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048B1 -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 Google Patents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048B1
KR102069048B1 KR1020180018395A KR20180018395A KR102069048B1 KR 102069048 B1 KR102069048 B1 KR 102069048B1 KR 1020180018395 A KR1020180018395 A KR 1020180018395A KR 20180018395 A KR20180018395 A KR 20180018395A KR 102069048 B1 KR102069048 B1 KR 10206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fire
handle
control devi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442A (ko
Inventor
이말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01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0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에 형성된 제1힌지축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 손잡이와 상기 하부 손잡이 방향으로 회동하여 배출핀을 가압하는 상부 손잡이를 구비한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하부 손잡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소화기의 손잡이가 가압되면 사용자가 안전핀을 뽑을 수 있도록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A safety handle of the fire-extinguisher for making a guide voice}
본 발명은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 소화기의 사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사용자의 패닉을 방지하고 안전핀을 쉽게 뽑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는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소화제를 수용하고 소화제를 분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 1은 통상의 소화기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한 도면으로, 통상의 소화기는 본체(10) 내에 소화제가 충전되어 있으며, 본체(10)에 충진 된 소화제는 본체(10)내에 배치되는 방출 파이프(11)를 통하여 배출되어 호스(12)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곳에 방출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소화기의 사용법을 숙지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긴급한 상황 속에서 패닉에 빠져 소화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5981호는 소화기 사용안내 알림장치를 구비한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기를 들면 음성 알림장치를 통해 소화기의 사용법이 출력되어 소화기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도 쉽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통상의 소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안전 손잡이(20)를 강하게 파지하면 상부 손잡이(22)가 하부 손잡이(21)쪽으로 강하게 눌리고, 안전핀(24)은 안전 손잡이의 관통공에서 강한 전단력을 받게 되고, 이러한 전단력에 의해 안전핀(24)을 잡아 당겨도 관통공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통해 소화기의 사용법을 음성으로 안내 받더라도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강하게 파지한 상태에서는 안전핀이 잘 빠지지 않게 되어 위급한 상황에서 소화기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화재 발생으로 인한 긴급한 상황에서 소화기를 처음 사용해보는 사용자가 음성 안내에 따라 화재진압을 시도하려고 할 때 안전핀이 뽑히지 않아 패닉에 빠져 화재 진압이 실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음성 안내를 받기 위해 사용자가 줄 센서를 순차적으로 잡아 당겨야 안내음성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므로 소화기의 사용법을 숙지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598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기를 사용할 때 음성으로 소화기의 사용법을 출력하여 소화기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도 쉽게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와 하부 손잡이를 강하게 움켜진 상태에서도 음성 안내에 따라 안전핀이 쉽게 제거될 수 있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진압을 위해 소화기의 손잡이를 잡았을 때만 소화기 사용법에 대한 안내 음성이 출력되어 전력소모를 방지 및 오작동을 방지하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시 소화기의 위치를 빛과 소리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소화기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는 밸브에 형성된 제1힌지축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 손잡이와 상기 하부 손잡이 방향으로 회동하여 배출핀을 가압하는 상부 손잡이를 구비한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하부 손잡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소화기의 손잡이가 가압되면 사용자가 안전핀을 뽑을 수 있도록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상기 안내부는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면 서로 다른 안내 음성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경고음 또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손잡이를 관통하여 하부면으로 돌출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쥐었을 때 하중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화재 발생 시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주위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주위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신호를 입력하는 화재센서와,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상기 소화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소화제의 분사유무를 판단하거나 상기 소화기의 압력상태를 상기 제어장치에 신호를 입력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화재 발생 장소에 인접한 경우 화재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받아 주위의 사용자에게 소화기의 위치나 화재유무를 알려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에 신호를 입력하는 무선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저장하거나 방전시키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소화기를 지지하는 받침대에 형성된 무선충전기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의하면 소화기를 사용할 때 음성으로 소화기의 사용법을 출력하여 소화기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도 쉽게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의하면 상부와 하부 손잡이를 강하게 움켜진 상태에서도 음성 안내에 따라 안전핀이 쉽게 제거될 수 있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의하면 화재 진압을 위해 소화기의 손잡이를 잡았을 때만 소화기 사용법에 대한 안내 음성이 출력되어 전력소모를 방지 및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의하면 화재 발생 시 소화기의 위치를 빛과 소리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소화기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성의 소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내부가 안전 손잡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 소화기의 사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사용자의 패닉을 방지하고 안전핀을 쉽게 뽑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는 안전 손잡이의 구성을 제외하고 소화기 본체(10) 및 밸브(13) 등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의 소화기와 동일한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내부가 안전 손잡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는 밸브(13)에 형성된 제1힌지축(33)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 손잡이(31)와 하부 손잡이(31) 방향으로 회동하여 배출핀을 가압하는 상부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하부 손잡이(31)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소화기의 손잡이가 가압되면 사용자가 안전핀(50)을 뽑을 수 있도록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안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내부(60)는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면 서로 다른 안내 음성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610)와, 제어장치(610)에 형성되며 제어장치(610)에 의해 경고음 또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630)와, 제어장치(61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 손잡이(31)를 관통하여 하부면으로 돌출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쥐었을 때 하중에 의해 제어장치(610)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어장치(61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6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내부(60)는 하부 손잡이(31)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있으며 외부로 음성을 출력하여 소화기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도 손쉽게 소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안내부(60)에 형성되는 제어장치(610)는 출력되는 음성을 상황에 따라 다른 대사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장치(610)에 형성된 각 장치로부터 수신된 결과에 따라 설정된 안내 음성을 스피커(630)를 통해 반복하여 출력하게 된다.
제어장치(610)에 설정된 안내 음성은 "안전핀을 뽑으세요", "화재를 향해 빗자루로 쓸 듯이 분사하세요",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소화기의 압력이 부족합니다"가 있으며, 출력되는 음성은 변동될 수도 있다.
제어장치(610)는 설정된 안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6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배터리(6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특정 장소에 장시간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터리(620)의 전력 소모를 감소하기 위해 제어장치(610), 스피커(630)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즉, 배터리(620)가 별도의 충전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 배터리(620)의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장치(610) 및 스피커(630)로 공급되는 전원이 스위치(640)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스위치(640)는 하부 손잡이(31)의 중앙에 개구된 홈(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하부 손잡이(31)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 손잡이(31)를 향해 수직으로 삽입되면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치(640)는 하부 손잡이(3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가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어 하부 손잡이(31)의 내측면에 스위치(640)가 걸려 상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위치(640)가 형성된 하부 손잡이(31)의 내측면에는 스위치(640)가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대(641)와, 지지대(641) 내부에 형성되고 제어장치(610)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금속체로 된 제1접점(642)과, 스위치(640) 내부에 형성되며 배터리(620)의 +단자와 연결되고 스위치(640)의 이동에 의해 제1접점(642)과 접촉되면 전원을 연결시키는 금속체로 된 제2접점(643)과, 지지대(641) 내부에 형성되어 스위치(640)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접점(642)과 제2접점(643)을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체(6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620)의 전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단자는 제어장치(610)와 연결되게 되며, +단자는 제2접점(643)에 연결되어 있어 제어장치(6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스위치(640)의 동작에 의해서 제2접점(643)이 제1접점(642)과 접촉되면 제1접점(642)을 통해 +단자의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장치(610)가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손잡이를 움켜쥐고 이동하게 되면 하부 손잡이(31)를 감싼 손이 스위치(640)를 자연스럽게 가압하게 되고 제2접점(643)이 제1접점(642)에 접촉되면서 배터리(620)와 제어장치(610) 사이의 회로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안전 손잡이(30)를 움켜쥐는 것만으로 제어장치(61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제어장치(610)는 스피커(630)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안전핀을 뽑으세요"라는 안내 음성을 송출하여 사용자가 안전핀(50)을 뽑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위치(640)는 전원 공급 또는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소화기의 사용유무에 대한 판단 수단으로써 사용될 수도 있으며, 스위치(640)는 사용자가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안전 손잡이(30)를 움켜쥐었는지에 대한 신호 입력장치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때 안내부(60)는 제어장치(610)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저장하거나 방전시키는 배터리(620)를 더 포함하며, 배터리(620)는 소화기를 지지하는 받침대에 형성된 무선충전기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620)가 제어장치(610)로 전원을 상시 공급하게 되면 배터리(620)의 전력 소모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므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소화기가 배치할 때 사용되는 받침대에 무선충전기를 형성시켜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자기 공명 방식을 이용하여 소화기의 하부 손잡이(31)에 위치한 배터리(620)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기유도방식으로 이용하여 배터리(620)를 무선 충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배터리(620)를 소화기의 바닥면에 형성시켜 받침대에 형성된 무선충전기의 충전패드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620)가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경우 후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배터리(620)를 복수 개로 형성하는 경우 하나는 상시 전원으로 활용하고 다른 하나는 스위치(640)에 의해 동작되었을 때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어느 하나의 배터리(640)가 방전되더라도 이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부(60)는 제어장치(610)에 형성되며 주위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제어장치(610)에 신호를 입력하는 화재센서(660)와, 제어장치(610)에 형성되며 소화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소화제의 분사유무를 판단하거나 소화기의 압력상태를 제어장치(610)에 신호를 입력하는 압력센서(6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내부(60)는 제어장치(610)에 형성되며 화재 발생 시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주위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6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재센서(660)는 소화기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와 연기의 발생유무를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 이상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제어장치(610)에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어장치(610)는 화재센서(660)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화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스피커(63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면서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라는 음성 안내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가 소화기의 위치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제어장치(610)는 발광소자(650)가 점멸하면서 연기가 발생된 상황 속에서도 불빛을 통해 소화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유도하게 된다.
압력센서(670)는 소화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소화기가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한지 또는 소화기로부터 소화제가 분사되는 중인지 판단하기 위해 제어장치(610)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압력센서(670)는 소화기의 압력 값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장치(61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스위치(64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소화제가 분사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스위치(640)가 동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력 값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소화기의 상태 이상으로 판단하여 제어장치(610)는 스피커(630)를 통해 "소화기의 압력이 부족합니다" 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스위치(640)가 동작된 상태에서 압력 값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소화제가 분사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장치(610)는 스피커(630)를 통해 "화재를 향해 빗자루로 쓸 듯이 분사하세요" 또는 "화재를 향해 분사하세요"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스위치(640)가 동작된 상태에서 제어장치(610)는 "안전핀을 뽑으세요"를 반복적으로 출력하고 이후 압력센서(670)에 의해 압력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확인되면 소화제가 분사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를 향해 빗자루로 쓸 듯이 분사하세요" 또는 "화재를 향해 분사하세요"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부(60)는 제어장치(610)에 형성되며 화재 발생 장소에 인접한 경우 화재 감지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받아 주위의 사용자에게 소화기의 위치나 화재유무를 알려줄 수 있도록 제어장치(610)에 신호를 입력하는 무선수신기(6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수신기(680)는 무선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정보나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것으로, 소화기가 배치된 실내의 화재 감지 시스템(도시되지 않음)과 연동되어 화재 감지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가 감지된 장소의 주변에 있는 소화기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어장치(610)는 무선수신기(68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630)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라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어 주위 사용자에게 화재 발생을 인지시키게 되고, 점멸되는 발광소자(65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화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의하면 소화기를 사용할 때 음성으로 소화기의 사용법을 출력하여 소화기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도 쉽게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상부와 하부 손잡이를 강하게 움켜진 상태에서도 음성 안내에 따라 안전핀이 쉽게 제거될 수 있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으며, 화재 진압을 위해 소화기의 손잡이를 잡았을 때만 소화기 사용법에 대한 안내 음성이 출력되어 전력소모를 방지 및 오작동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 시 소화기의 위치를 빛과 소리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소화기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소화기 본체 11 : 방출 파이프
12 : 호스 13 : 밸브
14 : 개방핀 20 : 안전 손잡이
21 : 하부 손잡이 22 : 상부 손잡이
23 : 힌지축 24 : 안전핀
30 : 안전 손잡이 31 : 하부 손잡이
32 : 상부 손잡이 33 : 제1힌지축
50 : 안전핀 60 : 안내부
610 : 제어장치 620 : 배터리
630 : 스피커 640 : 스위치
641 : 지지대 642 : 제1접점
643 : 제2접점 644 : 탄성체
650 : 발광소자 660 : 감지장치
661 : 화재센서 662 : 압력센서
670 : 무선수신기

Claims (6)

  1. 밸브에 형성된 제1힌지축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 손잡이와; 상기 하부 손잡이 방향으로 회동하여 배출핀을 가압하는 상부 손잡이;를 구비한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하부 손잡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소화기의 손잡이가 가압되면 사용자가 안전핀을 뽑을 수 있도록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는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면 서로 다른 안내 음성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경고음 또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손잡이를 관통하여 하부면으로 돌출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쥐었을 때 하중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손잡이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위치가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장치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금속체로 된 제1접점과;
    상기 스위치 내부에 형성되며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접점과 접촉되면 전원을 연결시키는 금속체로 된 제2접점과;
    상기 지지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접점과 상기 제2접점을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상기 소화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소화제의 분사유무를 판단하거나 상기 소화기의 압력상태를 상기 제어장치에 신호를 입력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스위치의 동작 유무 및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화재 발생 시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주위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주위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신호를 입력하는 화재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화재 발생 장소에 인접한 경우 화재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받아 주위의 사용자에게 소화기의 위치나 화재유무를 알려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에 신호를 입력하는 무선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저장하거나 방전시키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소화기를 지지하는 받침대에 형성된 무선충전기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KR1020180018395A 2018-02-14 2018-02-14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KR10206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395A KR102069048B1 (ko) 2018-02-14 2018-02-14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395A KR102069048B1 (ko) 2018-02-14 2018-02-14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442A KR20190098442A (ko) 2019-08-22
KR102069048B1 true KR102069048B1 (ko) 2020-01-22

Family

ID=6776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395A KR102069048B1 (ko) 2018-02-14 2018-02-14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4970B2 (en) 2019-09-12 2023-12-19 Carri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user operating a fire extinguish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81Y1 (ko) * 2005-03-04 2005-06-07 서종갑 소화기 사용안내 알림장치를 구비한 소화기
KR101827250B1 (ko) * 2017-06-28 2018-02-08 (주)한성기술단 자립형 화재경보기를 이용한 가정용 소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542B1 (ko) * 2015-12-11 2017-08-16 진동용 소화기 받침대
KR20170136237A (ko) * 2016-06-01 2017-12-11 배성국 방향 알림 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81Y1 (ko) * 2005-03-04 2005-06-07 서종갑 소화기 사용안내 알림장치를 구비한 소화기
KR101827250B1 (ko) * 2017-06-28 2018-02-08 (주)한성기술단 자립형 화재경보기를 이용한 가정용 소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442A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167B1 (ko) 게임용 헤드셋과 충전 방법
US20090173506A1 (en) Fire Extinguishing Gas Spray Device
KR101868366B1 (ko) 소화기 시스템
CN102520852A (zh) 一种移动设备屏幕状态的控制方法及相关移动设备
KR102069048B1 (ko)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KR1008254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101776218B1 (ko) 철도차량용 화재 수신기 및 소화시스템
KR101856103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소화장치 안내경보시스템
KR20160001087U (ko)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US8651195B2 (en) Jetting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gas and disaster warning system
KR102277679B1 (ko)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JP2003310785A (ja) 消火栓装置操作方法案内システム
KR20040015847A (ko)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KR102278554B1 (ko) 발광형 안내 장치를 구비한 화재 진압용 소화기
JP2014239850A (ja) 消火器と消火器を用いたシステム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JP2015151716A (ja) シャッター障害物検知システム
US10692346B2 (en) Electronic fall monitoring system
KR20160065424A (ko) 이중호신경보기
KR101827250B1 (ko) 자립형 화재경보기를 이용한 가정용 소화시스템
KR102135029B1 (ko)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CN210873895U (zh) 一种灭火装置
KR20170127310A (ko)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KR20230174379A (ko) 휴대용 자동소화시스템
KR102085765B1 (ko) 소화기 거치대와 소화기 분리 여부에 따른 긴급 알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