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087U -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087U
KR20160001087U KR2020157000050U KR20157000050U KR20160001087U KR 20160001087 U KR20160001087 U KR 20160001087U KR 2020157000050 U KR2020157000050 U KR 2020157000050U KR 20157000050 U KR20157000050 U KR 20157000050U KR 20160001087 U KR20160001087 U KR 201600010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electric shock
circuit
button
communic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7000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지트 다프나 굴
Original Assignee
가지트 다프나 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지트 다프나 굴 filed Critical 가지트 다프나 굴
Publication of KR20160001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F41B15/04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with electric stunning-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 F41H13/0018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for nearby electrical discharge, i.e. the electrodes being positioned on the device and the device brought manually or otherwise into contact with a nearby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H05C1/04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providing pulse voltages
    • H05C1/06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providing pulse voltages operating only when touch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전기충격 회로(16)가 들어있는 스마트폰(12)의 커버(10); 전기충격을 관리하는 2개의 전극(14); 전기충격 회로를 작동시켜 전기충격을 일으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 전기충격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동 버튼을 이용하는 안전기; 스마트폰(12)과 전기충격 회로(16) 사이에 있고, 전기충격 회로(16)를 제어하며 전기충격을 작동시키는 통신채널; 및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0,48)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전기충격기{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본 고안은 자가방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에 관한 것이다.
스턴건은 전기충격을 가해 사람을 순간적으로 불능화시키는 무기이지만 치명적이지 않다. 스턴건은 근육기능을 정지시키는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런 목적으로 특수하게 고안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전화기가 널리 사용되고, 휴대전화기에 전기충격 기능을 부여하려는 몇가지 시도가 있어왔다.
Kroll의 US7,986,965는 전기충격기를 결합한 휴대전화기를 소개하고 있다. 이 특허의 도 9는 안전스위치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전기충격 회로를 작동시키려면 조작자가 라운드 스위치(700)를 심하게 눌러야만 한다. 휴대전화기를 사용중이서 머리 가까이 대고 있으면, 이런 동작을 하기가 어렵고, 조작자 자신이 충격을 받을 위험도 있다. 이 스위치(700)를 누르려면 후드를 위로 들어올리는 2차 작업도 필요하다. 이런 후드는 이중 안전 특징을 위해서이다.
따라서, '965 특허는 전기충격기의 조작의 용이성과 오작동 방지라는 2가지 반대되는 문제점들을 갖고있다. 이 특허에서 제시한 한가지 방식은 오퍼레이터가 라운드 스위치(700)를 심하게(하드하게) 누르도록 하고, 조작 버튼을 휴대전화기의 정면 중앙에 두어, 한손으로 휴대전화기를 쥔 상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스마트폰의 정면을 스크린이 차지하여 정면 중앙에 조작 버튼을 배치할 수 없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전기충격 회로(16)가 들어있는 스마트폰(12)의 커버(10); 전기충격을 관리하는 2개의 전극(14); 전기충격 회로를 작동시켜 전기충격을 일으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 전기충격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동 버튼을 이용하는 안전기; 스마트폰(12)과 전기충격 회로(16) 사이에 있고, 전기충격 회로(16)를 제어하며 전기충격을 작동시키는 통신채널; 및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0,48)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 버튼(20)이 커버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전기충격 회로는 작동 버튼이 동시에 눌려져야만 전기충격을 일으켜 오작동을 방지한다.
또, 2개의 작동 버튼(20)이 3초 이상 동시에 눌려졌는지 여부를 전기 충격 회로가 감지하도록 하여 안전기가 구현될 수 있다.
또, 전극이 커버의 윗면이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전원이 커버에 배치된 배터리(48)이거나, 스마트폰(12)의 배터리(40)일 수 있다.
또, 작동 버튼이 물리적 버튼(20)이거나, 스마트폰의 물리적 버튼(34)이나 가상 버튼일 수 있다.
또, 커버가 스마트폰의 하부만 가려, 위험에 노출된 상태에서만 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충격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안전기가 작동 버튼들을 일정 순서로 일정 시간 눌러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전기충격기는 스마트폰(12)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앱(38)을 더 포함하고, 이 앱(38)이 통신채널을 통해 전기충격 회로(16)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 통신채널은 유선 통신채널(36)이거나, 무선 통신채널일 수 있고, 무선 통신채널은 오디오 통신채널(46)일 수 있는데, 이런 오디오 통신채널이 DTMF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일정 기간 슬립모드에 있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의 같은 장소에 유저가 자기 손가락을 대고있는지 여부를 소프트웨어 앱이 감지하도록 하여 안전기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 소프트웨어 앱이 전기충격이 일어났을 때 스마트폰의 위치를 알려주는 (예컨대 SMS에 의한) 경고메시지를 일정 주소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 소프트웨어 앱이 전기충격 회로(16)의 오실레이터(28)의 입력 전압을 통해 전극(14) 사이에서 생기는 전압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충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충격기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전기충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커버(10)를 사용한 스마트폰(12)의 사시도;
도 5는 도 3~4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 회로의 구성도.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충격기를 보여주고, 도 2는 도 1의 전기충격기를 이용한 스마트폰(12)을 보여준다.
전기충격기의 스마트폰 커버(10) 아랫부분에는 전기충격 회로(16)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24)이 있다. 도 1~2에서는 스마트폰 커버 내부에 배치된 회로(16)를 볼 수 없다.
커버(10)의 양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20)이 배치된다. 커버의 바닥에 배치된 전극(14)이 전기충격을 관리한다.
충격을 일으키는 전력은 커버 안에 설치된 전용 배터리나, 스마트폰의 배터리에서 공급된다. 후자의 경우, 스마트폰의 암커넥터에 대응하는 숫커넥터(18)가 커버(10)에 달려있고, 숫커넥터를 통해 회로(16)가 스마트폰 배터리에 연결된다. 편의상 스마트폰 배터리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커버(10) 양쪽에 배치된 2개의 버튼(20)이 전기충격을 일으키는데, 2개의 버튼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면 사용의 용이성과 오작동 방지라는 2가지 목적이 구현된다. 따라서, 긴급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손바닥에 있는 스마트폰의 양 측면을 쥐면 전기충격이 일어난다. 스마트폰 유저 공격자에게 충격을 주려면 전극(14)이 공격자에게 닿아야 한다.
일반적인 누르는 힘보다 더 큰 힘으로만 버튼이 작동되는 "하드" 버튼을 채택하면 오작동율이 늘어난다. 예컨대, 애플의 iPhone의 버튼(34)이 "하드" 버튼이다.
충격기에 안전조치를 추가하고, 안전조치가 되어야만 충격기가 대기상태로 들어가도록 하면 충격기의 오작동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양쪽 버튼(20)을 5초간 동시에 눌러야만 대기상태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충격기가 대기상태에 들어가면 오디오나 진동 등의 신호로 유저에게 경고한 다음, 유저가 양쪽 버튼을 놓아도 된다. 충격을 일으키고자 하면, 유저가 양쪽 버튼을 1초 정도의 "짧은" 시간동안 동시에 다시 누른다. 한편, 유저가 예컨대 5초간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장치는 대기상태를 나간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커버(10) 바닥에 전극(14)이 배치되어 있지만, 커버 윗면과 같은 다른 곳에 전극을 배치할 수도 있다. 유저의 사용 편의성 면에서 보면 커버 윗쪽에 전극을 배치하는 것이 좋지만, 안정성 면에서는 커버 바닥쪽에 전극을 노출되지 않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전기충격기를, 도 4는 도 3의 커버(10)를 이용한 스마트폰(12)을 각각 보여준다.
이 실시예와 이전 실시예의 차이는, 여기서는 스마트폰(예; 스마트폰의 전용 앱)이 전기충격기의 동작을 제어하지만, 이전 실시예에서는 그렇지 않다는데 있다. 또, 이전 실시예에서는 커버(10)가 스마트폰 전체를 커버하지만, 여기서는 커버(10)가 스마트폰의 바닥면만 가린다. 이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버튼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a) 전기충격기의 컨트롤러와, (b) 전기충격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2가지 기능으로 사용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전기충격기에 의한 충격의 특성들과 같은 변수들을 설정하도록 설계된다. 전기충격기의 컨트롤러는 충격을 일으키는 전기충격 회로(16)에 명령을 내리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2의 버튼(20)을 사용하지 않고, 도 3~4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채택한다. 즉, 물리적인 버튼(20)을 스마트폰의 소프트웨어나 버튼으로 대체한다. 이때문에, 회로(16)와 스마트폰(12)의 회로 사이에 데이터 연결이 일어난다.
커버(10)에 설치된 전기충격 회로(16)와 스마트폰 회로 사이의 데이터 연결을 통해, 전기충격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복잡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이를 위한 전용 앱을 설치하여 충격 전압을 세팅할 수 있다. 또, 스마트폰 자체의 버튼들 중의 하나를 길게 누르면 전기충격기가 작동되거나 대기상태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현재의 많은 스마트폰들은 몇분간 아무 활동이 없으면 기능을 정지시키는 "슬립" 상태를 적용한다. 유저가 스마트폰의 버튼을 하나라도 누르면 슬립상태가 종료하고, 스크린에 명령어들이 나타난다. 이런 조건들은 유저가 전기충격기를 즉각 작동시켜야 하는 비상상황에는 맞지 않는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물리적 버튼들의 일부를 전기충격기의 작동 버튼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버튼을 5초 정도로 "길게" 누르면, 전기충격기가 대기모드로 들어가고, 스마트폰의 소리나 진동 등으로 유저에게 경고한다. 이어서 유저가 이 버튼을 놓으면 된다. 유저가 버튼을 1초 정도로 짧게 다시 누르면 전기충격기가 충격을 일으킨다.
본 고안의 다른 예에서는, 슬립모드에 있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유저가 터치스크린에 손가락을 5초 정도로 "길게" 대고있으면, 스마트폰이 전기충격기를 대기상태로 둔다. 유저가 터치스크린을 놓았다가 다시 건드리면, 충격이 생긴다.
이상의 설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충격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일 뿐이고, 다른 식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도 있다.
전기충격기를 작동시킬 비상상황과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작동시킬 비상상황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다. 현재의 스마트폰에서 카메라를 비상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예컨대 버튼(34)을 눌러) 유저가 슬립모드를 종료할 때 나타나는 디스플레이에 아이콘을 제시한다. 마찬가지로, 전기충격기를 작동시킬 다른 아이콘을 이용해 슬립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용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4의 실시예의 주요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전기충격기의 커버(10)에 전기충격 회로(16)가 설치되고, 스마트폰(12)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앱(38)을 커버가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배터리(40)의 전력이 유선 통신채널(36)을 통해 커버의 전기충격 회로(16)에 공급되고, 통신채널(36) 안에서 전선(44)을 통해 암수 커넥터(22,18)가 연결된다. 전기충격 회로는 전극(14)을 통한 충격을 관리한다.
여컨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유선 통신채널이 (a) 스마트폰의 소프트웨어 앱과 커버에 배치된 전기충격 회로 사이에서는 데이터통신용이고, (b) 스마트폰 배터리(40)와 전기충격 회로(16) 사이에서는 아날로그 통신용이다.
도 6은 본 고안으 다른 실시예의 주요 요소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유선 통신채널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부인 소프트웨어 앱과 커버의 전기충격 회로가 오디오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한다.
"오디오 통신채널"이란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와 같은 오디오신호로 데이터 통신을 하는 통신채널로서, 양방향이거나 일방향이다. 양방향일 경우 각각의 통신부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일방향일 경우 한쪽 통신부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다른쪽 통신부는 데이터를 수신하기만 한다.
스마트폰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구비하므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앱은 다른 부분과 오디오통신을 할 수 있다. 양 통신부 사이의 오디오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양 통신부 사이에 유선통신이 없을 경우에도 스마트폰으로 전기충격을 일으킬 수 있다.
도 6에서는 커버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이용하고, 이는 커버의 회로와 양방향 통신 세션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스마트폰만 커버의 회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일방향 통신도 가능하다.
배터리(48)는 스마트폰이 아닌 전기충격기의 커버의 장치이므로, 독립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또, 긴급상황이 일어나 유저가 전기충격기를 사용해야만 할 때, 유저의 위치를 스마트폰의 GPS를 통해 알아내 휴대전화망을 통해 경찰서와 같은 긴급센터로 보낼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충격 회로를 보여준다.
접점(26)으로 입력하면 전극(14)에서 스파크가 일어난다. 접점(26)의 입력에 의해 릴레이(30)가 작동하면 오실레이터(28)가 동작한다. (전극(14)에는 연결되지 않은) 오실레이터는 교류전류를 일으키고, 이 교류전류는 변압기(42)의 1차권선에 공급된다.
변압기(42)에는 1차권선과 2차권선(도시 안됨)이 있고, 그 사이에서 교류전류가 증폭된다. 변압기의 2차권선의 증폭된 전압은 충전 커패시터(32)에 저장된다. 변압기의 1차권선과 2차권선의 권선수 비율에 따라 수십 kV의 전압이 커패시터(32)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전압에 의해 전극(14)에서 스파크가 방출된다.
릴레이(30)가 오래 작동할수록 커패시터(32)의 충전량이 커진다.
오실레이터(28)의 진동율(주파수)는 오실레이터(28)에 대한 입력전압을 변화시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앱에 의해 조절되고, 이런 입력전압이 진동율을 결정한다.

Claims (24)

  1.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전기충격 회로(16)가 들어있는 스마트폰(12)의 커버(10);
    상기 전기충격을 관리하는 2개의 전극(14);
    상기 전기충격 회로를 작동시켜 전기충격을 일으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
    상기 전기충격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동 버튼을 이용하는 안전기;
    상기 스마트폰(12)과 전기충격 회로(16) 사이에 있고, 전기충격 회로(16)를 제어하며 전기충격을 작동시키는 통신채널; 및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0,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20)이 커버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충격 회로는 작동 버튼이 동시에 눌려져야만 전기충격을 일으켜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3.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작동 버튼(20)이 3초 이상 동시에 눌려졌는지 여부를 상기 전기 충격 회로가 감지하도록 하여 상기 안전기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커버의 윗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커버의 바닥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커버에 배치된 배터리(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스마트폰(12)의 배터리(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이 물리적 버튼(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이 스마트폰의 물리적 버튼(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이 스마트폰의 가상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스마트폰의 하부만 가려, 위험에 노출된 상태에서만 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충격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가 작동 버튼들을 일정 순서로 일정 시간 눌러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폰(12)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앱(38)을 더 포함하고, 이 앱(38)이 통신채널을 통해 전기충격 회로(16)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채널이 유선 통신채널(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채널이 무선 통신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채널이 오디오 통신채널(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통신채널이 DTMF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일정 기간 슬립모드에 있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의 같은 장소에 유저가 자기 손가락을 대고있는지 여부를 상기 소프트웨어 앱이 감지하도록 하여 상기 안전기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앱이 전기충격이 일어났을 때 스마트폰의 위치를 알려주는 경고메시지를 일정 주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앱이 전기충격 회로(16)의 오실레이터(28)의 입력 전압을 통해 전극(14) 사이에서 생기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21. 제13항에 있어서, 전기충격이 일어났을 때 스마트폰 전기충격기가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일정 목적지에 경고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이 SMS 메시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가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앱(38)이 전기충격이 일어났을 때 소리 경고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KR2020157000050U 2013-07-28 2014-06-05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KR2016000108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227672 2013-07-28
IL227672A IL227672A (en) 2013-07-28 2013-07-28 An electric device has been shocked to a smart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87U true KR20160001087U (ko) 2016-04-01

Family

ID=5002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7000050U KR20160001087U (ko) 2013-07-28 2014-06-05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69651A1 (ko)
KR (1) KR20160001087U (ko)
DE (1) DE212014000160U1 (ko)
IL (1) IL227672A (ko)
WO (1) WO2015015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7762S1 (en) * 2015-10-29 2018-09-04 Did, Inc. Stun gun
DE102018211418A1 (de) * 2018-05-28 2019-11-28 Frank Zastrow Vorrichtung zur Gefahrenabwehr
RU2711542C1 (ru) * 2019-02-19 2020-01-17 Габлия Ю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Ручное многозарядное оружие
WO2020204875A1 (en) * 2019-03-29 2020-10-08 Jobe Joseph G Mobile device case with integrated stun gun
USD983183S1 (en) 2019-03-29 2023-04-11 Joseph G. Jobe Mobile device case with integrated stun gun
US11663106B2 (en) * 2021-02-25 2023-05-30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failure to enter standby mod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0908B1 (en) * 1997-07-16 2003-06-17 Mark W. Kroll Generic number cellular telephone
US7805158B2 (en) 1997-07-16 2010-09-28 Kroll Family Trust Self defense cell phone with acceleration sensor and emergency call button
US5988450A (en) 1998-01-29 1999-11-23 Cassarino; Robert J. Combination cellular phone and personal defense system
US6636732B1 (en) * 1998-03-19 2003-10-21 Securealert, Inc. Emergency phone with single-button activation
US7376234B1 (en) * 2001-05-14 2008-05-20 Hand Held Products, Inc. Portable keying device and method
US7479759B2 (en) * 2004-02-26 2009-0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battery configuration, and associated method
US8019390B2 (en) * 2009-06-17 2011-09-13 Pradeep Sindhu Statically oriented on-screen transluscent keyboard
KR20110068190A (ko) * 2009-12-15 2011-06-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폰 케이스형 전기 충격기
US8744574B2 (en) * 2010-11-01 2014-06-03 Physio-Control, Inc. Defibrillator with mutable sound prompts
US20130092565A1 (en) * 2011-10-17 2013-04-18 Steven Swope Mobile phone personal defense device
US8934213B2 (en) * 2012-04-18 2015-01-13 Yellow Jacket, L.L.C. Electroshock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27672A0 (en) 2014-01-30
US20160069651A1 (en) 2016-03-10
DE212014000160U1 (de) 2016-02-29
WO2015015485A1 (en) 2015-02-05
IL227672A (en) 201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087U (ko)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CN203913385U (zh) 电子烟
EP3002933B1 (en) User terminal light control method and corresponding apparatus
CN109068206A (zh) 主从耳机切换控制方法及相关产品
TW201724690A (zh) 控制充電的方法、裝置、電源轉接器和移動終端
CN104702792A (zh) 终端屏幕的状态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WO201501429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uarding against theft of mobile terminals
KR20230004928A (ko) 인간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CN104065792A (zh) 终端控制方法、终端控制装置及终端
KR20170127310A (ko)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CN103763413A (zh) 智能手机控制插头
CN108566221A (zh) 通话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210075458U (zh) 遥控器底座、遥控器、电视机控制装置及电视机
KR20130032804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N202475505U (zh) 分体式手机及手机鼠标
KR101612382B1 (ko) 정전식 터치 패널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내장한 휴대폰 케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휴대폰 본체 제어 방법
CN205824568U (zh) 一种自拍杆的控制手柄
KR20130053698A (ko) 스마트폰 충전 거치대
CN115381709A (zh) 一种分体式足疗仪的控制方法和分体式足疗仪
JP2016092658A (ja) 電気衝撃機能を具備した携帯用端末機のケース
KR102074917B1 (ko) 호신용 전기 충격기
KR101650898B1 (ko) 스마트폰과 그 기능을 이용한 휴대 개인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69048B1 (ko)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CN206629058U (zh) 一种穿戴式紧急通信终端
CA2932154A1 (en) Golf accessory and system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