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679B1 -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679B1
KR102277679B1 KR1020190114893A KR20190114893A KR102277679B1 KR 102277679 B1 KR102277679 B1 KR 102277679B1 KR 1020190114893 A KR1020190114893 A KR 1020190114893A KR 20190114893 A KR20190114893 A KR 20190114893A KR 102277679 B1 KR102277679 B1 KR 102277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fire
glass bulb
extinguishing ag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316A (ko
Inventor
백창선
Original Assignee
백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창선 filed Critical 백창선
Priority to KR102019011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6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기감지기, 열감지기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반에서 수신한 후 수신반에서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파열부재에 인가하여 자동소화기에 설치된 유리벌브를 파괴시킴과 동시에 타격부재에 의해 막을 파열시켜 탱크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분출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기, 열을 감지하는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유리벌브를 플라즈마 발생기 또는 열선을 포함하는 파열부재를 통해 파괴시켜 타격부재에 의해 막을 파괴시켜 탱크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분출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지고, 플라즈마 발생기 또는 열선을 포함하는 파열부재에 의해 유리벌브가 파괴되므로 화재에 의한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IoT type gas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본 발명은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되는 열감지기 또는 연기감지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서 인가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수신반에서 전기적신호를 파열부재로 인가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유리벌브가 파열되면서 소화약제가 분출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지고, 또한, 수배전반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통해 수배전반의 상태를 상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소화기는 화재의 초기단계에서 소화가스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하여 불을 끌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소형화되어 있다.
자동소화기에 사용하는 소화가스 또는 그 메커니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화가스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포말소화기(泡沫消火器), 분말소화기, 할론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등이 대표적이다.
소화기는 화재의 성질에 따라 각각의 용법이 다르고, 소화기의 종류로는 ①수조가 붙은 펌프 소화기, ②산알칼리 소화기, ③거품 소화기, ④이산화탄소 소화기, ⑤분말 소화기, ⑥사염화탄소 소화기, ⑦일염화일브롬화메탄 소화기 등으로 나누어진다.
①수조가 붙은 펌프 소화기는 물 16L들이 용기에 손으로 누르는 펌프와 고무 호스를 부착한 것인데 물의 보급이 연속적으로 가능하다. 유효 방사 범위는 8~12m, 방사 시간은 물의 보급만 끊이지 않으면 무한히 사용할 수 있는데 물 16L를 방사하는 데에는 약 1분이 걸린다.
②산알칼리 소화기: 묽은 황산에 탄산수소나트륨을 혼합함으로써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그 압력에 의해 수용액을 뿜어내는 구조이다. 혼합 방법에 의해 파병식(破甁式)과 전도식(轉倒式)이 있다. 현재에는 주로 파병식의 이중병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병식은 외통, 내통으로 되어 있으며, 외통에는 물이 채워져 있고 내통은 이중의 유리병으로 진한 황산과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이 채워져 있으며, 사용시에는 파병용 돌기를 두들겨 이중병을 파손해서 혼합시킨다. 전도식에서는 소화기를 거꾸로 들면 황산 용액의 뚜껑이 떨어져서 용액이 혼합된다. 유효 방사 범위는 5~9m, 방사 시간은 약 40초이다.
③거품 소화기는 보통은 전도식 구조이며 용기는 내통과 외통으로 되어 있고 내통에는 황산알루미늄 용액, 외통에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넣으며, 사용할 때에는 용기를 거꾸로 하면 내통이 열려서 용액이 혼합되어 이산화탄소가 발생된다. 수산화알루미늄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거품이 생기고 이산화탄소의 압력으로 거품을 방사한다. 유효 방사 범위는 5~9m, 방사 시간은 약 40초이다.
④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용기 안에 액화 이산화탄소를 충전하여 사용할 때 밸브를 개방하면 이산화탄소와 드라이아이스를 방출한다. 방사 거리가 짧아 화염에 접근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으므로 화염이 커지면 사용할 수 없다. 유효 방사 범위는 1~2.5m, 방사 시간은 약 20초이다.
⑤분말 소화기는 용기에 탄산수소나트륨의 건조 분말을 넣고 따로 방사용의 소형 이산화탄소 봄베(獨 Bombe)를 부착한 것이다. 사용할 때에는 봄베의 덮개를 부수면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은 이산화탄소의 압력에 의해 노즐에서 방출되고 화열에 의해 분해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생한다. 유효 방사 범위는 3~6m, 방사 시간은 약 15초이다.
⑥사염화탄소 소화기는 사염화탄소의 증발 숨은열과 공기보다 비중이 큰 것을 이용한 것으로 용기의 약 2/3만큼 사염화탄소를 넣고 나머지에 공기를 압입(압력은 7kg/cm2 정도) 한 것이다. 유효 방사 범위는 5~9m, 방사 시간은 약 40초이다.
⑦일염화일브롬화메탄 소화기는 용기의 구조는 핸드 레버식이고 일염화일브롬화메탄을 소화제로 사용한 것이다. 용기의 약 2/3만큼 일염화일브롬화메탄을 충전하고 나머지에 공기를 압입(8~9kg/cm2) 한 것이다. 유효 방사 범위는 3~6m, 방사 시간은 약 20초이다.
작은 화재에 사용하는 것으로, 전자제품의 내측 또는 전자 기기가 설치되는 함체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행기술로 실용신안공보 제1997-06853호(1997.07.09. 공고) '자동확산 소화기의 공이침 작동장치'는 소화 약제 방출구와 중앙통공이 연통 된 헤드의 중앙상단에 실린더를 결합하여 그 내부에 공이침을 가진 승강봉을 내장시켜 스프링에 의한 탄발력을 부여하고, 승강봉의 하단을 열감지편에 의해 헤드에 지지시키는 것에 있어서, 중앙볼트와 그 양측에 잡아주는 협지볼 및 열감지납, 조임볼트가 순차적으로 끼운 감지판을 구성하여 이 감지판의 중앙볼트에 승강봉의 하단을 나사 결합시켜 승강봉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중앙볼트와 그 양측에 잡아주는 협지볼 및 열감지납, 조임볼트가 순차적으로 끼운 감지판으로 구성되어 열에 의해 열감지납이 녹아내려 승강봉에 의해 소화기를 공이침으로 작동시키는 것이나, 상기의 열감지납이 감지판의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화재에 의한 열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열감지납이 녹아내리지 않아 초기 화재에 대응하지 못해 화재가 번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등록특허공보 제2017-110421호(2018.09.21. 공고)의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시 열이 유리벌브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통공 및 지지판을 가지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구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지지판에 결합되어 유리벌브를 고정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하우징에 설치되는 탄성체와; 탄성체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에 결합되는 텐션조정부재와; 하우징에 결합되는 마개와; 열에 파손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지지판과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리벌브와; 이동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와;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탱크의 입구에 설치된 막을 타격하여 가압 된 소화 약제가 비산 될 수 있도록 고정체에 나사 결합되는 타격부재와;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되어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가 압력에 의해 분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탱크;로 이루어지는 자동소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소화장치는 하우징에 설치된 유리벌브가 화재의 열에 의해 파손되면서 하우징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 이동부재가 이동되고, 이동부재에 결합된 타격부재에 의해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된 탱크의 막을 파괴시켜 소공간으로 가압 된 소화 약제가 퍼져 나가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문헌은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화염에 의해 유리벌브의 파손에 의해 스프링이 이완되면서 타격부재가 탱크의 차단막을 파손시켜 탱크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분출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선행문헌의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는 화재가 발생한 후에 화염에 의해 유리벌브가 파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재에 의한 열이 늦게 전달되는 경우, 화재가 퍼진 후에 유리벌브가 파손되므로 초동진화가 이루어지지 못해 화재가 번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2017-110421호(2018.09.21.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는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서 인가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수신반에서 전기적신호를 파열부재로 인가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유리벌브가 파괴되면서 타격부재로 막을 파열시켜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통해 수배전반의 상태를 상시 감시할 수 있도록 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반에서 수신한 후 전기적 신호를 파열부재로 인가하여 플라즈마 또는 열에 의해 자동화기기에 설치된 유리벌브가 파괴되도록 하면서 타격부재에 의해 막을 파열시켜 탱크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분출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파열부재는, 유리벌브의 일측에 위치되어 자동소화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신반은, 관리자의 스마트폰 또는 웨어블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기에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현재 상태를 알리거나 또는 연기감지기와 열감지기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문자, 숫자 또는 음성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기는, 유리벌브로 열의 전달 및 가압 된 소화 약제가 비산 되도록 형성된 통공과 이동부재 및 유리벌브가 설치되는 지지판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이 설치된 몸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지지판에 결합되어 유리벌브를 고정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과 이동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와; 열에 파손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지지판과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리벌브와; 이동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와;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게이지연결관에 설치된 막을 타격하여 가압 된 상태로 탱크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비산 될 수 있도록 고정체에 나사 결합되는 타격부재와; 유리벌브를 파괴시켜 타격부재가 게이지연결관의 막을 파열하여 소화약재가 분출될 수 있도록 수신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에 설치되는 파열부재;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되어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가 압력에 의해 분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열부재는, 플라즈마 발생기 또는 열선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유리벌브를 플라즈마 발생기 또는 열선을 포함하는 파열부재를 통해 파괴시킴과 동시에 타격부재에 의해 막을 파열시켜 탱크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분출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발생기 또는 열선을 포함하는 파열부재에 의해 유리벌브가 파괴되므로서 화염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발생기 또는 열선을 포함하는 파열부재를 제어하는 수신반을 통해 화재에 대한 신호를 스마트폰, 웨어러블기기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단말기로 신호가 인가되므로 화재의 발생, 진화 상태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에서 자동소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에서 자동소화기의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소화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소화장치에서 플라즈마 발생기 또는 열선에 의해 유리벌브가 파손되어 소화약제가 분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는 연기감지기(210), 열감지기(220) 증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반(200)에서 수신한 후 전기적 신호를 파열부재(370)로 인가하여 플라즈마 또는 열에 의해 자동소화기(300)에 설치된 유리벌브(340)가 파괴되도록 하면서 타격부재(360)에 의해 막(381-1)을 파열시켜 탱크(380)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분출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의 자동소화기는 주수신기(100), 수신반(200), 자동소화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주수신기(100)는 건물의 각층에 설치된 수신반 화재의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이 이루어어 질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물에 설치된 수신반(200)으로부터 신호가 전달되었는지를 파악 및 표시하고, 화재가 발생한 상태 및 조치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실에 설치된다.
상기 주수신기(100)는 건물의 크기에 따라 R형 수신기 또는 P형 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층에 설치된 수신반(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수신반(200)은 연기감지기(210), 열감지기(220)를 통해 화재의 발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고,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온도센서(230) 및 습도센서(240)와 연결되어 온도와 습도에 따른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현장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신반(200)은 연기감지기(210), 열감지기(220),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온도센서(230) 및 습도센서(240)와 연결되어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가 스마트단말기(260)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현재의 상태 또는 화재가 발생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신반(200)은 P형 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소화기(300)는 하우징(310), 이동부재(320), 탄성체(330), 유리벌브(340), 고정체(350), 타격부재(360), 파열부재(370) 및 탱크(38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0)은 유리벌브(340)로 열의 전달 및 가압 된 소화 약제가 비산 되도록 형성된 통공(311-2)과 이동부재(320) 및 유리벌브(340)가 설치되는 지지판(311-3)이 형성된 몸체(311)와, 상기 몸체(311)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관(312)과, 상기 제1연결관(312)이 설치된 몸체(311)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관(3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311)는 상부와 하부에 나사가 형성된 결합관(311-1)이 각각 형성되어 제1연결관(312)과 제2연결관(313)이 결합된다.
상기 통공(311-2)은 몸체(311)의 양측면에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소화 약제의 분출이 용이하도록 통공(311-2)의 입구에서 몸체(311) 쪽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통공(311-2)을 통해 비산되는 소화 약제가 넓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311-3)은 몸체(311)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부재(320)가 결합되는 끼움공(311-6)과 소화 약제가 분출되는 메인분출공(311-4)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분출공(311-4)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유리벌브(340)가 결합된다.
상기 메인분출공(311-4)은 유리벌브(340)의 뾰족한 부분이 끝나는 곡면 부분의 형상과 동일하게 곡면부(311-5)가 형성되어 유리벌브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끼움공(311-6)의 사이에는 소화 약제가 분출될 수 있도록 서브분출공(311-7)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서브분출공(311-7)과 메인분출공(311-4)에 의해 소화 약제가 분출되어 통공(311-2)을 통해 비산된다.
상기 제1연결관(312)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몸체(311)의 결합관(31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 하부에 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관(31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결합관(311-1) 및 탱크(38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나사가 형성되고, 원통형의 외주연에는 너트의 형상이 구성되어 탱크(380)와 결합시 공구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상기 이동부재(320)는 유리벌브(340)가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홈(322)을 가지며 탄성체(33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전체 형상이 'ㅗ'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동부재몸체(321)와, 상기 이동부재몸체(321)의 일측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바(323)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홈(322)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벌브(340)의 끝단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유리벌브(340) 끝단이 둥글게 형성된 모서리 부분에 지지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323)의 끝단 내측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볼트가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바(323)는 몸체(311)의 지지판(311-3)에 형성된 끼움공(311-6)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바(323)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 형태로 복수로 구성되거나 또는 반원형 형상으로 복수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바(323)는 어느 한 형상에 한정하여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탄성체(330)에 의해 이동부재(32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330)는 상기 이동부재(320)의 이동부재몸체(321)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310)의 제1연결관(312)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유리벌브(340)는 화재시 열에 의해 파손될 수 있도록 하우징(310)의 지지판(311-3)의 메인분출공(311-4)과 이동부재(320)의 고정홈(322)에 각각 일측이 고정되어 하우징(310)의 몸체(311)에 형성한 통공(311-2)에 위치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리벌브(340)는 일측이 둥글게 형성되고 타측은 뾰족하게 형성되며, 이동부재(30)에 유리벌브(340)의 둥글게 형성된 부분이 내측 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벌브(340)의 어깨 부분, 즉 뾰족한 부분에서 벌브본체로 연결되는 둥근 부분에 메인분출공(311-4)의 곡면부(311-5)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체(35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소화 약제의 분출 및 타격부재(360)가 나사 결합되는 약제분출공(351)이 형성되고, 상기 약제분출공(351)의 외주에 볼트가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공(352)이 형성된다.
상기 타격부재(360)는 고정체(350)의 약제분출공(351)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부(363)를 가지며 일정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된 타격돌기(361)가 형성되고, 상기 타격돌기(361)에는 소화 약제가 분출되는 약제유입구(362)가 형성되어 몸체(311)의 통공(311-2)을 통해 소화 약제가 비산되게 한다.
상기 파열부재(370)는 유리벌브(340)를 파괴시켜 타격부재(360)가 게이지연결관(381)의 막(381-1)을 파열하여 소화약재가 분출될 수 있도록 수신반(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310)에 밴딩(371)과 볼트로 고정된다.
즉, 파열부재(370)의 고정은 하우징(310)의 일측에 볼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밴딩(371)을 통해 파열부재(370)와 결합한 후 볼트홀(371-1)에 볼트를 결합시켜 하우징(310)에 형성한 구멍에 고정시켜 파열부재(370)에 의해 유리벌브(340)가 파괴될 수 있게 설치한다.
상기 파열부재(370)는 밴딩(371)과 볼트에 의해서만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 또는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고, 이때 플라즈마 발생기 또는 열선에 의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열부재(370)는 플라즈마 발생기 또는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는 아크방전 또는 고주파 유도방전 중 어느 하나의 방전이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크방전은 플라즈마를 전극으로부터 고속 고온의 제트 분사시키는 플라즈마 토치 형식, 직류 아크 방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텅스텐 음극봉과 동 재질의 양극봉 형식 또는 관 형태의 동 전극간에 직류나 교류 아크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유도방전은 공기 또는 수냉각 수정관이나 세라믹관 원둘레에 3~7회 정도의 유도코일을 감아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통해 100㎑ ~ 100㎒ 범위의 고주파 전원에 연결하고, 이때 시변 자기장에 의해 유기된 방위각방향 전장이 주입된 기체를 절연파괴 시킨 후 유도코일 전류와는 반대 방향의 원형 전류를 구동하여 방전을 유지시키면서 열플라즈마를 생성하며, 발생된 플라즈마를 통해 유리벌브(340)를 파괴한다.
그리고 상기 열선은 수신반(200)에서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져 유리벌브(340)를 파괴한다.
상기 탱크(380)는 화재발생시 압력에 의해 소화 약제가 타격부재(360)의 약제유입구(362), 고정체(350)의 약제분출공(351), 몸체(311)의 메인분출공(311-4)을 통해 통공(311-2)에서 비산 될 수 있도록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된다.
상기 탱크(380)에 저장되는 소화약제는 펜타플루오르에탄(HFC-125), 핵사플루오르프로판(HFC-227ea) 또는 노벡 1230(NOVEC-1230)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380)의 재질은 소화 약제가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내강압연 강관 또는 강대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탱크(380)의 상단에는 게이지연결관(381)이 설치되며, 상기 게이지연결관(381)에는 막(381-1)이 형성되어 소화약제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게이지연결관(381)에는 압력게이지(382)가 설치되어 탱크(380)의 내측에 저장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탱크(380)는 게이지연결관(381)과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310)의 제2연결관(313)과 나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수배전반에 설치된 온도센서(230)와 습도센서(240)를 통해 온도의 변화와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수신반(200)으로 인가하여 급격하게 온도가 상승하거나 또는 습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면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 화염을 연기감지기(210) 또는 열감지기(220)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반(200)으로 인가한다.
상기 수신반(200)으로 인가된 신호를 주수신기(100)와 스마트단말기(260)에 인가하여 관리자에게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린다. 그리고 상기 신호를 수신한 수신반(200)은 전기적 신호를 하우징(310) 일측에 설치된 파열부재(370)로 인가하여 플라즈마 또는 열에 의해 유리벌브(340)가 파괴되도록 한다.
상기 유리벌브(340)가 파괴되면, 탄성체(330)가 이완되어 이동부재(320)를 탱크(380)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체(350)가 함께 이동된다. 상기 고정체(350)가 이동되면서 타격부재(360)가 막(381-1)을 파열시켜 탱크(380)에 압축된 상태로 저장된 소화약제가 분출된다.
상기 소화약제는 타격돌기(361)에 형성된 약제유입구(362)를 통해 유입되고, 약제유입구(362)로 유입된 소화약제는 다시 고정체(350)의 약제분출공(351)으로 분출되면서 하우징(310)의 통공(311-2)을 통해 비산된다.
상기 통공(311-2)으로 비산된 소화약제에 의해 초동진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수배전반에 설치된 온도센서(230)와 습도센서(240)에 의해 온도와 습도가 수신반(200)으로 인가되고, 수신반(200)은 온도센서(230)와 습도센서(240)에서 인가된 신호를 표시하면서 주수신기(100)와 스마트단말기(260)로 신호를 인가한다.
관리자는 주수신기(100) 또는 스마트단말기(260)에 표시된 온도와 습도를 통해 화제가 진압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고, 화재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면, 화재가 진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조치를 취한다.
또한, 연기감지기(210)와 열감지기(220)에서 화재에 의한 연기와 열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수배전반에 설치된 온도센서(230)와 습도센서(24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통해 화재의 유무를 관리자가 판단할 수 있으므로 화재에 대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평상시 수배전반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어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습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관리자가 직접 수신반(200)을 조작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유리벌브(340)가 파괴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화재에 대해서 신속하게 대처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공간이 협소함으로 인해 수배전반에 연기감지기(210)와 열감지기(220)를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230)와 습도센서(240)를 설치하여 수배전반의 상황을 판단하여 그에 맞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는 장소의 크기에 따라 연기감지센서(210), 열감지센서(220) 또는 온도센서(230), 습도센서(24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감지센서(210), 열감지센서(220) 또는 온도센서(230), 습도센서(24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반(200)에 의해 원격지에 위치된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통보됨으로서 화재에 따른 위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주수신기 200: 수신반
210: 연기감지기 220: 열감지기
230: 온도센서 240: 습도센서
250: 경보기 260: 스마트단말기
300: 자동소화기 310: 하우징
311: 몸체 311-1: 결합관
311-2: 통공 311-3: 지지판
311-4: 메인분출공 311-5: 곡면부
311-6: 끼움공 311-7: 서브분출공
312: 제1연결관 313: 제2연결관
320: 이동부재 321: 이동부재몸체
322: 고정홈 323: 가이드바
330: 탄성체 340: 유리벌브
350: 고정체 351: 약제분출공
352: 결합공 360: 타격부재
361: 타격돌기 362: 약제유입구
363: 나사결합부 370: 파열부재
371: 밴딩 371-1: 볼트홀
380: 탱크 381: 게이지연결관
381-1: 막 383: 압력게이지

Claims (5)

  1. 연기감지기(210), 열감지기(220) 중 어는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반(200)에서 수신한 후 전기적 신호를 파열부재(370)로 인가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자동소화기(300)에 설치된 유리벌브(340)가 파괴됨과 동시에 타격부재(360)에 의해 막(381-1)을 파열시켜 탱크(380)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분출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동소화기(300)는,
    유리벌브(340)로 열의 전달 및 가압 된 소화 약제가 비산 되도록 형성된 통공(311-2)과, 이동부재(320) 및 유리벌브(340)가 설치되는 지지판(311-3)이 형성된 몸체(311)와, 상기 몸체(311)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관(312)과, 상기 제1연결관(312)이 설치된 몸체(311)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관(313)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의 지지판(311-3)에 결합되어 유리벌브(340)를 고정하는 이동부재(320)와;
    이동부재(320)가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310)의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310)과 이동부재(3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330)와;
    열에 파손될 수 있도록 하우징(310)의 지지판(311-3)과 이동부재(320) 사이에 설치되는 유리벌브(340)와;
    이동부재(32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350)와;
    이동부재(320)의 이동에 의해 게이지연결관(381)에 설치된 막(381-1)을 타격하여 탱크(380)에 가압된 상태로 저장된 소화약제가 비산 될 수 있도록 고정체(350)에 나사 결합되는 타격부재(360)와;
    유리벌브(340)를 플라즈마로 파괴시켜 타격부재(360)가 막(381-1)을 파열하여 소화약재가 분출될 수 있도록 수신반(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310)에 설치되는 파열부재(370);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되어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가 압력에 의해 분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310) 일측에 설치되는 탱크(380);
    를 포함하고,
    상기 파열부재(370)는,
    직류 아크 방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텅스텐 음극봉과 동 재질의 양극봉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재(370)는,
    유리벌브(340)의 일측에 위치되어 자동소화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반(200)은,
    관리자의 스마트폰 또는 웨어블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기(260)에 온도센서(230)와 습도센서(24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현재 상황을 알리거나 또는 연기감지기(210)와 열감지기(22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화재가 발생시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문자, 숫자 또는 음성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4893A 2019-09-18 2019-09-18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KR102277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93A KR102277679B1 (ko) 2019-09-18 2019-09-18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93A KR102277679B1 (ko) 2019-09-18 2019-09-18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316A KR20210033316A (ko) 2021-03-26
KR102277679B1 true KR102277679B1 (ko) 2021-07-14

Family

ID=7525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893A KR102277679B1 (ko) 2019-09-18 2019-09-18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588B1 (ko) 2021-10-06 2022-04-01 창창한 주식회사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자동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2282B (zh) * 2023-03-24 2023-12-05 江苏日明消防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消防灭火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877B1 (ko) * 2003-08-25 2004-04-01 시엔에이전기 주식회사 유리벌브 스프링클러의 폭발 장치 및 방법
KR101900874B1 (ko) * 2017-08-30 2018-09-21 전길숙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332B1 (ko) 2016-03-23 2022-07-28 엘에스머트리얼즈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
KR101985076B1 (ko) * 2017-06-05 2019-09-03 김병열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877B1 (ko) * 2003-08-25 2004-04-01 시엔에이전기 주식회사 유리벌브 스프링클러의 폭발 장치 및 방법
KR101900874B1 (ko) * 2017-08-30 2018-09-21 전길숙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588B1 (ko) 2021-10-06 2022-04-01 창창한 주식회사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자동소화장치
WO2023059020A1 (ko) * 2021-10-06 2023-04-13 창창한 주식회사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자동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316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679B1 (ko)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TWI351293B (en) Jetting apparatus of fire extinguishing gas
JP2001521653A (ja) 危険探知、警告、及び応答システム
JPWO2011161792A1 (ja) 防災装置
JP2009148585A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災害警報システム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20130035788A (ko) 전기 공급 패널용 소화장치
JP2007330765A (ja) 消火ガス噴射器
JP5266080B2 (ja) 家庭用消火装置
JP2010233849A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地震警報器並びに災害警報システム
CN215309894U (zh) 带无线压力反馈悬挂式超细干粉灭火装置
JP2013542015A (ja) 危険制御およびシグナリ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80286218A1 (en) Wireless fire-protection system
KR102381588B1 (ko)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자동소화장치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CN109499026A (zh) 一种带有自动灭火装置的货架
JP2002014603A (ja) 消火訓練設備
CN211188863U (zh) 一种换电柜的消防系统
JP2017023452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および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102245057B1 (ko)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튜브형 소화장치
KR20170093765A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위치 알림 소화기
CN212491285U (zh) 一种智能自动灭火器
CN211285843U (zh) 一种基于智能消防系统的恒压给水设备
CN203494091U (zh) 一种消防联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