌출부(352a)에 목재지지구(353)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된 결합판(353a)이 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54)는 유압실린더로 구비되고, 고정판(352)의 외측에 2개가 형성되며 회동부재(353)의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상기 목재지지구(353)와 결합되어 목재지지구(353)를 회동시켜 목재지지구(353)의 단부가 목재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지지부재(351)의 상부에는 상기 회동지지부재(351)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352)과 연결되는 높이조절부재(355)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355)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재(355)는 공급되는 목재의 높이와 상승판(340)의 상승 높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목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몸체(311) 중 어느 하나의 몸체(311)는 레일부(36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몸체(311)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360)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바퀴부(311a)가 형성된다.
따라서, 목재의 길이에 따라 몸체(311) 사이에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폭과 길이를 갖는 목재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몸체(311) 사이에는 절첩가능하게 연결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받침간목 적재장치(1)의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받침간목 적재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목재공급장치(100)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목재를 적재한다. 이때, 목재는 목재공급장치(100)의 이송수단(132)인 체인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며, 복수개의 회동봉(140)에 구비된 스토퍼(142)에 의해 일시 정지된다.
이때, 상기 회동봉(140)은 목재공급장치(100)의 공급 방향으로 복수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회동장치(143)인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동되어 회동봉(140)과 함께 'ㄴ'형태의 스토퍼(142)가 회동하여 목재를 순차적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132)인 체인은 목재이송장치(200)의 연결바(203)에서 연장되어 구비됨으로써 목재가 목재이송장치(200)의 연결바(203)에 구비된 복수개의 이송롤러(202)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목재이송장치(200)의 이송롤러(202)에 목재가 안착된 후 이송부(210)의 몸체(230)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바(204)를 따라 이송롤러(202)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바(204)의 일측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동되는 체인에 푸시부재(212)가 이동되어 푸시부재(212)의 회동장치(213) 단부가 목재의 끝단을 밀어 목재가 일직선상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목재가 이송롤러(202)에 안착되면 회동장치(213)의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의 신장과 동시에 회동연결바(215)를 회동시키고 이 회동연결바(215)와 축결합된 푸시부재(212)가 회동하여 푸시부재(212)의 끝단이 목재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목재를 밀어주게 된다.
그리고, 목재이송장치(200)의 제1몸체(230a)와 제2몸체(230b) 사이에 형성된 절단부(220)가 목재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고 제2몸체(230b)의 단부에 형성된 푸시부(400)까지 계속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몸체(230b)의 단부에 형성된 센서부(250)에 의해 목재의 위치 즉, 이송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푸시부(400)의 가압으로 받침간목 적재장치(300)에 목재가 이동되게 된다.
푸시부(400) 역시 유압실린더(401)의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구비된 가압브라켓(420)이 목재를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목재를 연속으로 받침간목 적재장치(300)의 몸체(310) 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330)상에 안착시켜 설정된 개수가 하나의 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330)은 받침간목 적재장치(300)의 몸체(310)에 형성된 이송체인(311)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지지판(330)의 내측에 형성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인 제1승강부재(332)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목재가 설정된 하나의 층이 이송되면 받침간목 적재장치(300)의 간목공급부(320)가 하강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간목공급부(320) 중 몸체(310)의 일측에서 'ㄱ'자로 절곡된 지지구(321)에 결합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지지구(321)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간목(2)이 적재된 사각 박스체의 간목수납박스(322)가 하강하게 되고 간목수납박스(322)의 하부에 형성된 가압판(322c)이 목재를 가압하여 목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간목수납박스(322)의 외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실린더부(323a)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결합된 회동편(323b)의 회동에 의해 고정봉(323c)이 회전되고 고정봉(323c)의 단부에 결합된 회동팁(323d)이 간목수납박스(322)의 팁삽입공(322b)으로 회동되어 간목수납박스(322)에 적재된 간목(2) 중 최하단의 간목(2)을 간목배출공(322a)으로 밀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목공급부(320)가 상부로 원상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구(321)가 이송체인(311) 보다 하부로 이동되어 간목(2)이 올려진 목재가 이송체인(311)에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송체인(311)에 의해 목재가 상승판(340)의 상부에 위치되며 이때 상승판(340)의 전방측 몸체(310)에 구비된 스토퍼부재(313)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승판(340)의 내측에 결합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인 제2승강부재(342)에 의해 목재가 상부로 이송되고 상승판(340)의 상측에 위치하는 목재지지부(350)의 목재지지구(353)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즉, 상기 목재의 양측은 상승판(34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단부가 'ㄴ' 형태로 절곡된 목재지지구(353)가 목재의 하부를 감싸듯 지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형태의 회동지지부재(351)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판(352)에 내측으로 회동가능도록 회동지지부재(351)를 관통하여 목재지지구(353)와 결합된 유압실린더의 회동부재(354)에 의해 목재지지구(353)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내측으로 오므려져 목재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목재지지구(353)는 상기 고정판(352)에 축결합되고 목재지지구(353)에 목재가 지지된 후 상승판(340)은 하부로 이동하여 원상복원된다.
이와 같은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승판(340)에 의해 간목(2)이 올려진 목재가 하측에서부터 연속적으로 목재지지부(350)에 적재 지지되고 설정된 높이로 목재가 적재되면 상승판(340)이 상승하여 적재된 목재를 지지하여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승판(340) 역시 이송체인(311)보다 하측으로 이동하여 이송체인(311) 상에 적재된 목재가 위치되도록 한 후 이송체인(311)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끈 등으로 고정, 포장하여 지게차 등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대량의 목재를 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시간에 배송할 수 있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2: 간목
100: 목재공급장치 110: 다리부
120: 횡바 130: 종바
140: 회동봉 200: 목재이송장치
210: 이송부 220: 절단부
230: 몸체 240: 칼날
300: 받침간목 적재장치 310: 몸체
320: 간목 공급부 330: 지지판
340: 상승판 350: 목재지지부
400: 푸시부 410: 지지몸체
420: 가압브라켓

Claims (12)

  1. 판재의 목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목재공급장치(100)와, 상기 목재공급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목재를 균일하게 밀어주는 이송부(210)와, 목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220)가 구비되는 목재이송장치(200) 및 상기 목재이송장치(200)를 통해 절단 및 이송된 목재를 순차적으로 적재하고, 소정 높이의 목재 사이에 받침간목(2)을 넣어주는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로 이루어진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1)에 있어서,
    상기 목재이송장치(200)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로 목재를 순차적으로 밀어주는 푸시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는 목재를 지지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서 돌출되며, 이송체인(311)을 갖는 한 쌍의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일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400)를 통해 이동된 목재의 상부에 간목(2)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내부에 복수개의 간목(2)이 수납되는 간목공급부(320)와;
    상기 간목공급부(320)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400)를 통해 이동된 목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330)과;
    상기 지지판(330)의 타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체인(311)을 통해 이송된 목재를 순차적으로 쌓을 수 있도록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상승판(340)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310)의 중간부에는 지지판(330)에 의해 상승되는 목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부가 'ㄴ'형태로 절곡되어 회동되는 목재지지구(353)를 갖는 목재지지부(3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공급장치(100)는 상기 목재이송장치(200)로 목재를 공급하도록 목재이송장치(20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되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다리부(110)와, 상기 다리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횡바(120) 및 횡바(120)와 수직으로 형성되며, 이송수단(132)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종바(130)와 상기 종바(130)와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다수의 스토퍼(142)를 갖는 복수개의 회동봉(140) 및 상기 회동봉(140)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143)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32)은 모터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체인으로 구비되고, 상기 종바(130)는 상기 목재이송장치(200)와 결합되도록 목재이송장치(200)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회동봉(140)은 양단이 양측의 종바(130)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종바(130)를 관통하되 하나의 종바(130) 일측에 형성된 상기 회동장치(143)는 유압실린더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이송장치(200)는 상기 목재공급장치(100)에서 이동된 목재를 이송 및 절단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절단부(220)와 목재를 밀어주는 이송부(210)를 구비하되, 상부에 다수의 이송롤러(202)가 구비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된 '∩' 형태의 지지바(201)와 상기 지지바(201)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바(203)로 이루어진 몸체(230)의 일측에 상기 이송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210)는 몸체(23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바(204)를 따라 이송되며 단부가 직육면체로 형성된 푸시부재(212)와 상기 푸시부재(212)의 일측에서 축결합되어 푸시부재(212)를 회동시키는 회동장치(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30)는 2개를 연속으로 배치하되 상기 절단부(220)는 제1몸체(230a)와 제2몸체(230b)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원판형의 칼날(24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장치(213)는 상기 가이드바(204)에 상부에 구비되는 실린더브라켓(214)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로 구비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결합되는 회동연결바(215)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재(212)의 회동과 함께 상,하로 회동되고, 상기 가이드바(204)의 일측에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체인에 상기 실린더브라켓(214)가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210)가 가이드바(204)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400)는 상기 목재이송장치(200)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면에 유압실린더(401)가 구비된 지지몸체(410)와, 상기 유압실린더(401)의 피스톤로드 단부와 연결되어 목재이송장치(200)에서 이송된 목재를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로 밀어주는 가압브라켓(420)과, 상기 유압실린더(401)의 양측에 구비되며 단부가 상기 가압브라켓(420)에 고정되는 가이드봉(402)으로 구비되고, 상기 목재이송장치(200)의 단부 일측에 구비된 센서부(250)에 의해 목재의 최종 이송을 감지하여 목재를 받침간목 적재장치(300)로 가압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간목 적재장치(300)의 몸체(310) 상부에는 몸체(310)의 단부에 구비된 모터(312)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체인(311)이 구비되고, 상기 간목공급부(320)는 상기 몸체(310)의 일측에서 'ㄱ'자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지지구(321)와, 지지구(321)의 상부 일측과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간목(2)이 적재되는 사각 박스체의 간목수납박스(322) 및 상기 간목수납박스(322)의 일면에서 간목(2)을 내측으로 밀어 목재의 상부에 간목(2)을 자동 공급하는 간목가압부(32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간목수납박스(322)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체로 형성되며, 내측벽 하부에는 간목배출공(322a)이 형성되고, 외측벽 하부에는 2개의 팁삽입공(322b)이 형성되며, 상기 간목가압부(323)는 간목수납박스(322)의 외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실린더부(323a)와 실린더부(323a)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결합된 회동편(323b)과 회동편(323b)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봉(323c) 및 고정봉(323c)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팁삽입공(322b)을 관통하여 회동되는 회동팁(323d)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30)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판(330)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재(332)가 구비되고, 상기 상승판(340)의 내측에는 상승판(340)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재(3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강부재(332,342)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지지부(350)는 상기 몸체(310)의 중간부 양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회동지지부재(351)와, 상기 회동지지부재(351)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352)과, 상기 고정판(352)에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가 'ㄴ'형태로 절곡되는 목재지지구(353) 및 상기 회동지지부재(351)의 외측에서 관통되어 상기 목재지지구(353)와 결합되는 회동부재(354)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354)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재(351)의 상부에는 상기 회동지지부재(351)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352)과 연결되는 높이조절부재(355)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355)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310) 중 어느 하나의 몸체(310)는 레일부(36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몸체(310)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360)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바퀴부(31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KR1020180127539A 2018-10-24 2018-10-24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KR102070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39A KR102070518B1 (ko) 2018-10-24 2018-10-24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39A KR102070518B1 (ko) 2018-10-24 2018-10-24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518B1 true KR102070518B1 (ko) 2020-01-28

Family

ID=6937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539A KR102070518B1 (ko) 2018-10-24 2018-10-24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363B1 (ko) * 2020-09-07 2020-12-04 최경회 목재 가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43092A1 (en) * 1983-10-20 1985-05-29 FLESSUM, John Method for depositing laths as spacers between layers of boards in connection with timber-stacking machinery, and a lath feed magaz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4552499A (en) * 1982-12-22 1985-11-12 Olin Corporation Slip sheet retainers
KR200210562Y1 (ko) * 2000-08-10 2001-01-15 김인수 자동절단기에 의재 절단된 목재의 자동적재장치 구조
KR100665381B1 (ko) * 2005-08-01 2007-01-04 민삼환 판재 적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499A (en) * 1982-12-22 1985-11-12 Olin Corporation Slip sheet retainers
EP0143092A1 (en) * 1983-10-20 1985-05-29 FLESSUM, John Method for depositing laths as spacers between layers of boards in connection with timber-stacking machinery, and a lath feed magaz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200210562Y1 (ko) * 2000-08-10 2001-01-15 김인수 자동절단기에 의재 절단된 목재의 자동적재장치 구조
KR100665381B1 (ko) * 2005-08-01 2007-01-04 민삼환 판재 적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363B1 (ko) * 2020-09-07 2020-12-04 최경회 목재 가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3096B (zh) 一种开板机
NZ536645A (en) Application of loading ledges
KR102070518B1 (ko) 목재 받침간목 자동공급 적재장치
US3392851A (en) Brick stacker
KR102263341B1 (ko) 톰슨박스 반전 공급장치
US20150013084A1 (en)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US4030618A (en) Semi-automatic palletizer
KR102540354B1 (ko) 팔레타이저 시스템
KR101514874B1 (ko) 목재 적재 장치
CN211140727U (zh) 一种包材纸箱输送装置
JP2003246451A (ja) 育苗箱積重ね装置
JPS58100024A (ja) パレツト荷積装置
JPH0873036A (ja) 積付方法及び積付装置
KR101514802B1 (ko) 목재 자동정렬장치 및 자동정렬방법
KR200206740Y1 (ko) 포장 박스 적재 장치
CA2682533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nd shaking blanks
CN210557523U (zh) 垛盘纸箱叠合装置
CN109676680B (zh) 一种开板机用收料装置
KR101421711B1 (ko) 박스 자동분할 공급장치
CN212686927U (zh) 一种饮料生产用立式码垛机
CN116968997B (zh) 一种具有对齐堆砌功能的板材打包机
KR101282836B1 (ko) 팔레트 공급장치
CN220683897U (zh) 一种叠板机的输料装置
JP2000033902A (ja) 梱包ケースへの部品パッケージ積載装置
JP3002935B2 (ja) 積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