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033B1 -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033B1
KR102070033B1 KR1020190006113A KR20190006113A KR102070033B1 KR 102070033 B1 KR102070033 B1 KR 102070033B1 KR 1020190006113 A KR1020190006113 A KR 1020190006113A KR 20190006113 A KR20190006113 A KR 20190006113A KR 102070033 B1 KR102070033 B1 KR 102070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utdoor side
side wall
rail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9000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측과 실내측에 형성된 레일홈의 깊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은 높은 위치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신속하게 배수되게 하고, 실내측 레일홈까지 유입되는 빗물은 낮은 위치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되게 함으로써,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배수시켜서 태풍이나 폭우가 쏟아지더라도 창틀프레임에 고인 빗물의 실내 유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window frame frame formed in multiple layers}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측과 실내측에 형성된 레일홈의 깊이를 다르게 형성하고, 각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높이가 서로 다른 배수구멍을 통해 순차적으로 분리 배수시키는,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에는 창문을 닫는다고 하더라도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레일홈에는 빗물이 고이게 되고, 레일홈에 고인 빗물은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레일을 타고 넘어서 실내로 유입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창틀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나 곤충의 서식지가 되는 등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창틀의 바깥쪽 하부프레임에 배수구멍을 뚫어 물을 배수시키도록 하고 있다.
지금까지 창틀프레임의 배수는 물론 단열과 기밀 및 방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기술들이 출현하였다.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1649923호 "단열 및 기밀성능과 배수성능이 우수한 2중 수밀구조 창호"는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실외측과 실내측 레일홈을 동일한 깊이로 형성하면서 모헤야를 각 레일의 측면은 물론 실내측 레일홈의 바닥면과 측면에도 설치하여 단열과 기밀 및 방음성능을 향상시킨 창호장치이다. 하지만, 레일홈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조에 있어서는 배수구멍을 상하로 형성했기는 했지만 일반적인 창틀의 배수구조와 동일하고, 오히려 실내측 레일홈의 바닥면과 측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모헤야를 부착 설치했기 때문에 태풍이나 폭우가 쏟아지면서 갑자기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될 경우에 실내측 레일홈에 유입된 빗물이 바닥면과 측면에 부착된 모헤야 때문에 배수될 수가 없게 되어 실내로 다량의 빗물이 유입될 수밖에 없고, 실내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멍은 아무런 역할이나 기능을 못하고 외부로부터 바람과 소음의 유입을 초래하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창틀프레임의 레일홈에 고이는 빗물은 먼저 실외측 레일홈에 고이게 되고, 실외측 레일홈에서 미처 배수되지 못하면 실내측 레일홈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만 신속하게 배수시켜 주면 실내측 레일홈으로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며, 더 나아가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기 특허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출현한 창호장치는 실외측과 실내측 레일홈의 깊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실외측과 실내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분리하여 배수시켜 주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배수구조가 아무리 잘 구비되어 있어도 태풍이나 강한 비바람이 불면서 폭우가 쏟아질 때는 많은 양의 빗물이 미처 배수되지 못하고 실내로 유입하게 된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측과 실내측에 형성된 레일홈의 깊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은 높은 위치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신속하게 배수되게 하고, 실내측 레일홈까지 유입되는 빗물은 낮은 위치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되게 함으로써,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배수시켜서 태풍이나 폭우가 쏟아지더라도 창틀프레임에 고인 빗물의 실내 유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실외측벽과 실내측벽 및 그 사이에 설치된 한 쌍씩의 실외측 레일과 실내측 레일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중창에 적용되는 창호장치의 창틀 하부프레임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창틀 하부프레임은, 상기 실외측벽과 실내측벽의 하단부분끼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상(板狀)의 제2플레이트; 상기 창틀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외측 레일과 실내측 레일 사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차단벽;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실외측벽과 차단벽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면에 한 쌍의 실외측 레일이 설치된 판상의 제1플레이트; 상기 실외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실내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내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제1플레이트를 지지해 주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플레이트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실외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지 않고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받침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실외측벽과 차단벽의 일정 높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받침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제1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兩端)부분이 받침턱에 얹혀져서 조립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중창에 적용되는 창틀 하부프레임은, 실외측벽과 실내측벽의 하단부분끼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상(板狀)의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실외측벽과 실내측 레일에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레일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면에 한 쌍의 실외측 레일이 설치된 판상의 제1플레이트; 상기 실외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실내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내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제1플레이트를 지지해 주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플레이트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실외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지 않고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받침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실외측벽과 실내측 레일에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레일의 일정 높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받침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兩端)부분이 받침턱에 얹혀져서 조립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단창에 적용되는 창틀 하부프레임은,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실외측벽과 실내측벽 및 그 사이에 설치된 실외측 레일과 실내측 레일이 일체로 형성되고, 창틀 하부프레임은, 실외측벽과 실내측벽의 하단부분끼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상(板狀)의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실외측벽과 실내측 레일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면에 실외측 레일이 설치된 판상의 제1플레이트; 상기 실외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실내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내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제1플레이트를 지지해 주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플레이트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실외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지 않고 대신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받침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실외측벽과 실내측 레일의 일정 높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받침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兩端)부분이 받침턱에 얹혀져서 조립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실외측에 형성된 레일홈의 깊이가 실내측에 형성된 레일홈보다 얕게 형성되고, 실내측과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구멍이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우선적으로 신속하게 배수되게 되고, 실외측 레일홈에서 미처 배수되지 못하고 실내측 레일홈까지 유입된 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되기 때문에 창틀프레임에 고인 물이 실외측 레일홈과 실내측 레일홈에서 분리되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순차적으로 분리 배수되게 되므로, 폭우가 쏟아지더라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창틀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창틀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창틀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창틀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창틀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창틀프레임에 형성되는 배수구멍을 높이가 다르게 복층으로 형성하여 실외측과 실내측 레일홈에 고이게 되는 물이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배수되게 함으로써 태풍이나 폭우가 쏟아지더라도 창틀프레임에 고인 빗물의 실내 유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외측 레일'이란 이중창의 경우 실외쪽에 위치하면서 한 짝을 이루는 창문이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레일을 의미하고, 단창의 경우에는 실외쪽에 위치하게 되는 창문이 슬라이딩되는 레일을 의미한다. 또, '실내측 레일'이란 이중창의 경우 실내쪽에 위치하면서 한 짝을 이루는 창문이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레일을 의미하고, 단창의 경우에는 실내쪽에 위치하게 되는 창문이 슬라이딩되는 레일을 의미한다.
창틀프레임의 레일홈에 고이는 빗물은 먼저 실외측에 위치한 레일홈에 고인 다음 실내측에 위치한 레일홈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만 신속하게 배수시키면 실내측 레일홈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며, 더 나아가 실내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만 제때에 신속하게 배수시키면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실외측 레일홈과 실내측 레일홈에 고이는 빗물을 분리하여 서로 다른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시키는데,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제1배수구멍을 통해 먼저 배수시키고, 미처 배수되지 못하고 실내측 레일홈으로 유입된 빗물을 제2배수구멍을 통해 배수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이중창에 적용되는 창호장치의 제1실시예인 창틀 하부프레임(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는 '1'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창틀 하부프레임(10)은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실외측벽(122)과 실내측벽(132) 및 그 사이에 설치된 한 쌍씩의 실외측 레일(121)과 실내측 레일(1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제1 및 제2플레이트(12, 13)와 차단벽(14)이 모두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11)를 구성한다.
제2플레이트(13)는 실외측벽(122)과 실내측벽(132)의 하단부분끼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상(板狀)의 부재를 말하는데,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제2플레이트(13)의 하부에 또 다른 판상의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제2플레이트(13)가 판상의 부재이기 때문에 창문이 조립된 상태에서도 수평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에 복수의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차단벽(14)은 창틀 하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외측 레일(121)과 실내측 레일(131) 사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구성으로, 실외측 레일(121) 및 실외측벽(122)과 높이가 동일하거나 약간 높아도 된다. 차단벽(14)에서 제1플레이트(12)의 상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실외측 레일(121)의 하단부분에는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측 레일홈(123)에 빗물이 고이면 실외측 레일(121)에 형성된 배수구멍과 제1배수구멍(122a)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되고, 미처 배수되지 못한 빗물은 차단벽(14)을 넘어서 실내측 레일홈(133)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므로 차단벽(14)의 높이가 실외측 레일(121)의 높이보다 높으면, 실내측 레일홈(133)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은 극히 제한적이다. 또한, 실외측벽(122)의 높이가 실외측 레일(121)의 높이보다 낮아도 실외측 레일홈(123)에 고인 빗물이 차단벽(14)을 넘기 전에 실외측벽(122)을 넘어서 실외로 흘러나가게 된다. 또, 차단벽(14)에서 제1플레이트(12)의 상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단벽(14)이 제1배수구멍(122a)를 통해 들어오는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해 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제1플레이트(12)는 판상의 부재로, 제2플레이트(13)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실외측벽(122)과 차단벽(14)을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되고, 상면에 한 쌍의 실외측 레일(121)이 설치되어 있다. 제1플레이트(12)가 제2플레이트(13)의 상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실외측 레일홈(123)의 깊이가 실내측 레일홈(133)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된다.
제1배수구멍(122a)은 제1플레이트(12)의 상부에 형성된 실외측 레일홈(123)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122)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2배수구멍(111a)은 제2플레이트(13)의 상부에 형성된 실내측 레일홈(133)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122)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수구멍의 형성된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제1배수구멍(122a)과 제2배수구멍(111a)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복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외측 레일홈(123)에 고여 있다가 미처 배수되지 못하고 차단벽(14)을 넘어 실내측 레일홈(133)에 유입된 빗물은, 실내측 레일(131)의 하단부분에 형성된 배수구멍과, 차단벽(14)의 하단부분(제2플레이트와 연결된 부분을 말함)과, 제1 및 제2플레이트(12, 13) 사이에 형성된 격벽(111)의 하단부분에 형성된 배수구멍 및 실외측벽(122)의 하단부분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111a)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실내측 레일홈(133)은 실외측 레일홈(123)보다 깊이가 깊게 형성되어 있어서 빗물의 저장공간도 클 뿐만 아니라 실내측벽(132)의 높이를 실내측 레일(131)의 높이보다 약간만 높게 형성해도 빗물이 실내까지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플레이트(12, 13)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격벽(111)은 제1플레이트(12)와 제2플레이트(13)를 일체로 연결하기도 하지만, 판상의 부재인 제1플레이트(12)를 지지해 주는 역할도 한다. 격벽(111)은 한 쌍의 실외측 레일(121)이 위치하게 되는 하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플레이트(12, 13)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실외측으로 경사가 낮아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이중창에 적용되는 창호장치의 제2실시예인 창틀 하부프레임(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2'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실시예에 구비된 차단벽(14)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구성이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는 실외측 레일과 실내측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벽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제1플레이트(22)가 실외측벽(222)과 실내측 레일(231)에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레일을 일체로 연결하면서 설치되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 실외측 레일홈(223)이란 실외측벽(222)와 실외측 레일(221) 사이와, 한 쌍의 실외측 레일(221) 사이와, 실외측 레일(221)에서 실내측에 위치하는 레일과 실내측 레일(231)에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레일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말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중창에 적용되는 창호장치의 제3실시예인 창틀 하부프레임(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3'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제3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실시예에서 제1플레이트(12)를 프레임 본체를 이루는 다른 구성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분리되게 형성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구성이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는 제1플레이트(32)가 프레임 본체(31)를 이루는 다른 구성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제1플레이트(32)만 분리된 구성요소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분리형이다. 제1플레이트(32)가 분리된 판상의 구성이기 때문에 그 하부에는 받침대(324)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받침대(324)가 제1플레이트(32)를 지지해 주게 된다. 받침대(324)는 한 쌍의 실외측 레일(321)이 위치하게 되는 하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플레이트(32)가가 분리형이기 때문에 조립을 위해서는 실외측벽(322)과 차단벽(34)의 일정 높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받침턱(322b)을 각각 돌출되게 형성해 두어야 하는데, 제1플레이트(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兩端)부분이 받침턱(322b)에 얹혀져서 조립되어 설치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실시예도 제1플레이트(22)를 분리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22)가 분리형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22)의 하부에 받침대를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실외측벽(222)과 실내측 레일(231)에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레일의 일정 높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받침턱을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여, 제1플레이트(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兩端)부분이 받침턱에 얹혀서 조립 설치한다.
제4실시예는 단창에 적용되는 창호장치인데, 도 4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의 창틀 하부프레임(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실시예는 '4'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제4실시예는 프레임 본체(41)가 일체형 프레임이고, 제4실시예가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단창이라는 점인데, 단창이기 때문에 실외측 레일과 실내측 레일의 개수만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2실시예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는 단창에 적용되는 창호장치인데, 도 5를 참조하여 제5실시예의 창틀 하부프레임(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실시예는 '5'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제5실시예는 프레임 본체(51)가 분리형 프레임이기 때문에 제1플레이트(52)가 분리되도록 제작된 것이다. 제5실시예가 제4실시예와 다른 점은 분리형이라는 점이고, 분리형에 대하여는 이미 제3실시예에서 설명했으므로 설명이 중복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30, 40, 50 : 창틀 하부프레임
11, 21, 31, 41, 51 : 프레임 본체
111, 211, 411 : 격벽
12, 22, 32, 42, 52 : 제1플레이트
121, 221, 321, 421, 521 : 실외측 레일
122, 222, 322, 422, 522 : 실외측벽
123, 223, 323, 423, 523 : 실외측 레일홈
324, 524 : 받침대
13, 23, 33, 43, 53 : 제2플레이트
131, 231, 331, 431, 531 : 실내측 레일
132, 232, 332, 432, 532 : 실내측벽
133, 233, 333, 433, 533 : 실내측 레일홈
14, 34 : 차단벽
60 : 창문프레임

Claims (6)

  1.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실외측벽과 실내측벽 및 그 사이에 설치된 한 쌍씩의 실외측 레일과 실내측 레일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중창에 적용되는 창호장치의 창틀 하부프레임으로, 상기 창틀 하부프레임은,
    상기 실외측벽과 실내측벽의 하단부분끼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상(板狀)의 제2플레이트;
    상기 창틀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외측 레일과 실내측 레일 사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차단벽;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실외측벽과 차단벽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면에 한 쌍의 실외측 레일이 설치된 판상의 제1플레이트;
    상기 실외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실내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내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제1플레이트를 지지해 주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플레이트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실외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2.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실외측벽과 실내측벽 및 그 사이에 설치된 한 쌍씩의 실외측 레일과 실내측 레일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중창에 적용되는 창호장치의 창틀 하부프레임으로, 상기 창틀 하부프레임은,
    상기 실외측벽과 실내측벽의 하단부분끼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상(板狀)의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실외측벽과 실내측 레일에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레일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면에 한 쌍의 실외측 레일이 설치된 판상의 제1플레이트;
    상기 실외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실내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내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제1플레이트를 지지해 주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플레이트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실외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대신 분리형으로 제작되고,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받침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실외측벽과 차단벽의 일정 높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받침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兩端)부분이 받침턱에 얹혀져서 조립되어 설치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대신 분리형으로 제작되고,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받침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실외측벽과 실내측 레일에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레일의 일정 높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받침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兩端)부분이 받침턱에 얹혀져서 조립되어 설치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5.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실외측벽과 실내측벽 및 그 사이에 설치된 실외측 레일과 실내측 레일이 일체로 형성되고, 단창에 적용되는 창호장치의 창틀 하부프레임으로, 상기 창틀 하부프레임은,
    상기 실외측벽과 실내측벽의 하단부분끼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상(板狀)의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실외측벽과 실내측 레일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면에 실외측 레일이 설치된 판상의 제1플레이트;
    상기 실외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실내측 레일의 하단부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실내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실외측벽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제1플레이트를 지지해 주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플레이트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실외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대신 분리형으로 제작되고,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받침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실외측벽과 실내측 레일의 일정 높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받침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兩端)부분이 받침턱에 얹혀져서 조립되어 설치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20190006113A 2019-01-17 2019-01-17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2070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13A KR102070033B1 (ko) 2019-01-17 2019-01-17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13A KR102070033B1 (ko) 2019-01-17 2019-01-17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033B1 true KR102070033B1 (ko) 2020-01-29

Family

ID=6932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13A KR102070033B1 (ko) 2019-01-17 2019-01-17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60B1 (ko) * 2021-10-18 2022-10-28 김태희 우수 피해 방지 창호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757A (ko) * 2014-10-06 2016-04-15 (주)엘지하우시스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757A (ko) * 2014-10-06 2016-04-15 (주)엘지하우시스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60B1 (ko) * 2021-10-18 2022-10-28 김태희 우수 피해 방지 창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7655A (ko)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0778140B1 (ko) 고기밀성 단열창호
KR101717570B1 (ko) 창틀 프레임 구조체
KR102070033B1 (ko) 복층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896771B1 (ko)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20210104328A (ko)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
JP2007016516A (ja) 建具および建具の施工方法
KR20110001775A (ko) 배수구조를 갖는 창호 프레임
JP2021161813A (ja) サッシ下枠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リフォーム方法
JP4078609B2 (ja) パラペット及び陸屋根構造
KR20200095024A (ko)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KR102132265B1 (ko) 배수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사출물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JP3479909B2 (ja) 吊戸用下枠及び建築物の出入口構造
KR20220002942U (ko) 창호용 프레임 구조
KR20220048904A (ko)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KR102350873B1 (ko) 배수가 용이한 창틀용 샤시프레임
KR102035219B1 (ko) 배수가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KR100799462B1 (ko) 수밀성 기능을 가지는 미서기창
KR102236435B1 (ko) 흡음 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
KR101203940B1 (ko) 빗물 배수구조가 형성된 창틀
JP6993153B2 (ja) 開口枠及び開口廻り構造
JPH10169330A (ja) 引違い窓の下枠水密装置
KR200430518Y1 (ko) 창호시스템의 빗물 차단판 구조
JP4006736B2 (ja) 改装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