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334B1 -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 코드 압연물 재단기 - Google Patents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 코드 압연물 재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334B1
KR102070334B1 KR1020180145468A KR20180145468A KR102070334B1 KR 102070334 B1 KR102070334 B1 KR 102070334B1 KR 1020180145468 A KR1020180145468 A KR 1020180145468A KR 20180145468 A KR20180145468 A KR 20180145468A KR 102070334 B1 KR102070334 B1 KR 10207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air vent
cutting
guide roller
fabric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김가희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6Cutting textile inserts to required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6Advancing webs by friction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38Handling tyre parts or semi-finished parts, excluding beads, e.g., storing, transporting, trans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5Cutting handled material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93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코드 압연물 재단기에 관한 것으로, 카카스플라이를 제조하기 위한 반제품의 고무압연물이 권취되어 있는 압연물 공급보빈과; 상기 압연물 공급보빈에서 공급되는 고무압연물을 일정 폭으로 절단하는 압연물 재단부와; 상기 압연물 재단부에서 일정 폭으로 절단된 재단물을 이송하는 재단물 이송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압연물 공급보빈과 압연물 재단부 사이에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의 표면 및 이면에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를 공급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에어벤트사 공급보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 코드 압연물 재단기{Fabric cord cutter of applying to the electric air vent cord}
본 발명은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 코드 압연물 재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타이어를 통하여 정전기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카카스플라이를 형성하도록 제조하기 위하여 전도성이 향상된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카카스플라이를 제조하기 위한 반제품상의 패브릭코드 압연물을 재단하는 재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에 주유를 할 때 차체에서 발생하게 되는 정전기로 인해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재 위험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 운전자는 주유 전 정전기 방지용 터치패드를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는 하나, 차량 자체에도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차량을 통하여 정전기를 방출시키기 위해서는 지면과 접하고 있는 타이어를 통해서 방출되게 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의 사이드월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타이어의 사이드월 물성을 유지하면서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까지 겸비하도록 구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타이어 관련 업계에서는 타이어에 전기가 흐르게 하는 여러 가지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타이어의 제조공정에서 반제품의 고무에 전기를 통하게 하는 물질을 개발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렇다할 결과물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96800호(2001. 11. 0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기입 타이어를 구성하는 카카스플라이 제조공정에서 패브릭코드 압연물 양면에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에어벤트사를 일정간격으로 부착되게 하는 구성으로 반제품으로 된 패브릭코드 압연물을 일정규격으로 재단하고 그 재단된 압연물을 연속으로 이어붙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수단으로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일정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는 카카스플라이의 반제품인 패브릭코드 압연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카카스플라이를 제조하기 위한 반제품의 패브릭코드 압연물이 권취되어 있는 압연물 공급보빈과;
상기 압연물 공급보빈에서 공급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을 일정 폭으로 절단하는 압연물 재단부와;
상기 압연물 재단부에서 일정 폭으로 절단된 재단물을 이송하는 재단물 이송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압연물 공급보빈과 압연물 재단부 사이에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의 표면 및 이면에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도성 에어벤트사를 공급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에어벤트사 공급보빈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에어벤트사 공급보빈은 압연물 공급보빈으로부터 공급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1 상부안내롤와 상기 제1 상부 안내롤러에서 수직상태로 하강이송되도록 하는 제2 하부 안내롤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상부 안내롤러에서 제2 하부 안내롤러를 향해 하강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제1 전도성 에어벤트사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에어벤트사 공급보빈은 제2 하부안내롤러에서 수평상태로 공급되는 고무압연물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상승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3 상부안내롤러와 상기 제3 하부안내롤러에서 수직상태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을 수평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4 상부안내롤러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를 패브릭코드 압연물의 이면에 일정간격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 각각은 제1 및 제2 에어벤트사 공급보빈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나는 각도는 보빈에 감기는 상태의 원주방향을 기준선으로 하여 100∼180°의 각도 범위 내에서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연물 재단부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은 제6 하부 안내롤러와 제1 콘베이어벨트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앙면이 평탄하게 압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단물 이송부는 압연물 재단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재단된 재단물을 이송하는 제1 콘베이어벨트로부터 공급받는 제2 콘베이어벨트와, 상기 제1 콘베이어벨트와는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 콘베이어벨트와 연결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제2 콘베이어벨트로부터 재단물을 공급받아 배출장소를 향해 이송하는 제3 콘베이어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를 구성하는 카카스플라이의 반제품인 고무재질의 패브릭코드 압연물의 양면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는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를 상기 패브릭코드 압연물에 조밀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압연사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양면에 부착된 패브릭코드 압연물를 일정간격으로 절단된 복수의 재단물을 재단물 이송부로 이송하는 도중에 길이방향을 향해 차례대로 연결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카스플라이를 제조하기 위한 반제품인 패브릭코드 압연물에는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향해 복수의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어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도성 에어벤트사외 카본코팅층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고무압연물의 양면에 제1 및 제2 에어벤트사를 부착시키는 과정과 제1 및 제2 에어벤트사가 양면에 부착된 패브릭코드 압연물을 일정간격으로 재단하여 이송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끊어짐 없이 풀리면서 패브릭 코드 압엽물의 양면에 부착되도록 에어벤트사 공급보빈에 감겨있는 상태에서 풀려나는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양면에 부착된 패브릭 코드 압연물을 재단하여 길이방향을 연결 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재단물 이송부의 평면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 코드 재단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타이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타이어(1)는 트레드(2)와 양측 사이드월(3a)(3b) 및 양측 비드(4a)(4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드(2)의 내부에는 벨트층(5)와 카카스플라이(6) 및 인너라이너(7) 등이 차례대로 적층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타이어(1)를 구성하는 트레드(2), 양측 사이드월(3a)(3b), 양측 비드(4a)(4b) 등은 전기가 통하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고무조성물을 재료로 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타이어(1)는 카카스플라이(6)와 양측 사이드월(3a)(3b) 및 양측 비드(4a)(4b) 내측으로 인너라이너(7)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카스플라이(6)는 벨트층(5)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카카스플라이(6)는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어(1)를 구성하는 트레드(2), 양측 사이드월(3a)(3b), 양측 비드(4a)(4b) 등은 반죽상태의 고무반제품을 성형금형 등을 이용하는 성형공정에서 설정된 형상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상기 카카스플라이(6)를 성형하기 전 반제품상태에서 복수의 압연사(61)가 조밀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압연된 상태로 압연물 공급보빈(81)에 권취되어 풀리는 상태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양면에 복수의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a)(62b)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부착시키는 구성과,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a)(62b)가 양면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압연물 재단부(8) 및 일정간격으로 절단된 재단물(60a)을 이송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하면서 이송시키는 재단물 이송부(9)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은 압연물 공급보빈(81)에 두루마리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상부 안내롤러(82)에서부터 제6 하부 안내롤러(87)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연물 공급보빈(81)에 권취되어 있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이 제1 상부 안내롤러(82)에서부터 제6 하부 안내롤러(87)로 이송되는 구성을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연물 공급보빈(81)에 권취되어 있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은 제1 상부 안내롤러(82)를 향해 수평상태로 인출되어 공급되는 것이며, 상기 제1 상부 안내롤러(82)는 압연물 공급보빈(81)에서 수평상태로 공급되는 패브릭 코드 압연물(60)을 제2 하부 안내롤러(83)를 향해 수직상태로 하강이송시킨다.
상기 제2 하부 안내롤러(83)는 제1 상부 안내롤러(82)에서 수직상태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을 수평상태로 이송방향을 변환시켜 제3 하부 안내롤러(84)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3 하부 안내롤러(84)는 수평상태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을 수직상태로 상승이송시키게 되며, 상기 제3 하부 안내롤러(84)에서 수직상태로 상승이송되는 패브릭 코드 압연물(6)은 제4 상부 안내롤러(85)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이송된다.
상기 제4 상부 안내롤러(85)에서 수평상태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은 제5 상부 안내롤러(86)에 의하여 수직상태로 하강이송되는 상태가 되고, 제6 하부 안내롤러(87)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이송된다.
상기 제6 하부 안내롤러(87)를 향해 수직상태의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은 제6 하부 안내롤러(87)와 그 하측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설치되어 있는 제1 콘베이어벨트(91) 사이를 통과하는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양면은 평탄하게 압연된다.
상기 압연물 공급보빈(81)에 권취되어 있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에는 복수의 압연사(61)가 조밀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며, 상기 제1 상부 안내롤러(82)에서 제2 하부 안내롤러(83)를 향해 수직상태로 하강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표면에는 복수의 제1 공급보빈(621)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제1 전도성 에어벤트사(62a)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3 하부 안내롤러(84)에서 제4 상부 안내롤러(85)를 향해 수직상태로 상승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이면에는 복수의 제2 공급보빈(622)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b)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6 하부 안내롤러(87)와 제1 콘베이어벨트(91) 사이로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이 통과하게 될 때에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표면 및 이면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a)(62b)가 압착되면서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표면과 이면에 매립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공급보빈(621)(622)에서 공급되는 제1 및 제2 전도성에어벤트사(62a)(62b)의 표면에는 전기가 통하는 카본코팅층(63)이 각각 코팅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a)(62b) 각각의 표면에 코팅되는 카본코팅층(63)을 형성시키는 과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브릭재질로 된 압연사(62)를 카본용기(64)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카본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카본용기(64)에서 인출되는 압연사(62)를 건조기(65)에서 건조시키게 되면 표면에 카본코팅층(63)이 형성된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a)(62b)가 제조되며, 이를 복수의 제1 및 제2 공급보빈(621)(622)에 권취하여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을 표면 및 이면에 부착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제6 하부 안내롤러(87)와 제1 콘베이어벨트(91) 사이를 통과하여 압연물 재단부(8)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은 절단칼(81)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절단되며, 이렇게 절단된 재단물(60a)은 제1 콘베이어벨트(91)의 이송작동에 의해 재단물 이송부(9)의 제2 콘베이어벨트(92)로 이송된다.
상기 재단물 이송부(9)는 제1 콘베이어벨트(91)와 상기 제1 콘베이어벨트(91)에서 이송되는 재단물(60a)을 공급받는 제2 콘베이어벨트(92) 및 상기 제2 콘베이어벨브(92)로부터 재단물(60a)을 공급받아 배출장소(미도시)로 이송하는 제3 콘베이어벨트(9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콘베이어벨트(91)에서 제2 콘베이어벨트(92)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에는 복수의 압연사(61)와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a)(62b)가 매립된 상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압연물 재단부(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절단칼(81)에 의해 절단되며, 이에 따라 압연물 재단부(8)에서 일정간격으로 절단되는 재단물(60a)은 절단된 양면으로는 복수의 압연사(61)와 복수의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a)(62b) 각각의 절단면이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압연물 재단부(8)를 통과하는 고저에서 일정간격으로 절단된 재단물(60a)은 제2 콘베어어벨트(92)로 이송되고, 상기 제2 콘베이어벨트(92)는 이송된 재단물(60a)은 제3 콘베이어벨트(93)을 통해 배출장소(미도시)로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제3 콘베이어벨트(93)로 이송되는 재단물(60a)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재단물(60a)들이 서로 연결되는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서로 부착 연결되는 상태가 되며, 또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3 콘베이어벨트(93)로 이송되는 재단물(60a)들을 눌러주는 압착구조물(미도시)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상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타이어(1)를 구성하기 위한 카카스플라이(6)를 제조하기 위한 반제품인 패브릭코드 압연물(60)에는 패브릭재질의 압연사(61)가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이 권취되어 있는 압연물 공급보빈(81)으로부터 인출하여 제1 상부 안내롤러(82)에서 제2 하부 안내롤러(83)를 향해 수직으로 하강이송시키는 도중에 제1 공급보빈(621)에 감겨있는 제1 전도성 에어벤트사(62a)를 상기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표면에 부착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전도성 에어벤트사(62a)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과 함께 제2 하부 안내롤러(83)를 향해 하강이송됨에 따라 상기 제1 공급보빈(621)에서 풀려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제1 전도성 에어벤트사(62a)는 제1 공급보빈(621)에 감겨있는 원주방향을 기준하여 볼 때 도 5의 도시와 같이 100∼180°각도(α)의 각도로 풀려나게 되므로 상기 제1 전도성 에어벤트사(62a)는 끊어지지 않는 상태로 계속 풀려나게 되어 제1 상부 안내롤러(81)에서 제2 하부 안내롤러(82)를 향해 수직상으로 하강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표면에 연속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전도성 에어벤트사(62a)가 표면에 부착되는 상태로 이송되는 상기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이 제2 하부 안내롤러(84)에서 제4 상부 안내롤러(85)를 향해 수직상태로 상승이송되는 도중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2 공급보빈(622)에 감겨있는 복수의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b) 역시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이면에 부착된 상태로 패브릭코드 압연물(60)과 함께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제2 공급보빈(622) 각각에 감겨있는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b)들도 전술한 제1 전도성 에어벤트사(62a)와 같이 제2 공급보빈(622)의 원주방향을 기준하여 100∼180°각도(α)의 각도로 풀려나게 되며(도 5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b) 역시 끊어짐 없이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이면에 연속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표리면 각각에 복수의 전도성 에어벤트사(62a)(62b)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는 상태로 제6 하부 안내롤러(87)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은 상기 제6 하부 안내롤러(87)와 제1 콘베이어벨트(91)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착되는 상태가 되어 표면과 이면이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압연물 재단부(8)로 이송되며, 상기 압연물 재단부(8)는 절단칼(81)로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을 일정간격으로 절단하게 되며, 상기 압연물 재단부(8)에서일정간격으로 재단된 재단물(60a)은 제2 콘베이어벨트(92)를 통해 제3 콘베이어벨트(93)로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제3 콘베이어벨트(93)로 이송되는 재단물(60a)들은 패브릭코드 압연물(60)에 매립되어 있는 복수의 압연사(61)와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a)(62b) 각각의 절단면은 재단물(60a)의 절단된 양면에 노출되는 상태로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서로 부착되는 상태로 이송되며, 또한 상기 제3 콘베이어벨트(93)로 이송되는 도중에 압착구조물(미도시)에 의한 압착작용에 의하여 서로 인접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60)들이 서로 연결 부착되는 동시에 표면과 이면이 평탄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내부에 복수의 압연사(61)가 조밀한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고 표면과 이면에 복수의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62a)(62b)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도록 제조되는 상기 패브릭코드 압연물(60)의 반제품으로 카카스플라이(6)를 구성하도록 타이어를 제조하게 되면 차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타이어가 접촉하고 있는 지면으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정전기로 인해 화재 등의 사고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 : 타이어 2 : 트레드
3a,3b : 사이드월 4a,4b : 비드
5 : 벨트층 6 : 카카스플라이
60 : 패브릭코드 압연물 60a : 재단물
61 : 압연사 62a,62b :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
63 : 카본코팅층 621 : 제1 공급보빈
622 : 제2 공급보빈 7 : 인너라이너
8 : 압연물 재단부 81 : 절단칼
9 : 재단물 이송부 91 : 제1 콘베이어벨트
92 : 제2 콘베이어벨트 93 : 제3 콘베이어벨트

Claims (5)

  1. 카카스플라이를 제조하기 위한 반제품의 고무압연물이 권취되어 있는 압연물 공급보빈과;
    상기 압연물 공급보빈에서 공급되는 고무압연물을 일정 폭으로 절단하는 압연물 재단부와;
    상기 압연물 재단부에서 일정 폭으로 절단된 재단물을 이송하는 재단물 이송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압연물 공급보빈과 압연물 재단부 사이에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의 표면 및 이면에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를 공급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에어벤트사 공급보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코드 압연물 재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벤트사 공급보빈은 압연물 공급보빈으로부터 공급되는 고무압연물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1 상부안내롤와 상기 제1 상부 안내롤러에서 수직상태로 하강이송되도록 하는 제2 하부 안내롤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상부 안내롤러에서 제2 하부 안내롤러를 향해 하강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제1 전도성 에어벤트사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에어벤트사 공급보빈은 제2 하부안내롤러에서 수평상태로 공급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상승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3 상부안내롤러와 상기 제3 하부안내롤러에서 수직상태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을 수평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4 상부안내롤러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를 패브릭코드 압연물의 이면에 일정간격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코드 압연물 재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에어벤트사 각각은 제1 및 제2 에어벤트사 공급보빈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나는 각도는 보빈에 감기는 상태의 원주방향을 기준선으로 하여 100∼180°의 각도 범위 내에서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코드 압연물 재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물 재단부로 이송되는 패브릭코드 압연물은 제6 하부 안내롤러와 제1 콘베이어벨트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앙면이 평탄하게 압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코드 압연물 재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물 이송부는 압연물 재단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재단된 재단물을 이송하는 제1 콘베이어벨트로부터 공급받는 제2 콘베이어벨트와, 상기 제1 콘베이어벨트와는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 콘베이어벨트와 연결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제2 콘베이어벨트로부터 재단물을 공급받아 배출장소를 향해 이송하는 제3 콘베이어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코드 압연물 재단기.
KR1020180145468A 2018-11-22 2018-11-22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 코드 압연물 재단기 KR102070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468A KR102070334B1 (ko) 2018-11-22 2018-11-22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 코드 압연물 재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468A KR102070334B1 (ko) 2018-11-22 2018-11-22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 코드 압연물 재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334B1 true KR102070334B1 (ko) 2020-01-29

Family

ID=6932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468A KR102070334B1 (ko) 2018-11-22 2018-11-22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 코드 압연물 재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3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798A (ko) * 1999-11-08 2001-06-05 조충환 타이어 트레드용 전도성 고무 식입장치 및 그에 의해제조된 타이어
KR20010096800A (ko) 2000-04-14 2001-11-08 신형인 타이어의 정전기 방출성능을 개선한 외부 도포제 조성물및 이의 도포방법
KR20050116255A (ko) * 2004-06-07 2005-12-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카카스 반제품의 각도 가변 절단 및 이송장치
JP4697824B2 (ja) * 2000-11-14 2011-06-0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カーカスプライ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80091355A (ko) * 2017-02-06 2018-08-1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카카스 반제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798A (ko) * 1999-11-08 2001-06-05 조충환 타이어 트레드용 전도성 고무 식입장치 및 그에 의해제조된 타이어
KR20010096800A (ko) 2000-04-14 2001-11-08 신형인 타이어의 정전기 방출성능을 개선한 외부 도포제 조성물및 이의 도포방법
JP4697824B2 (ja) * 2000-11-14 2011-06-0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カーカスプライ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050116255A (ko) * 2004-06-07 2005-12-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카카스 반제품의 각도 가변 절단 및 이송장치
KR20180091355A (ko) * 2017-02-06 2018-08-1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카카스 반제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14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ire
US7524398B2 (en) Apparatus for making tire components, and a tire
EP2978596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yres for vehicle wheels
CN100594118C (zh) 制造减厚轮胎帘布层的装置和方法
US20060137804A1 (en) Method for making tire ply
ITMI20111320A1 (it) Metodo, processo e apparato per confezionare pneumatici per ruote di veicoli
CN107310177B (zh) 贴胶片材的形成方法以及装置
WO2014155240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tyres for vehicle wheels
KR101055764B1 (ko) 타이어 제조 공정
EP1419877B1 (en) Supply method of belt member
KR102070334B1 (ko) 전도성 에어벤트사가 적용된 패브릭 코드 압연물 재단기
CN103619572A (zh) 用于构造用于车辆车轮的轮胎的处理和设备
CN101189120B (zh) 制造轮胎的方法和用于在成形支撑上布置加强元件的装置
JP2016078171A (ja) コード入りゴムシートの製造方法
EP3166777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JP3396533B2 (ja) 自動車タイヤの組立て方法
US11420405B2 (en) Method for producing webs for reinforcement ply of a tire by butt-joining straight-wire strips
KR20090043257A (ko) 타이어 정전기 방지를 위한 트레드 압출다이
SK1952002A3 (en) Feeding device for stripe-shaped tyre components
CN102196899B (zh) 用于构建轮胎的方法
CN101148096B (zh) 制造充气轮胎的方法和设备
US20060137814A1 (en) Method for making reinforced elastomeric materials
CN107379593B (zh) 贴胶片材的形成方法以及装置
JP2009148910A (ja) タイヤ用プライ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3556901A (en) Apparatus for supplying flexible shee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